KR20090011224A -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224A
KR20090011224A KR1020070074598A KR20070074598A KR20090011224A KR 20090011224 A KR20090011224 A KR 20090011224A KR 1020070074598 A KR1020070074598 A KR 1020070074598A KR 20070074598 A KR20070074598 A KR 20070074598A KR 20090011224 A KR20090011224 A KR 20090011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signal
image
change pattern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116B1 (ko
Inventor
이안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116B1/ko
Priority to US12/027,473 priority patent/US8570439B2/en
Publication of KR2009001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방송처리장치는 영상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영상컨텐츠 중 영화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와;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선택부를 통하여 상기 영화컨텐츠가 선택되면,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필름영상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필름영상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원하는 영상신호를 정확하게 저장할 수 있는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P1020070074598
필름영상, 풀다운, IPC

Description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BROADCASTING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에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기록하는 장치로서는 테이프 매체를 이용한 VCR(video cassette recorder)이 주류를 이루어왔다. 그러나 근래에는 아날로그 방송보다 장점이 많은 디지털 방송 시대에 접어들면서 다수의 기록매체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 예로 디지털 VCR이나 HDD(hard disc drive), 광 디스크를 이용한 기록장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이 가운데 HDD는 최근 급속한 기술 발전에 힘입어 그 기록 용량이 테이프 매체의 수십 또는 수백 그 이상의 기가 바이트(giga byte) 정도까지 증대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디지털 TV 수신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갖는 DTV 수신기가 등장하고 있다. DTV의 주목받는 부가 기능의 하나인 PVR(personal video recorder) 기능은 대용량 HDD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생 기능을 제공한다. 즉, PVR은 기존 아날로그 VCR용 테이프와는 달리 오디오, 비디오 정보를 디지털로 저장함으로써 무한정 녹화, 재생을 하더라도 정보의 손실이 없는 화질을 보장한다.
PVR는 주간 방송 편성표, 선호채널, 프로그램 장르별 안내 등의 정보를 TV 상에 보여주고 예약녹화, 생방송 일시정지, 생방송 일지정지 중 녹화, 지난 부분 다시보기, 32배속 탐지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PVR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방송신호의 녹화는 일반적으로 방송신호의 수신에 관한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되므로, 시간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불필요한 광고 등이 녹화되거나 녹화하고자 하는 영상컨텐츠 전부가 녹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영상신호를 정확하게 저장할 수 있는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공간을 절감할 수 있는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영상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영상컨텐츠 중 영화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와;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선택부를 통하여 상기 영화컨텐츠가 선택되면,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필름영상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 여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필름영상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디코딩된 영상신호로부터 필드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필드영상을 이용하여 IPC(interlace-to-progressive conversion)을 수행하는 IPC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연속되는 상기 필드영상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움직임 변화패턴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움직임 변화패턴이 기설정된 고유변화패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필름영상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은 약 10 내지 15 프레임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상기 움직임 변화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버터부는 별도로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드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기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와 상이한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광고영상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저장부에서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 동안 연속되는 상기 필드영상의 상기 움직임 변화패턴이 상기 고유 변화패턴과 상이한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광고영상으로 판단하고,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시간은 제1시간과는 달리 광고 영상임을 판별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으로 약 1분 정도에 해당하기 때문에 움직임 변화패턴을 판별하 기 위하여 필드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부가 더 필요하다.
저장부의 저장공간을 절감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부에는 인코딩 상태의 상기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영상신호 중 영화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와;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선택부를 통해 영화컨텐츠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가 기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기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와 동일한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처리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프레임 레이트는 24frame/1sec 또는 25frame/1se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화컨텐츠의 저장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필드영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필드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신호가 필름영상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필름영상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영상신호를 정확하게 저 장할 수 있는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공간을 절감할 수 있는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는 신호수신부(10), 신호처리부(20), 디스플레이부(30), 사용자 선택부(40), 저장부(5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신호처리부(20)는 디코딩부(21) 및 IPC(interlace-to-progressive conversion)부(23)를 포함하고, 제어부(60)는 패턴 생성부(61) 및 신호판별부(63)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프로그래시브 스캔방 식을 이용하는 PDP(plasma display panel)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라 초당 60필드의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한다.
신호수신부(10)는 외부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는 다양한 영상컨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표, 장르별 안내를 포함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 및 데이터 방송 등이 수신된다. 신호수신부(10)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 일정한 주파수에 동조하여 특정 주파수, 즉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튜너와 튜너로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한다.
신호처리부(20)는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30)로 출력한다. 신호처리부(20)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처리부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부(20)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처리부를 의미한다. 도시되지 않은 오디오 처리부는 신호수신부(10)로 수신된 방송신호 중 오디오 신호를 MPEG 규격 또는 돌비 규격에 따라 디코딩한 후 증폭하여 출력한다. 디코딩부(21)는 영상신호를 소정의 규격에 따라 디코딩한 후 증폭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변화패턴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극장에서 상영하는 영화, 즉 필름영상신호는 1초당 24프레임 또는 25프레임 단위로 생성되며, 생성된 프레임은 각각 필름에 담겨져 프로그레시 브(progressive) 스캔 방식으로 스크린에 표시된다. 프로그레시브 스캔방식이란 한 장면을 프레임 단위로 한 번에 스크린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에 비하여, 현재 보급되고 있는 대부분의 디스플레이장치는 한 장면을 두 개 이상의 필드(field)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인터레이스(interlace) 스캔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송방식에 따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경우, 초당 60필드로, PAL(Phase Alternation Line) 또는 SECAM(Sequential Couleur a Memoire) 방식의 경우, 초당 50필드로 영상을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필름영상신호를 방송국에서 송신하는 인터레이스 스캔 방식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필름프레임에서 영상신호의 필드 수를 증가시키는 3:2 풀다운 과정이 수행된다. 3:2 풀다운 과정은 프레임 1로부터 탑필드(T1), 바텀필드(B1), 탑필드(T1)와 같은 세 개의 필드를 얻고, 프레임 2로부터 바텀필드(B2), 탑필드(T2)를 얻는 영상신호 처리과정을 의미하며, 텔레시네(telecine)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이러한 영상규격변환은 방송을 송신하는 방송국에서 실행되고, 방송국은 규격이 변경된 영상신호를 송신한다. 디코딩부(21)는 이를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IPC부(23)는 디코딩부(21)를 통해 디코딩된 영상신호로부터 필드영상을 검출하고, 필드영상이 프로그레시브 스캔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한다. 즉, IPC부(23)는 인터레이스 포맷의 필드영상을 프로그레시브 포맷으로 변경하는 IPC를 수행한다. IPC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복수의 필드를 조합하여 프레임을 형성하거나 움직임 보상을 위한 보간 프레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IPC부(23)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에서 지원하는 포맷으로 처리하고, 영상신호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영상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보간 프레임을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액정을 포함하는 LCD 패널,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하지 않은 셋탑 박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선택부(40)는 특정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저장, 특히 영화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다양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화컨텐츠란 일반적인 인터레이스 포맷의 방송신호가 아닌 필름으로 제작된 필름영상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 선택부(40)는 영화컨텐츠 저장 기능의 선택을 위한 별도의 단축키 또는 터치패드로 구현되거나, 방송처리장치와 원격으로 통신하는 원격제어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단축키 또는 터치패드는 방송처리장치의 외부 프레임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터치 패드의 경우, 디스플레이부(30) 상의 터치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선택부(40)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일반적인 입력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50)는 후술할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디코딩되지 않은 인코딩 상태의 필름영상신호를 저장한다. 디코딩된 영상신호의 용량은 인코딩 상태의 영상신 호보다 크기 때문에 저장부(50)의 대용량을 요구하기 된다. 따라서, 저장용량의 절감을 위하여 인코딩 상태의 영상신호를 저장한다.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재생할 경우, 저장부(50)에 저장되어 있던 영상신호는 디코딩부(21)로 입력된다.
제어부(60)는 사용자 선택부(40)를 통하여 영화컨텐츠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필름영상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영상신호가 필름영상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이를 저장부(50)에 저장한다. 종래의 경우, 수신되는 영화컨텐츠의 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영화가 녹화되었기 때문에 영화컨텐츠의 전반 또는 후반영상이 완전하게 녹화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제어부(60)는 영화컨텐츠에 해당하는 영상신호의 특징을 판단하여 필름영상신호만을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영화컨텐츠를 처음부터 끝까지 정확하게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60)는 패턴생성부(61) 및 신호판별부(63)를 포함한다. 패턴생성부(61)는 인접한 필드영상 간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SAD(summed absolute difference)를 산출하고, 산출된 SAD에 기초하여 움직임 변화패턴을 생성한다. 이 때, 패턴생성부(61)는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연속적인 필드영상의 움직임 변화패턴을 생성한다. 일반적인 인터레이스 포맷의 영상신호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복수의 필드영상을 얻는 풀다운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움직임 변화패턴이 필름영상신호와 상이하다. 이러한 차이점은 약 10 내지 15프레임의 움직임 변화패턴 만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시간은 약 0.3 ~ 0.5초 정도이다. 패턴생성부(61)는 필드영상의 화소값을 연산하고, 도 2와 같이, 인접한 필드영상 간의 SAD1~9를 산출 한다. 그런 다음 SAD가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움직임 변화패턴을 생성한다. 임계값은 필드 영상 간에 움직임 정도를 파악할 때 필드영상이 상이한 프레임으로부터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된다. 필름영상신호의 경우, 하나의 프레임으로부터 세 개, 두 개의 필드영상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므로 움직임 변화패턴은 001010010100...이다.
신호판별부(63)는 패턴생성부(61)로부터 형성된 움직임 변화패턴이 기설정되어 있는 고유변화패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움직임 변화패턴이 고유변화패턴에 해당하는 경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필름영상신호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필름영상신호의 움직임 변화패턴이 고유변화패턴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필름영상신호이면 저장부(50)에 저장되고, 인터레이스 포맷의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되지 않는다.
신호판별법 즉,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필름영상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영화컨텐츠 저장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10), 신호처리부(20)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필드영상을 추출한다(S20). 디코딩부(21)를 경유한 필드영상은 실질적인 영상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I픽처, P 픽처, B 픽처와 같은 픽처 정보만으로 영상신호를 저장할 때 발생했던 오류가 방지된다. 즉, 종래에는 실질적인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영화컨텐츠를 판단하 지 않고 단순히 디코딩 상태의 영상정보 및 시간 정보만을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저장하였기 때문에 시간정보의 오차에 수반하여 저장되는 영화컨텐츠도 완전하지 못하였다.
제어부(60)는 제1시간 동안의 필드영상으로부터 움직임 변화패턴을 산출하고(S30), 영상신호의 움직임 변화패턴이 고유변화패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판단 결과, 영상신호의 움직임 변화패턴이 고유변화패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60)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필름영상신호로 판단하고, 이를 저장부(50)에 저장한다(S50).
반면, 영상신호의 움직임 변화패턴이 고유변화패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인터레이스 포맷의 영상신호로 판단하고 제어부(60)는 다시 S30으로 돌아가 영상신호의 움직임 변화패턴을 산출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영상신호가 저장된 이후, 소정 시간 필름영상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영화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신호의 수신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영상신호의 저장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는 저장되어 있는 필름영상신호 중 영화컨텐츠가 아닌 광고영상을 추출하여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에는 광고 또는 뮤직비디오 등이 프로그래시브 포맷의 필름영상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제1실시예에 따라 광고 영상도 저장부(50)에 저장 된다. 영화컨테츠가 수신되는 중간에는 영화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신호 이외에 광고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광고영상은 인터레이스 포맷의 영상신호가 아니기 때문에 저장부(50)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는 저장되는 필름영상신호 중에서 영화컨텐츠가 아닌 광고영상을 판별하여 이를 삭제한다.
광고영상은 영상컨텐츠에 대응되는 필드영상과 상이한 움직임 변화패턴을 갖는다. 영화컨텐츠에 대응되는 필드영상은 연속적으로 동일한 3개의 필드영상, 동일한 2개의 필드영상이 반복되지만 광고영상은 광고의 특성 상 약 15~30초 사이마다 전혀 다른 필드영상이 수신되어 영상신호의 연속성이 유지되지 않는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영화컨텐츠에 대응하는 필름영상신호는 24frame/1sec 또는 25frame/1sec와 같은 일정한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반면,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필름영상신호는 일정한 프레임 레이트를 갖지 않는다. 제어부(60)는 필름영상신호의 움직임 변화패턴을 산출하여 광고영상과 영화컨텐츠 영상을 판별한다. 다만, 이 경우 광고영상의 특징을 고려하여 약 30초~90초 동안에 수신되는 연속적인 필드영상의 움직임 변화패턴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시간동안 필드영상이 버퍼링될 버퍼부(65)를 포함한다. 정리하면, 제어부(60)는 제1실시예의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 본 실시예에서는 30초~90초 동안 연속적인 필드영상의 움직임 변화패턴을 산출하고, 필드영상의 움직임 변화패턴이 고유변화패턴과 상이한 경우, 이를 광고영상으로 판단한다. 광고영상으로 판단된 저장된 영상신호는 제어부(60)에 의하여 저장부(50)에서 삭제된다. 제어부(60)에 의하여 광고영상이 삭제되면, 저장부(50)에는 필름영상신호 중 순수한 영화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만 저장되므로 사용자 가 원하는 특정 영상신호만을 정확하게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유효한 영상신호만이 저장되므로 저장 공간도 절감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는 제1실시예에 설명된 영화컨텐츠의 저장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제어과정이다. 도3의 S50에서와 같이 영화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저장되고, 제어부(60)는 동시에 제2시간 동안 마다 입력되는 필드영상을 버퍼링한다(S60).
그런 다음, 제어부(60)는 버퍼링된 필드영상으로부터 움직임 변화패턴을 산출하고(S70), 움직임 변화패턴이 고유변화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80).
이는 광고영상과 영화컨텐츠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S80의 판단방법은 도2의 S40의 판단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물론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판단 결과, 필드영상의 움직임 변화패턴이 고유변화패턴과 상이하고 그 변화패턴이 연속적이지 않는 경우, 제어부(60)는 필름영상신호가 영화컨텐츠가 아닌 광고영상으로 판단한다. 즉,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가 영화컨텐츠에 대응되는 필름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가 아닌 경우, 광고영상으로 판단된다. 이런 경우, 제어부(60)는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 중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삭제한다(S90).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인터레이스 포맷의 영상신호가 아니면 저장부(50)에 저장되었다가, 광고영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저장부(50)로부터 삭제된다.
반면, 필드영상의 움직임 변화패턴이 고유변화패턴에 해당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과정은 종료한다. 광고영상이 아닌 필름영상은 연속적으로 저장되고,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필름영상신호가 아닌 경우 영상신호의 저장은 종료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처리장치는 저장부(50)에 저장되어 있는 영화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도시하지는 않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로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유/무선랜, 블르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 USB 포트, 메모리카드슬롯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선택부(40)를 이용하여 저장된 영상신호의 송신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방송처리장치는 영상신호의 송신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UI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변화패턴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호수신부 20 : 신호처리부
21 : 디코딩부 23 : IPC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사용자 선택부
50 : 저장부 60 : 제어부
61 : 패턴 생성부 63 : 신호판별부
65 : 버퍼부

Claims (13)

  1. 방송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영상컨텐츠 중 영화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와;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선택부를 통하여 상기 영화컨텐츠가 선택되면,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필름영상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필름영상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디코딩된 영상신호로부터 필드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필드영상을 이용하여 IPC(interlace-to-progressive conversion)을 수행하는 IPC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연속되는 상기 필드영상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움직임 변화패턴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움직임 변화패턴이 기설정된 고유변화패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필름영상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드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기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와 상이한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광고영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저장부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 동안 연속되는 상기 필드영상의 상기 움직임 변화패턴이 상기 고유 변화패턴과 상이한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광고영상으로 판단하고, 저장되어 있는 상기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인코딩 상태의 상기 영상신호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7. 방송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영상신호 중 영화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와;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선택부를 통해 영화컨텐츠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가 기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영상신호의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기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와 동일한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프레임 레이트는 24frame/1sec 또는 25frame/1se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디코딩된 영상신호로부터 필드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필드영상을 이용하여 IPC(interlace-to-progressive conversion)을 수행하는 IPC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드영상의 움직임 변화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 레이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10.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화컨텐츠의 저장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여 필드영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필드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신호가 필름영상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필름영상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가 필름영상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연속되는 상기 필드영상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움직임 변화패턴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상기 움직임 변화패턴이 기설정된 고유변화패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가 광고영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영상에 대응하는 저장된 상기 영상신호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광고영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 동안 연속되는 상기 필드영상의 상기 움직임 변화패턴이 상기 고유 변화패턴과 상이한 경우, 상기 영상신호를 광고영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074598A 2007-07-25 2007-07-25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2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598A KR101462116B1 (ko) 2007-07-25 2007-07-25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027,473 US8570439B2 (en) 2007-07-25 2008-02-07 Broadcasting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598A KR101462116B1 (ko) 2007-07-25 2007-07-25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24A true KR20090011224A (ko) 2009-02-02
KR101462116B1 KR101462116B1 (ko) 2014-11-17

Family

ID=4029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598A KR101462116B1 (ko) 2007-07-25 2007-07-25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70439B2 (ko)
KR (1) KR1014621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2653A (en) * 1993-01-07 1995-06-06 Maguire, Jr.; Francis J. Passive virtual reality
US6283760B1 (en) * 1994-10-21 2001-09-04 Carl Wakamoto Learning and entertainment device, method and system and storage media therefor
US6798981B1 (en) * 1996-04-05 2004-09-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media optical disc for storing audio data and sub-picture data in a plurality of channels as well as moving picture data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the multimedia optical disc
US6151075A (en) 1997-06-11 2000-11-21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frame rate
KR19990049348A (ko) * 1997-12-12 1999-07-05 구자홍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프레임 율(frame rate) 변환장치와 방법.
JP2000224551A (ja) * 1999-01-29 2000-08-11 Canon Inc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4056462A (ja) * 2002-07-19 2004-02-19 Sony Corp 映像検索支援方法及び映像検索支援装置、並びに放送受信装置
KR100692597B1 (ko) * 2004-10-06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드 선택이 가능한 영상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7067522A (ja) * 2005-08-29 2007-03-15 Toshiba Corp 情報編集装置、情報編集方法、及び情報編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116B1 (ko) 2014-11-17
US8570439B2 (en) 2013-10-29
US20090031372A1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047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8009234B2 (en) Audio/video devices for visualizing operational states therein or thereamong into content flow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s thereof
WO2012001905A1 (ja) 再生装置、音声選択方法および音声選択プログラム
US20060125963A1 (en) Personal video recorder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broadcasting signal in the system
KR100487396B1 (ko) 영화 모드를 지원하는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 및 영화 모드지원 방법
KR100854824B1 (ko) 영상표시기기의 녹화 목록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462116B1 (ko)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WO2005067291A1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US201000745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ording of image display device
JP4635098B1 (ja) 電子機器
JP2009027430A (ja) 動画再生装置
US73862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 operation for video cassette recorder having digital tuner
JP4575503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
JP5444722B2 (ja) ダビング装置
KR10161324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재생방법
KR20030081869A (ko) 하나의 오에스디 화면을 통해 각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KR20090027796A (ko) 영상표시기기 및 녹화 제어 방법
JP2004072449A (ja) 2画面テレビジョンの受信再生方法、及び2画面テレビジョン受信再生装置
US20070277206A1 (en) Reproduc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JP4924325B2 (ja) 放送受信記録装置
JP2015070579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2014007701A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US20050089305A1 (en) Timer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CR having digital tuner
KR20070092910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번인 현상 방지 방법
US2009016917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