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155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155A
KR20090011155A KR1020070074464A KR20070074464A KR20090011155A KR 20090011155 A KR20090011155 A KR 20090011155A KR 1020070074464 A KR1020070074464 A KR 1020070074464A KR 20070074464 A KR20070074464 A KR 20070074464A KR 20090011155 A KR20090011155 A KR 20090011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gateway
modem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훈
이석희
하승국
정재호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고오아이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고오아이엠(주)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7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155A/ko
Publication of KR20090011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집 내부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30)로 전화 연결되어 입력버튼을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제어신호는 기지국(20)에서 수신되어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게이트웨이(30)의 CDMA모뎀(31)에서 수신된 신호는 상기 CDMA모뎀(31)과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에서 제어명령을 실행시키고, 상기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에서 실행된 제어명령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를 통해 RF콘트롤러(33)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40)를 선택하여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모뎀(34)을 통해 제어대상기기(40)로 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제어대상기기(40)에 내장된 RF모뎀(41)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콘트롤러(42)를 통해 제어대상기기(40)를 제어하고, 그 결과를 RF모뎀(41)을 통해 게이트웨이(30)의 RF모뎀(34)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RF콘트롤러(33)와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를 거쳐 CDMA모뎀(31)에서 기지국(20)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문자 전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RF 양방향 통신 모듈과 CDMA 모듈이 구비되는 게이트웨이를 집 내부에 설치하고, 집안 특정장소에 각각 설치되어 RF 모듈이 내장되는 동체감지센서, 도어락, 가스밸브, 가스센서, MAG센서, 전등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정보가 상기 게이트웨어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게이트웨 이의 설치가 간편하여 A/S 및 유지 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홈네트워크, 이동통신 단말기, 게이트웨이, 제어대상기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home network using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집안의 디바이스 제어 및 상태 관리를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통한 효율적인 홈네트워크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로써, 가정 내의 각종 가전제품의 동작제어와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서버가 구비되고, 상기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는 가전제품(TV, 냉장고, 세탁기 등)이 구비되며,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각종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리모콘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네트워크망이 구축된 건물 내에서만 가전제품의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는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서버가 리모콘의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내로 이동한 후 제어명령을 내려야 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RF 양방향 통신 모듈과 CDMA 모듈이 구비되는 게이트웨이를 집 내부에 설치하고, 집안 특정장소에 각각 설치되어 RF 모듈이 내장되는 동체감지센서, 도어락, 가스밸브, 가스센서, MAG센서, 전등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정보가 상기 게이트웨어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집 내부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로 전화 연결되어 입력버튼을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제어신호는 기지국에서 수신되어 상기 게이트웨이로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CDMA모뎀에서 수신된 신호는 상기 CDMA모뎀과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콘트롤러에서 제어명령을 실행시키고, 상기 게이트웨이 콘트롤러에서 실행된 제어명령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를 통해 RF콘트롤러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를 선택하여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모뎀을 통해 제어대상기기로 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제어대상기기에 내장된 RF모뎀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콘트롤러를 통해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고, 그 결과를 RF모뎀을 통해 게이트웨이의 RF모뎀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RF콘트롤러와 게이트웨이 콘트롤 러를 거쳐 CDMA모뎀에서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문자 전송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방법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집 내부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로 전화 연결되어 입력버튼을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1단계와; 상기 입력된 제어신호가 기지국을 거쳐 게이트웨이로 전송되는 제2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CDMA모뎀으로 수신된 신호가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콘트롤러로 입력되어 일련의 플로어를 거쳐 제어명령을 실행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 콘트롤러에서 실행된 제어명령이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를 통해 RF콘트롤러로 전송되어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를 선택하여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모뎀을 통해 선택된 제어대상기기로 신호가 전송되는 제4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기기에 내장되는 RF모뎀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콘트롤러를 통해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제어된 결과가 RF모뎀을 통해 게이트웨이의 RF모뎀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RF콘트롤러와 게이트웨이 콘트롤러를 거쳐 CDMA모뎀에서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문자 전송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게이트웨이에는 동체감지센서, 도어락, 가스밸브, 가스센서, MAG센서, 전등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명령에 의해 게이트웨이에서 일치되는 제어대상기기를 선택하여 제어명령이 실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게이트웨이로 전화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메인 메뉴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기기의 ON/OFF 제어메뉴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콘트롤러에서의 일련의 플로어는 외부의 제어 및 상태 보고를 위한 CDMA모뎀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RF모뎀을 내장한 제어대상기기의 제어 및 상태 파악을 위한 RF콘트롤러와의 통신을 유지하여, 게이트웨이의 일측 모뎀에서 발생된 제어 및 상태를 파악하여 타측 모뎀에 해당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대상기기의 설정 값 변경시 RF모뎀을 통해 게이트웨이의 RF모뎀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RF콘트롤러와 게이트웨이 콘트롤러를 거쳐 CDMA모뎀에서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문자 전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RF 양방향 통신 모듈과 CDMA 모듈이 구비되는 게이트웨이를 집 내부에 설치하고, 집안 특정장소에 각각 설치되어 RF 모듈이 내장되는 동체감지센서, 도어락, 가스밸브, 가스센서, MAG센서, 전등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정보가 상기 게이트웨어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설치가 간편하여 A/S 및 유지 보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방법의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과정을 나타낸 일실시 예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블록도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기지국(20), 게이트웨이(30) 및 제어대상기기(4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집 내부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30)로 전화 연결되어 입력버튼을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제어신호는 기지국(20)에서 수신되어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게이트웨이(30)의 CDMA모뎀(31)에서 수신된 신호는 상기 CDMA모뎀(31)과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에서 제어명령을 실행시키고, 상기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에서 실행된 제어명령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를 통해 RF콘트롤러(33)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40)를 선택하여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모뎀(34)을 통해 제어대상기기(40)로 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제어대상기기(40)에 내장된 RF모뎀(41)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콘트롤러(42)를 통해 제어대상기기(40)를 제어하고, 그 결과를 RF 모뎀(41)을 통해 게이트웨이(30)의 RF모뎀(34)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RF콘트롤러(33)와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를 거쳐 CDMA모뎀(31)에서 기지국(20)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문자 전송된다.
상기 게이트웨이(30)의 RF모뎀(34)과 제어대상기기(40)의 RF모뎀(41)은 447MHz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방법의 흐름도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집 내부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30)로 전화 연결되어 입력버튼을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입력된 제어신호가 기지국(20)을 거쳐 게이트웨이(30)로 전송되는 제2단계(S20)와; 상기 게이트웨이(30)의 CDMA모뎀(31)으로 수신된 신호가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로 입력되어 일련의 플로어를 거쳐 제어명령을 실행시키는 제3단계(S30)와; 상기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에서 실행된 제어명령이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를 통해 RF콘트롤러(33)로 전송되어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40)를 선택하여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모뎀(34)을 통해 선택된 제어대상기기(40)로 신호가 전송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기기(40)에 내장되는 RF모뎀(41)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콘트롤러(42)를 통해 제어대상기기(40)를 제어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제어대상기기(40)의 제어된 결과가 RF모뎀(41)을 통해 게이트웨이(30)의 RF모뎀(34)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RF콘트롤러(33)와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를 거쳐 CDMA모뎀(31)에서 기지국(20)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문자 전송되는 제6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게이트웨이(30)에는 도둑 침입을 감지하는 동체감지센서(PIR센서)와,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도어락과, 가스밸브의 ON/OFF 관리와,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센서와, 창문이나 방문 등이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MAG센서 및 전등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제어대상기기(40)의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어명령에 의해 게이트웨이(30)에서 일치되는 제어대상기기(40)를 선택하여 제어명령이 실행된다.
상기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에서의 일련의 플로어는 외부의 제어 및 상태 보고를 위한 CDMA모뎀(31)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RF모뎀(41)을 내장한 제어대상기기(40)의 제어 및 상태 파악을 위한 RF콘트롤러(33)와의 통신을 유지하여, 게이트웨이(30)의 일측 모뎀에서 발생된 제어 및 상태를 파악하여 타측 모뎀에 해당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게이트웨이(30)의 일측 모뎀이 CDMA모뎀(31)일 경우 타측 모뎀은 RF모뎀(34)이 되며, 일측 모뎀이 RF모뎀(34)일 경우 타측 모뎀은 CDMA모뎀(31)이 된다.
도 5는 가스밸브의 해제 상태시의 이동통신 단말기(10) 입력과정을 도시한 일실시 예로써, 도 5(a)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게이트웨이(30)로 전화를 연결하고(S11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버튼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고(S12 단계), 상기 비밀번호 입력이 완료되면 메인 메뉴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동체감지센서, 도어락, 가스밸브, 가스센서, MAG센서 및 전등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제어대상기기(40) 중 가스밸브를 선택하고(S13 단계), 상기 선택된 가스밸브의 ON/OFF 제어메뉴를 선택하여 전송하게 된다(S14 단계).
상기 제어대상기기(40)의 설정 값 변경시 RF모뎀(41)을 통해 게이트웨이(30)의 RF모뎀(34)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RF콘트롤러(33)와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를 거쳐 CDMA모뎀(31)에서 기지국(20)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문자 전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RF 양방향 통신 모듈과 CDMA 모듈이 구비되는 게이트웨이를 집 내부에 설치하고, 집안 특정장소에 각각 설치되어 RF 모듈이 내장되는 동체감지센서, 도어락, 가스밸브, 가스센서, MAG센서, 전등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대상기기의 정보가 상기 게이트웨어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대상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방법의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과정을 나타낸 일실시 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20 : 기지국
30 : 게이트웨이 31 : CDMA모뎀
32 : 게이트웨이 콘트롤러 33 : RF콘트롤러
34 : RF모뎀 40 : 제어대상기기
41 : RF모뎀 42 : RF콘트롤러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집 내부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30)로 전화 연결되어 입력버튼을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제어신호는 기지국(20)에서 수신되어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게이트웨이(30)의 CDMA모뎀(31)에서 수신된 신호는 상기 CDMA모뎀(31)과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에서 제어명령을 실행시키고, 상기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에서 실행된 제어명령은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를 통해 RF콘트롤러(33)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40)를 선택하여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모뎀(34)을 통해 제어대상기기(40)로 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제어대상기기(40)에 내장된 RF모뎀(41)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콘트롤러(42)를 통해 제어대상기기(40)를 제어하고, 그 결과를 RF모뎀(41)을 통해 게이트웨이(30)의 RF모뎀(34)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RF콘트롤러(33)와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를 거쳐 CDMA모뎀(31)에서 기지국(20)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문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집 내부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30)로 전화 연결되어 입력버튼을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입력된 제어신호가 기지국(20)을 거쳐 게이트웨이(30)로 전송되는 제2단계(S20)와;
    상기 게이트웨이(30)의 CDMA모뎀(31)으로 수신된 신호가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로 입력되어 일련의 플로어를 거쳐 제어명령을 실행시키는 제3단계(S30)와;
    상기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에서 실행된 제어명령이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를 통해 RF콘트롤러(33)로 전송되어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40)를 선택하여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모뎀(34)을 통해 선택된 제어대상기기(40)로 신호가 전송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기기(40)에 내장되는 RF모뎀(41)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선으로 연결되는 RF콘트롤러(42)를 통해 제어대상기기(40)를 제어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제어대상기기(40)의 제어된 결과가 RF모뎀(41)을 통해 게이트웨이(30)의 RF모뎀(34)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RF콘트롤러(33)와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를 거쳐 CDMA모뎀(31)에서 기지국(20)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문자 전송되는 제6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게이트웨이(30)에는 동체감지센서, 도어락, 가 스밸브, 가스센서, MAG센서, 전등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제어대상기기(40)의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어명령에 의해 게이트웨이(30)에서 일치되는 제어대상기기(40)를 선택하여 제어명령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S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게이트웨이(30)로 전화 연결되는 단계(S11)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버튼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S12)와; 메인 메뉴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40)를 선택하는 단계(S13)와; 상기 선택된 제어대상기기(40)의 ON/OFF 제어메뉴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S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에서의 일련의 플로어는 외부의 제어 및 상태 보고를 위한 CDMA모뎀(31)과의 통신을 유지하고, RF모뎀(41)을 내장한 제어대상기기(40)의 제어 및 상태 파악을 위한 RF콘트롤러(33)와의 통신을 유지하여, 게이트웨이(30)의 일측 모뎀에서 발생된 제어 및 상태를 파악하여 타측 모뎀에 해당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기기(40)의 설정 값 변경시 RF모뎀(41)을 통해 게이트웨이(30)의 RF모뎀(34)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RF콘트롤러(33)와 게이트웨이 콘트롤러(32)를 거쳐 CDMA모뎀(31)에서 기지국(20)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 문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방법.
KR1020070074464A 2007-07-25 2007-07-2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90011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64A KR20090011155A (ko) 2007-07-25 2007-07-2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64A KR20090011155A (ko) 2007-07-25 2007-07-2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55A true KR20090011155A (ko) 2009-02-02

Family

ID=4068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464A KR20090011155A (ko) 2007-07-25 2007-07-25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1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296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큐버 Mqtt 기반의 디바이스 기능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296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큐버 Mqtt 기반의 디바이스 기능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1725C (zh) 基于因特网的家庭自动化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185966B (zh) 一种自适应互动智能电器群系统
US20160269691A1 (en) System for monitoring door using door phone
CN104103111A (zh) 基于手机蓝牙通信的自动门禁系统及其实现方法
JP2007215185A (ja) 携帯型リモコンと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器具間のリレーによる通信方法
CN1716332A (zh) 无线家居控制系统
CN103595601A (zh) 用于物联网监控的家庭网关及物联网监控系统
CN106155009A (zh) 智能家庭控制装置及方法
CN102572154A (zh) 家用电器的交互方法及系统
KR20050098180A (ko) 고주파 무선제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672113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KR101063979B1 (ko) 지능형 조명 기기
WO2016093676A2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알람방법과 제어방법
CN101321210A (zh) 远程控制的方法、主设备和远端设备
KR20090011155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EP1570576B1 (en) Method for setting home code of home network system
KR100959098B1 (ko) 피드백 신호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그에 사용되는전원감지장치 및 방법
KR102566016B1 (ko)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KR20050018206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466361B1 (ko)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JP6845882B2 (ja) 錠制御システム、錠制御方法及び錠制御プログラム
KR101885865B1 (ko) 원방설비의 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100789761B1 (ko) 피드백 신호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그에 사용되는전원감지장치 및 방법
CN201919033U (zh) 一种家庭智能无线物联网系统
KR101049929B1 (ko) 전자제품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