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016B1 -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016B1
KR102566016B1 KR1020200105568A KR20200105568A KR102566016B1 KR 102566016 B1 KR102566016 B1 KR 102566016B1 KR 1020200105568 A KR1020200105568 A KR 1020200105568A KR 20200105568 A KR20200105568 A KR 20200105568A KR 102566016 B1 KR102566016 B1 KR 102566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ighting
smart
self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3620A (ko
Inventor
조윤호
Original Assignee
조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호 filed Critical 조윤호
Priority to KR102020010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0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수단이 구비된 조명기기를 허브로 방범영역에 배치된 가전기기와 IoT센서, 웹문서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웹문서 제공을 위한 앱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 스마트기기와 비스마트기기를 통합 제어하며, IoT센서의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가방범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AUTOMATIC DEVICE CONTROL SYSTEM FOR LIGHTING CONTROL AND CRIME PREVENTION}
본 발명은 홈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기기를 허브로 인터넷 통신수단이 구비된 스마트기기 및 인터넷 통신수단이 미구비된 비스마트기기를 통합 제어하고, IoT센서의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가방범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조명기기, 가전기기 또는 IoT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는 인터넷을 통해 제어 가능하며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을 이용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기기를 말한다. 스마트기기의 제작사는 해당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용 앱(app: application)을 제공하고 있으며 시간대에 따른 조정 또는 문제 메시지에 반응하는 등 간단한 자동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기기들이 상황에 따라 좀 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이때 필요한 것이 스마트폰 앱이 수행되고 있는 서버에게 할 일을 전달하고 값을 보고받을 때 필요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이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스마트기기는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앱에 의한 제어는 가능한 반면, API를 제공하지 않아 사용자가 다른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제어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기기들은 API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는 있지만 스마트폰용 앱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다. 스마트폰 앱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제어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특허문헌과 같이 매크로 프로그램에 의해 마치 사용자가 터치한 것과 같은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가 인공지능 처리 기술을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원격 제어를 위한 인터넷 통신수단 등 값비싼 부품들을 포함하고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마트기기가 비싸서 일부 가전기기 또는 IoT 센서를 구매할 때 인공지능 처리와 인터넷 통신 기능이 없는 비스마트기기를 구매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비스마트기기의 상태를 관리해 줄 수 있는 기기제어서버 또는 비스마트기기용 웹문서도 없기 때문에, 비스마트기기를 원격 제어하거나, 스마트기기와 비스마트기기를 통합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파트, 호텔 또는 공공기관 등 대형건물에는 곳곳에 CCTV나 접근식별을 위한 게이트웨이가 구비되고, 자체적으로 보안요원이 근무하여 범죄의 위험성이 적다. 또한 상가건물에는 일정 비용을 지불하여 관리해주는 보안업체가 있어 범죄의 위험성이 적다.
그러나 원투룸과 같은 소규모 주거환경에는 고비용의 문제로 보안업체를 활용하지 못하여 범죄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05507호(2016.03.16.)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작사별 스마트기기용 앱을 통합적으로 연동 제어하여, 스마트기기 제작사가 스마트기기 연동제어를 위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스마트기기를 연동하여 자동 제어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주거공간 중심에 설치된 조명기기에 근거리와 인터넷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비스마트기기를 원격 제어하고, 비스마트기기에 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웹문서가 준비되지 않아도 비스마트기기의 제어명령 등록을 통해 극복한다.
본 발명은 IoT센서의 센서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스마트기기에 해당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거나, IoT센서의 센서데이터로부터 자가방범을 위한 증거정보를 추출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조명기기를 허브로 방범영역에 배치된 가전기기와 IoT센서,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웹문서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웹문서를 제공하는 앱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가전기기 또는 IoT센서가 스마트기기와 비스마트기기로 구분되는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스마트기기는 인터넷 통신 수단을 구비한 기기이고, 비스마트기기는 인터넷 통신 수단을 미구비한 기기로서,상기 가전기기 또는 IoT센서가 비스마트기기인 경우, 상기 조명기기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비스마트기기로 제어명령을 발신하고, 인터넷 통신수단을 통해 제어명령의 등록을 위한 앱 제어수단과 통신을 하고, 상기 조명기기가 앱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비스마트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조명기기는 제어명령 신호를 방송하고, 복수의 비스마트기기는 제어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설정된 패턴의 응답신호로 응답을 하여 자가방범을 위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근거리 통신수단의 지향성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명기기는 비스마트기기의 리모컨으로부터 제어명령 수신하여 앱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2 실시예로서, 조명기기를 허브로 방범영역에 배치된 가전기기와 IoT센서,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웹문서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웹문서를 제공하는 앱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가전기기 또는 IoT센서가 스마트기기와 비스마트기기로 구분되고, 상기 앱 제어수단이 제작사별 스마트기기용 앱을 통합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웹문서, 조명기기를 이용하여 비스마트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웹문서 및 IoT센서의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가방범을 수행하기 위한 웹문서를 제공하여, 상기 앱 제어수단을 통해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앱 제어수단은 스마트기기용 앱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자동실행부 및 실행된 앱의 결과값이 표시되는 화면의 특정 부분을 캡쳐하고 인식하여 조건 충족여부를 판단하는 인식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앱 제어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기에 대한 색온도 조절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색온도 조절과 함께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문서를 제공하여 감성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앱 제어수단은 IoT센서의 센서데이터로부터 증거정보를 추출하고, 증거정보에 대응하는 신고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자가방범용 웹문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3 실시예로서, 조명기기를 허브로 방범영역에 배치된 가전기기와 IoT센서,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웹문서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웹문서를 제공하는 앱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가전기기 또는 IoT센서가 스마트기기와 비스마트기기로 구분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조명기기의 제어를 위한 조명기기용 웹문서를 관리하고, 상기 조명기기용 웹문서는 근거리 통신수단으로부터 제어명령 수신이 가능한 비스마트기기의 등록을 위한 웹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기기용 웹문서는 조명기기의 감성제어를 위한 웹문서, 비스마트기기의 제어명령 등록을 위한 웹문서, 비스마트기기로 제어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웹문서, IoT센서의 센서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스마트기기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웹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센서데이터 기반의 증거정보에 대응하는 신고정보, 사용자의 신원정보 및 방범영역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관리하는 자가방범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그래밍을 위해 필수적인 API를 제공하지 않는 스마트기기라 할지라도 스마트기기라면 반드시 제공하고 있는 스마트폰 앱을 활용하여 API 제어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모든 스마트기기들을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기기는 천장이나 벽 등의 중심이나 높은 곳에 위치하여 커버리지가 넓고 전파를 방해하는 요소들이 적어 타 스마트기기나 비스마트기기를 제어하기에 유리한 점을 활용하여 방범 네트워크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조명기기와 앱 제어수단을 통해 스마트기기와 비스마트기기를 원격으로 통합 제어할 수 있고, 추가적 설치비용 없이 조명기기를 통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여러 가지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IoT센서의 센서데이터를 통해 비스마트기기의 자동제어를 제공할 수 있고, 저가의 자가방범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와 비스마트기기의 자동제어와 저가의 보급형 자가방범을 원투룸 임차인, 건물주 또는 일반 사용자뿐만 아니라 사회적 취약계층에 제공할 수 있고, 월세 거래의 활성화 또는 보안업체 지출의 감소 혜택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스마트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명기기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명기기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앱 제어수단과 기기제어서버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제어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앱 제어수단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스마트폰 또는 데스크톱 PC의 화면을 도시한 예이다.
도 7은 도 1의 관리서버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웹문서 관리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홈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은 가전기기(10), IoT센서(20), 조명기기(100), 앱 제어수단(200), 관리서버(400) 및 기기제어서버(500)를 포함한다.
가전기기(10) 또는 IoT센서(20)는 인터넷 통신수단이 구비된 스마트기기(30) 및 인터넷 통신수단이 없는 비스마트기기(40)로 구분된다. 가전기기(10)는 홈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보일러, 에어컨, 공기청정기, TV, 세탁기, VCR일 수 있고, 창문 개폐기, 블라인더 조절기, 온수밸브 개폐기 또는 가스밸브 개폐기일 수 있다. IoT센서는 비스마트기기(40)의 자동제어를 위한 온도센서, 습도센서, 미세먼지센서, 이산화탄소센서, 가스센서, 화재감지센서, 움직임센서, 도어개폐센서 또는 창문개폐센서일 수 있다. 움직임센서, 도어개폐센서 또는 창문개폐센서는 방범센서로 사용할 수 있다 가전기기(10) 또는 IoT센서(20)는 전술한 기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기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스마트기기(30)는 인공지능 처리 기술을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원격제어를 위한 인터넷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비스마트기기(40)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수단은 RF 통신,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통신과 같이 협대역 통신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디바이스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개별 또는 그룹단위의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서버 또는 관리장치인 마스터 장치와 개별 디바이스인 각각의 슬레이브 장치와 통신을 한다.
하나의 마스터 장치는 송신 메시지를 방송(broadcast)하고, 다수의 슬레이브 장치는 송신 메시지에 응답하여 수신확인(acknowledgement) 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송신장치에서 방송 방식으로 송신 메시지를 송신할 때, 수신확인이 필요한 수신장치의 순서를 정하고, 순서에 관련된 순서 정보를 추가하여 송신하며, 수신장치들은 순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시간에 수신확인 메시지를 보내기 때문에 송신 메시지보다 순서 정보가 더 커질 수 있어 데이터 전송률이 낮은 협대역 통신에서 사용하기 어렵고, 다수 개의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확인에 대한 빠른 보고를 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협대역 저속 데이터 통신 방식에서 다량의 수신장치의 수신확인에 대한 빠른 보고를 받을 수 있도록 비스마트기기마다 설정된 간격으로 반복되는 수신확인 타임슬롯이 할당되고, 비스마트기기 자신에게 할당된 수신확인 타임슬롯에서 설정된 패턴의 확인반송파 신호만을 마스터 장치에게 송신하여 수신확인을 응답한다. 설정된 패턴의 응답신호는 온-오프 변조 반송파일 수 있고, 무변조 반송파일 수 있다.
조명기기(100)는 허브 스마트기기(30)로서 통상적으로 천장이나 벽 등의 주거공간 중심이나 높은 곳에 설치되어 커버리지가 넓고 전파를 방해하는 요소들이 적어 타 스마트기기나 비스마트기기를 제어하기에 유리하다. 앱 제어수단(200) 스마트폰(300) 또는 데스크톱 PC(미도시)에 설치되고, 조명기기(100)로 전송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조명기기(100) 또는 비스마트기기(40)를 제어한다. 앱 제어수단(200)은 스마트기기(30)와의 인터넷 통신을 통해 스마트기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조명기기의 제어를 위한 조명기기용 웹문서 및 제작사별 스마트기기용 앱을 연동하기 위한 스마트기기용 웹문서를 관리하고, 기기제어서버(500)는 앱 제어수단(200)에서 생성된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스마트기기(30)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에서 웹문서는 인터넷 웹상에서 HTTP로 전송하거나 수신되는 문서로 웹브라우저로 볼 수 있는 HTLM, 자바스크립트, 그림, 플래시 등으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통칭한다.
도 2는 도 1의 비스마트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명기기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로서, 조명기기(100)는 근거리 통신수단(110), 인터넷 통신수단(120), 감성 조명수단(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가전기기(10) 또는 IoT센서(20)가 인터넷 통신수단(120)이 미구비된 비스마트기기(40)인 경우 조명기기(100)는 근거리 통신수단(110)을 통해 비스마트기기(40)로 제어명령 발신이 가능하고, 인터넷 통신수단(120)을 통해 제어명령의 등록을 위한 앱 제어수단(200)과 통신이 가능하다.
비스마트기기(40)에 해당하는 가전기기(10)는 적외선 수신부만 구비되어 리모컨 또는 근거리 통신수단(110)의 적외선 송신부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비스마트기기(40)에 해당하는 IoT센서(20)는 센서데이터의 발신이 필요하기 때문에 송수신부를 구비한 다양한 근거리 통신수단(1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조명기기(100) 또는 비스마트기기(4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리모컨을 조준할 수 있다. 조명기기(100)와 비스마트기기(40)는 주거공간에서 고정되므로, 조명기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수단(110)을 구비하고, 비스마트기기(4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제어명령을 송신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수단(110)의 지향성이 설정된다. 근거리 통신수단(110)의 지향성 설정은 앱 제어수단(2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조명기기(100)는 비스마트기기(40)의 제어명령을 등록하기 위해 비스마트기기(40)의 리모컨으로부터 제어명령 수신하여 앱 제어수단(200)으로 전송한다. 앱 제어수단(200)은 리모컨 입력 기반의 제어명령 또는 기기제어서버(500)에서 제공하는 제어명령으로 비스마트기기(40)의 제어명령을 등록한다.
인터넷 통신수단(120)은 앱 제어수단(200)으로부터 색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성정보 및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의 출력하는 가전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감성제어명령을 동시에 수신하고, 감성제어명령을 해당하는 가전기기(10)로 발신한다. 감성 조명수단(130)은 감성정보를 통해 조명의 색온도를 조절한다.
제어부(140)는 조명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 가전기기(10)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 및 IoT센서(20)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구분하고, 자가방범을 위해 IoT센서(20)의 센서데이터의 수신 제어를 수행한다. 조명기기(100)는 조명 제어, 가전기기 제어, IoT센서 제어 및 자가방범 중 적어도 하나에 이용된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조명기기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로서, 조명기기(100)는 스마트기기(30)에 해당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주거공간 중심에 설치되어 비스마트기기의 제어에 사용된다. 조명기기(100)는 게이트웨이, 허브 또는 공유기의 기능을 제공하여 스마트기기(30)와의 통신이 가능하고, 스마트기기와 비스마트기기에 전송될 제어명령 수신이 가능하다.
앱 제어수단(200)은 스마트폰(300) 또는 데스크톱 PC(미도시)에 설치되고, 조명기기(100)로 전송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조명기기(100) 또는 비스마트기기(40)를 제어한다. 앱 제어수단(200)은 스마트기기(30)와의 인터넷 통신을 통해 스마트기기(30)를 제어할 수 있고, 조명기기(100)를 통해 스마트기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앱 제어수단(200)은 조명기기(100)를 통한 간접연결과 인터넷을 통한 직접연결을 선택하는 스마트기기(30) 연결설정을 제공한다.
조명기기(100)의 콘센트(미도시)에는 가전기기 또는 IoT 센서에 연결되는 스마트 태그(smart tag)가 부착되어 실시간 소비전력을 원격 모니터링하며, 스위치를 개폐할 수 있다. 조명기기(100)의 콘센트에는 개별 콘센트의 실시간 소비전력을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앱 제어수단과 기기제어서버를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제어하는 블록도로서, 스마트기기(30)는 인터넷을 통해 제어 가능하며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을 스마트폰(300)에 탑재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기기를 말한다.
기기제어서버(500)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스마트기기(30)를 제어하고, 스마트폰(300)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각각의 스마트기기(30)의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앱(21)을 설치하여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기기제어서버(40)를 통하여 원격으로 스마트기기(30)를 제어한다.
앱 제어수단(200)은 스마트기기(30)의 제조사에서 해당 스마트기기(30)의 제작사가 API를 제공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스마트기기(30)를 연동하여 자동 제어한다. 앱 제어수단(200)은 스마트폰(300)에 다운로드되어 하나의 앱으로 동작하며 스마트폰(300) 외부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스마트폰(300)에서 각각의 스마트기기(30)의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앱을 실행하고, 결과값이 표시되는 화면의 특정 부분을 캡쳐하여 이미지 인식처리로 문자나 숫자로 변환하여 조건충족 여부를 판단하여 명령을 완료한다. 명령은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앱 제어수단(100)의 API가 된다. 본 발명의 앱 제어수단(100) API를 이용하면 스마트기기 제조사에서 해당 스마트기기의 API 제공 여부에 관계없이 다른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앱 제어수단(200)은 안드로이드나 아이폰 체제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서버나 PC의 윈도우 등의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응용 제어프로그램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앱과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응용 제어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들을 연동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앱 제어수단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로서, 앱 제어수단(200)은 스마트기기(30) 간의 연동 제어를 위하여 사용자 로그인과 조건을 설정하는 입력부(210), 기기제어서버(500)의 응용 제어프로그램으로부터 API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220), 스마트기기용 앱을 실행하는 앱 실행부(230) 및 해당 스마트기기(30)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240)를 포함한다. 조명기기(100)도 조명제어를 위한 기기제어서버(500)가 구성될 수 있고, 관리서버(400)에서 대신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앱 실행부(230)는 여러 개의 명령을 하나의 키(hot key)로 묶어 실행하는 자동실행부(231)와 실행된 앱의 결과값이 표시되는 화면의 특정 부분을 인식하여 조건 충족여부를 판단하는 인식처리부(232)를 포함한다. 자동실행부(231)는 스마트기기용 앱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인식처리부(232)는 실행된 앱의 결과값이 표시되는 화면의 특정 부분을 캡쳐하고 인식하여 조건 충족여부를 판단한다.
인터페이스부(220)는 외부 응용 제어프로그램으로부터 API 명령을 해석하여 누가 어떤 스마트기기(30)를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를 해석하는 API 명령해석부(221),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와 API 명령을 주고받는 서버/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222), 조명기기와 비스마트기기(40)의 등록과 제어를 위한 조명기기 인터페이스부(223) 및 IoT센서(20)의 센서데이터를 이용한 자가방범을 위한 자가방범 인터페이스부(224)로 구성된다.
관리서버(400)는 인터페이스부(22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각각의 인터페이스마다 대응하는 웹문서를 관리하고, 웹문서를 인터페이스부(220)에 제공한다.
조명기기 인터페이스부(223)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기에 대한 색온도 동시 조절 및 색온도 조절과 함께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감성입력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조명기기 인터페이스부(223)는 IoT센서(20)의 센서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스마트기기(40)에 해당하는 가전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비스마트기기 자동제어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가방범 인터페이스부(224)는 IoT센서의 센서데이터로부터 증거정보를 추출하고, 증거정보에 대응하는 신고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자가방범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가방범 인터페이스부(224)는 자가방범용 웹문서에서 신고정보를 생성할 때 사용자의 신원정보와 방범영역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함께 생성할 수 있다. 신고정보는 경찰서나 소방서와 같은 공공기관의 연락처 또는 게시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가방범 인터페이스부(224)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신속하게 위험상황을 전파할 수 있으며, 증거와 함께 신고가 접수되어 허위신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신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보안을 위하여 사용자정보로 log-in을하고 인증을 받고, 목표 조건과 동작을 설정한다.
도 6은 도 1의 스마트폰 또는 데스크톱 PC의 화면을 도시한 예로서, 조명기기 인터페이스부(223)는 방범영역별 조명기기(100)를 구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조명기기(100)별 근거리 통신수단(110)의 지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조명기기 인터페이스부(223)는 주거공간의 타입별로 조명기기(100)를 구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명기기(100)를 기준으로 방범영역에 배치된 가전기기(10)와 IoT센서(20)를 구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근거리 통신수단(110)의 지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원룸형으로 조명기기를 구성하기 위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조명기기 인터페이스부(223)는 가전기기(10)와 IoT센서(20)를 구성할 때 스마트기기(30) 또는 비스마트기기(40)인지 선택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비스마트기기(40)로 선택되면 근거리 통신수단(110)의 지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기 인터페이스부(223)는 원룸형 주거공간에서 북쪽에 비스마트기기(40)인 TV가 배치되고, 남쪽에 에어컨이 배치되어 제1 적외선 송신부와 제3 적외선 송신부로 지향성이 설정될 수 있고, 곳곳에 비스마트기기(40)인 IoT센서(20)가 배치되어 지그비 통신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기기제어서버(500)는 스마트기기(3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명령을 내리기 위한 스마트기기용 웹문서를 저장한다. 관리서버(400)는 기기제어서버(500)별로 스마트기기용 웹문서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비스마트기기(40)는 자신의 상태를 관리해 줄 수 있는 기기제어서버(500) 또는 비스마트기기용 웹문서가 없다. 조명기기(100)는 가전기기(10) 또는 IoT센서(20)가 인터넷 통신수단이 미구비된 비스마트기기(40)이면, 근거리 통신수단(110)을 통해 비스마트기기(40)로 제어명령 발신이 가능하고, 인터넷 통신수단(120)을 통해 제어명령의 등록을 위한 앱 제어수단(200)과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주거공간 중심에 설치된 조명기기(100)에 근거리와 인터넷 통신수단(110, 120)을 구비하여 비스마트기기(40)를 원격 제어하고, 비스마트기기(40)에 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웹문서가 준비되지 않아도 비스마트기기(40)의 제어명령 등록을 통해 극복한다.
도 7은 도 1의 관리서버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로서, 관리서버(400)는 웹문서 관리부(410), 제어명령 관리부(420) 및 자가방범 관리부(430)를 포함한다.
웹문서 관리부(410)는 앱 제어수단(200)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웹문서를 관리한다.
도 8은 도 7의 웹문서 관리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로서, 웹문서 관리부(410)는 제1 웹문서 관리부(411), 제2 웹문서 관리부(412) 및 제3 웹문서 관리부(413)를 포함한다.
제1 웹문서 관리부(411)는 조명기기(100)와 비스마트기기(40)의 제어를 위한 조명기기용 웹문서를 관리한다. 조명기기용 웹문서는 근거리 통신수단(110)으로부터 제어명령 수신이 가능한 비스마트기기(40)의 등록을 위한 웹문서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기기용 웹문서는 조명기기(100)의 감성제어를 위한 웹문서, 비스마트기기(40)의 제어명령 등록을 위한 웹문서, 비스마트기기(40)로 제어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웹문서, IoT센서(20)의 센서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스마트기기(40)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웹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웹문서 관리부(412)는 스마트기기용 앱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제작사별 스마트기기용 앱을 연동하기 위한 스마트기기용 웹문서를 관리한다. 제2 웹문서 관리부(412)는 각각의 제작사별 스마트기기(30)에 대응하는 제작사별 스마트기기용 앱 웹문서를 기기제어서버(500)로부터 수집하고, 제작사별 스마트기기용 앱을 연동하기 위한 스마트기기용 웹문서를 관리할 수 있다.
제3 웹문서 관리부(413)는 IoT센서의 센서데이터로부터 증거정보를 추출하고, 증거정보에 대응하는 신고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자가방범용 웹문서를 관리한다. 제3 웹문서 관리부(413)는 센서데이터에 의해 생성된 증거정보에 대응하는 신고정보, 사용자의 신원정보 및 방범영역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템플릿을 포함하는 자가방범용 웹문서를 관리한다.
제어명령 관리부(420)는 조명기기(100)와 비스마트기기(40)의 제어명령을 관리한다. 또한 제어명령 관리부(420)는 조명기기(100)와 비스마트기기(40) 간의 위치와 지향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명령 관리부(420)는 상황별로 조명기기(100)의 감성제어를 위한 감성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IoT(20)센서의 센서데이터에 기반하여 비스마트기기(40)를 자동 제어하기 위한 센서임계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자가방범 관리부(430)는 방범과 관련된 IoT센서(20)의 센서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증거정보에 대응하는 신고정보, 사용자의 신원정보 및 방범영역에 대응하는 좌표정보를 관리한다. 자가방범 관리부(430)는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자가방범 요청을 수신하면 신고서버(600)로 전달한다.
관리서버(400)는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홈 서비스 업체가 별도로 둘 수 있고, 상용 서비스를 하는 포털 서비스 업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기 설계된 스마트기기(30) 외에도 스마트기기(30)의 추가나 삭제 또는 기능 변경 및 제어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통신수단과 웹문서 기능이 없는 비스마트기기(40)에 대해서도 비스마트기기(40)의 추가나 삭제 또는 기능 변경 및 제어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앱 제어수단(200)을 통해 직접적으로 스마트기기(30)와 비스마트기기(40)에 대응하는 가전기기(10) 제어와 자가방범 환경을 쉽게 구축 도는 변경할 수 있고, 홈 서비스 업체 또는 보안 업체에 지불하는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빈번하게 이사를 하는 사용자는 초기에 필요한 스마트기기(30)와 비스마트기기(40)를 구매하고, 이사한 주거환경에 맞게 앱 제어수단(200)을 통해 직접적으로 가전기기(10) 제어와 자가방범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보유하지 못한 자가방범용 IoT센서(20)만을 추가 구매하여 부품원가만으로 자가방범 환경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10: 가전기기 20: IoT센서
30: 스마트기기 40: 비스마트기기
100: 조명기기 200: 앱 제어수단
300: 스마트폰 400: 관리서버
500: 기기제어서버 600: 신고서버

Claims (10)

  1. 조명기기를 허브로 방범영역에 배치된 가전기기와 IoT센서,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웹문서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웹문서를 제공하는 앱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가전기기 또는 IoT센서가 스마트기기와 비스마트기기로 구분되는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인터넷 통신 수단을 구비한 기기이고, 비스마트기기는 인터넷 통신 수단을 미구비한 기기로서,
    상기 가전기기 또는 IoT센서가 비스마트기기인 경우, 상기 조명기기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비스마트기기로 제어명령을 발신하고, 인터넷 통신수단을 통해 제어명령의 등록을 위한 앱 제어수단과 통신을 하고,
    상기 조명기기가 앱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비스마트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조명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근거리 통신수단의 지향성이 설정되고,
    상기 조명기기는 제어명령 신호를 방송하고, 복수의 비스마트기기는 제어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설정된 패턴의 응답신호로 응답을 하여 자가방범을 위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기는 비스마트기기의 리모컨으로부터 제어명령 수신하여 앱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4. 조명기기를 허브로 방범영역에 배치된 가전기기와 IoT센서,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웹문서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웹문서를 제공하는 앱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가전기기 또는 IoT센서가 스마트기기와 비스마트기기로 구분되는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앱 제어수단이 제작사별 스마트기기용 앱을 통합적으로 연동하기 위한 웹문서, 조명기기를 이용하여 비스마트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웹문서 및 IoT센서의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가방범을 수행하기 위한 웹문서를 제공하고,
    상기 앱 제어수단은 스마트기기용 앱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자동실행부 및 실행된 앱의 결과값이 표시되는 화면의 특정 부분을 캡쳐하고 인식하여 조건 충족여부를 판단하는 인식처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앱 제어수단을 통해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앱 제어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기에 대한 색온도 조절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색온도 조절과 함께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는 가전기기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웹문서를 제공하여 감성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앱 제어수단은 IoT센서의 센서데이터로부터 증거정보를 추출하고, 증거정보에 대응하는 신고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자가방범용 웹문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05568A 2020-08-21 2020-08-21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566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568A KR102566016B1 (ko) 2020-08-21 2020-08-21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568A KR102566016B1 (ko) 2020-08-21 2020-08-21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620A KR20220023620A (ko) 2022-03-02
KR102566016B1 true KR102566016B1 (ko) 2023-08-09

Family

ID=8081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568A KR102566016B1 (ko) 2020-08-21 2020-08-21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924B1 (ko) * 2022-07-25 2023-07-06 (주)하톤 웹연동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led조명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45B1 (ko) * 2012-11-05 2013-04-2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된 웹페이지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313B1 (ko) * 2013-04-08 2016-07-01 (주)세진테크 통합 제어 조명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106618B1 (ko) * 2013-09-27 2020-05-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성능 테스트를 위한 시스템, 단말장치, 검증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05507B1 (ko) 2014-10-07 2016-03-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매크로 수행 방법 및 매크로를 수행하기 위한 웹 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N107251530B (zh) * 2015-01-06 2021-07-06 阿费罗有限公司 用于实现物联网(IoT)远程控制应用的系统和方法
KR20150141129A (ko) * 2015-03-18 2015-12-17 (주) 엘케이일레븐 적외선 통신을 통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장치
KR101884216B1 (ko) * 2015-12-29 2018-08-31 주식회사 디지엔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신호 학습방법
KR101841449B1 (ko) * 2016-05-12 2018-03-23 메를로랩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조명장치 및 전기전자기기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045B1 (ko) * 2012-11-05 2013-04-2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된 웹페이지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620A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013B2 (en) Display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using same
TWI545920B (zh) 智慧閘道、智慧家居系統及家電設備的智慧控制方法
KR10225225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US85440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pairing
US11869321B2 (en) Blending inputs and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CN104885406A (zh) 用于在家庭网络系统中远程控制家庭设备的方法和设备
CN104854815A (zh) 在家庭网络系统中控制设备的方法和装置
CN104103111A (zh) 基于手机蓝牙通信的自动门禁系统及其实现方法
CN104049617A (zh) 一种基于网络和云技术的家居控制系统的实现方法
CN102945029A (zh) 智能网关、智能家居系统及家电设备的智能控制方法
KR20160134147A (ko)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동시스템
KR102566016B1 (ko) 조명제어와 자가방범을 위한 기기 통합 제어 시스템
KR20050098180A (ko) 고주파 무선제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377065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GB2523167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appliances
KR20180077490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1297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07206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20140004493A (ko) 게이트웨이
KR20200093827A (ko) 챗봇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JP3214776U (ja) 様々なタイプの無線接続を用いた屋内微気候管理システム、微気候管理設備及び微気候管理方法
KR102510499B1 (ko)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공동주택의 스마트홈 시스템
KR20140058906A (ko) 중고휴대폰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원격제어 및 감시 방법
KR102553423B1 (ko) 로비 현관문 자동 제어 시스템
US9462409B2 (en) Mobile unit for controlling the comfort and/or security conditions in a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