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267A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267A
KR20090010267A KR1020070073222A KR20070073222A KR20090010267A KR 20090010267 A KR20090010267 A KR 20090010267A KR 1020070073222 A KR1020070073222 A KR 1020070073222A KR 20070073222 A KR20070073222 A KR 20070073222A KR 20090010267 A KR20090010267 A KR 20090010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unit
pressing member
dust collecting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361B1 (ko
Inventor
박윤희
양해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361B1/ko
Priority to RU2009131043/12A priority patent/RU2413451C1/ru
Priority to PCT/KR2007/005758 priority patent/WO2008100005A1/en
Priority to AU2007346911A priority patent/AU2007346911B2/en
Priority to EP07834064.3A priority patent/EP2120667B1/en
Publication of KR20090010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267A/ko
Priority to US12/407,964 priority patent/US801225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내부에 흡입 모터가 제공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가 압축되도록 하는 가압 부재;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 모터;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제공되어 상기 집진 장치의 장착을 감지하는 자기(磁氣) 감지부; 상기 집진 장치의 장착 여부가 외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 표시부; 및 상기 신호 표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가 압축되어 그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고, 집진 장치의 장착 여부가 감지됨에 따라 집진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입 모터 및 압축 모터가 동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압 부재, 압축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부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종동 기어의 하부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 장착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9와 도 10은 먼지를 압축하기 위한 제 1 가압 부재가 제 2 가압 부재의 일측에 근접한 경우의 자성 부재와 제 2 자기 감지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과 도 12는 제 1 가압 부재와 제 2 가압 부재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의 자성 부재와 제 2 자기 감지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과 도 14는 제 1 가압 부재가 제 2 가압 부재의 타측에 근접한 경우의 자성 부재와 제 2 자기 감지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9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제 1 가압 부재의 회전 동작을 총괄적 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200 : 집진 장치
270 : 제 1 가압 부재 280 : 제 2 가압 부재
410 : 종동 기어 415 : 자성 부재
420 : 구동 기어 440 : 제 1 자기 감지부
450 : 제 2 자기 감지부 570 : 압축 모터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진공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 상기 흡입 노즐과 연통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 측으로 안내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을 거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관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의 바닥에는 소정 크기의 노즐 흡입구가 형성되어, 바닥에 쌓인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로 먼지가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집진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흡입노즐에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세히, 상기 집진 장치는, 집진 바디와, 상기 집진 바디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상기 집진 바디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싸이클론부와,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와, 상기 싸이클론부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포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집진 장치에서 먼지 분리 과정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되면,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저장부에 밀도가 낮은 상태로 저장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집진 장치에 의하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가 그 무게에 비하여 너무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집진 성능의 유지를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의 먼지를 자주 비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청소기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집진 바디에 집진되는 먼지의 용량을 최대화시키는 동시에 집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증대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집진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입 모터 및 압축 모터가 동작되는 것이 방지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공 청소기는 내부에 흡입 모터가 제공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가 압축되도록 하는 가압 부재;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 모터;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제공되어 상기 집진 장치의 장착을 감지하는 자기(磁氣) 감지부; 상기 집진 장치의 장착 여부가 외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 표시부; 및 상기 신호 표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집진 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 부재;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 모터; 상기 압축 모터의 동력을 상기 가압 부재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제공되는 자성 부재;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자성 부재의 자기를 감지하여 상기 집진 장치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 1 자기 감지부; 및 상기 제 1 자기 감지부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자성 부재의 자기를 감지하여 상기 가압 부재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 2 자기 감지부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에에 따른 진공 청소기(10)는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미도시)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10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 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관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 및 연결관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면 하단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미도시)로부터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본체 흡입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본체 배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본체 손잡이부(1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측에는 상기 먼지 분리 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커버(160)가 결합된다.
한편, 먼지 분리 수단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일차적으로 분리하는 제 1 싸이클론부(후술함)가 구비되는 집진 장치(200)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 의해서 1차적으로 먼지가 분리된 공기에서 재차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제 2 싸이클론부(300)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장치(2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손잡이부(140)에는 착탈 레버(142)가 구비되고, 상기 집진 장치(200)에는 상기 착탈 레버(142)와 걸림 작용이 수행되는 걸림단(2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200)는 싸이클론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싸이클론부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2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집진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집진 장치(2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 및 제 2 싸이클론부(300)와 연통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흡입된 공기 가 상기 집진 장치(200)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130)가 형성되고, 상기 집진 장치(200)에는 상기 공기 배출구(130)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1 공기 유입구(2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200)에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 1 공기 배출구(252)가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는 상기 제 1 공기 배출구(25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연결 유로(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유로(114)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는 대략 원추 형상의 소싸이클론들이 다수 개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 상측에 눕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0)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 장치(200)의 내부에 저장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 바디(210)에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구(254)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집진 바디(210)에 형성되는 먼지 저장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 의해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에 의해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집진 장치(200)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집진 용량이 최대 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에는 상기 집진 장치(200)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집진 용량이 최대화된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종동 기어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 장착부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200)는 외형을 이루는 집진 바디(210)와,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며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제 1 싸이클론부(230)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커버 부재(2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저장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214)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3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216)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집진 바디(21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를 형성하는 제 1 벽(211)과, 상기 제 1 벽(211)과의 관계에서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16)를 형성하는 제 2 벽(212)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제 2 벽(212)은 상기 제 1 벽(211)의 외 측 소정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216)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의 외측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10)는 사용자가 상기 집진 바디(210)를 뒤집어서 먼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상단을 가지며,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부에는 상기 커버 부재(25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 저장된 먼지의 배출 시에, 상기 커버 부재(250)와 함께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는 상기 커버 부재(250)의 하측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에는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먼지 가이드 유로(232)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먼지 가이드 유로(232)는 분리된 먼지가 접선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한 후에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먼지 가이드 유로(232)의 유입구(233)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234)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의 저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 부재(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커버 부재(25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와 제 2 먼지 저장부(216)를 동시에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25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23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251)이 관통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공(251)에는 외주면에 소정 크기의 통공(262)들이 다수 개 형성된 필터 부재(260)의 상단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250) 내부에는 상기 배출공(251)으로부터 배출된 제 1 싸이클론부(230)의 공기가 상기 제 1 공기 배출구(252)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25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유로(253)는 상기 배출공(251)과 제 1 공기 배출구(252)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10)에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에 저장되는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켜, 먼지의 집진 용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는, 서로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먼지를 압축하여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집진 장치(200)의 최대 집진 용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 중 어느 하나를 제 1 가압 부재(270)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 2 가압 부재(280)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집진 장치(20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 사이에서 먼지의 압축 작용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제 2 가압 부재(280)가 상기 집진 장 치(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제 2 가압 부재(280)는 서로를 향하여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일측면과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 및 제 2 가압 부재(280) 사이에 위치하는 먼지가 압축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회전 부재가 되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고정 부재가 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과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272)의 축선 사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상기 회전축(272)의 축선과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의 내주면을 잇는 면상에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272)의 축선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또는 일정 부분 차폐하여,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에 의해서 먼지가 밀려오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함께 먼지를 압축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단이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축(272)과 동축 상에 구비되는 고정축(28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단만이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 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타단 만이 상기 고정축(28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축(282) 중에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일단이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제 2 가압 부재(270)의 일단이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에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타단이 상기 고정축(282)에 일체로 형성되지 아니하더라도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타단은 상기 고정축(282)에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에 의해서 밀려오는 먼지가,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측방에 형성된 틈을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 1 가압 부재(270)와 제 2 가압 부재(280)는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축(272)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중심을 이루는 축선과 동축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축(282)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돌출 성형되고, 상기 고정축(282)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272)의 조립을 위하여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28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72)의 소정 부분은 상기 고정축(282)의 상측에서부터 상기 중공(283)에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축(272)은 상기 고정축(282)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단차 부(272c)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272c)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결합되는 상부축(272a)과 상기 제 1 가압 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종동 기어(후술함)가 결합되는 하부축(272b)으로 나뉜다.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를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가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와 구동 장치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축 모터(후술함)와, 상기 압축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410, 42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동력 전달부(410, 420)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축(272)에 결합되는 종동 기어(410)와, 상기 종동 기어(41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4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420)는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 모터에 의해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 모터가 회전되면, 상기 압축 모터와 결합된 상기 구동 기어(420)가 회전되고, 상기 구동 기어(420)에 의해서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 기어(410)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 기어(410)가 회전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종동 기어(4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회전된다.
상세히, 상기 종동 기어(410)의 기어 축(414)은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 에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축(272)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동 기어(410)가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에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종동 기어(41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압축 모터는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 기어(420)는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420)의 외주면 일부는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의 바닥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 바닥에는 상기 구동 기어(420)의 외주면 일부를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73)가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종동 기어(41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상기 집진 장치(200)가 장착되면, 상기 종동 기어(410)가 상기 구동 기어(420)와 맞물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 모터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임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압축 모터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정회전 및 역회전 함에 따라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의 양측면에 압축된 먼지가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 모터의 정역회전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 모터는 싱크로노스 모터(synchronous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 자체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하 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의 일 방향 회전시 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힘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이 타 방향으로 변환된다.
이 때, 상기 모터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상기 먼지를 가압함에 따라 발생되는 저항력(토크 : torque)으로써, 상기 저항력이 설정된 값에 도달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이 방향이 변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싱크로로스 모터에 의해서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중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회전하여 먼지를 압축시키면서 더이상 회전할 수 없는 정점에 도달한 경우에도,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먼지를 일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회전할 수 없는 정점이라 함은 상기 저항력이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저항력이 상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를 회전시키는 동력 즉, 상기 압축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 시간 동안 차단하여,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를 압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상기 압축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압축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차단 시점은 상기 저항력이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이므로, 상기 압축 모터가 다시 구동되면,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 방향은 전원 차단 전과 반대 방향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축 모터는 먼지의 압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를 동일한 각속도로 지속적으로 정/역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집진 바디(210)의 하측에는 상기 집진 장치(200)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290)가 형성되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290)가 삽입되는 삽입홈(17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 리브(290)는 상기 종동 기어(410)의 외측에 "C" 자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종동 기어(410)의 일부를 감싼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리브(290)는 상기 종동 기어(410)를 보호하는 역할과 먼지가 상기 종동 기어(41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더 하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장착될 때, 상기 종동 기어(410)와 상기 구동 기어(420)가 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리브(290)는 상기 종동 기어(4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종동 기어(410)는, 바디부(412)와, 상기 바디부(412)의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기어 이(416: gear tooth)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412) 내부에는 자성 부재(415)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자성 부재(415)는 상기 바디부(412)의 중앙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412)의 테두리부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의 내측에는 상기 자성 부재(415)에서 발생되는 자기(磁氣)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자기 감지부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자기 감지부는 상기 집진 장치(200)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 1 자기 감지부(440)와, 상기 종동 기어(410)의 위치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2 자기 감지부(45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자기 감지부(440)는 상기 자성 부재(415)의 A부분의 자성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홈(172)의 중앙부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는 상기 제 1 자기 감지부(44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자성 부재(415)의 B부분의 자성을 감지한다.
이 때,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가 상기 자성 부재(415)에서 발생되는 자기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장착되어 상기 종동 기어(410)가 회전될 때, 상기 자성 부재(415)가 그리는 궤적의 수직 하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자기 감지부(440)에서는 항상 자기가 감지된다.
반면, 상기 종동 기어(41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성 부재(415)가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의 상방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에서 상기 자성 부재(415)의 자기가 감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종동 기어(410)의 회전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제어부(510)와, 먼지의 흡입 파워(예컨대, 강, 중, 약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신호 입력부(520)와, 상기 집진 장치에 저장된 먼지를 비우라는 신호 및 집진 장치 미장착 신호가 표시되는 신호 표시부(530)와, 상기 동작신호 입력부(520)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모드에 따라서 흡입 모터(550)를 작동시키기 위한 흡입모터 드라이버(540)와, 상기 집진 장치(200)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가압에 사용되는 압축 모터(570)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모터 드라이버(560)와, 상기 압축 모터(570)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동 기어(420)와, 상기 구동 기어(420)와 맞물려 회전 이동하는 종동 기어(410)와, 상기 종동 기어(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성 부재(415)와, 상기 자성 부재(415)의 자기를 감지하는 제 1 자기 감지부(440) 및 제 2 자기 감지부(4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집진 장치(200)가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17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1 자기 감지부(440)에서 상기 자성 부재(415)의 자기가 감지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동작신호 입력부(520)로부터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 표시부(530)에서 집진 장치 미장착 신호가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에서 감지하는 상기 종동 기어(4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집진 장치(410)에 저장된 먼지량을 판단하여, 먼지가 기준량 이상이 저장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신호 표시부(530)에서 먼지 비움 신호가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종동 기어(410)의 위치를 확인하 는 것은, 상기 종동 기어(410)와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회전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자기 감지부(440)는 상기 집진 장치(200)의 장착을 감지하므로, "집진 장치 감지부"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위치를 확인하므로, "위치 확인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 신호 표시부(530)에서 표시되는 신호는, 청각적 신호 또는 시각적 신호이거나, 사용자에게로 직접 전달되는 진동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 표시부(530)로서, 스피커, LE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표시부(530)에서 표시되는 신호는, 먼지 비움 신호와 집진 장치 미장착 신호가 다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먼지를 압축하기 위한 제 1 가압 부재가 제 2 가압 부재의 일측에 근접한 경우의 자성 부재와 제 2 자기 감지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과 도 12는 제 1 가압 부재와 제 2 가압 부재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의 자성 부재와 제 2 자기 감지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과 도 14는 제 1 가압 부재가 제 2 가압 부재의 타측에 근접한 경우의 자성 부재와 제 2 자기 감지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압 부재(270)가 제 2 가압 부재(280)를 기준으로 대략 180도 회전하여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자성 부재(415)가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는 상기 자성 부재(415)의 자기를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가 상기 자성 부재(415)의 자기를 감지하는 상태가 되는 도 11에 도시된 제 1 가압 부재(270)의 위치를 설명의 편의상 "기준 위치"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기준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집진 장치(200) 내에 쌓인 먼지를 압축하는 동안, 상기 자성 부재(415)는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로부터 이격되므로,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에 의한 자기 감지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던 제 1 가압 부재(270)가 먼지의 영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는 도 11에 도시된 기준 위치를 지나 도 13과 같이 제 2 가압 부재(280)의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집진 장치(200) 내에 쌓인 먼지를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던 제 1 가압 부재(270)가 먼지의 영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압축 모터(57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집진 장치(200) 내에 쌓인 먼지의 압축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15는 도 9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제 1 가압 부재의 회전 동작을 총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기준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 하여 다시 기준 위치까지 복귀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TD1)과, 제 1 가압 부재(270)이 기준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다시 기준 위치까지 복귀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TD2)이 표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시간(TD1)을 제 1 왕복시간, 시간(TD2)를 제 2 왕복시간이라고 한다. 통상, 먼지는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 골고루 퍼지게 되므로 제 1 왕복시간(TD1)과 제 2 왕복시간(TD2)은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에 의하여 압축되는 먼지의 양이 증가할수록 제 1 왕복시간(TD1)과 제 2 왕복시간(TD2)은 점점 단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왕복시간(TD1)과 제 2 왕복시간(TD2)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기준 시간이 도달하는 경우 상기 집진 장치(200) 내에 먼지가 충분히 쌓였다고 판단하여 먼지 비움 신호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작용 및 먼지의 압축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 신호 입력부(520)를 통하여 흡입 모터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0).
그리고, 흡입 모터 작동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집진 장치(200)가 장착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1).
만약, 상기 제 1 자기 감지부(440)에서 상기 자성 부재(415)의 자기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집진 장치(20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이므로, 상기 제어 부(510)는 상기 신호 표시부(530)에서 상기 집진 장치가 장착되지 않았다는 신호가 표시되도록 한다(S12).
이와 같이 집진 장치(20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입 모터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외부로 알림으로써, 불필요한 흡입 모터 및 압축 모터의 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제 1 자기 감지부(440)에서 자기가 감지되어 상기 집진 장치(200)가 장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10)는 사용자가 선택한 흡입 파워에 따라 상기 흡입 모터(550)가 구동되도록 흡입모터 드라이버(540)를 작동시킨다(S13).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550)가 작동하면 상기 흡입 모터(550)의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가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 흡입부(110)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소정의 유로를 거쳐 상기 집진 장치(2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200)로 유입된 공기는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청소기 본체(100)로 배출된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에 먼지가 저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가압 부재(270, 280)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214)에 저장된 먼지가 압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집진 장치(200)에 저장된 먼지를 압축시키기 위하여 압축 모터(570)를 구동시킨다(S14).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 모터(550)의 구동 후에 압축 모터(570)를 구동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흡입 모터(550)와 상기 압축 모터(570)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S14)에서, 상기 압축 모터(570)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 모터(570)의 회전축과 축결합되어 있는 상기 구동 기어(420)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420)가 회전되면 이에 연동되어 상기 종동 기어(410)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기어(410)가 회전되면 상기 종동 기어(410)과 체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자동적으로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 측으로 회전되면서 먼지를 압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우선 확인한다(S15). 본 실시예는 제 1 가압 부재(270)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및 제 2 왕복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최초 동작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기준 위치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 1 가압부재(270)가 기준 위치에 위치한다는 것은, 상기 압축 모터(570)의 최초 동작시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에서 상기 자성 부재(415)의 자기를 처음으로 감지하게 되는 시점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가 처음으로 자기를 감지하는 시점을 기준으로하여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제 1 왕복시간 또는 제 2 왕복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가 기준 위치로 이 동한 시점을 시작으로 상기 제어부(510)는 제 1 가압 부재(270)의 시계 방향으로의 이동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에 따라서, 제 1 왕복시간(TD1)과 제 2 왕복시간(TD2)을 측정한다(S16).
여기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와 상기 제 2 가압 부재(280)에 의하여 집진 장치(200) 내부에서 압축되는 먼지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종동 기어(410)의 좌우 왕복 회전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제 2 자기 감지부(450)를 통하여 상기 제 1 가압 부재(270)의 제 1 왕복시간(TD1)과 제 2 왕복시간(TD2)을 판단하면서, 상기 제 1 왕복시간(TD1) 또는 제 2 왕복시간(TD2)이 소정의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 여기서, 소정의 기준 시간은 설계자에 의하여 제어부(510) 자체에 설정한 시간으로서, 이는 상기 집진 장치(200) 내에 먼지가 일정량 이상 쌓였다고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상기 기준 시간은 설계자가 다수회 반복 실험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써 진공 청소기의 용량에 따라 달라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왕복시간(TD1) 또는 제 2 왕복시간(TD2) 중 어느 하나가 기준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먼지의 양이 소정량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그 판단 근거를 제 1 왕복시간(TD1)과 제 2 왕복시간(TD2)이 모두 소정의 기준 시간 이내에 도달한 경우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S17)에서의 판단 결과, 제 1 왕복시간(TD1)과 제 2 왕복시간(TD2) 중의 어느 하나라도 기준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단계(S16)으로 복귀하여 이전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반하여 제 1 왕복시간(TD1) 또는 제 2 왕복시간(TD2)이 기준 시간 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신호 표시부(530)에서 상기 집진 장치(200) 내의 먼지 비움 신호가 표시되도록 한다(S18).
그리고,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흡입 모터(550)를 오프시켜 먼지가 더이상 흡입되지 않도록 한다(S19). 여기서, 상기 흡입 모터(550)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이유는 상기 집진 장치(200) 내부에 쌓인 먼지의 양이 소정 양을 초과한 경우에 강제적으로 먼지 흡입 동작을 계속하게 되면 먼지 흡입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흡입 모터(550)에도 과부하가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압축 모터(570)가 오프되도록 한다(S2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집진 장치(200)의 미장착 신호가 외부로 알려짐에 따라 불필요한 흡입 모터(550) 및 압축 모터(570)의 작동이 방지되고, 먼지 비움 시기가 사용자에게 알려짐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업라이트 형의 청소기나 로봇 청소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집진 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입 모터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외부로 알림으로써, 불필요한 흡입 모터 및 압축 모터의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가 압축되어 그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용량이 최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먼지의 압축 작용에 의해서 상기 집진 장치의 집진 용량이 최대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집진 장치의 내부에 저장된 먼지를 자주 비워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진 장치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먼지가 집진되면, 상기 집진 장치의 먼지 비움 시기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먼지를 비우는 시기를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내부에 흡입 모터가 제공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가 압축되도록 하는 가압 부재;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 모터;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제공되어 상기 집진 장치의 장착을 감지하는 자기(磁氣) 감지부;
    상기 집진 장치의 장착 여부가 외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 표시부; 및
    상기 신호 표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에는 상기 압축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가 연결되며,
    상기 동력 전달부에 자성 부재가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압축 모터와 결합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가압 부재와 결합되는 종동 기어가 포함되며,
    상기 자성 부재는 상기 종동 기어에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는 상기 자성 부재의 자기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먼지 저장부 내부의 먼지 저장량을 판단하는 진공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는 하나가 제공되고,
    상기 자기 감지부는 상기 자성 부재의 일측의 자기를 감지하고,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자성 부재의 타측의 자기를 감지하는 진공 청소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먼지 저장량이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신호 표시부에서 외부로 먼지 비움 신호가 표시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상기 자성 부재의 자기가 감지되지 않 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신호 표시부에서 외부로 신호가 표시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
  8. 집진 장치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집진 장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에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 부재;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압축 모터;
    상기 압축 모터의 동력을 상기 가압 부재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제공되는 자성 부재;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자성 부재의 자기를 감지하여 상기 집진 장치의 장착을 감지하는 제 1 자기 감지부; 및
    상기 제 1 자기 감지부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자성 부재의 자기를 감지하여 상기 가압 부재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 2 자기 감지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압축 모터와 결합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가압 부재와 결합되는 종동 기어가 포함되며,
    상기 자성 부재는 상기 종동 기어에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부재는 상기 종동 기어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공 청소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집진 장치에 저장된 먼지량이 판단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KR1020070073222A 2005-12-10 2007-07-23 진공 청소기 KR100947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222A KR100947361B1 (ko) 2007-07-23 2007-07-23 진공 청소기
RU2009131043/12A RU2413451C1 (ru) 2007-02-15 2007-11-15 Пылесос
PCT/KR2007/005758 WO2008100005A1 (en) 2007-02-15 2007-11-15 Vacuum cleaner
AU2007346911A AU2007346911B2 (en) 2007-02-15 2007-11-15 Vacuum cleaner
EP07834064.3A EP2120667B1 (en) 2007-02-15 2007-11-15 Vacuum cleaner
US12/407,964 US8012250B2 (en) 2005-12-10 2009-03-20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222A KR100947361B1 (ko) 2007-07-23 2007-07-23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67A true KR20090010267A (ko) 2009-01-30
KR100947361B1 KR100947361B1 (ko) 2010-03-15

Family

ID=4048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222A KR100947361B1 (ko) 2005-12-10 2007-07-23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3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193B1 (ko) * 2009-12-31 2012-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627433B1 (ko) 2014-12-17 2016-06-03 (주)코사인시스템 모듈형태의 광스플리터 고정용 서브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68086A1 (en) * 2021-07-09 2024-05-15 LG Electronics Inc. Cleaner station
WO2023282685A1 (ko) * 2021-07-09 2023-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9272U (ko) 1978-02-10 1979-08-21
KR100606794B1 (ko) 2004-10-08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1223478B1 (ko) * 2005-08-10 201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착탈 감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193B1 (ko) * 2009-12-31 2012-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101627433B1 (ko) 2014-12-17 2016-06-03 (주)코사인시스템 모듈형태의 광스플리터 고정용 서브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361B1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189B1 (ko) 진공 청소기
US8012250B2 (en) Vacuum cleaner
KR100838886B1 (ko) 진공 청소기
AU2008200340B9 (en) Vacuum cleaner
EP1985373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KR100996531B1 (ko) 진공 청소기
KR100871487B1 (ko) 진공 청소기의 제어 방법
KR100853332B1 (ko) 진공 청소기, 진공 청소기의 먼지 분리 장치 및 진공청소기의 제어방법
KR100838887B1 (ko) 진공 청소기
KR100912316B1 (ko) 진공 청소기
KR100947361B1 (ko) 진공 청소기
EP2120667B1 (en) Vacuum cleaner
CN101558976A (zh) 真空吸尘器及其控制方法
KR100925145B1 (ko) 진공 청소기
CN101558970A (zh) 真空吸尘器
KR20100039981A (ko) 진공 청소기
KR100842964B1 (ko) 진공 청소기
KR100937146B1 (ko)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80495B1 (ko) 진공 청소기
KR101052107B1 (ko) 진공 청소기
KR100947360B1 (ko)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093941B1 (ko) 진공 청소기
KR100838888B1 (ko) 진공 청소기
KR100876699B1 (ko) 진공 청소기
KR20100040122A (ko)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