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825U -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Google Patents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9825U KR20090009825U KR2020080003930U KR20080003930U KR20090009825U KR 20090009825 U KR20090009825 U KR 20090009825U KR 2020080003930 U KR2020080003930 U KR 2020080003930U KR 20080003930 U KR20080003930 U KR 20080003930U KR 20090009825 U KR20090009825 U KR 2009000982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t
- water
- drain hole
- hole
- drai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밑면에는 배수공이 없고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마나 폭우로 인해 실외나 옥상에 설치된 구멍없는 화분에 과도한 양의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닥에 구멍이 구비되지 않은 화분에 있어서, 화분은 화분에 담긴 상토에 포함된 수분이 화분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측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구멍없는 화분을 실외에 설치했을 때 장마철이나 폭우 등으로 인하여 화분에 물이 고여 식물이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가 온 후에도 구멍없는 화분에 포함된 수분을 일일이 제거해 주지 않아도 돼 번거롭지 않다. 또한 화분에 적당량의 수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썩지 않고 싱싱하게 자랄 수 있다. 아울러 화분의 상토는 화분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수분만 유출 시킬 수 있어 상토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밑면에는 배수공이 없고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마나 폭우로 인해 실외나 옥상에 설치된 구멍없는 화분에 과도한 양의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별도로 화단을 구비하지 않고, 간편하게 식물을 관상용 또는 식용으로 키우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분은 화분의 밑에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별도의 구멍이 구비되어야 급수시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썩지않고 잘 자랄 수 있게 된다. 즉, 한번에 급수시 화분의 구멍으로 물이 모두 빠져나가기 때문에 자주 급수를 해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고자 수분 배출용 구멍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화분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0555063호(이하 '종래발명'이라고 함)가 있다. 종래발명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다량의 물을 일시에 공급하여 장기간 보유하더라도 식물의 뿌리썩음병이나 다른 병충해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발명인 구멍없는 화분을 실외 또는 옥상에 설치한 경우 비가 많이 오게 되면 너무 많은 물이 한꺼번에 급수되어 식재된 화분의 상토 위로 물이 고이게 되어 식물이 죽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가 온 다음 화분을 기울여서 일정량의 물을 제거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실외에 설치된 화분들은 주로 크기가 대형이기 때문에 일일이 제거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멍 없는 화분에 식물을 식재하여 실외에 설치했을 때 장마철이나 폭우 등으로 인하여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이 급수되어도 적당량이 유지되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하는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에서 상토는 유출되지 않으면서 물만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닥에 구멍이 구비되지 않은 화분에 있어서, 화분은 화분에 담긴 상토에 포함된 물이 화분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측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배수공은 화분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배수공은 수분저장부를 포함하며 화분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배수공은 화분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상향경사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배수공은 화분의 측면에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배수공은 화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다가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배수공은 복수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배수공의 직경은 5 ㎜ ~ 10 ㎜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배수공은 화분의 바닥면에서부터 3/5 ~ 4/5 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배수공에는 매쉬캡이 더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매쉬캡은 매쉬천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구멍없는 화분을 실외에 설치했을 때 장마철이나 폭우 등으로 인하여 화분에 물이 고여 식물이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가 온 후에도 구멍없는 화분에 포함된 물을 일일이 제거해 주지 않아도 돼 번거롭지 않다.
또한 화분에 적당량의 물이 포함되도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썩지 않고 싱싱하게 자랄 수 있다.
아울러 화분의 상토는 화분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물만 배출시킬 수 있어 상토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측면 배수공에 매쉬캡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토 20 : 식물
30 : 배출된 물 100 : 화분
150, 250, 350, 450 : 배수공 156 : 수분저장부
252 : 내부공 254 : 외부공
500 : 매쉬캡 A : 물이 배출되기 전의 높이
B : 물이 배출된 후의 높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구멍이 구비되지 않은 화분(100)에 있어서, 화분(100)은 화분(100)에 담긴 상토(10)에 포함된 물이 화분(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측면에 배수공(150)이 형성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화분(100)은 바닥에 구멍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화분을 일컫는다.
배수공(150)은 도기, 자기, 플라스틱 및 유리 등으로 제작된 화분(100)의 측면에 5 ~ 10 ㎜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배수공(150)은 화분(10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의 상향경사로 형성되어 물이 화분(100) 외부로 유출될 때 상토(10)가 함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배수공(150)은 화분(100) 바닥면에서부터 3/5 ~ 4/5 되는 높이에 형성되고, 상토(10)를 배수공(150)이 덮일 수 있을 정도로 화분(100)에 넣으면 배수공(150)에 의해 수분량이 조절되어 상토(10)에 적정량의 물이 잔류된다.
(제 1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의 측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5㎜ 직경으로 형성된다.
장마철이나 폭우 등으로 인하여 비가 많이 오는 경우 실외에 설치된 화분(100)에는 식물(20)의 식재에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이때 화분(100)에 포함된 물은 화분(100) 밖으로 배출이 되지 못하므로 물이 배출되기 전의 높이(A)만큼 차있게 된다. 이때 화분(100)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공(150)을 따라 물이 배출된 후의 높이(B)까지 화분(100)의 외부로 배출된 물(30)이 떨어지게 된다.
즉, 물이 배출되기 전의 높이(A)만큼 화분(100)에 포함된 물의 압력으로 인하여 물이 서서히 배수공(150)을 따라 화분(200) 외부로 배출되고, 물이 배출된 후의 높이(B)만큼 낮아져 일정량의 물만이 화분(100) 내에 잔류된다.
이때 배수공(150)은 상향경사를 이루며 화분(100)을 관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화분(100)의 상토(10)는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물만이 배출되게 된다. 또한 배수공(150)에는 수분저장부(156)가 형성되어 있어 물이 수분저장부(156)에 모인 후 화분(100) 밖으로 서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0)의 측면에 다수의 배수공(250)이 구성되는 바, 그 배수공(250)은 화분(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배수공(250)의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즉, 배수공(250)에서 화분(100) 내측에 육안으로 보이는 내부공(252)은 직경이 10㎜이고, 화분(100) 외측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외부공(254)은 직경이 5㎜로써 내부공(252)에서 외부공(254)으로 직경이 좁아지면서 형성된다.
내부공(252)은 직경이 넓기 때문에 상토(10) 내의 물이 쉽게 배수공(250)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외부공(254)은 직경이 좁기 때문에 배수공(250)을 따라 이동된 물이 서서히 빠져나가게 되어 배수공(250)을 통해 상토(10)의 물이 지나치게 건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3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공(350)은 5㎜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때 배수공(350)은 화분(100)의 측면을 수평하게 관통되어 형성된다.
장마철이나 폭우 등으로 인하여 화분(100) 내에 포함된 물이 많아지면 수압으로 인하여 배수공(350)으로 물이 빠져나가 서서히 상토(10)에 포함된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제 4실시에의 구성 및 작용)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0)의 측면에 다수의 배수공(450)이 5㎜ 직경으로 형성된다.
배수공(450)은 화분(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다가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배수공(450)은 내측에서부터 상향경사로 형성되어 있어 화분(100)의 상토(10)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물만 빠져나가게 된다.
화분(100)에 포함된 다량의 물은 상향경사를 이루는 배수공(450)을 따라 이동되면서 수평 절곡된 부분에서 모아져 화분(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화분(100)에 포함된 물의 압력으로 인하여 상토(10) 내의 물이 서서히 배수공(450)을 따라 배출되어 적정량의 물만이 화분(100) 내에 잔류하게 된다.
또한 배수공(450)은 화분(100)의 바닥면에서부터 3/5 ~ 4/5 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이때 배수공이 화분(100) 높이의 4/5 보다 위에 위치하면 너무 많은 양의 물이 상토(10)에 포함되게 되어 식물(20)이 죽게 되고, 3/5보다 아래에 위치하면 상토(10)에서 너무 많은 물이 배출되어 식물(20)이 말라 죽게 된다. 배수공(450)은 화분(100) 높이의 약 2/3 되는 지점에 위치하여 식물(20)이 식재되는데 필요한 물만이 남겨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수공(450)은 화분(100)의 측면에 복수개를 구성하여 배수효과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수공(450)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화분(100) 외면의 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제약이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크기를 작게 형성하면 배수공(450)을 통하여 물이 빨리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측면 배수공에 매쉬캡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쉬천으로 제작된 매쉬캡(500)을 배수공(450)에 끼우거나 접착하여 배수공(450)을 통해서 화분(100)의 상토(10)가 물과 함께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실외에 설치된 화분(100)은 주로 대형이기 때문에 다수의 배수공(450)으로 상토(10)가 유출될 수 있어 매쉬캡(500)으로 상토(10)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쉬캡(500)은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와 제 3실시예 및 제 4실시예에 모두 설치 가능하다.
Claims (11)
- 바닥에 구멍이 구비되지 않은 화분(100)에 있어서,상기 화분(100)은상기 화분(100)에 담긴 상토(10)에 포함된 물이 상기 화분(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측면에 배수공(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공(150)은 상기 화분(10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공(150)은 수분저장부(156)를 포함하며 상기 화분(10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를 이루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공(150)은 상기 화분(10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상향경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공(150)은 상기 화분(100)의 측면에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공(150)은 상기 화분(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다가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공(150)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공(150)의 직경은 5 ㎜ ~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공(150)은 상기 화분(100)의 바닥면에서부터 3/5 ~ 4/5 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공(150)에는 매쉬캡(50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매쉬캡(500)은 매쉬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3930U KR20090009825U (ko) | 2008-03-26 | 2008-03-26 |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3930U KR20090009825U (ko) | 2008-03-26 | 2008-03-26 |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9825U true KR20090009825U (ko) | 2009-09-30 |
Family
ID=4153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3930U KR20090009825U (ko) | 2008-03-26 | 2008-03-26 |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9825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5200A (ko) | 2018-07-06 | 2020-01-15 | 김상겸 | 수위 유지 및 물 순환 기능을 갖는 화분 |
-
2008
- 2008-03-26 KR KR2020080003930U patent/KR20090009825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5200A (ko) | 2018-07-06 | 2020-01-15 | 김상겸 | 수위 유지 및 물 순환 기능을 갖는 화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7796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 growing vegetation in arid environments | |
CN104145740A (zh) | 匀浇保湿防烂根花盆 | |
KR101037162B1 (ko) | 화분장치 | |
JP5814170B2 (ja) | 水耕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 |
CN106719247B (zh) | 生态系统鱼缸花盆 | |
KR200463816Y1 (ko) | 기능성 화분 | |
KR101313866B1 (ko) | 시스템 식재 포트 | |
KR101519965B1 (ko) |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 |
KR20090009825U (ko) | 측면 배수공이 구비된 화분 | |
KR200475509Y1 (ko) | 식재용 상자 조립체 | |
KR200473373Y1 (ko) | 식재용 상자 조립체 | |
CN202738525U (zh) | 防涝保湿花盆 | |
JP2002058349A (ja) | 植木鉢用内容器 | |
US2022015990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 growing vegetation in arid environments | |
JP2003235360A (ja) | 水面上に空間のある底面給水の植木鉢 | |
CN102523971A (zh) | 一种可自吸式供水种植盆 | |
WO201818269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 growing vegetation in arid environments | |
CN210580206U (zh) | 一种存活率高的青钱柳用育苗装置 | |
CN108770536B (zh) | 一种家用迷你立体葱蒜园 | |
KR200309841Y1 (ko) | 물과 흙 유출 방지 및 공기 통기공 화분 | |
KR200317161Y1 (ko) | 난초용 화분 | |
CN206596425U (zh) | 一种百合花种植装置 | |
KR101124837B1 (ko) | 자동 급수 화분 | |
CN102715034A (zh) | 防涝保湿花盆 | |
KR200403635Y1 (ko) | 분재용 화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