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602U - 분무기의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분무기의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602U
KR20090009602U KR2020080003641U KR20080003641U KR20090009602U KR 20090009602 U KR20090009602 U KR 20090009602U KR 2020080003641 U KR2020080003641 U KR 2020080003641U KR 20080003641 U KR20080003641 U KR 20080003641U KR 20090009602 U KR20090009602 U KR 200900096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nozzle
valve body
cylind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범
Original Assignee
이석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범 filed Critical 이석범
Priority to KR2020080003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602U/ko
Publication of KR200900096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6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81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 B05B9/0816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the air supplying means being a manually actuated air pump
    • B05B9/082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the air supplying means being a manually actuated air pump a discharge device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6Hand-operated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Abstract

본 고안은 분무기의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본 고안은 약액통의 상단부와 체결되어 연결되는 연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의 저면에는 전,후방으로 유출관과 유입관 을 형성하며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는 체크밸브와 유출관의 단부에는 유출호스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피스톤을 내장하되 상기 피스톤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피스톤로드 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실린더의 단부가 덮개로 폐쇄되도록 형성한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피스톤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약액통의 약액이 유출되는 유출관과 연통되도록 유출관의 단부에 밸브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몸체에 밸브체를 내장한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의 단부에 나사 고정되도록 노즐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노즐몸체의 단부에는 밸브체에 의해 개폐되는 분사노즐을 형성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의 분사노즐의 개폐를 선택하는 상기 밸브부의 밸브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의 연결구 상측에 작동홈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홈에는 전방벽에는 밸브공을 형성하여 밸브체와 연결되는 스위치편을 형성한 스위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무기의 분사장치{SPRAY EQUIPMENT}
본 고안은 분무기의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과 밸브 및 실린더를 일직선상으로 형성하고 밸브 스위치를 상측에 형성하여 분사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며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몸체를 상측에서 잡아 약액통을 들고 작업을 함으로써 오랜 시간 작업을 해도 손목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분무기의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무기는 잡초나 해충을 화학적으로 제거하고자 약액을 압송시켜 노즐로써 살포하는 기구이며 최소량의 화학약제를 이용해 균일하고도 정확하게 살포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분무기는 공기압축 또는 발동기의 힘으로 움직이며, 그 형태는 손으로 작동시키는 작은 모형으로부터 수평 붐에 일정한 간격의 분사구멍을 내고 대형트랙터나 트레일러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모형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분무기는 크기에 상관 없이 같은 원리로 약액을 분무하고 있으며 이는 구조는 약제나 물을 이송하는 급수호스와, 상기 급수호스의 상단에 연결되 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서 왕복운동으로 공기를 압축하는 피스톤과, 압축되는 공기의 팽창에 의한 밀림작용에 의해 약제 또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된다.
상기 분무기 중 수동분무기는 사용자가 피스톤을 왕복운동시켜 약액통의 압력을 높여 사용한다.
압력이 높아진 약액통에서 약제나 물이 노즐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분사되거나 노즐을 차단시키는 밸브의 개폐에 의해 약제나 물이 분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무기는 손잡이의 형태를 "ㄱ"자형 건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공기를 압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손목에 많은 힘이 가하여 졌으며 노즐을 개폐하는 스위치가 노즐과 직각의 위치에 형성되어 노즐의 개폐하기 위하여 스위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의 스위치가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약제 또는 물을 분사할 때 손목이 꺽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 약액통을 기울여서 사용함으로써 약액통에 담긴 약제나 물이 약액통에서 기울어지게 되어 급수호수의 단부가 약제나 물의 외부로 노출되어 약제나 물의 분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사용자가 분무기를 손목으로 받치고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약액통의 무게로 인하여 손목에 하중이 많이 가해져 오랜 시간을 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노즐과 밸브 및 실린더를 일직선상으로 형성하여 분사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였으며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몸체를 상측에서 잡아 약액통을 들고 작업을 함으로써 오랜 시간 작업을 해도 손목의 피로를 줄일 수 있고 밸브의 스위치를 상측에 형성하여 스위치의 작동을 용이하게 한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자의 손목 각도에 맞게 약액통을 기울이지 않아도 약액을 분사할 수 있어 유출호스가 약액통의 약액에 항상 침수되어 있어 약제나 물의 분출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약액통의 상단부와 체결되어 연결되는 연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의 저면에는 전,후방으로 유출관과 유입관 을 형성하며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는 체크밸브와 유출관의 단부에는 유출호스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관과 연결되는 실린더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피스톤을 내장하되 상기 피스톤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피스톤로드 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실린더의 단부가 덮개로 폐쇄되도록 형성한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피스톤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약액통의 약액이 유출되는 유출관과 연통되도록 유출관의 단부에 밸브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 몸체에 밸브체를 내장한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의 단부에 나사 고정되도록 노즐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노즐몸체의 단부에는 밸브체에 의해 개폐되는 분사노즐을 형성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의 분사노즐의 개폐를 선택하는 상기 밸브부의 밸브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의 연결구 상측에 작동홈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홈에는 전방벽에는 밸브공을 형성하여 밸브체와 연결되는 스위치편을 형성한 스위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부는 밸브몸체에서 이동되며 분사노즐을 개폐하도록 전방 중앙에 밀폐돌기와 상기 밀폐돌기의 외경에는 유출홀이 형성된 밸브편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편의 후방으로는 밸브로드를 형성하여 상기 밸브로드 단부가 밸브공에 돌출된 상태로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치편은 상측으로 누름편을 형성하고 전방으로는 누름편과 수직이 되도록 중앙에 밸브연결홈을 형성한 받침편을 형성하여 상기 받침편이 받침되어 밸브체를 후진 시킬 수 있도록 전방벽의 후방에 하측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받침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과 밸브 및 실린더를 일직선상으로 형성하고 밸브의 스위치를 상측으로 형성하여 분사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품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였으며 일직선상의 몸체를 상측에서 잡아 약액통을 들고 작업을 함으로써 오랜 시간 작업을 해도 손목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나타낸 단면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사장치는 약액통(11)과 연결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후방으로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부(20)와, 상기 몸체부(10)의 전방으로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하는 밸브부(30)와, 상기 밸브부(30)의 전방에 체결되는 노즐부(40)와, 상기 노즐부(40)를 개폐하는 밸브부(30)를 작동하는 스위치부(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몸체부(10)는 약액통(11)의 상단부와 체결되어 연결되는 연결구(12)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12)의 저면에는 전,후방으로 유입관(13)과 유출관(14)을 형성하며 상기 유입관(13)의 단부에는 체크밸브(15)와 유출관(14)의 단부에는 유출호스(16)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10)의 후방에는 상기 유입관(13)과 연결되어 공기를 유입하여 약액통(11)에 공기를 압축할 수 있도록 실린더부(2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실린더부(20)는 몸체부(10)의 후방으로 유입관(13)과 연통되는 실린더(21)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21)의 내부에는 피스톤(22)을 내장하되 상기 피스톤(22)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피스톤로드(23) 단부에 손잡이(24)가 형성되며 실린더(21)의 단부가 피스톤로드(23)가 이동하도록 중앙에 이동공(26)을 형성한 덮개(25)로 폐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실린더부(20)의 피스톤(22)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약액통(11)의 약액이 유출되는 유출관(14)과 연통되도록 밸브부(30)를 형성한다.
상기 밸브부(30)는 유출관(14)의 단부에 밸브몸체(3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밸브몸체(31)에 밸브체(32)를 내장한다.
상기 밸브부(30)의 밸브몸체(31) 단부에 노즐부(40)를 형성한다.
약액 및 물을 분사하는 상기 노즐부(40)는 밸브몸체(31)의 단부에 나사 고정되도록 노즐몸체(41)를 형성하고 상기 노즐몸체(41)의 단부에는 밸브체(32)에 의해 개폐되는 분사노즐(4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40)의 분사노즐(42)의 개폐를 선택하는 상기 밸브부(30)의 밸브체(3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50)를 형성한다.
상기 스위치부(50)는 몸체부(10)의 연결구(12) 상측에 작동홈(51)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홈(51)에는 전방벽(52)에는 밸브공(53)을 형성하여 밸브체(32)와 연결되는 스위치편(53)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밸브부(30)는 밸브몸체(31)에서 이동되며 분사노즐(41)을 개폐하도록 전방 중앙에 밀폐돌기(33)와 상기 밀폐돌기(33)의 외경에는 유출홀(34)이 형성된 밸브편(35)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편(35)의 후방으로는 밸브로드(36)를 형성하여 상기 밸브로드(36) 단부가 밸브공(53)에 돌출된 상태로 스프링(37)에 의해 탄력설치한다.
상기 스위치부(50)의 스위치편(53)은 상측으로 누름편(54)을 형성하고 전방으로는 누름편(54)과 수직이 되도록 받침편(56)을 형성한다.
상기 받침편(56)의 중앙에는 밸브로드(36)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밸브연결홈(55)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받침편(56)이 받침되어 누름편(54)을 가압할 때 밸브체(32)를 후진 시킬 수 있도록 전방벽(52)의 후방에 하측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받침돌기(57)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약액통(11)에 분사해야 할 약제나 물을 넣은 후 몸체부(10)의 연결구(12)를 회전시켜 약액통(11)의 상단부와 체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부(10)를 잡고 실린더부(20)의 손잡이(24)를 통하여 피스톤(22)을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공기를 약액통(11)으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약액통(11)에 피스톤(22)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면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의 압력으로 유입관(13)의 체크밸브(15)를 개방한 상태에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체크밸브(15)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면서 피스톤(22)의 반복동작으로 약액 통(11) 내부에 공기압력을 높힌다.
상기와 같이 약액통(11)의 공기압력이 높아지면 약액통(11)에 담겨있는 약제나 물의 상부면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약제나 물의 상부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약제나 물의 저면에 위치한 유출호스(16)을 지나 유출관(14)으로 이동한다.
상기 유출관(14)으로 이동한 약제나 스위치부(50)의 스위치편(53) 작동으로 밸브부(30)의 밸브체(32)를 개폐하여 노즐부(40)를 통하여 분사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부(50)에 의한 밸브부(3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약액이나 물을 분사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린더부(20)의 실린더(21)의 전방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감싸 잡고 스위치편(53)의 누름편(54)을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가압한다.
이러한 누름편(54)은 밸브부(30)의 스프링(37)의 탄성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밸브체(32)의 밸브로드(36)가 받침편(56)에 형성된 밸브연결홈(55)에 고정된 상태로 전방으로 받침편(56)의 상측으로 당겨주게 되어 상기 받침편(56)에 일체로 수직형성된 누름편(54)의 후방이 돌출되면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편(54)을 가압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편(54)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받침편(56)의 하단이 받침돌기(57)에 밀착되어 받침편(56)의 상측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수직을 형성하면 상기 받침편(56)의 밸브연결홈(55)에 삽입된 밸브로드(36)의 후단부를 당겨주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로드(36)가 스프링(37)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밸브체(32)를 당기면 노즐부(40)의 분사노즐(42)의 후방을 막고 있던 밸브체(32)의 밀폐돌기(33)가 이격되어 압력에 의해 약제나 물이 유출홀(34)을 통하여 분사노즐(42)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가압한 누름편(54)의 압력을 해제하며 스프링(37)의 탄성에 의하여 밸브체(32)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밀폐돌기(33)가 분사노즐(42)의 후방을 폐쇄하게 되고 스위치편(53)의 누름편(54)은 가압하기 편리하게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분무기의 파지가 편리하고 밸브의 작동을 손쉽게 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나타낸 단면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의 분사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기의 분사장치가 적용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부 11 : 약액통
12 : 연결구 13 : 유입관
14 : 유출관 15 : 체크밸브
16 : 유출호스 20 : 실린더부
21 : 실린더 22 : 피스톤
23 : 피스톤로드 24 : 손잡이
25 : 덮개 30 : 밸브부
31 : 밸브몸체 32 : 밸브체
33 : 밀폐돌기 34 : 유출홀
35 : 밸브편 36 : 밸브로드
37 : 스프링 40 : 노즐부
41 : 노즐몸체 42 : 분사노즐
50 : 스위치부 51 : 작동홈
52 : 전방벽 53 : 스위치편
54 : 누름편 55 : 밸브연결홈
56 : 받침편 57 : 받침돌기

Claims (3)

  1. 약액통(11)의 상단부와 체결되어 연결되는 연결구(12)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12)의 저면에는 전,후방으로 유출관(14)과 유입관(13)을 형성하며 상기 유입관(13)의 단부에는 체크밸브(15)와 유출관(14)의 단부에는 유출호스(16)를 형성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후방에는 상기 유입관(13)과 연결되는 실린더(21)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21)의 내부에는 피스톤(22)을 내장하되 상기 피스톤(22)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피스톤로드(23) 단부에 손잡이(24)가 형성되며 실린더(21)의 단부는 피스톤로드(24)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앙에 이송공(26)이 형성된 덮개(25)로 폐쇄되도록 형성한 실린더부(20)와,
    상기 실린더부(20)의 피스톤(22)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약액통(11)의 약액이 유출되는 유출관(14)과 연통되도록 유출관(14)의 단부에 밸브몸체(31)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몸체(31)에 밸브체(32)를 내장한 밸브부(30)와,
    상기 밸브부(30)의 밸브몸체(31) 단부에 나사 고정되도록 노즐몸체(41)를 형성하고 상기 노즐몸체(41)의 단부에는 밸브체(32)에 의해 개폐되는 분사노즐(42)을 형성한 노즐부(40)와,
    상기 노즐부(40)의 분사노즐(42)의 개폐를 선택하는 상기 밸브부(30)의 밸브체(3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0)의 연결구(12) 상측에 작동홈(51)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홈(51)에는 전방벽(52)에는 밸브공(53)을 형성하여 밸브체(32)와 연 결되는 스위치편(53)을 형성한 스위치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의 분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30)는 밸브몸체(31)에서 이동되며 분사노즐(41)을 개폐하도록 전방 중앙에 밀폐돌기(33)와 상기 밀폐돌기(33)의 외경에는 유출홀(34)이 형성된 밸브편(35)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편(35)의 후방으로는 밸브로드(36)를 형성하여 상기 밸브로드(36) 단부가 밸브공(53)에 돌출된 상태로 스프링(37)에 의해 탄력설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의 분사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50)의 스위치편(53)은 상측으로 누름편(54)을 형성하고 전방으로는 누름편(54)과 수직이되도록 중앙에 밸브연결홈(55)을 형성한 받침편(56)을 형성하여 상기 받침편(56)이 받침되어 밸브체(32)를 후진 시킬 수 있도록 전방벽(52)의 후방에 하측으로 갈수록 기울어진 받침돌기(5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의 분사장치.
KR2020080003641U 2008-03-20 2008-03-20 분무기의 분사장치 KR200900096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641U KR20090009602U (ko) 2008-03-20 2008-03-20 분무기의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641U KR20090009602U (ko) 2008-03-20 2008-03-20 분무기의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602U true KR20090009602U (ko) 2009-09-24

Family

ID=4153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641U KR20090009602U (ko) 2008-03-20 2008-03-20 분무기의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60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6730B (zh) 喷射装置器械
CN102595991A (zh) 喷液拖把
EP0837738A1 (en) Backpack sprayer
WO2003011475A1 (fr) Distributeur a pompe et pulverisateur comprenant ce dernier
TW332808B (en) The miniature pump sprayer
KR101599519B1 (ko) 액상분사장치
KR101956363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휴대형 구강 세정기
US20150122914A1 (en) Wearable spraying device
AU2010230317B9 (en) Liquid dispensing system
US11065635B2 (en) Container appendage
JP6338708B2 (ja) 目詰まり防止スプレー容器
KR101596870B1 (ko) 스프레이 청소기
KR20090009602U (ko) 분무기의 분사장치
JP3165278U (ja) 液体散布装置
DK1254072T3 (da) Håndholdt pumpesprayapparat
KR100570307B1 (ko) 수압을 이용한 분무 장치 및 분무 방법
KR20090085786A (ko) 펌프분무기
KR20220102958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압축 분무기용 노즐대
JP2004016952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1312413B1 (ko) 트리거식 분무장치
KR102168991B1 (ko) 최루액 분사기
KR20080081120A (ko) 농약살포기
KR101568251B1 (ko) 듀얼타입 펌핑장치
KR200482918Y1 (ko) 압축식 수동 분무기
KR900010531Y1 (ko) 보조탱크를 가진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