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258U -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258U
KR20090009258U KR2020080003212U KR20080003212U KR20090009258U KR 20090009258 U KR20090009258 U KR 20090009258U KR 2020080003212 U KR2020080003212 U KR 2020080003212U KR 20080003212 U KR20080003212 U KR 20080003212U KR 20090009258 U KR20090009258 U KR 200900092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harging
mobile phone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전
Original Assignee
김용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전 filed Critical 김용전
Priority to KR2020080003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258U/ko
Publication of KR20090009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2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형 및 신형 휴대폰, 닌텐도 게임기 등 각종 휴대용 기기의 입출력단자에 맞는 커넥터를 통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전원공급케이블을 통해 외부전원을 입력받는 전원단자; 상기 하우징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어 휴대폰의 입출력단자에 접속되는 휴대폰 충전용 커넥터; 상기 하우징의 또 다른 측면에 형성되어 USB 단자에 접속되는 USB 충전용 커넥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되어 전원단자를 통해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커넥터의 전압이 개별적으로 휴대용 기기의 충전전압에 매치되도록 입력전원을 변환하는 휴대폰충전부 및 USB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커넥터, 전원단자, USB

Description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Charging apparatus for portable battery}
본 고안은 휴대전화나 닌텐도 게임기 등의 휴대용 전기·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휴대폰 구매시 함께 제공되는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휴대폰 구매시 함께 제공되는 휴대폰 충전장치는 AC 220V의 상용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어댑터와,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어댑터로부터 연장되는 휴대폰 충전케이블과, 휴대폰의 입출력단자에 접속되도록 휴대폰 충전케이블의 단부에 형성된 휴대폰 충전용 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 충전장치는 휴대폰 충전용 커넥터가 접속가능한 충전용 전원단자를 구비하여 충전용 전원단자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거치대와, 거치대에 휴대폰 배터리의 전극이 접촉되도록 구비된 전극단자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폰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법은 휴대폰 배터 리를 휴대폰에 끼운채로 휴대폰 충전용 커넥터를 휴대폰의 입출력단자에 직접 끼우거나, 거치대의 전극 단자에 휴대폰과 분리된 배터리의 전극을 접촉시켜 충전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을 실시하였다.
그런데, 휴대폰은 대기시간에 비해 통화시간에 더욱 많은 전원을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통화량이 많은 비즈니스맨들은 배터리의 방전시점을 미리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컨대, 비즈니스맨들은 실외에서 영업하는 도중에 갑작스레 휴대폰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를 종종 겪게 되며, 이때 휴대폰을 즉각 충전하지 못하면 중요한 업무 전화를 놓치는 등 막대한 영업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실외에서 휴대폰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이를 즉각 재충전하는 방법으로는 차량의 시거잭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을 실시하거나, 급속 충전 서비스를 실시하는 업소에서 요금을 지불하고 충전서비스를 받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충전서비스를 실시하는 업소가 없는 지역이나 찾기 어려운 지역으로 운행하는 경우에는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으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한편, 닌텐도 게임기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의 사용이 급증하게 됨에 따라, 각 개인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닌텐도 게임기를 사용할 경우 게임기의 배터리가 언제 방전될지 예측하기가 어렵다.
만약 차량 운행중 갑자기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차량의 시거전원을 이용하여 즉각적으로 재충전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휴대폰, 닌텐도 게임기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는 기기마다 데이터 통신 및 충전을 위한 입출력단자(이하, 입출력단자) 및, 이에 접속되는 커넥터의 규격이 각각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커넥터의 규격에 맞게 충전장치를 별도로 구입하는 것은 상당한 경제적인 부담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빈도가 높은 각 충전장치를 개별적으로 관리함에 따라 각 장치에 대한 분실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구형 및 신형 휴대폰, 닌텐도 게임기 등 각종 휴대용 기기의 입출력단자에 맞는 커넥터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함으로써, 차량 운행 중 휴대폰 및 닌텐도 게임기의 배터리 방전된 경우에도 즉각적으로 재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전원공급케이블을 통해 외부전원을 입력받는 전원단자;
상기 하우징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어 휴대폰의 입출력단자에 접속되는 휴대폰 충전용 커넥터;
상기 하우징의 또 다른 측면에 형성되어 USB 단자에 접속되는 USB 충전용 커넥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되어 전원단자를 통해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커넥터의 전압이 개별적으로 휴대용 기기의 충전전압에 매치되도록 입력전원을 변환하는 휴대폰충전부 및 USB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전원공급케이블은 상용교류전원에 연결되어 AC전원을 적절한 전압과 전류의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케이블이거나, 또는 차량용 시거잭에 접속되어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시거전원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USB 단자에 접속되는 휴대용 기기는 닌텐도 게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하우징에 복수의 커넥터 및 전원단자를 설치하여 전원단자를 통해 입력된 외부전원이 복수의 커넥터를 통해 개별적으로 출력됨으로써, 실외에서 갑자기 휴대폰 등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도 충전을 실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각 충전장치를 개별적으로 구입 및 관리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으로 유용하고 관리가 유용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가 차량용 시거잭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휴대 용 기기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각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의 충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하나의 충전장치로 구형 및 신형 휴대폰(17), 닌텐도 게임기(19) 등을 모두 충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는 휴대폰(17), 닌텐도 게임기(19)의 입출력단자에 맞는 복수의 커넥터(14~16)가 적어도 3면에서 돌출되는 하우징(10)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입출력단자에 형성되는 핀(pin)의 갯수에 따라 구형 휴대폰과 신형 휴대폰으로 나뉜다.
상기 구형 휴대폰은 상기 핀의 갯수가 18개인 것과, 24개인 것으로 나뉘어 진다.
특히, 상기 핀 갯수가 18개인 구형 휴대폰의 입출력단자는 단자간의 간격이 비교적 좁게 형성되어 있고, 핀의 갯수가 24개인 휴대폰의 입출력단자는 단자간의 간격이 18핀 휴대폰 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18핀 휴대폰과 24핀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전용 커넥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형 휴대폰의 18핀 및 24핀에 따라 전용 커넥터가 구비된 충전기를 별도로 구입하는 것은 경제적인 부담과 불편함을 초래하므로, 최근에는 구형 휴대폰이 24핀의 표준커넥터로 통합되었다.
또한, 최근 들어 휴대폰이 박형화 및 경량화됨에 따라 복수개의 입출력단자를 휴대폰 케이스에 구비하는 것은 설계 및 적용상 바람직하지 않게 됨으로써, 이어폰 단자를 통해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이어폰단자를 확장하여 20핀(Pin)을 갖는 이어폰단자가 구성되도록 제공함으로서 슬림화에 부응하고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은 직사각체 형태로서, 하우징(10)의 일측면에는 전원단자(11)가 구비되어 있다. 전원단자(11)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하우징(10) 내의 충전회로에 전달하는 전원공급케이블이 접속된다.
상기 휴대폰(17)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 전원으로는 AC 220V 상용교류전원 및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케이블은 상용교류전원에 연결되어 AC전원을 적절한 전압과 전류의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케이블이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시거잭(13)에 접속되어 차량의 배터리전원을 공급받는 시거전원케이블(12)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측면 중 하나(전원단자(11)의 반대면)에는 24핀의 휴대폰 충전용 제1커넥터(14)가 돌출형성되고, 제1커넥터(14)와 인접한 양측면 중 하나에는 20핀의 휴대폰 충전용 제2커넥터(15)가 돌출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닌텐도 게임기(19)의 충전을 위해 제3커넥터(1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3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 내지 제3커넥터(16)는 그 위치가 바뀌어도 상관없고, 측면외에도 하우징(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가능하다.
본 고안의 충전장치는 하우징(10)에 설치된 제1 및 제2커넥터(14,15)에는 휴대폰(17)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휴대폰충전케이블이 없이 휴대폰 입출력단자가 바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3커넥터(16)에는 닌텐도 게임기(19)의 USB 단자가 바로 접속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1 및 제2커넥터(14,15)의 핀 개수는 24핀 및 20핀으로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휴대폰(17)이 각각 다른 형태의 입출력단자를 가진 것과 대응되어 각기 다른 형태의 커넥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3커넥터(16)는 종래의 닌텐도 게임기(19)의 USB 단자와 대응되어 각기 다른 형태의 커넥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우징(10) 내에는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휴대폰(17), 닌텐도 게임기(19)를 각각 충전하는 충전회로가 내장된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전원, 예를 들어 어댑터 케이블 또는 차량용 시거전원케이블(12)과 같은 전원공급케이블로부터 DC 12V의 전원이 입력되면, 전원분배부에서 이 전원을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한 제1충전부(20)와, 닌텐도 게임기(19)를 충전하기 위한 제2충전부(21)로 분배된다.
제1충전부(20)는 외부 전원을 휴대폰(17)의 충전전압인 DC 3.6 또는 4.2V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2충전부(21)는 외부 전원이 닌텐도 게임기(19)에 충전가능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휴대폰(17)이 제1커넥터(14) 또는 제2커넥터(15)에 접속된 상태라면 휴대폰(17) 충전을 개시하고, 닌텐도 게임기(19)가 제3커넥터(16)에 접속된 상태라 면 닌텐도 게임기(19) 충전을 개시한다.
여기서, 차량용 시거잭 전원을 이용하여 플레이스테이션을 충전할 수 있다. 즉, 연결어댑터 없이 시거전원케이블(12)의 전원플러그(18)를 플레이스테이션의 전원단자에 직접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충전장치는 하나의 하우징(10)에 복수의 커넥터(14~16)를 설치하여, 신형 및 구형 휴대폰(17)의 입출력단자(20핀, 24핀)에 따라 별도의 충전기를 구입하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영업사원들과 같이 실외근무에서 통화량이 많아 휴대폰 배터리의 방전시점을 예측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실외에서 휴대폰을 즉각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객이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닌텐도 게임을 하는 도중 갑자기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에도 차량의 전원을 본 고안의 충전장치에 연결하여 즉각 재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가 차량용 시거잭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각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의 충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전원단자
12 : 시거전원케이블 13 : 시거잭
14~16 : 제1 내지 제3커넥터 17 : 휴대폰
18 : 전원플러그 19 : 닌텐도 게임기
20 : 제1충전부 21 : 제2충전부

Claims (3)

  1.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전원공급케이블을 통해 외부전원을 입력받는 전원단자;
    상기 하우징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어 휴대폰의 입출력단자에 접속되는 휴대폰 충전용 커넥터;
    상기 하우징의 또 다른 측면에 형성되어 USB 단자에 접속되는 USB 충전용 커넥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되어 전원단자를 통해 외부전원을 입력받아 커넥터의 전압이 개별적으로 휴대용 기기의 충전전압에 매치되도록 입력전원을 변환하는 휴대폰충전부 및 USB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케이블은 상용교류전원에 연결되어 AC전원을 적절한 전압과 전류의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케이블이거나, 또는 차량용 시거잭에 접속되어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시거전원케이블(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 기 충전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USB 단자에 접속되는 휴대용 기기는 닌텐도 게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
KR2020080003212U 2008-03-12 2008-03-12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 KR200900092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212U KR20090009258U (ko) 2008-03-12 2008-03-12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212U KR20090009258U (ko) 2008-03-12 2008-03-12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58U true KR20090009258U (ko) 2009-09-16

Family

ID=4153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212U KR20090009258U (ko) 2008-03-12 2008-03-12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25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0129A (zh) * 2013-08-14 2014-02-12 昆山市圣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带灯条和液晶显示新型车载充电器
KR101426253B1 (ko) * 2012-11-15 2014-08-05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핸드폰 어댑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53B1 (ko) * 2012-11-15 2014-08-05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핸드폰 어댑터
CN103580129A (zh) * 2013-08-14 2014-02-12 昆山市圣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带灯条和液晶显示新型车载充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8190B (zh) 用于电子附件的充电装置
US8183825B2 (en) Docking charger for charging a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or without a protective cover case fitted thereon
KR20130129489A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712822B1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US6356054B1 (en) Desktop stand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embedded charging control
JP3127310U (ja) マルチコンセント電気装置
CN112311040A (zh) 一种多功能无线充电器
KR20090009258U (ko) 휴대용 기기 충전장치
JP3178882U (ja) 充電装置
KR200200933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
KR20060050084A (ko) 휴대폰 및 건전지 겸용 충전장치
US7990104B2 (en) Mobile charger receptacle configured with universal serial bus (USB), cigarette lighter adapter (CLA) plug and control firmware
CN205864010U (zh) 移动电子设备充电装置
US20140340028A1 (en) Charger with hub
US20060028174A1 (en) Battery pack and charg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H11155239A (ja) 二次電池の充電装置
KR200353235Y1 (ko) 휴대폰 충전장치
CN213990167U (zh) 一种磁吸式的移动电源
KR101483780B1 (ko)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KR20120007003U (ko) 휴대폰 충전용 보조 배터리팩
KR200279618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커넥터 구조
KR1005402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수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CN206195405U (zh) 单体座式充电器及组合式座式充电器
KR200299005Y1 (ko) 배터리팩의 외부전원 접속 커넥터
KR200389119Y1 (ko) 유에스비 데이터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에전원을 공급하는 다목적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