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905U - 장제용 치마저고리 - Google Patents

장제용 치마저고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905U
KR20090008905U KR2020080011432U KR20080011432U KR20090008905U KR 20090008905 U KR20090008905 U KR 20090008905U KR 2020080011432 U KR2020080011432 U KR 2020080011432U KR 20080011432 U KR20080011432 U KR 20080011432U KR 20090008905 U KR20090008905 U KR 200900089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fastener tape
added
pus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균
Original Assignee
고명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균 filed Critical 고명균
Priority to KR2020080011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905U/ko
Publication of KR200900089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905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Abstract

본 고안은 장제용 치마저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스너테이프를 이용하여 치마와 저고리의 누구나가 착의 및 탈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수있도록한 장제용 치마저고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치마단의 상부에 양측에 치마끈이 일체로 고정된 치마말기와, 상기 치마말기의 좌/우에 어깨끈을 부가한 통상의 치마와, 양측에 소매가 부가되어 전면이 반분된 길의 전면에 고름이 결합되는 통상의 장제용 치마저고리에 있어서, 상기 치마말기의 전면과 치마끈의 내측면에 부가되어 접합 및 분리되도록 고정된 내측 및 외측 화스너테이프와, 치마단의 상부일정부위에 부설된 주머니로 구성되고, 상기 저고리를 구성하는 고름을 구성하는 리본의 내측면에는 좌측길의 전면에 부가된 내측 화스너테이프에 접합 및 분리되는 외측 화스너테이프를 부가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장제용 치마저고리{Skirt and skirt for funeral}
본 고안은 장제용 치마저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스너테이프를 이용하여 치마와 저고리를 누구나가 착의 및 탈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제용 치마저고리에 관한 것이다.
장례를 치르는 기간내에 여성들은 망자를 추모하고, 조문객에게 상주임을 알리기 위하여 흰색이나 검정색의 치마와 저고리를 상복으로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치마는 흘러내리지 않도록 치마끈을 허리에 단단히 결속하는 것으로, 치마끈의 결속과 해제에 상당한 불편이 수반되고, 또 치마와 저고리에는 각종의 소품을 넣을 수 있는 주머니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여 이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방에 보관하여야 한다.
특히 저고리에 부가된 고름은 단정하게 결속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의 결속방법을 인지하지 못한 저연령층은 옷고름을 묶는 방법을 몰라 아무렇게나 묶으므로서 엄숙해야할 분위기를 해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치마와 저고리에 부가되는 치마끈과 고름의 내측에 배설된 화스너테이프를 이용하여 누구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착의 및 탈의할 수 있는 장제용 치마 저고리를 제공하는데 주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치마의 전면에 휴대폰과 같은 각종의 소품을 보관할 수 있는 주머니를 더 부가하여 그 용도를 다양화한 장제용 치마 저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치마단의 상부에 양측에 치마끈이 일체로 고정된 치마말기와, 상기 치마말기의 좌/우에 어깨끈을 부가한 통상의 치마와, 양측에 소매가 부가되어 전면이 반분된 길의 전면에 고름이 결합되는 통상의 장제용 치마저고리에 있어서, 상기 치마말기의 전면과 치마끈의 내측면에 부가되어 접합 및 분리되도록 고정된 내측 및 외측화스너테이프와, 치마단의 상부일정부위에 부설된 주머니로 구성되고, 상기 저고리를 구성하는 고름을 구성하는 리본의 내측면에는 좌측길의 전면에 부가된 내측 화스너테이프에 접합 및 분리되는 외측 화스너테이프를 부가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 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정면도로서, 동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치마(10)와 저고리(2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치마(10)는 도 1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하체를 가리는 치마단(3)과, 상기 치마단(3)의 상부에 일체로 봉재되는 일정폭의 치마말기(6)와, 상기 치마말기(6)의 외측에 부가되는 치마끈(8a)과, 상기 치마말기(6)의 좌/우측에 배설되는 어깨끈(9)으로 구성된 통상의 치마에 본 고안은 착의와 탈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치마끈 결속수단과 지갑이나 핸드폰 등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더 부가하여 편리한 사용과 용도를 다양화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치마(10)를 구성하는 치마말기(6)의 전면에 대략 20cm의 길이로 내측 화스너테이프(6a)를 일체로 봉재한 것이다.
상기 치마말기(6)에 부가된 내측 화스너테이프(6a)에는 치마말기(6)의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치마끈(8)에 일체로 부착된 외측 화스너테이프(8a)가 접합되는 것이다.
상기 치마말기(6)는 착용자의 가슴을 감싸는 것으로 대략 3cm의 폭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 치마말기(6)의 전면 중앙에 동일한 폭을 유지하여 내측 화스너테이프(6a)를 일체로 봉재한 것이다.
또한 치마말기(6)의 외측에 부가되는 치마끈(8)의 일측면에는 상기 내측 화스너 테이프(6a)에 접합되는 외측 화스너테이프(8a)를 부가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착용자의 가슴을 두루는 치마말기(6)의 외표면으로 드러나는 내측 화스너테이프(6a)에는 치마끈(8)의 일측면에 부착되어있는 외측 화스너테이프(8a)를 접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을 실현하기위한 또 다른 구성은 치마(10)를 구성하는 치마단(3)의 상부 즉 치마말기(6)와 치마단(3)이 맞닿는 부위에 일정크기의 주머니(1)를 배설하는 것이다.
이 주머니(1)는 지갑이나 핸드폰과 같은 각종의 소품을 보관하기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조를 일체로 부가하므로서 소품을 가방 등에 따로 보관하므로서 야기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치마(10)와 함께 착용하게되는 저고리(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착용자의 목을 감싸는 깃(11)을 포함하는 길(14)과, 상기 길(14)의 양측에 소매(15)가 부가된 것이다.
상기 길(14)의 전면은 우측길(12)과 좌측길(13)로 반분되어 착용시에 우측길(12)은 내측에 좌측길(13)은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는 각각에 부가된 고름(30)을 하나로 묶으므로서 저고리(20)의 착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저고리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에서 고름(30)을 별도로 제작하여 일측은 우측길(12)에 봉재하여 고정하고, 타측은 좌측길(13)에 부가된 내측 화스너테이프(13a)에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저고리(20)를 포함하는 고름(30)을 별도로 제작한다.
별도로 제작되는 고름(30)은 가지런히 묶어서 리본(21)을 만들고, 상기 리본(21)의 내측에는 좌측길(13)에 부가된 내측 화스너테이프(13a)에 부착되는 외측 화스너테이프(21a)를 부가하고, 또 리본(21)에서 하부로 길게 연장되는 2개의 고름끈(22)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고름(30)은 리본(21)의 일측은 길(14)을 구성하는 좌측길(12)에 봉재하여 일체로 고정하고, 타측은 내측에 부가된 외측 화스너테이프(21a)를 이용하여 좌측길(13)에 부착된 내측 화스너테이프(13a)에 결합 및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즉 착의시에는 리본(21)의 내측면에 부가된 외측 화스너테이프(21a)를 우측길(13)의 외표면에 부가된 내측 화스너테이프(13a)에 결합하여 착용하므로서 저고리(20)의 전면에 부가되는 고름(30)이 가지런하게 정돈되고, 탈의시에는 내측 화스너테이프(13a)의 표면에 접합된 외측 화스너테이프(21a)를 분리하므로서 용이하게 탈의가 가능하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하면, 치마말기와 치마끈에 일체로 봉재된 내측 및 외측 화스너테이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치마를 착용하거나 탈의시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치마단의 상부에 부가된 주머니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소품을 보관할 수 있고, 또 저고리에 부가되는 고름을 별도로 제작하여 좌측길에 고정하고 리본과 우측길에 부가된 내측 및 외측 화스너테이프를 이용하여 착의 및 탈의할 수 있으며, 더욱이 외부로 드러나는 리본이 항상 가지런하게 정렬되어있어 누구나가 손쉽게 착의가 가능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구성인 치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2는 저고리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a)는 고름을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
(b)는 고름의 정면구성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c)는 고름의 이면구성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3은 치마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저고리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머니 3 : 치마단
6 : 치마말기 6a : 내측 화스너테이프
8 : 치마끈 8a : 외측 화스너테이프
9 : 어깨끈 10 : 치마
13a : 내측 화스너테이프 14 : 길
21 : 리본 21a : 외측 화스너테이프
22 : 고름끈 30 : 저고리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치마말기(10)의 상면에 부가된 어께끈(9)을 어께에 삽입한 후, 치마말기(6)와 치마끈(8)에 부가되어있는 내/외측 화스너테이프(6a,8a)를 접합하므로서 치마의 착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치마(10)를 탈의하고자할 경우에는 서로 접합되어있는 내/외측화스너테이프(6a,8a)만을 분리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치마끈(8)을 결속하거나 푸는 번거로움이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치마(10)를 구성하는 치마단(3)에 마련된 주머니(1)에는 빈번하게 사용되는 지갑이나 핸드폰 등을 보관하므로서 핸드백 등이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저고리(20)의 착용은 길(14)을 구성하는 우측길(12)이 내측으로 좌측길(13)이 외측에 위치토록하여 착용한 후, 상기 우측길(13)에 일체로 고정된 고름(30)을 구성하는 리본(21)의 내측면에 부가된 외측화스너테이프(21a)를 좌측길(13)의 표면에 부가되어있는 내측화스너테이프(13a)에 접합하므로서 착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렇게 저고리를 착용하므로서 외측으로 드러나는 고름(30)을 구성하는 리본(21)이 가지런하게 정렬되므로서 올바른 착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이를 탈의하고져 할 경우에는 서로 접합되어있는 내측 및 외측화스너(13a,21a)를 분리하는 것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치마단의 상부에 양측에 치마끈이 일체로 고정된 치마말기와, 상기 치마말기의 좌/우에 어깨끈을 부가한 통상의 치마와, 양측에 소매가 부가되어 전면이 반분된 길의 전면에 고름이 결합되는 통상의 장제용 치마저고리에 있어서, 상기 치마말기의 전면과 치마끈의 내측면에 부가되어 접합 및 분리되도록 고정된 내측 및 외측화스너테이프와, 치마단의 상부일정부위에 부설된 주머니로 구성되고, 상기 저고리를 구성하는 고름을 구성하는 리본의 내측면에는 좌측길의 전면에 부가된 내측 화스너테이프에 접합 및 분리되는 외측 화스너테이프를 부가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제용 치마저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름은 별도로 제작하여 일측은 우측길의 표면에 봉재로 공정하고 타측은 내측면에 부가된 외측 화스너테이프에 의해 좌측길에 일체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제용 치마저고리.
KR2020080011432U 2008-02-28 2008-08-27 장제용 치마저고리 KR200900089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432U KR20090008905U (ko) 2008-02-28 2008-08-27 장제용 치마저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652 2008-02-28
KR2020080011432U KR20090008905U (ko) 2008-02-28 2008-08-27 장제용 치마저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905U true KR20090008905U (ko) 2009-09-02

Family

ID=4130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432U KR20090008905U (ko) 2008-02-28 2008-08-27 장제용 치마저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9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40B1 (ko) * 2012-07-25 2014-01-02 이봉이 전통한복 저고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40B1 (ko) * 2012-07-25 2014-01-02 이봉이 전통한복 저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5846B1 (en) Sleeve holder
KR20130067974A (ko) 가방겸용 발토시
US20180368497A1 (en) Garment
KR20090008905U (ko) 장제용 치마저고리
KR101042665B1 (ko) 전투복
KR100931592B1 (ko) 휴대가 용이한 의류
KR200465653Y1 (ko) 들거나 멜 수 있는 손가방
TW201828859A (zh) 手提包
KR100879863B1 (ko) 휴대가 용이한 의류
KR101930232B1 (ko) 휴대 가능한 웨어용 수납 주머니 및 수납방법
US20090144877A1 (en) Combined Shirt And Jewish Garment
US8216022B2 (en) Connectable wrap bra
KR20090111116A (ko) 포대 겸용 상의
KR200408862Y1 (ko) 장갑이 구비된 소매
KR200462992Y1 (ko) 가방 기능이 구비된 바지
KR101710642B1 (ko) 웨빙밴드가 구비되어 휴대가 편리한 헤비점퍼
KR20130004873U (ko) 우비 겸용 우산커버
JP3077954U (ja) トラベルウエア
AU2014100173A4 (en) Garment
JP3109611U (ja) 葬儀用ドレス
CN208806860U (zh) 一种方便佩戴的手机壳
KR20110065083A (ko) 각반 부착형 안전화
CN209106347U (zh) 一种方便置物的男士牛仔裤
JP3085850U (ja) ポール脱着ウェストベルトポーチ
KR20170014152A (ko) 앞치마로 사용가능한 레인코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