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232B1 - 휴대 가능한 웨어용 수납 주머니 및 수납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가능한 웨어용 수납 주머니 및 수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232B1
KR101930232B1 KR1020170172508A KR20170172508A KR101930232B1 KR 101930232 B1 KR101930232 B1 KR 101930232B1 KR 1020170172508 A KR1020170172508 A KR 1020170172508A KR 20170172508 A KR20170172508 A KR 20170172508A KR 101930232 B1 KR101930232 B1 KR 10193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wear
bag
storing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영
김경태
이학주
Original Assignee
정준영
김경태
이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영, 김경태, 이학주 filed Critical 정준영
Priority to KR1020170172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41D27/202Pocket closures with flap-sealed slid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41D2600/104Cycl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라이딩 웨어용 수납 주머니 및 수납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라이딩 웨어용 수납주머니는, 의류(3)에 배치되며,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3방향이 봉합되어 주머니(2)를 형성하는 외피(5)와; 외피(5)의 상부 개방구에 장착되어 주머니(2)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7)와; 그리고 주머니(2)의 내부에 장착되어 웨어(1)를 주머니(2)의 내부에 수납한 후, 어깨에 맬 수 있는 맬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웨어용 수납 주머니 및 수납방법{Pockets for storing portable riding wear and method for storing thereof}
본 발명은 웨어용 수납 주머니 및 수납방법에 관한 것으로, 웨어에 수납주머니를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필요시 웨어를 접어서 수납 주머니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나 레저활동시에는 다양한 웨어(Wear)를 착용하게 된다. 특히, 최근 자전거 라이딩을 즐기는 인구의 증가로 라이딩용 웨어가 다양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라이딩용 웨어는 자전거 라이딩시 신체활동에 적합하도록 탄력성 및 보온성, 흡수성 등을 고려한 신소재로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라이딩용 웨어는 날씨가 덥거나 탈의를 하고 싶은 경우에는 웨어를 탈의한 후 보관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웨어의 양 팔부위를 허리에 묶거나, 혹은 웨어를 별도로 구비된 가방에 수납하는 등의 방식으로 보관하게 된다.
특허출원 10-2005-82429호(명칭:레저용 조끼) 특허출원 10-2014-48763호(명칭:포켓구조 및 웨어)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딩용 웨어를 탈의한 후 수납주머니에 수납하고, 수납후에는 멜빵에 의하여 어께등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의류(3)에 배치되며,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3방향이 봉합되어 주머니(2)를 형성하는 외피(5)와;
외피(5)의 상부 개방구에 장착되어 주머니(2)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7)와; 그리고
주머니(2)의 내부에 장착되어 웨어(1)를 주머니(2)의 내부에 수납한 후, 어깨에 맬 수 있는 맬빵을 포함하는 수납 및 휴대가 가능한 웨어(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딩용 웨어는 탈의한 후 수납주머니에 수납하고, 또한 수납후에는 멜빵에 의하여 어께등에 걸어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이딩용 웨어 및 수납 주머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 주머니에 라이딩용 웨어가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d)는 도 1에 도시된 라이딩용 웨어를 접어서 수납주머니에 접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웨어를 수납 주머니에 수납하기 위하여 뒤집었을 때 내측에 구비된 포켓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라이딩용 웨어를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납 주머니가 후드티에도 적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딩용 웨어를 수납주머니에 수납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딩용 웨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주머니가 구비된 라이딩 웨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a) 내지 도 3(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의류에 적용가능하지만, 일 예로서 웨어(1)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웨어(1)는 후면에 수납 주머니(2)가 구비됨으로써 필요시 웨어(1)를 접어서 수납 주머니(2)에 수납하여 휴대하는 구조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러한 웨어(1)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류(3)에 배치되며,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3방향이 봉합되어 주머니(2)를 형성하는 외피(5)와; 외피(5)의 상부 개방구에 장착되어 주머니(2)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7)와; 주머니(2)의 내부에 장착되어 웨어(1)를 주머니(2)의 내부에 수납한 후, 어깨에 맬 수 있는 멜빵(9)을 포함한다.
이러한 웨어(1)에 있어서,
외피(5)는 의류(3)의 후면 혹은 전면에 봉합됨으로써 주머니(2)를 형성한다. 이때, 외피(5)의 양측부와, 하부가 봉합되고, 상부는 봉합되지 않음으로써 개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외피(5)는 의류(3)에 배치되되, 양측부 및 하부가 봉합되어 밀폐되고, 상부는 개방됨으로써 주머니(2)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외피(5)의 상부에는 개폐부재(7)가 배치됨으로써 필요시 주머니(2)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7)는 지퍼일 수도 있고, 벨크로, 혹은 단추, 후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퍼인 경우에는, 지퍼의 일측띠는 웨어(1)에 배치하고, 타측띠는 외피(5)에 배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드(Slide)가 양측띠의 투스(tooth)들을 맞물리게 하는 구조이다.
이때, 지퍼는 일측형 구조일 수도 있고, 양측형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7)로서 지퍼를 선택한 경우에는, 지퍼를 단순히 잠금으로써 주머니(2)의 상부도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주머니(2)의 내측에는 멜빵(9)이 배치됨으로써 의류(3)를 수납 주머니(2)의 내부로 접어 넣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메빵을 어께에 맬 수 있어서 휴대가 간편하다.
이러한 멜빵(9)은 일단은 주머니(2) 내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주머니(2) 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루프형 구조이다.
따라서, 웨어(1)를 착용한 상태, 즉 평시에는 멜빵(9)이 외피(5)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로서 외부에서 인식되지 않으나, 웨어(1)를 탈의하여 주머니(2)에 수납한 경우에는 멜빵(9)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 멜빵(9)을 어께 등에 멜수 있다.
그리고, 멜빵(9)은 길이가 고정된 형태일 수도 있으나, 가변된 구조일 수도 있다.
즉, 멜빵(9) 자체의 재질을 탄력성 있는 섬유로 함으로써 어께에 멜때 길이가 늘어날 수도 있다.
혹은, 멜빵(9)의 양단에 탄성 섬유(11)를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5)의 내측에는 포켓(1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외피(5)의 내측면에 보조 내피(13)를 구비하여 주머니 형태로 함으로써 포켓(15)을 구성한다.
따라서, 웨어(1)를 외피(5)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 주머니(2)의 내부에 접어 넣는 경우, 보조 내피(13)는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포켓(15)을 형성하여 스마트폰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이때, 포켓(15)에는 지퍼 혹은 벨크로를 장착하여 필요시만 개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수납주머니가 라이딩용 의류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의류에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2)에 웨어(1)를 쉽게 수납하기 위하여 웨어(1)에 견인테잎(T)을 부착할 수 있다.
즉, 주머니(2)을 뒤집어서 웨어(1)를 내측에 수납하는 경우, 웨어(1)의 양팔(27)부분, 몸체(29)부분, 허리(31)부분을 손으로 직접 당기거나 접어서 수납하는 과정에 번거로운 바, 웨어(1)의 양팔(27)에서 몸체(29)를 거쳐 허리(31)에 이르는 구간에 견인테잎(T)을 부착하고, 그 단부는 주머니(2)의 내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견입테잎(T)은 웨어(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머니(2)를 뒤집어서 웨어(1)를 내측에 수납하는 경우, 이 견인테잎(T)을 당김으로써 웨어(1)의 양팔(27), 몸체(29), 허리(31)도 같이 당겨져서 주머니(2)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수납될 수 있다.
이때, 견인테잎(T) 뿐만 아니라 스트링(String)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웨어를 수납주머니에 접어 넣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를 수납하는 방법은, 외피(5)가 상부로 향하도록 웨어(1)를 위치시키고, 주머니(2)의 개폐부재(7)는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라이어 웨어 정렬단계(S100)와; 웨어(1)를 접어서 주머니(2)의 상부에 포개어 올려놓는 단계(S110)와; 주머니(2)의 상부 개방공간을 개방하는 단계(S120)와; 주머니(2)를 뒤집어서 주머니(2)의 내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반대로 주머니(2)의 외측은 내부로 진입시킴으로써 웨어(1)가 주머니(2)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는 단계(S130)와; 지퍼를 잠금으로써 웨어(1)는 주머니(2)의 내부로 완전히 수납된 상태가 되며, 멜빵(9)이 외부로 노출되는 주머니 수납단계(S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납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1)를 주머니(2)에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외피(5)가 상부로 향하도록 웨어(1)를 위치시킨다.
이때, 개폐부재(7)는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며, 멜빵(9)은 주머니(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2)에 수납될 웨어(1)를 접어서 주머니(2)의 상부에 포개어 올려놓는다.
이때, 포개진 웨어(1)의 크기가 주머니(2)의 크기와 유사한 상태가 되어야 주머니(2)에 쉽게 진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2)의 상부 개방공간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웨어(1)는 주머니(2)의 측면에 배치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머니(2)를 뒤집어서 주머니(2)의 내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반대로 주머니(2)의 외측은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결국, 주머니(2)의 내부에는 웨어(1)가 수납되고, 외부에는 멜빵(9)이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지퍼를 잠금으로써 웨어(1)는 주머니(2)의 내부로 완전히 수납된 상태가 되며, 멜빵(9)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멜빵(9)을 어께 등에 매어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Claims (4)

  1. 의류(3)에 배치되며,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3방향이 봉합되어 주머니(2)를 형성하는 외피(5)와;
    외피(5)의 상부 개방구에 장착되어 주머니(2)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7)와; 그리고
    주머니(2)의 내부에 장착되어 웨어(1)를 주머니(2)의 내부에 수납한 후, 어깨에 맬 수 있는 멜빵(9)을 포함하며,
    웨어(1)의 양팔(27), 몸체(29), 허리(31)를 연결하는 구간에 부착되고, 그 단부는 주머니(2)에 연결되는 견인테잎(T)을 추가로 포함하며,
    견인테잎(T)을 당김으로써 웨어(1)의 양팔(27), 몸체(29), 허리(31)가 당겨져서 주머니의 내측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 및 휴대가 가능한 웨어(1).
  2. 제 1항에 있어서,
    멜빵(9)은 양단이 주머니(2)의 내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멜빵(9)의 양단과 주머니(2)의 양측 사이에 탄성섬유(11)를 연결함으로써 길이의 가변이 가능한 수납 및 휴대가 가능한 웨어(1).
  3. 삭제
  4. 삭제
KR1020170172508A 2017-12-14 2017-12-14 휴대 가능한 웨어용 수납 주머니 및 수납방법 KR101930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08A KR101930232B1 (ko) 2017-12-14 2017-12-14 휴대 가능한 웨어용 수납 주머니 및 수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08A KR101930232B1 (ko) 2017-12-14 2017-12-14 휴대 가능한 웨어용 수납 주머니 및 수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232B1 true KR101930232B1 (ko) 2018-12-18

Family

ID=6495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08A KR101930232B1 (ko) 2017-12-14 2017-12-14 휴대 가능한 웨어용 수납 주머니 및 수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765B1 (ko) 2020-03-03 2020-04-20 이진화 의복 수납형 주머니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759Y1 (ko) 2001-09-21 2001-12-29 민경옥 다용도 포켓을 갖는 상의
KR200418358Y1 (ko) * 2006-01-31 2006-06-09 (주)신티에스 휴대용 수납주머니가 형성된 재킷
KR200462312Y1 (ko) 2012-06-11 2012-09-05 배정완 상의
US20160066632A1 (en) 2014-09-05 2016-03-10 Francisco Puente Garment convertible into a pillow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759Y1 (ko) 2001-09-21 2001-12-29 민경옥 다용도 포켓을 갖는 상의
KR200418358Y1 (ko) * 2006-01-31 2006-06-09 (주)신티에스 휴대용 수납주머니가 형성된 재킷
KR200462312Y1 (ko) 2012-06-11 2012-09-05 배정완 상의
US20160066632A1 (en) 2014-09-05 2016-03-10 Francisco Puente Garment convertible into a pillow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765B1 (ko) 2020-03-03 2020-04-20 이진화 의복 수납형 주머니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4601B2 (en) Convertible garment and a bag
US20100320241A1 (en) Multi-purpose convertable garment
EP2826399A1 (en) Pocket system to combine the functionality of a bag and apparel
CN109310168A (zh) 带有一体夹包的可转换服装
US4164308A (en) Lady's handbag
US20130232658A1 (en) Scratch-Preventing Mittens
US20150096097A1 (en) Convertible Child Care Garment
US9456642B2 (en) Convertible sport wrap garment
KR101930232B1 (ko) 휴대 가능한 웨어용 수납 주머니 및 수납방법
US6349411B1 (en) Body garment
EP3417729B1 (en) Garment
US20100077530A1 (en) Detachable travel pocket
JP3215364U (ja) 携行用外衣
KR200320475Y1 (ko) 착용을 위한 휴대전화기의 포켓
JP4856927B2 (ja) リュックサック
KR101712646B1 (ko) 앞치마로 사용가능한 레인코트
KR200462992Y1 (ko) 가방 기능이 구비된 바지
CN210988272U (zh) 一种方便旅行的背包一体式上衣
KR200293967Y1 (ko) 팔에 착용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CN218278754U (zh) 可折叠成包的多功能外套
CN220088637U (zh) 一种透气书包式雨衣
CN213310956U (zh) 一种急救包
CN214340211U (zh) 一种实用防寒服
KR20190126275A (ko) 통합 홀더가 있는 컨버터블 의복
TWM542985U (zh) 連結穿戴物的背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