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902U -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8902U KR20090008902U KR2020080002776U KR20080002776U KR20090008902U KR 20090008902 U KR20090008902 U KR 20090008902U KR 2020080002776 U KR2020080002776 U KR 2020080002776U KR 20080002776 U KR20080002776 U KR 20080002776U KR 20090008902 U KR20090008902 U KR 2009000890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 signal transmission
- stretchable
- transmission device
- conducti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6—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e.g. self-coiling cor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4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fibrous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케이블이 선형 구조이면서도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용, 취급,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는, 전기신호 등의 각종 신호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신호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장치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소정 길이의 연결케이블, 상기 연결케이블의 일측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재, 및 상기 연결케이블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케이블은 전체적인 외관 형상이 굴곡부를 갖지 않은 선형 구조이면서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의 인가여부에 따라 신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장치의 연결케이블에 신축성이 부여됨으로써, 이용, 취급, 휴대, 및 보관시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신호, 음성신호, 전기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이 필요한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에는 신호의 전달이나 송수신을 위한 신호전달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신호전달장치로는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있지만, 실생활에서 널리 이용되는 것들로는 이어폰과 연결케이블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어폰은 카세트, MP3, PDA, 휴대폰 등과 같은 장치에서 음성신호를 송수신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기기본체에 접속되는 커넥터와, 인체의 귀 부분에 삽입되는 이어폰 헤드와, 커넥터와 이어폰 헤드와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블은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도선과 이 도선의 외부에 덧씌워지는 피복층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선은 모노음향을 전달하는 용도의 이어폰일 경우 2가닥이 내설되고, 스테레오음향을 전달하는 용도의 이어폰일 경우 3가닥, 마이크를 구비한 이어폰일 경우에는 음성신호의 송신을 위한 도선이 필요하므로 4가닥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선과 피복층 사이에는 음성신호의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다수 가닥의 도전성 미세선이 내설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케이블장치는 컴퓨터, 오디오 등과 같은 장치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서로 관련되는 장치나 기기와의 사이를 연결을 위한 선재 또는 밴드 형태의 장치로서, 일측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커넥터, 타측 장치에 접속되는 제2 커넥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블은 다수의 도선과 이 도선의 외부에 덧씌워지는 피복층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이어폰과 연결케이블장치에 구비되는 케이블은 대개 금속선 도선과 그 외부에 피복되는 합성수지재 피복층으로 이루어지므로, 전혀 신축성을 갖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어폰의 경우 사용자의 휴대 및 활동중에 충분한 사용거리를 고려하여 불필요하게 케이블을 길게 형성하여야 하고, 연결케이블장치의 경우에도 좁은 컴퓨터 본체 내부에서 조립과 분리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하게 위해서 불필요하게 케이블을 길게 형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신호전달장치의 케이블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면, 제작원가가 상승되고, 불필요하게 자원을 낭비하게 되며, 사용시에 케이블이 길게 늘어지게 되어 이용, 휴대, 및 보관이 매우 불편해질 뿐만 아니라, 넓은 휴대공간 또는 넓은 설치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신호전달장치의 케이블이 신축되지 않음에 따라 사용중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통상의 전화기에서는 본체와 수화기를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을 단일 코일 형태로 구성하여 신축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전화기에 적용되는 연결케이블은 단일 구조의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사용시에 쉽게 꼬이게 되어 자주 꼬임상태를 해제해 주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굴곡부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므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고,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한 것으로, 연결케이블이 선형 구조이면서도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용, 취급,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는, 전기신호 등의 각종 신호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신호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장치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소정 길이의 연결케이블, 상기 연결케이블의 일측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재, 및 상기 연결케이블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케이블은 전체적인 외관 형상이 굴곡부를 갖지 않은 선형 구조이면서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의 인가여부에 따라 신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케이블은, 내부 중심부에 위치되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내선, 상기 내선의 외주면에 소정 형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김김되고 도전 또는 신호전달이 가능한 복수의 권취사, 및 상기 내선과 권취사의 외부에 덧씌워지고 신축성과 절연성을 갖는 외피층을 포함하는 신축성 선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선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선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면을 갖는 소정 길이의 신축성 길이부재를 꼬아서 면 수량과 동일 수량으로 서로 격리되게 나선형 홈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나선형 홈부에 상기 권취사가 감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케이블은,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신축성과 절연성을 갖는 외피층과, 상기 외피층의 내부 관통홀에 삽입되고 전기전도성을 갖는 고분자물질과 폴리머로 형성되어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 폴리머 수지층을 포함하는 신축성 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폴리머 수지층은 격벽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케이블은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신축성과 절연성을 갖는 외피층과, 이 외피층의 내부에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내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선에는 직선 또는 나선 형상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상에는 도전성고분자물질이 포함된 졸 형태의 도전성용액이 충진되어 형성된 선축성 선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선은 도전성용액의 수용공간을 복수 개로 분할하도록 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케이블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굴곡부에 의해 소정 길이로 구성되고 도전 또는 신호전달이 가능한 기본 신축선,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2 굴곡부에 의해 소정 길이로 구성되고 상기 기본 신축선의 제1 굴곡부 사이사이로 제2 굴곡부가 끼워져 대응되게 설치되며 도전 또는 신호전달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신축선을 포함하는 신축성 선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2 굴곡부는 나선상 또는 파형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본 선축선과 상기 부가 신축선은 서로 다른 신축율을 갖도록 단위 길이당 굴곡부의 수량이 서로 다르고, 상기 기본 선축선과 상기 부가 신축선 중 굴곡부의 수량이 적은 신축선을 인장 강도가 더 큰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신축선 및 상기 부가 신축선의 외면상으로 덧씌워지고 신축성과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외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피층은, 절연성과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코팅층 또는 절연성과 신축성을 갖는 다수의 섬유사에 의해 엮겨져 편조되는 편조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층에는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입자 또는 도전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매설되고, 상기 연결케이블에 작용되는 인장력에 의하여 제일 먼저 신축 한계에 도달되는 신축길이 조절선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케이블은, 중심부에 신축을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복수의 기본 신축선, 섬유사에 의해 상기 복수의 기본 신축선 사이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제직되어 통 형상의 신축몸체를 형성하는 제직선, 및 상기 신축몸체의 외면상에 신축성을 갖도록 감김되면서 상기 제직선에 의한 제직과정에서 신축몸체에 일체로 엮겨지고 도전 또는 신호전달이 가능한 부가 신축선을 포함하는 신축성 선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신축선은 상기 제직선 보다 단면적이 큰 선재로 구성되어 상기 신축몸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몸체의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신축되도록 이 신축몸체의 중앙에 마련된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되, 중심부에 중공부를 갖는 끈 형태로 편조한 보조 신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 신축부재는 도전사 및 섬유사에 의해 편조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신축선은, 도전성 선형부재와, 이 도전성 선형부재의 외면에 형상기억합금을 코팅, 형성한 형상기억합금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신축선은, 형상기억섬유사와; 상기 형상기억섬유사에 일체로 합사되고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 선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몸체의 단위 길이당 신축범위가 상기 부가 신축선의 신축범위 보다 작아서 상기 부가 신축선의 신축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신축몸체의 내부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내선; 및 상기 내선의 둘레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주름지게 형성된 다수의 완충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몸체에는 도전성 입자 또는 도전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케이블은, 전술한 어느 하나의 신축성 선재를 이용하여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면상의 신축성 밴드로 편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케이블은, 전술한 어느 하나의 신축성 선재와, 섬유사에 의해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면상의 신축성 밴드로 편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성 밴드는, 밴드몸체의 양단에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단자부; 도전성 입자 또는 도전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밴드몸체에 구성되는 노이즈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밴드에 상기 신축성 선재에 의해 소정 경로를 갖는 회로가 설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밴드는, 상기 섬유사에 의해 편직되는 하부밴드층; 상기 하부밴드층에 상기 신축성 선재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편직되는 도전층; 및 상기 도전층의 상측에 하부밴드층에 엮겨지도록 편직되는 상부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복수 개로 구성하되, 절연면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밴드는 신축성을 갖는 상기 섬유사가 위사 및 경사로 엮겨지면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밴드는, 상기 신축성 선재와 상기 섬유사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는 신축돌부를 갖도록 편직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밴드는, 상기 신축성 선재와 상기 섬유사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는 신축돌부를 갖도록 편직하되, 상기 신축돌부의 형성수량이 많은 조밀부와 조밀하지 않은 비조밀부를 갖도록 편직하고, 상기 조밀부에만 상기 신축성 선재가 포함되도록 편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케이블은, 도전사와, 섬유사를 신축성을 갖도록 편직한 신축성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성 밴드는, 도전사를 신축성을 갖는 내선의 둘레로 합사한 선재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신축성을 갖는 상기 섬유사를 이용하여 위사 및 경사로 엮어서 편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속부재, 상기 제2 접속부재, 및 상기 연결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향기를 발산하는 향발생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에 의하면, 제1 접속부재와 제2 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케이블이 신축성을 갖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구성하여도 정해진 사용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신호전달장치의 이용, 취급, 휴대, 및 보관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신호전달장치가 설치되는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의 이용에도 편이성이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연결케이블의 전체적인 외관 형상이 굴곡부를 갖지 않은 선형 구조이면서 신축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연결케이블에서 발생되는 꼬임현상과 같은 문제점이 해소되어 사용 및 보관이 더욱 용이해지고, 쉽게 오염되지 않아 위생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a 및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b 내지 도2g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에 적용되는 연결케이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b 내지 도3d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에 적용되는 연결케이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b 및 도4c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에 적용되는 연결케이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연결케이블의 제1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6c 내지 도6f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연결케이블의 제2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6g 및 도6h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연결케이블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7a 및 도7b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9a 및 도9b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연결케이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11a 내지 도11h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제1 접속부재 80:제2 접속부재
100,200,300,500,600,700,800:연결케이블
110:권취사 120,220,320,530:외피층
130,310:내선 150,240:신축길이조절선
210:도전성 폴리머 수지층 330:도전성용액
510,610,710:기본 신축선 520,620,730:부가 신축성
720:편직선 740:신축몸체
750:보조 신축부재 810:밴드몸체
820:단자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a 내지 도11h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1a 내지 도11h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첨부도면 도1a 및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는, 영상신호, 음성신호, 전기신호 등과 같은 각종 신호와, 전류의 통전, 및 데이터의 송수신 등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소정 길이의 연결케이블(100), 연결케이블(100)의 일측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재(70), 및 연결케이블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재(8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케이블(100)은 전체적인 외관 형상이 선형이면서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의 인가여부에 따라 신축되게 구성된다.
상기 제1 접속부재 및 제2 접속부재는 커넥터, 이어폰 헤드, 헤드폰 헤드, 수화기, 연결잭, 스피커, 등과 같이, 영상신호, 음성신호, 전기신호 등과 같은 각종 신호와, 전류의 통전, 및 데이터의 송수신 등을 위한 공지의 장치나 수단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도1a에서는 제1 접속부재를 커넥터로, 제2 접속부재를 이어폰 헤드로, 연결케이블을 신축성 선재로 구성하였고, 도1b에서는 제1 접속부재와 제2 접속부재를 모두 커넥터로, 연결케이블을 신축성 밴드로 구성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연결케이블로 적용되는 신축성 선재와 신축성 밴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b 내지 도2g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에 적용되는 연결케이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연결케이블(100)은,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심부에 위치되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내선(130), 내선(130)의 외주면에 소정 형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감기게 되고 도전 또는 신호전달이 가능한 복수의 권취사(110), 및 상기 내선(130)과 권취사(110)의 외부에 덧씌워지고 신축성과 절연성을 갖는 외피층(120)으로 이루어진 신축성 선재로 구성된다.
상기 권취사(110)는 미세동선, 탄소섬유, 도전성물질이 코팅된 섬유사 등의 도전사나,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광섬유(POF)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선(130)과 권취사(110)의 외부에 덧씌워지는 외피층(120)은 신축성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선(130) 및 외피층(120)은 신축성 실리콘수지(silicone resin)로 형성되거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트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실리콘 수지에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황토분말 등의 물질이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음이온이 방사되는 토르말린, 키토산분말 등의 물질 또는 인광석과 같은 발광물질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선(130)은 신축성이 향상되도록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층(120)은,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성과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코팅층으로 구성되거나, 도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성과 신축성을 갖는 다수의 섬유사에 의해 엮겨져 편조되는 편조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2e에 도시된 편조층은 섬유사를 이용하여 운동화끈 등과 같은 각종 끈 형태의 길이부재를 제조하는 편조기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즉, 편조기의 중심부에 권취사(110)를 포함하는 내선(130)을 위치한 다음 그 둘레에 섬유사 등을 공급하여 엮겨지도록 편조하여 구성한다. 편조층의 편조에 이용되는 섬유사는 사용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특정 색상 또는 서로 다른 혼합 색상이 선택될 수 있고, 야광물질 또는 촉광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층(120)에는 권취사(110)로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노이즈가 방지되도록 하는 노이즈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노이즈방지수단은 도2b 및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층에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입자(141)를 포함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외피층(120)을 도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조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노이즈방지수단으로서 복수의 도전사를 포함하도록 한다. 노이즈방지수단으로 부가되는 도전사로는 미세 금속선, 탄소섬유사, 및 섬유사에 도전성입자가 코팅된 섬유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층(120)을 편조층으로 하는 경우, 도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조층과 내선(130) 사이에 복수의 신축사(160;스판사 등)를 배치하여 구조적인 안정성과 내인장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연결케이블(100)에 반복적으로 외력이 작용되는 신호전달장치(예컨대 수화기와 같이 비교적 큰 외력이 반복적으로 작용되는 장치)에 적용할 경우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연결케이블(100)에는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길이조절선(150)을 구비한다. 이러한, 신축길이조절선(150)은, 연결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매설되어, 이 연결케이블에 작용되는 인장력에 의하여 제일 먼저 신축 한계에 도달되는 고강성 재질의 선재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신축길이조절선(150)은 권취사(110) 보다는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에 의해 먼저 일자형으로 펼쳐지면서 더 이상 권취사(110)를 신장되지 않게 하여 파단이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한편, 내선(130)은 도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김되는 권취사(110)가 서로 격리되도록 함으로써, 권취사(110) 사이의 절연성이 향상되고 노이즈의 차단효과가 극대화되도록 권취사(110)의 삽입을 위한 나선형 홈부(13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나선형 홈부를 구비한 내선(130)은 내선을 형성함에 있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면을 갖는 소정 길이의 신축성 길이부재를 꼬아서 말게 되면 이 신축성 길이부재의 면 수량과 동일 수량의 나선형 홈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케이블(100), 제1 접속부재(70), 및 제2 접속부재(80)에는 신호전달장치의 사용중에 향이 발산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쾌적함을 느끼도록 향발생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향발생수단는 특정 향료를 함유하는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거나 미세한 향입자(얇은 외막의 내부에 향료를 포함하도록 형성한 통상의 입자)를 분무하여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케이블(100)에 향입자를 부착하여 구성하게 되면, 그 신축과정에서의 마찰에 의해 향입자의 외막이 손상되고 이로 인해 내부의 향기가 외부로 발산된다.
첨부도면, 도3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b 내지 도3d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에 적용되는 연결케이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케이블(200)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관통홀을 갖는 선형부재로 형성된 신축성 절연 재질의 외피층(220)과, 상기 외피층(220)의 내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도전성 폴리머 수지층(210)으로 이루어진 신축성 선재로 구성된다.
상기 외피층(220)은 실리콘수지(silicone resin)로 형성되거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신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성 폴리머 수지층(210)은 전기전도성을 갖도록 도전성고분자물질의 용액과 섬유형성 폴리머가 혼합된 형태로서, 이에 적용되는 도전성고분자물질의 용액은 예컨대 수용성 폴리아닐린용액 또는 수용성 폴리머용액에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금속산화물입자를 혼합한 것이고, 섬유형성 폴리머는 실리콘수지(silicone resin),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전성 폴리머 수지층(210)은 격벽(212)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되게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의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폴리머 수지층(210)의 내부 중심에는 관통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폴리머 수지층(210)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면 전체적인 단면적이 감소되어 상대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향상되고,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케이블(200)은 도전성 폴리머 수지층(210)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노이즈가 방지되도록 하는 노이즈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노이즈방지수단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층(220)에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입자(221)를 포함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고, 외피층이 편조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노이즈방지수단으로서 복수의 도전사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케이블(200)에는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길이조절선(240)을 구비한다. 이러한, 신축길이조절선(240)은, 연결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매설되어, 이 연결케이블에 작용되는 인장력에 의해 대해 제일 먼저 신축 한계에 도달되는 고강성 재질의 선재로 구성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4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b 및 도4c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에 적용되는 연결케이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케이블(300)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내부에 관통홀을 갖는 선형부재로 형성된 신축성 절연재질의 외피층(320)과, 이 외피층(3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내선(310)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선(310)에는 직선형상으로 관통홀(311)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311)상에는 도전성고분자물질이 포함된 졸(sol) 형태의 도전성용액(330)이 충진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선(310)은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의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용액의 수용공간을 복수 개로 분할하도록 격벽(312)을 구비하거나,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선을 쌍 봉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용액(330)은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금속산화물입자 등으로 구성된 도전성고분자물질에 예컨대 수용성 폴리아닐린용액 또는 수용성 폴리머용액이 혼합 구성된 것이다.
첨부도면, 도5a 및 도5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다.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부도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케이블(500)은 기본 신축선(510)과, 이 기본 신축선(510)에 설치되는 부가 신축선(520)를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성 선재로서, 상기 기본 신축선(510)과 상기 부가 신축선(520)의 결합시에 신축을 위한 공간부(도면부호 생략)가 마련되므로 길이방향으로의 신축성이 배가되고 이와 동시에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도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기본 신축선(510)은 미세한 선형부재(512)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굴곡부(511)에 의해 소정 길이로 구성된다.
부가 신축선(520)은 기본 신축선(510)과 마찬가지로 미세한 선형부재(522)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2 굴곡부(521)에 의해 소정 길이로 구성되되, 상기 기본 신축선(510)의 제1 굴곡부(511) 사이사이로 제2 굴곡부(521)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부가 신축선(5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본 신축선(510) 및 부가 신축선(520)은 전류의 통전과 음성, 영상 등의 다양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도전 또는 신호전달이 가능한 선형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선형부재는 그 자체가 도전성 선재일 수도 있고, 도전성을 갖지 않은 선재에 도금방식(전기, 화학 등의 다양한 도금), 증착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도전성 금속이 코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본 신축선(510)과 상기 부가 신축선(520)은 도전성 선형부재(512,522)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 그 외면에 형성되는 절연층(513,523)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기본 신축선(510)과 상기 부가 신축선(520)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굴곡부(511) 및 제2 굴곡부(521)를 나선상(대략 코일스프링 형태)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나선상의 제1 굴곡부(511) 및 제2 굴곡부(521)에 의해 상기 기본 신축선(510)과 상기 부가 신축선(520)이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그 내부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 형태의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기본 신축선(510) 및 부가 신축선(520)을 나선상으로 감는 방법은 반도체 등의 소형물품의 제조에 적용되는 마이크로 스프링의 제조장치와 같이 선재를 코일 형태로 권취하는 장치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6a 및 도6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연결케이블의 제1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 기본 신축선과 부가 신축선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신축선(510)과 상기 부가 신축선(520)은 서로 다른 신축율을 갖도록 기본 신축선 및 부가 신축성 중 어느 하나의 신축선은 단위길이당 굴곡부의 수량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본 선축선과 상기 부가 신축선 중 굴곡부의 수량이 적은 신축선을 인장 강도가 더 큰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에 의해 굴곡부의 수량이 상대적으로 작고 인장강도가 큰 신축선이 먼저 일자형으로 펼쳐지면 더 이상 다른 신축선이 신장되지 않도록 하여 일정한 인장력 범위 내에서는 신축성의 파단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연결케이블(500)은 그 사용시에 특정 변태온도에서 신축되기 전의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된 선형부재와, 이 선형부재의 외면에 도전성 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금속이 선택되어 코팅, 형성되는 도전성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선형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형상기억합금으로는 이 분야에 널리 알려진 조성비로 구성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코팅층은 도전성을 갖는다면 다양한 금속이 채택될 수 있지만, 비교적 도전성이 크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금(Au), 은(Ag), 및 동(Cu)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본 신축선(510) 및 상기 부가 신축선(520)은, 별도의 도면으로 첨부하지는 않았지만, 섬유사와, 이 섬유사의 외면에 도전성 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금속이 선택되어 코팅, 형성되는 도전성코팅층으로 구성된 선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섬유사는 신축성 선재의 사용목적 및 용도에 따라 천연섬유사 및 합성섬유사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지만, 인장강도, 강인성, 및 내열성이 큰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가 바람직할 것이다.
도전성코팅층은 도금방식(전기, 화학 등의 다양한 도금), 증착방식, 도포방식 등의 다양한 코팅방식에 의해 도전성 금속을 코팅하거나, 도전성 폴리머 수지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폴리머 수지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고분자물질과 폴리머를 혼합하여 수지 형태로 형성한 물질로서, 고분자물질로는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금속산화물입자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고, 폴리머는 실리콘수지(silicone resin),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신축선(510) 및 상기 부가 신축선(520)은, 도전성 선형부재의 외면에 형상기억합금을 증착방식으로 코팅하여 형상기억합금코팅층을 형성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기본 신축선(510) 및 부가 신축선(520)을 구성하게 되면, 신축성 선재가 사용과정에서 신축되더라도 설정된 특정 변태온도에 이르게 되면 형상기억합금코팅층으로 인해 신축되기 전의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므로 정확한 원상복귀상태를 요구하는 신호전달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기본 신축선(510) 및 상기 부가 신축선(520)은, 도6b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가닥으로 형성하되, 형상기억섬유사와, 이 형상기억섬유사에 일체로 합사되고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 선형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형상기억섬유사와 도전성 선형부재는 적어도 각각 1개 이상이 서로 합사된다. 그리고, 형상기억섬유사는 형상기억고분자수지에 의해 성형한 섬유사이거나, 통상의 섬유사에 형상기억고분자수지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형상기억고분자수지는 소정 온도에서 변태되는 형상기억 폴리머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형상기억 폴리머 수지로는 노소렉스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6c 내지 도6f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연결케이블의 제2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본 신축선 및 부가 신축선의 외부에 부가되는 외피층의 형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6c 내지 도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신축선(510) 및 부가 신축선(520)의 외면상으로 덧씌워지는 신축성 재질의 외피층(530)을 더 포함한 것이다. 이 외피층(530)은 그 내부에 수용되는 기본 신축선 및 부가 신축성의 신축시에 연동되도록 신축성을 가져야 하고, 내부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수성 및, 전기적인 절연이 가능하도록 절연성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외피층(530)에는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을 갖는 다수의 도전성입자를 포함하거나, 도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도전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피층(530)에 포함되는 도전성입자(531)나 도전사(532)는 기본 신축선(510) 및 부가 신축선(520)으로 신호들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노이즈방지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전성입자(531)는 금속나노입자, 금속산화물, 금속산화물입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전사(532)는 동선과 같은 미세 금속선, 탄소섬유사, 및 섬유사에 도전성입자가 코팅된 섬유사 등이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외피층(530)의 일예로 가장 쉽게는 신축성과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코팅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외피층의 소재로는 충분한 신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신축성 실리콘수지(silicone resin)로 형성되거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트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로 형성할 수 있다.
외피층(530)의 다른 예로는 도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신축선(510) 및 부가 신축선(520)의 외면상으로 끼워지고 절연성과 신축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중 공부를 갖는 호스 형태(530a)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피층(530)을 합성수지재 코팅층으로 형성하거나, 호스 형태(530a)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노이즈방지수단으로서 도전성입자(53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f는 외피층(53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층을 절연성과 신축성을 갖는 다수의 섬유사에 의해 엮겨져 편조되는 편조층(530b)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편조층(530b)은 섬유사를 이용하여 운동화끈 등과 같은 각종 끈 형태의 길이부재를 제조하는 편조기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즉, 편조기의 중심부에 기본 신축선(510) 및 부가 신축선(520)의 결합체를 위치한 다음 그 둘레에 섬유사(534) 등이 엮겨지도록 편조하여 구성한다. 이때, 외피층(530)에 노이즈방지수단으로서 미세 금속선, 탄소섬유사, 및 섬유사에 도전성입자가 코팅된 섬유사 중 어느 하나의 도전사(532)를 투입하여 함께 편조하게 되면 노이즈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6g 및 도6h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연결케이블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축길이조절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다.
도6g 및 도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신축선(510) 및 부가 신축선(520)에 신축 가능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축길이조절선(540)을 매설하여 구성한 것이다.
신축길이조절선(540)은 기본 신축선(510) 및 부가 신축선(520) 보다는 굴곡부(511,521)의 수량을 적게 하여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에 의해 먼저 신축길이조절선(540)이 일자형으로 펼쳐지면 더 이상 기본 신축선 및 부가 신축선이 신장되지 않게 되므로 신축성 선재의 신축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7a 및 도7b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본 신축선과 부가 신축선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굴곡부(611)에 의해 소정 길이로 구성된 기본 신축선(610)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2 굴곡부(621)에 의해 소정 길이로 구성되어 기본 신축선(610)의 제1 굴곡부(611) 사이사이로 제2 굴곡부(621)가 끼워져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신축선(6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굴곡부(611) 및 상기 제2 굴곡부(621)가 파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제1 및 제2 굴곡부(611,621)의 파형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의 인가여부에 따라 신축되는 파형이라면, 사인파(sin), 코사인파(cos), 펄스파(직사각형파, 삼각파, 반정형파, 가우스파 등), 톱니파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신축성(610)과 부가 신축성(620)의 결합방향은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되게 하거나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축선상이 되도록 할 수 있고, 그 외에도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본 신축선(610)과 상기 부가 신축선(620)은 도전성 선형부재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 그 외면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4 실시예의 도6a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기본 신축선(610)과 부가 신축선(620)의 단위길이당 굴곡부의 수량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서로 다른 신축율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구체적으로 기술하지는 않지만,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나타난 변형예들을 제5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선재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첨부도면 도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케이블(700)은, 중심부에 신축을 위한 공간부(741)를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복수의 기본 신축선(710), 섬유사에 의해 상기 복수의 기본 신축선 사이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편직되어 통 형상의 신축몸체(740)를 형성하는 편직선(720), 및 신축몸체(740)의 외면상에 신축성을 갖도록 감김되면서 편직선에 의한 편직과정에서 신축몸체(740)에 일체로 엮겨지는 부가 신축선(730)을 포함한다.
기본 신축선(710)은, 중심부에 소정 형태의 공간부(741)를 형성하도록 신축 가능한 선형부재를 3개 이상 배치함으로써 편직선(720)에 의한 편조 후에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골격을 구성하게 된다. 이 기본 신축선(710)은 신축성을 갖는다면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 다양한 종류의 선형부재가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성 섬유사로 널리 알려진 스판사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부가 신축선(730)은 인장력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신축몸체(740)에 나선상 또는 파형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부가 신축선(730)은 절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전선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동선에 합성수지 절연 피복층이 형성된 선형부재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부가 신축선(730)은 편직선(720) 보다 단면적이 큰 선재로 구성되어 신축몸체(74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부가 신축선(730)의 세부구조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일 예로, 도전성 선형부재의 외면에 형상기억합금을 코팅하여 형상기억합금코팅층을 형성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 신축선(730)의 다른 예로서, 형상기억섬유사와, 이 형상기억섬유사에 일체로 합사되고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 선형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케이블(700)은 신축몸체(740)의 단위 길이당 신축범위가 부가 신축선(730)의 신축범위 보다 작아서 부가 신축선의 신축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신축몸체(740)의 신축범위가 부가 신축선(730)보다 작으므로 이 신축몸체(740)가 최대로 늘어나게 되면 부가 신축선이 더 이상 늘어나지 않게 되면서 손상이나 파단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리고, 신축몸체(740)을 형성하는 편직선(720)에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입자를 포함하거나, 편직선(720)의 일부 가닥으로 도전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입자나 도전사는 부가 신축선(730)으로 전달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부가 신축선(730)에도 전술한 도전성입자나 도전사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신축몸체(740) 및 부가 신축선(730)의 표면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폴리머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폴리머 코팅층은 전자기기의 사용중에 발생되는 유해한 전자파를 차단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9a 및 도9b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연결케이블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의 변형예로는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몸체(740)의 내부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내선(760)과, 이 내선(760)의 둘레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주름지게 형성된 다수의 완충사(77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완충사(770)은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주름지게 삽입,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인장력에 대해 신축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내선(760)에 의해 강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완충사(770)에 의해 내부 공간이 채워지므로 일정한 볼륨감을 갖는 신호전달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9b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신축몸체(740)의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신축되는 보조 신축부재(750)를 더 구비한 것으로, 이 보조 신축부재(750)는 신축몸체(740)의 중앙에 마련된 공간부에 삽입, 설치된다.
보조 신축부재(750)는 중심부에 중공부를 갖도록 끈 형태로 편조한 것으로, 이러한, 보조 신축부재(750)는 섬유사만으로 편조되거나 섬유사에 도전사가 혼사되어 편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6 실시예에 따른 연결케이블(700)은, 섬유사를 이용하여 운동화끈 등과 같은 각종 끈 형태의 길이부재를 제조하는 편조기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즉, 편조기에 기본 신축선(710)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장력을 작용시키면서 공급하고, 이 기본 신축선의 둘레로 편직선(720)을 공급하여 신축몸체를 형성하도록 하는 동시에 편직선(720)의 공급측과 접하여 부가 신축선(730)을 공급하여 편직선(720)에 의해 부가 신축선(730)이 신축몸체(740)에 엮겨져 고정되도록 하여 제조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10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1a 내지 도11h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서는 연결케이블을 신축성 밴드로 구성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제7 실시예의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에 적용되는 연결케이블(800)은, 전술한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나타난 신축성 선재를 이용하여 소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편직한 면상의 신축성 밴드로 구성된다.
신축성 밴드는 전술한 신축성 선재로만 구성될 수도 있지만, 전술한 신축성 선재와, 섬유사를 사용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혼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축성 밴드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밴드몸체(810)에 도전성을 갖는 신축성 선재에 의해 평행하게 전달라인(801)을 편직하거나,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밴드의 밴드몸체(810)에 신축성 선재에 의해 소정 경로를 갖는 회로(c)가 설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설계되는 회로는 간단한 직렬 또는 병렬 전기회로 뿐만 아니라 복잡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을 대신할 수 있는 정도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신축성 밴드는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사가 위사(a) 및 경사(b)로 엮겨지면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섬유사는 신축성이 뛰어나고 비전도성 특성을 갖는 스판사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밴드는, 밴드몸체(810)의 양단에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단자부(8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단자부(820)는 도전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이나 부재로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사를 밴드몸체(810)의 양단에 조밀하게 편직하여 제1 접속부재(70) 및 제2 접속부재(80)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신축성 밴드에 도전성 입자를 코팅, 부착하거나 도전사를 함께 편직하는 방식으로 더 포함함으로써, 신호의 전달과정에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외에, 신축성 밴드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폴리머를 코팅하여 전자파의 방사를 차폐할 수 있다.
도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밴드는, 섬유사에 의해 편직되는 하부밴드층(811), 하부밴드층(811)의 표면에 신축성 선재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편직되는 도전층(812), 및 도전층(812)의 상측에 하부밴드층(811)에 엮겨지도록 편직되는 상부밴드층(813)을 구비한다.
그리고, 도전층(812)의 형성수량 및 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1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도전층(812)을 복수 개로 구성하되, 도전층(812)의 사이에는 절연면(814)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함으로써 인접되는 도전층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상기 신축성 밴드는 도11d(신축성 밴드 전체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선재와 섬유사를 이용하여 밴드몸체(810)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는 신축돌부(d)를 갖도록 편직함으로써 신축작용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신축돌부(d)의 형태는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에 대해 신축성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신축돌부(d)의 일 예로는 도11e(도11d의 C-C선 단면) 및 도11f(도11d의 D-D선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a)와 경사(b)에 의해 신축성 밴드를 형성하되, 위사(a)와 엮겨지는 경사(b) 부분이 밴드몸체(810)의 상부 및/또는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신축성 선재와 섬유사를 이용하여 밴드몸체(810)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돌부(d)를 갖도록 편직하되, 도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돌부의 형성수량이 많은 조밀부(e)와 조밀하지 않은 비조밀부(f)를 갖도록 편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의 신축성 밴드에 조밀부(e)와 비조밀부(f)를 일체로 형성하게 되면, 조밀부(e)는 비조밀부(f) 보다 상대적으로 신축범위가 크게 되므로 서로 다른 신축범위를 갖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신축성 밴드에 인장력을 작용시키게 되면, 비조밀부(f)측이 먼저 최대 신축범위만큼 늘어나 더 이상 신장되지 않으면서 조밀부(e)측이 늘어나지 않도록 하는 신축길이 조절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조밀부측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조밀부(f)에 의해 과도한 신축이 방지되므로 조밀부(e)측에만 도전성을 갖는 신축성 선재를 포함하도록 편직하게 되면, 인장력에 의한 신축과정에서도 신축성 선재의 손상이나 파단이 방지되므로 안정되게 각종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신축성 밴드의 세부구조는 전술한 도10 내지 도11f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1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선재(도11g의 확대 부분은 신축성 선재의 일 적용예를 도시한 것이다)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경사로 배치하고 스판사를 위사로 하여 일정 폭을 갖는 복수의 도전면(817)을 밴드몸체(810)를 편직하되, 일정 부분에는 경사로서 스판사를 사용하여 편직함으로써 일정 간격의 절연면(818)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각 도전면(817)은 서로 다른 색상의 경사를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서 연결케이블로 적용되는 신축성 밴드는 전술한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나타난 신축성 선재 외에 도전성 또는 신호전달이 가능한 다른 선재에 의해서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1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사(m)를 신축성을 갖는 내선(n)의 둘레로 합사한 선재를 길이방향(경사;b)으로 배치하고, 신축성을 갖는 섬유사를 위사(a)로 하여 편직할 수 있다. 이때, 내선(n)이 스판사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소재이고, 도전사(m) 또한 내선(n)에 감김되는 구조로서 신축성을 갖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밴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전사(m)를 신축성을 갖는 내선(n)의 둘레로 합사한 선재와, 섬유사를 이용한 신축성 밴드를 형성함에 있어서, 전술한 도10 내지 도11g에 도시된 형태의 신축성 밴드로도 구성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2)
- 전기신호 등의 각종 신호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신호전달장치에 있어서,상기 신호전달장치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소정 길이의 연결케이블, 상기 연결케이블의 일측 단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재, 및 상기 연결케이블의 타측 단부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연결케이블은 전체적인 외관 형상이 굴곡부를 갖지 않은 선형 구조이면서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인장력의 인가여부에 따라 신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케이블은, 내부 중심부에 위치되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내선, 상기 내선의 외주면에 소정 형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김김되고 도전 또는 신호전달이 가능한 형성된 복수의 권취사, 및 상기 내선과 권취사의 외부에 덧씌워지고 신축성과 절연성을 갖는 외피층을 포함하는 신축성 선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내선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내선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면을 갖는 소정 길이의 신축성 길이부재를 꼬아서 면 수량과 동일 수량으로 서로 격리되게 나선형 홈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나선형 홈부에 상기 권취사가 감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케이블은,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신축성과 절연성을 갖는 외피층과, 상기 외피층의 내부 관통홀에 삽입되고 전기전도성을 갖는 고분자물질과 폴리머로 형성되어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 폴리머 수지층을 포함하는 신축성 선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도전성 폴리머 수지층은 격벽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케이블은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신축성과 절연성을 갖는 외피층과, 이 외피층의 내부에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내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선에는 직선 또는 나선 형상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상에는 도전성고분자물질이 포함된 졸 형태의 도전성용액이 충진되어 형성된 선축성 선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내선은 도전성용액의 수용공간을 복수 개로 분할하도록 격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케이블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굴곡부에 의해 소정 길이로 구성되고 도전 또는 신호전달이 가능한 기본 신축선,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제2 굴곡부에 의해 소정 길이로 구성되고 제1 굴곡부 사이사이로 제2 굴곡부가 끼워져 대응되게 설치되며 도전 또는 신호전달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신축선을 포함하는 신축성 선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2 굴곡부는 나선상 또는 파형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기본 선축선과 상기 부가 신축선은 서로 다른 신축율을 갖도록 단위길이당 굴곡부의 수량이 서로 다르고, 상기 기본 선축선과 상기 부가 신축선 중 굴곡부의 수량이 적은 신축선을 인장 강도가 더 큰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기본 신축선 및 상기 부가 신축선의 외면상으로 덧씌워지고 신축성과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외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2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외피층은, 절연성과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코팅층 또는 절연성과 신축성을 갖는 다수의 섬유사에 의해 엮겨져 편조되는 편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외피층에는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입자 또는 도전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매설되고, 상기 연결케이블에 작용되는 인장력에 의하여 제일 먼저 신축 한계에 도달되는 신축길이 조절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케이블은, 중심부에 신축을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복수의 기본 신축선, 섬유사에 의해 상기 복수의 기본 신축선 사이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제직되어 통 형상의 신축몸체를 형성하는 제직선, 및 상기 신축몸체의 외면상에 신축성을 갖도록 감김되면서 상기 제직선에 의한 제직과정에서 신축몸체에 일체로 엮겨지고 도전 또는 신호전달이 가능한 선재로 구성된 부가 신축선을 포함하는 신축성 선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부가 신축선은 상기 제직선 보다 단면적이 큰 선재로 구성되어 상기 신축몸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신축몸체의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신축되도록 이 신축몸체의 중앙에 마련된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되, 중심부에 중공부를 갖는 끈 형태로 편조한 보조 신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보조 신축부재는 도전사 및 섬유사에 의해 편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부가 신축선은, 도전성 선형부재와, 이 도전성 선형부재의 외면에 형상기억합금을 코팅, 형성한 형상기억합금코팅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부가 신축선은,형상기억섬유사와;상기 형상기억섬유사에 일체로 합사되고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 선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신축몸체의 단위 길이당 신축범위가 상기 부가 신축선의 신축범위 보다 작아서 상기 부가 신축선의 신축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신축몸체의 내부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신축성 재질의 내선; 및상기 내선의 둘레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주름지게 형성된 다수의 완충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신축몸체에는 도전성 입자 또는 도전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제2항 내지 제12항,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의 신축성 선재를 이용하여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면상의 신축성 밴드로 편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제2항 내지 제12항,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신축성 선재와, 섬유사에 의해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면상의 신축성 밴드로 편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밴드는,밴드몸체의 양단에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단자부;도전성 입자 또는 도전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밴드몸체에 구성되는 노이즈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밴드에 상기 신축성 선재에 의해 소정 경로를 갖는 회로가 설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밴드는,상기 섬유사에 의해 편직되는 하부밴드층;상기 하부밴드층에 상기 신축성 선재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편직되는 도전층; 및상기 도전층의 상측에 하부밴드층에 엮겨지도록 편직되는 상부밴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29항에 있어서,상기 도전층은 복수 개로 구성하되, 절연면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밴드는 신축성을 갖는 상기 섬유사가 위사 및 경사로 엮겨지면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밴드는, 상기 신축성 선재와 상기 섬유사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는 신축돌부를 갖도록 편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밴드는, 상기 신축성 선재와 상기 섬유사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는 신축돌부를 갖도록 편직하되, 상기 신축돌부의 형성수량이 많은 조밀부와 조밀하지 않은 비조밀부를 갖도록 편직하고, 상기 조밀부에만 상기 신축성 선재가 포함되도록 편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케이블은,도전 또는 신호전달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신호전달사와, 섬유사를 신축성을 갖도록 편직한 신축성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밴드는, 도전사를 신축성을 갖는 내선의 둘레로 합사한 선재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신축성을 갖는 상기 섬유사를 이용하여 위사 및 경사로 엮어서 편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밴드에 상기 신호전달사에 의해 소정 경로를 갖는 회로가 설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밴드는,상기 섬유사에 의해 편직되는 하부밴드층;상기 하부밴드층에 상기 신호전달사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편직되는 도전층; 및상기 도전층의 상측에 하부밴드층에 엮겨지도록 편직되는 상부밴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도전층은 복수 개로 구성하되, 절연면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밴드는, 상기 신호전달사와 상기 섬유사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는 신축돌부를 갖도록 편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39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밴드는, 상기 신호전달사와 상기 섬유사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는 신축돌부를 갖도록 편직하되, 상기 신축돌부의 형성수량이 많은 조밀부와 조밀하지 않은 비조밀부를 갖도록 편직하고, 상기 조밀부에만 상기 신축성 선재가 포함되도록 편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34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 밴드는,밴드몸체의 양단에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단자부;도전성 입자 또는 도전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밴드몸체에 구성되는 노이즈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접속부재, 상기 제2 접속부재, 및 상기 연결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향기를 발산하는 향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2776U KR20090008902U (ko) | 2008-02-28 | 2008-02-28 |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2776U KR20090008902U (ko) | 2008-02-28 | 2008-02-28 |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8902U true KR20090008902U (ko) | 2009-09-02 |
Family
ID=4130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2776U KR20090008902U (ko) | 2008-02-28 | 2008-02-28 |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8902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515606A (ja) * | 2014-05-20 | 2017-06-15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聴覚保護器具など個人用保護器具のためのテザー |
CN114360778A (zh) * | 2022-01-29 | 2022-04-15 | 江西博硕电子有限公司 | 一种可伸缩的线材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2008
- 2008-02-28 KR KR2020080002776U patent/KR20090008902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515606A (ja) * | 2014-05-20 | 2017-06-15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聴覚保護器具など個人用保護器具のためのテザー |
CN114360778A (zh) * | 2022-01-29 | 2022-04-15 | 江西博硕电子有限公司 | 一种可伸缩的线材及其制备方法和应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276163A1 (en) | Electronic device accessories formed from intertwined fibers | |
US9788469B2 (en) | Optical cable with electromagnetic field shield layer | |
US6828501B2 (en) | Cable | |
JP5124902B2 (ja) | シールドケーブル | |
JP5488649B2 (ja) | シールドケーブル | |
KR20090008902U (ko) | 신축성을 갖는 신호전달장치 | |
ES2694809T3 (es) | Enchufe para un conector miniaturizado | |
JP2016067508A (ja) | 内視鏡用織物状ケーブル及びこれを用いた内視鏡ケーブル | |
KR100944051B1 (ko) | 신축 공간부를 구비한 신축성 선재 | |
CN217588520U (zh) | 一种环保型发光电线 | |
CN216412697U (zh) | 弹性线束结构 | |
KR20090092194A (ko) | 신축 공간부를 구비한 신축성 선재 | |
JP2004533102A (ja) | 電気ケーブル | |
JP6654739B2 (ja) | 漏洩同軸ケーブル | |
CN113707367A (zh) | 弹性线束结构及其制造方法 | |
CN219979181U (zh) | 信号反馈伺服电缆 | |
CN221040585U (zh) | 一种高抗压线缆 | |
CN212152627U (zh) | 一种弹性导电织带 | |
CN214152506U (zh) | 抗弯曲型4芯绝缘电缆 | |
CN213303674U (zh) | 一种高柔性机器人用盘键电缆 | |
CN213601636U (zh) | 一种新型超柔阻燃的编织纱线 | |
JP2014002919A (ja) | ケーブル、多芯ケーブル | |
KR20170104266A (ko) | 코일 변형 구조의 전기기기 연결용 길이 가변 전선 | |
WO2020233718A1 (zh) | 一种发光线缆 | |
CN117275826A (zh) | 一种高速差分线缆及其差分信号线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