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880A -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880A
KR20090008880A KR1020070072204A KR20070072204A KR20090008880A KR 20090008880 A KR20090008880 A KR 20090008880A KR 1020070072204 A KR1020070072204 A KR 1020070072204A KR 20070072204 A KR20070072204 A KR 20070072204A KR 20090008880 A KR20090008880 A KR 20090008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nimation
specific
user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880A/ko
Publication of KR2009000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아 학습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상기 특정 동작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미지 변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 입장에서는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과 제공받음으로써, 상상력, 사고력, 심미적인 능력 및 언어 발달 능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단어/문장에 대한 학습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유아, 학습, 교육, 이미지, 애니메이션, 변환, 단어, 문장

Description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for Infants by Using Image Conversion, System,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 학습자에게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제공하고, 유아 학습자(또는 보호자)가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선택한 후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을 입력하는 경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특정 단어/문장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유아기는 발달이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인간 발달의 기초가 형성되는 단계이다. 즉, 발달심리 학자들은 인간이 4 세를 전후하여 두뇌의 약 50 %정도가 발달 되고, 7 세가 되면 약 80 %정도가 발달 된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4 세 내지 7 세의 유아의 두뇌를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일찍부터 그림, 글자 및 숫자 등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학습시키거나, 적절하게 움직이는 체육활동을 통해 유아들의 두뇌개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골격 발달은 영유아기에 급속하게 성장하다가 아동기에는 약간 저조해지고 다시 청년기에 두드러진 성장을 하는 일생 중 2 번의 급등기를 보인다. 이때, 신체 발달에 있어 뇌세포의 발달은 초기에 왕성하게 발달한다. 출생 당시 거의 연결되지 않은 채 드문드문 존재하던 뇌세포가 신경초의 발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이 과정은 생후 2 년 동안에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6 세 이후에는 이 과정이 상당히 약화된다. 즉, 뇌세포의 발달은 6 세 이전의 유아기의 경험(자극), 영양, 정서적 안정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이다.
정신분석학자들은 인간의 성격형성 기초가 5 세 이전에 확립된다고 한다. 프로이드, 에릭슨에 의하면 5 세 이전의 경험 특히 이유, 대소변 훈련,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경험은 그 아동의 성격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전술한 경험과 관련하여 부모가 애정을 가지고 일관성 있게 수용적으로 대처하면 아동은 원만한 성격을 형성할 수 있지만 반대로 부모가 지나치게 강압적이고 아동의 요구에 무관심하면 아동은 강박적이고 공격적인 성격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종래에는 아동의 지적인 능력은 주로 지능에 의해 판정되었으며 지능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되었다. 하지만, 1960년대에 들어와 아동의 인지발달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는 비판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피아제, 브루너, 헌트, 블룸 등을 중심으로 한 인지 발달론자들은 아동의 인지적 가능성과 환경의 중요성 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아 시기의 학습은 유아가 성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이며, 유아기의 지적발달은 가정과 유치원, 어린이집의 교육적 환경에 거의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특히 인간의 좌뇌와 우뇌의 균형적인 발달을 위해서는 유아 시기의 학습은 필수적이다.
즉, 인지발달, 사회성발달, 정서성발달 등은 유아 교육을 통해서 발달되어 지므로, 유아 시기의 학습은 균형적인 두뇌개발을 위한 밑거름이자 튼튼한 바탕이 되는 것이다.
유아는 신체적인 움직임 및 두뇌 학습을 통하여 잠재된 행동에 변화를 일으키며, 특히 흥미 중심의 활동과 경험을 통해서 욕구충족 및 질서의식을 함양하고 협동심을 기르며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친 사회성을 형성한다.
즉, 이러한 유아들의 신체적인 움직임 및 두뇌 학습으로 인해 소극적이거나 내성적인 유아의 경우, 적극적이고 활발한 성격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며, 친구나 이웃과 잘 어울리지 않는 유아들에게 단체 적응력을 길러주는 것이며, 이기적이고 독단적인 성격이나 발표력, 통솔력이 부족한 유아들의 성격을 개선시켜 줌으로써, 유아기의 두뇌 학습은 협동심과 리더쉽을 길러주며 친 사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아 시기에 특정 이미지를 출력한 후 이를 변환함으로써, 상상력, 사고력, 심미적인 능력 및 언어 발달 능력이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 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아 학습자에게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제공하고, 유아 학습자(또는 보호자)가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선택한 후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을 입력하는 경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특정 단어/문장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아 학습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상기 특정 동작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미지 변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이미지 변환 서버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아 학습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을 산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상기 특정 동작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서버 통신부 및 서버 저장부를 구비하며,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상기 특정 동작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입력 모듈 및 출력 모듈을 구비한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입력 모듈로부터 상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상기 특정 동작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상기 출력 모듈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 학습자에게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제공하고, 유아 학습자(또는 보호자)가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선택한 후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을 입력하는 경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특정 단어/문장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학습자(즉, 유아) 입장에서는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과 제공받음으로써, 상상력, 사고력, 심미적인 능력 및 언어 발달 능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단어/문장에 대한 학습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 유무선 통신망(120) 및 이미지 변환 서버(1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각종 웹 페이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부동산 교육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와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사용자 단말기(110) 내에 설치되어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개념으로 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사용자를 인증되는 경우, 도 6과 같은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10)에 출력되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10)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특정 단어/문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에 해당하는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특정 동작을 적용하여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110)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무선 통신망(12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망(120)에 대한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의 개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인증되는 경우, 도 6과 같은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에 해당하는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특정 동작을 적용하여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서버 통신부(210), 서버 제어부(220) 및 서버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버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와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버 제어부(220)는 서버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서버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110)가 인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사용자 단말기(110)가 인증되는 경우, 도 6과 같은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버 제어부(220)는 서버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에 해당하는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특정 동작을 적용하여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버 저장부(230)는 서버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특정 단어/문장, 특정 동작 및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통신 모듈(310), 입력 모듈(320), 출력 모듈(330), 저장 모듈(340) 및 제어 모듈(350)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310)은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이미지 변환 서버(130)와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 모듈(32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 모듈(35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를 생성하거나,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아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모듈(35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 모듈(330)은 사용자 단말기(110)의 영상 출력부로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문자, 숫자 및 이미지 등의 형태로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텍스트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 모듈(340)은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특정 단어/문장, 특정 동작 및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 모듈(350)은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입력 모듈(320)로부터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인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사용자가 인증되는 경우, 도 6과 같은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추출하여 출력 모듈(3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한 후 입력 모듈(320)로부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이 출력 모듈(3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 모듈(350)은 입력 모듈(320)로부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에 해당하는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특정 동작을 적용하여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출력 모듈(3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아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이미지 변환 서버(130)에 접속한다(S410).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아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 한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를 이미지 변환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가 인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20).
여기서,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는 사용자 성명, 아이디, 패스워드 또는 주민등록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20의 확인 결과,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가 인증되는 경우,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전송한다(S430).
여기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은 도 6과 같을 수 있으나,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이미지 변환 서버(130)로부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수신하여 출력하며, 사용자(유아 학습자 또는 보호자)의 조작에 의한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아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40).
단계 S440의 확인 결과,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450).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6과 같은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에서 '(4) 강아지'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 후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단어 또는 문장의 입력을 요청하는 특정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함과 동시에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강아지에 적용할 수 있는 단어 또는 문장을 입력하세요.'라는 멘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60).
예를 들어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강아지)을 수신하여 출력하며, 사용자(유아 학습자 또는 보호자)의 조작에 의한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아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이미지 변환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60의 확인 결과,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 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특정 동작을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적용하여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470).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조작하여 '앉다'를 입력한 경우,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앉다'에 해당하는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입력받은 후 분석하여, 특정 동작(즉, 앉는 동작)을 산출하고,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앉는 동작'을 적용하여 도 7의 (b)와 같은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조작하여 '달리다'를 입력한 경우,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달리다'에 해당하는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입력받은 후 분석하여, 특정 동작(즉, 달리는 동작)을 산출하고,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달리는 동작'을 적용하여 도 7의 (c)와 같은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단계 S470에서는 이미지 변환 서버(130)에서 특정 동작을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적용하여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것만을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실제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특정 동작에 해당하는 동작 수 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서버 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하는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유무선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이미지 변환 서버(130)로부터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단계 S450 내지 단계 S470에서는 이미지 변환 서버(130)가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한 후 그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만을 언급하고 있는 이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실제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는 이미지 변환 서버(130)가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함과 동시에 도 7과 같이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한 후 사용자 단말기(110)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에 해당하는 특정 단어/문장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접속을 종료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사용자 단말기(110)가 접속을 종료하는 경우, 서비스를 종료한다(S480).
한편, 확인 결과 사용자 단말기(110)가 접속을 종료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 변환 서버(130)는 단계 S430 내지 단계 S470을 반복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아 이미 지 변환 프로그램(112)을 구동한다(S510).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요청 화면을 출력 모듈(3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입력 모듈(320)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아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입력 모듈(3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가 인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20).
여기서,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는 사용자 성명, 아이디, 패스워드 또는 주민등록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20의 확인 결과,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가 인증되는 경우,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출력 모듈(330)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530).
여기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은 도 6과 같을 수 있으나,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출력 모듈(330)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의 출력부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되게 하며, 사용자(유아 학습자 또는 보호자)의 조작에 의한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아 유아 학습용 이미지/ 에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입력 모듈(320)로부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40).
단계 S540의 확인 결과,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추출하여 출력 모듈(330)로 출력되도록 한다(S550).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6과 같은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에서 '(4) 강아지'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 모듈(330)로 출력한 후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단어 또는 문장의 입력을 요청하는 특정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를 출력 모듈(330)로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출력 모듈(330)은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함과 동시에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에 해당하는 '강아지에 적용할 수 있는 단어 또는 문장을 입력하세요.'라는 멘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입력 모듈(320)로부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60).
예를 들어서, 출력 모듈(330)은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강아지)을 출력하 며, 입력 모듈(320)로부터 사용자(유아 학습자 또는 보호자)의 조작에 의한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은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단계 S560의 확인 결과,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특정 동작을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적용하여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출력 모듈(330)로 출력되도록 한다(S570).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조작하여 '꼬리치다'를 입력한 경우,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입력 모듈(320)로부터 '꼬리치다'에 해당하는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 분석하여, 특정 동작(즉, 꼬리치는 동작)을 산출하고,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에 '꼬리치는 동작'을 적용하여 도 7의 (e)와 같은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출력 모듈(330)로 출력되게 하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조작하여 '일어서다'를 입력한 경우,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입력 모듈(320)로부터 '일어서다'에 해당하는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 분석하여, 특정 동작(즉, 일어서는 동작)을 산출하고,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일어서는 동작'을 적용하여 도 7의 (f)와 같은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출력 모듈(330)로 출력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단계 S570에서는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에서 특정 동작을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적용하여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것만을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실제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특정 동작에 해당하는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저장 모듈(340)로부터 추출하는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출력 모듈(330)은 도 7과 같이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한다.
단계 S550 내지 단계 S570에서는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이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한 후 그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만을 언급하고 있는 이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실제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는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이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함과 동시에 도 7과 같이 '강아지'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한 후 출력 모듈(330)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에 해당하는 특정 단어/문장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프로그램 구동을 종료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사용자가 프로그램 구동을 종료하는 경우, 프로그램을 종료한다(S580).
한편, 확인 결과 사용자가 프로그램 구동을 종료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112)은 단계 S530 내지 단계 S570을 반복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아 학습자에게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제공하고, 유아 학습자(또는 보호자)가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선택한 후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을 입력하는 경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특정 단어/문장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컨텐츠 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 학습자(즉, 유아) 입장에서는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과 제공받음으로써, 상상력, 사고력, 심미적인 능력 및 언어 발달 능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단어/문장에 대한 학습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사용자 단말기 112: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
120: 유무선 통신망 130: 이미지 변환 서버

Claims (8)

  1.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아 학습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상기 특정 동작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미지 변환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이미지 변환 서버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아 학습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을 산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상기 특정 동작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서버 통신부 및 서버 저장부를 구비하며,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상기 특정 동작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 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서버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서버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가 인증되는 경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6. 입력 모듈 및 출력 모듈을 구비한 이미지 변환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로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입력 모듈로부터 상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 중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특정 단어/문장 입력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상기 특정 동작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상기 출력 모듈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 선택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특정 이미지/애니메이션에 대한 특정 단어/문장 입력 요청 신호를 상기 출력 모듈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출력 모듈로 사용자 인증 요청 신호를 출력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 모듈로부터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 인증 응답 신호가 인증되 는 경우 유아 학습용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상기 출력 모듈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072204A 2007-07-19 2007-07-19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20090008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204A KR20090008880A (ko) 2007-07-19 2007-07-19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204A KR20090008880A (ko) 2007-07-19 2007-07-19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80A true KR20090008880A (ko) 2009-01-22

Family

ID=4048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204A KR20090008880A (ko) 2007-07-19 2007-07-19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8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53B1 (ko) * 2010-03-09 2012-01-31 한솔인티큐브 주식회사 대화형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594723B1 (ko) * 2022-07-14 2023-10-25 김성택 독서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독서 학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53B1 (ko) * 2010-03-09 2012-01-31 한솔인티큐브 주식회사 대화형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594723B1 (ko) * 2022-07-14 2023-10-25 김성택 독서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독서 학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walramani et a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interfaced robotic toy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A case for children’s inquiry literacy
Chen Exploring the application scenarios and issues facing Metaverse technology in education
Goncalves et al. Narrative therapy and the nature of “innovative moments” in the construction of change
Bevan et al. Learning through STEM‐rich tinkering: Findings from a jointly negotiated research project taken up in practice
Zhang Pedagogical challenges of spoken English learning in the Second Life virtual world: A case study
Arnold et al. Conceptualising teacher education and research as ‘critical praxis’
Zhang Secure preschool edu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and metaverse technologies
Cochrane Mobilising learning: A primer for utilising wireless palm devices to facilitate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Wang et al. Potential applications of the metaverse in higher English education
Ng et al. Promoting Social Emotional Learning through Shared Book Reading: Examining Teacher’s Strategies and Children’s Responses in Kindergarten Classrooms
KR20090008880A (ko)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 유아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Logan et al. Sustainability and Museum Education: What Future are we educating for?
Rosson et al. Developing an online community for women in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s: A design rationale analysis
Matsuo et al. New functions for stimulating learners' motivation in a web-based e-learning system
Stephens Connected learning: Evaluating and refining an academic community blogging platform
Hagge Viral affirmation as pressure to perform: Exploring the role of affect in participatory culture
Brander Considering culture in CALL research
Johnson et al. Diversity in content
KR101194635B1 (ko) 패러프레이즈를 이용하여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Allen Supporting the generation Z nursing student i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Koehnecke Increasing literacy through storytelling
Buchanan et al. The University of Wyoming Early Childhood Summer Institute: A mode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leads to changes in practice
Reyes An English Learner as a Cultural Broker for Youth Interviews.
Weber Lighting Their Own Path: Student-Created Wikis in the Commedia Classroom
Rejan Cultivating Confusion in Teaching The Turn of the Scr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