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790A -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dmb 수신기 - Google Patents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dmb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790A
KR20090008790A KR1020070072033A KR20070072033A KR20090008790A KR 20090008790 A KR20090008790 A KR 20090008790A KR 1020070072033 A KR1020070072033 A KR 1020070072033A KR 20070072033 A KR20070072033 A KR 20070072033A KR 20090008790 A KR20090008790 A KR 20090008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re information
dmb
broadcast signal
genr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7007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790A/ko
Publication of KR2009000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DMB 방송 신호를 장르 정보 신호 및 채널 정보 신호로 분리함으로써, 사용자가 DMB 방송을 수신함에 있어 채널별 선택뿐만 아니라 장르별로도 상기 DMB 방송을 선택할 수 있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DMB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해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수신된 상기 DMB 방송 신호를 재생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를 하는 재생 신호 생성부; 수신된 상기 DMB 방송 신호 중에서 상기 DMB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장르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DB화하여 관리하는 장르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DMB 수신기{METHOD FOR RECEIVING DMB CAPABLE OF GENRE IDENTIFICATION AND DMB RECEI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DMB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DMB 방송 신호를 장르 정보 신호 및 채널 정보 신호로 분리함으로써, 사용자가 DMB 방송을 수신함에 있어 채널별 선택뿐만 아니라 장르별로도 상기 DMB 방송을 선택할 수 있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DMB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은 1987년부터 유럽에서 결성한 Eureka-147(European REserch Coordination Agency project-147) 공동 프로젝트 명칭으로서, 이동 수신에서 고음질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AB 개발 초기의 주요 목적은 오디오 및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것이었으나, 국내 도입 단계에서 오디오 중심의 DAB를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유럽의 Eureka-147 방식을 국내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이러한 DMB는 광의의 개념으로는 고정형 DMB(DVB-T, DVB-S), 이동형 DMB(DAB-T, DAB-S), 데이터 방송, 케이블 방송 등의 모든 방송을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이동형 DMB로 한정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DMB를 "이동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사용되고 있다.
DMB는 크게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나눠진다.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DAB와 통신사업자의 MMB(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사업의 일환인 PMSB(Personal Mobile Satellite Broadcasting)가 방송, 통신 컨버전스 시대를 맞아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서비스 중심의 멀티미디어 방송으로 통합되어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진화하였다.
도 1은 EUREKA-147 시스템의 앙상블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AB 또는 DMB에 사용되고 있는 EUREKA-147 시스템의 방송 구조는, AM/FM 방송이 하나의 주파수에 하나의 방송을 송신함과는 달리 하나의 주파수상에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된 방송인 서비스와 그 구성요소인 서비스 컴포넌트 다수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즉, EUREKA-147 시스템의 앙상블(Ensemble; 방송주파수 선택시 전송되는 오디오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들의 묶음) 구조는 서비스 관련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FIB(Fast Information Block)와 그 하부요소인 FIG(Fast Information Group)으로 구성된 FIC(Fast Information Channel)와 실제 오디오 서비스를 포함하며 서브채널(Sub-Channel)의 묶음으로 구성된 MSC(Main Service Channel: 주 서비스 채널)로 이루어진다.
한편, EUREKA-147 기반의 DAB 또는 DMB 수신기를 구현함에 있어 FIC(Fast Information Channel) 파싱을 통한 앙상블, 서비스(Service), 서비스 컴포넌트(Service Component), 프로그램 형식(Program Type: PTY) 등 서비스 데이터의 표시는 DAB 또는 DMB 수신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 중 하나이다. 이러한 앙상블, 서비스, 서비스 컴포넌트는 사용자가 주파수를 직접 입력하여 신호를 검출하는 주파수 수동 입력 방식의 방송 선택 또는 FM/AM 방송과 유사한 주파수 오토-스캔(Auto-Scan) 방식을 이용하여 검색되며, 이렇게 검색된 앙상블, 서비스, 서비스 컴포넌트 및 PTY 등을 이용함으로써 청취자는 청취하고자 하는 방송을 선택 청취할 수 있다.
전술한 DAB 또는 DMB 수신기는 채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찾고자 하는 경우 채널 선택을 하기 위한 시간 소요가 많아졌으며, 채널의 장르 분포가 랜덤하므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DMB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장르 정보 신호 및 채널 정보 신호로 분리하여, 사용자가 DMB 방송을 채널뿐만 아니라 장르별로도 선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편의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DMB 수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해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수신된 상기 DMB 방송 신호를 재생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를 하는 재생 신호 생성부; 수신된 상기 DMB 방송 신호 중에서 상기 DMB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장르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DB화하여 관리하는 장르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는 상기 장르 정보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채널 선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의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는 상기 DMB 방송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는 상기 DMB 방송 신호 중에서 상기 DMB 방송 신호 제 공자가 삽입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DMB 수신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는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장르 정보 관리부는 추출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는 상기 재생 신호 생성부와 별도의 베이스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재생 신호 생성부는 상기 DMB 방송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복조하여, 상기 복조한 신호를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DMB 수신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디코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은 (a) 안테나로부터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DMB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한 DMB 방송 신호를 DB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은 (d) 상기 수신된 DMB 방송 신호를 재생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DMB 방송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b) 단계는, (b- 2) 상기 DMB 방송 신호 중에서 상기 DMB 방송 신호 제공자가 삽입한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c) 단계는, (e) 추출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갱신하여 DB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는 수신된 DMB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장르 정보 신호 및 채널 정보 신호로 분리하여, 사용자가 DMB 방송을 채널뿐만 아니라 장르별로도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는 RF 수신부(210), 재생 신호 생성부(220), 장르 정보 추출부(230) 및 장르 정보 관리부(24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50) 및 디코딩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F 수신부(210)는 안테나를 통해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 다.
재생 신호 생성부(220)는 RF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상기 DMB 방송 신호를 재생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생 신호 생성부(220)는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DMB 방송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신호는 예컨대,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여 복조하며, 상기 복조된 DMB 방송 신호를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장르 정보 추출부(230)는 수신된 상기 DMB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장르 장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장르 정보 추출부(230)는 상기 DMB 방송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DMB 방송 신호의 패턴은 예컨대, 상기 DMB 방송 신호의 채널 정보에 따른 신호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장르 정보 추출부(230)는 상기 DMB 방송 신호 중에서 상기 DMB 방송 신호 제공자가 삽입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DMB 방송 신호 제공자는 상기 DMB 방송 신호에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 예컨대, 드라마, 영화, 뉴스 등의 텍스트 정보를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텍스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장르 정보 추출부(230)는 주기적으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장르 정보 추출부(230)는 RF 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한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상기 DMB 수신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기저장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갱신하여 새로운 DB로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르 정보 추출부(230)는 재생 신호 생성부(220)와 별도의 베이스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생 신호 생성부(220)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70)을 통해 DMB 방송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별도의 베이스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므로, 재생 신호 생성부(220)가 상기 DMB 방송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장르 정보 관리부(240)는 장르 정보 추출부(230)에서 추출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DB화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장르 정보 관리부(240)는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각 장르별로 구분하여 DB로 관리될 수 있으며, 상기 DB는 장르 정보 추출부(230)에서 주기적으로 추출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에 따라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장르 정보 관리부(240)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채널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또한, 재생 신호 생성부(220)에서 복조된 상기 DMB 방송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채널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예컨대, 리모콘일 수 있다.
디코딩부(260)는 재생 신호 생성부(220)에서 복조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DMB 수신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7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코딩부(260)는 장르 정보 관리부(240)에 저장된 상기 DB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50)에 의해 선택된 상기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310). 상기 DMB 방송 신호는 R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DMB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320). 이때,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는 상기 DMB 방송 신호의 패턴, 예컨대, 상기 DMB 방송 신호의 채널 정보에 따른 신호를 분석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MB 방송 신호 중에서 상기 DMB 방송 신호 제공자가 삽입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 예컨대, 드라마, 영화, 뉴스 등의 텍스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는 장르 정보 추출부에 의해 주기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한 DMB 방송 신호를 DB화한다(단계 330).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는 장르 정보 관리부에 각 장르별로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에서 DMB 수신기에 DMB 방송 신호가 수신되거나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에 주기적으로 추출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기저장된 상기 DB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DB화된 장르 정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 되면, 디코딩하여 상기 DMB 수신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340).
또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은 R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DMB 방송 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재생 신호 생성부와 별도의 베이스밴드를 사용하므로 재생 신호 생성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때, 재생 신호 생성부는 수신된 DMB 방송 신호를 재생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할 수 있으며, 상기 DMB 방송 신호는 재생 신호 생성부에 의해 복조된다. 상기 복조된 DMB 방송 신호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되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디코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여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EUREKA-147 시스템의 앙상블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RF 수신부 220 : 재생 신호 생성부
230 : 장르 정보 추출부 240 : 장르 정보 관리부
250 : 사용자 인터페이스 260 : 디코딩부
270 :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5)

  1. 안테나를 통해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수신된 상기 DMB 방송 신호를 재생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를 하는 재생 신호 생성부;
    수신된 상기 DMB 방송 신호 중에서 상기 DMB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장르 정보 추출부;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DB화하여 관리하는 장르 정보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르 정보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채널 선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는 상기 DMB 방송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는 상기 DMB 방송 신호 중에서 상기 DMB 방송 신호 제공자가 삽입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는 주기적으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DMB 수신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는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장르 정보 관리부는 추출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르 정보 추출부는 상기 재생 신호 생성부와 별도의 베이스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신호 생성부는 상기 DMB 방송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복조하여, 상기 복조한 신호를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DMB 수신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디코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기.
  10. (a) 안테나로부터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DMB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한 DMB 방송 신호를 DB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d) 상기 수신된 DMB 방송 신호를 재생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DMB 방송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2) 상기 DMB 방송 신호 중에서 상기 DMB 방송 신호 제공자가 삽입한 장르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e) 추출한 상기 장르 정보 데이터를 갱신하여 DB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KR1020070072033A 2007-07-19 2007-07-19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dmb 수신기 KR20090008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033A KR20090008790A (ko) 2007-07-19 2007-07-19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dmb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033A KR20090008790A (ko) 2007-07-19 2007-07-19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dmb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90A true KR20090008790A (ko) 2009-01-22

Family

ID=4048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033A KR20090008790A (ko) 2007-07-19 2007-07-19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dmb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7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3343B2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media broadcast channels
CN101014133B (zh) 提供数字多媒体广播辅助功能的装置和方法
KR100630191B1 (ko) 지상파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RU2383997C2 (ru) Установление соответствия между унифицированным идентификатором ресурса и идентификатором для справочника услуг
WO200301315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ed selection of audion channels
EP1659715B1 (en) Digital broadcast method, apparatus and data structure
JPH10327111A (ja) Dab受信機の番組受信方法
JP4048632B2 (ja) デジタル音声放送の受信機
KR100810238B1 (ko) 지상파 dmb 시스템에서 듀얼 튜너를 이용하여수신기능을 향상시키는 dmb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08790A (ko) 장르 구분이 가능한 dmb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dmb 수신기
KR100744385B1 (ko) 방송 미리보기 서비스 제공을 위한 dmb 단말기 및 방법
KR100698753B1 (ko) Dmb 단말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자동 실행 방법 및 예약 저장 방법
KR10083135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송신방법 및 수신방법
KR200369938Y1 (ko) 유레카-147 기반의 방송 수신기
KR10051155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와 그의 동작방법
KR10090848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기의 채널검색수신감도 개선방법
KR20070016011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시의 자동 채널 설정 방법 및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2007001600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시의 서비스 맵 구현 방법 및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20060105186A (ko) 방송프로그램 시작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253174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방송채널 알림 방법
CN102055541A (zh) 多路复用广播接收机
KR100633984B1 (ko) 화면의 부분 확대가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타송출 및 수신 방법
JP2000224064A (ja) デジタル音声放送の受信機
KR101184477B1 (ko) 프로그램 타입의 우선순위에 따른 채널 자동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Gleave Digital radio takes 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