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783U -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 - Google Patents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783U
KR20090008783U KR2020080002593U KR20080002593U KR20090008783U KR 20090008783 U KR20090008783 U KR 20090008783U KR 2020080002593 U KR2020080002593 U KR 2020080002593U KR 20080002593 U KR20080002593 U KR 20080002593U KR 20090008783 U KR20090008783 U KR 200900087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ded
oil
oil cooler
water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2020080002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783U/ko
Publication of KR200900087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8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두 개의 탱크(11)(12) 사이에는 압출성형된 다수의 압출튜브(13)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탱크(11)(12)에 연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인접하는 압출튜브(13, 13) 사이에는 열교환 효율을 향상하도록 핀(14)이 삽입되며, 적층된 압출튜브(13, 13) 중의 최외측 압출튜브에는 강성과 전열단면적을 높이도록 주름진 외판(15)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탱크(11)(12)에는 오일입구부재(17) 및 오일출구부재(18)가 결합되며, 상기 두 개의 탱크(11)(12)와 압출튜브(13)와 외판(15)과 오일입구부재(17) 및 오일출구부재(18)는 가조립되어 브레이징됨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압출성형된 압출튜브가 핀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고 주름진 외판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오일쿨러의 누설가능부위가 줄고 강성과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Laminated oil cooler of water-cooling type}
본 고안은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쿨러의 누설 가능 부위를 줄이고 강성과 성능을 향상한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에 관한 것이다.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오일은 자동변속기가 변속될 때 윤활작용을 하여 마찰력을 최대한 줄여줌과 동시에 자동변속기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흡수하여 자동변속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마찰열을 흡수하여 소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오일은 그 상태에서는 더 이상의 마찰열 흡수가 잘 안되므로 오일에 흡수된 열을 방열시켜 냉각시켜 주어야만 하는데, 이러한 자동변속기의 오일 냉각은 보통 엔진의 냉각수를 식혀주는 라디에이터의 하단에 상기 자동변속기의 오일이 통과되는 수냉식 오일쿨러를 설치하여 오일이 오일쿨러를 통과할 때 그 주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면서 오일의 열이 방열되어 냉각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수냉식 오일쿨러는 원통형 오일쿨러와 적층형 오일쿨러로 나누어진다. 상기 원통형 오일쿨러는 그 단면적이 라디에이터 헤드탱크의 크기에 따라 한정되고, 냉각성능의 증대를 필요로 할 경우 별도의 보조 오일쿨러를 장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튜브플레이트(1)가 적층되어 그 내부에 오일이송공간이 형성되고, 적층된 튜브플레이트의 양측에 오일입구(2) 및 오일출구(3)가 각각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는 수냉식 원통형 오일쿨러에 비해 한정된 헤더탱크 단면적을 최대로 이용하고 고효율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는 프레스 가공한 판을 적층하여 오일쿨러를 제조하므로, 적층되어 용착되는 부위가 많으므로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오일이 누설된 가능성이 높아지고, 종래 수냉식 원통형 오일쿨러는 성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적층튜브의 수를 늘려야 하지만 오일쿨러가 설치되는 라디에이터 탱크의 크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성능향상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일쿨러의 누설 가능 부위를 줄이고 강성을 높이고 성능이 향상된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는, 두 개의 탱크 사이에는 압출성형된 다수의 압출튜브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탱크에 연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인접하는 압출튜브 사이에는 열교환 효율을 향상하도록 핀이 삽입되며, 적층된 압출튜브 중의 최외측 압출튜브에는 강성과 전열단면적을 높이도록 주름진 외판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탱크에는 오일입구부재 및 오일출구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와 압출튜브와 핀과 외판과 오일입구부재 및 오일출구부재는 가조립되어 브레이징됨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수냉식 적층형 오일탱크에 의하면, 오일쿨러의 누설가능부위가 줄고 강성을 높이고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도2의 오일쿨러의 일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일측탱크 12 : 타측탱크
13 : 압출튜브 14 : 핀
15 : 상판 17 : 오일입구부재
18 : 오일출구부재
이하,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를 나타내는 입면도이고, 도3은 도2의 오일쿨러의 일측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10)는 일측탱크(11)와 타측탱크(12) 사이에는 압출성형된 다수의 압출튜브(13)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일측탱크(11) 및 타측탱크(12)에 연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인접하는 압출튜브(13, 13) 사이에는 열교환 효율을 향상하도록 핀(14)이 삽입되며, 적층된 압출튜브(13, 13) 중의 최외측 압출튜브에는 강성과 전열단면적을 높이도록 주름진 외판(15)이 결합되고, 상기 일측탱크(11)의 측부에는 오일입구부재(17)가 결합되고, 상기 타측탱크(12)의 측부에는 오일출구부재(18)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일측탱크(11)와 타측탱크(12)와 압출튜브(13)와 핀(14)과 외판(15)과 오일입구부재(17) 및 오일출구부재(18)는 가조립되어 브레이징됨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다.
상기 압출튜브(13)는 그 내부에 오일통로가 형성된 알루미늄재의 납작튜브로 되어 있고, 상기 핀(14)은 주름진 코루케이트 핀이나 이너핀 등 다양한 형상의 핀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핀(14)은 클래드 소재이면 어떠한 형상의 핀도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오일쿨러가 라디에이터(도시안됨)에 조립된 후 상기 오일입구부재(17) 및 오일출구부재(18)에는 파이프가 조립된다.
상기 외판(15)은 오일쿨러의 전체적 강성을 높이고, 주름진 형태로 최외측의 압출튜브(13) 외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전열면적이 증가되므로 오일쿨러의 높이한계 내에서 열교환 성능을 최대로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외판(15)의 주름은 굴곡되거나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는, 압출성형된 압출튜브가 핀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있으므로, 오일쿨러의 누설가능부위가 줄어 품질이 안정되고 오일쿨러의 유로와 튜브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주름진 외판을 결합하여 강성을 높이고 오일쿨러의 높이한계내에서 전열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열교환 성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오일쿨러는 전체를 알루미늄으로 하여 일체 브레이징이 가능하므로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하기가 용이하다.

Claims (2)

  1. 두 개의 탱크(11)(12) 사이에는 압출성형된 다수의 압출튜브(13)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탱크(11)(12)에 연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인접하는 압출튜브(13) 사이에는 열교환 효율을 향상하도록 핀(14)이 삽입되며,
    적층된 압출튜브(13, 13) 중의 최외측 압출튜브에는 강성과 전열단면적을 높이도록 주름진 외판(15)이 결합되고,
    상기 각 탱크(11)(12)에는 오일입구부재(17) 및 오일출구부재(18)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탱크(11)(12)와 압출튜브(13)와 핀(14)과 외판(15)과 오일입구부재(17) 및 오일출구부재(18)는 가조립되어 브레이징됨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
KR2020080002593U 2008-02-27 2008-02-27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 KR200900087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593U KR20090008783U (ko) 2008-02-27 2008-02-27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593U KR20090008783U (ko) 2008-02-27 2008-02-27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83U true KR20090008783U (ko) 2009-09-01

Family

ID=4130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593U KR20090008783U (ko) 2008-02-27 2008-02-27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78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1857A (zh) * 2017-08-02 2017-11-28 芜湖精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三腔室回油冷却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1857A (zh) * 2017-08-02 2017-11-28 芜湖精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三腔室回油冷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71840A (ja) 液冷ヒートシンクおよびその設計方法
JP4941398B2 (ja) 積層型冷却器
JP2010121925A (ja) 熱交換器
KR101163995B1 (ko) 오일쿨러
CN113383205B (zh) 换热器
JP6160385B2 (ja) 積層型熱交換器
JP4857074B2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WO2011114616A1 (ja) 沸騰冷却装置
KR20090008783U (ko)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
KR101170689B1 (ko) 오일쿨러
KR100389699B1 (ko) 수냉식 열교환기
KR20100082074A (ko) 오일쿨러
KR20090005935U (ko)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
KR101408949B1 (ko) 오일쿨러 내장형 라디에이터
JP5772608B2 (ja) 熱交換器
KR102069804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장치
KR20090008782U (ko) 수냉식 적층형 오일쿨러
KR101068100B1 (ko) 단위부재 및 그 단위부재를 이용한 자동차 변속기의 오일 쿨러
KR100770474B1 (ko) 수냉식 및 공냉식이 가능한 오일쿨러를 갖는 라디에이터
KR100666927B1 (ko) 헤더형 열교환기
KR102533346B1 (ko) 일체형 열교환기
JPH10141875A (ja) 熱交換器
CN216253685U (zh) 一种逆变器模组
KR101472793B1 (ko) 오일쿨러
KR20230115727A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