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750U -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750U
KR20090008750U KR2020080002559U KR20080002559U KR20090008750U KR 20090008750 U KR20090008750 U KR 20090008750U KR 2020080002559 U KR2020080002559 U KR 2020080002559U KR 20080002559 U KR20080002559 U KR 20080002559U KR 20090008750 U KR20090008750 U KR 200900087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pout
protrusion
contain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동수
Original Assignee
여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동수 filed Critical 여동수
Priority to KR2020080002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750U/ko
Publication of KR20090008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5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77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로 간편하게 뚜껑을 개폐할 수 있는 용기로서, 외주에 다수의 걸림턱이 등분 형성된 주둥이와 숄더에 반구상 돌기가 등분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주둥이를 개폐하는 뚜껑은 걸림턱에 맞물릴 수 있는 긴체돌기를 내주면에 구비하고, 하단 외주에는 상기 돌기에 끼워지는 고정공이 형성된 위치고정날개가 연장 형성되어서, 몸체와 뚜껑 사이는 상기 걸림턱에 긴체돌기가 맞물리면서 위치고정날개의 고정공으로 반구상 돌기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긴밀하게 연결되고, 뚜껑을 수평으로 약간 돌려서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반구상 돌기가 벗어나게 하여 뚜껑을 열 수 있는 구성으로 된 식품 용기이다.

Description

식품 용기{vessel contain for food}
본 고안은 간장, 식용유, 액젓 등의 장류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로서, 특히 원터치로 간편하게 뚜껑을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된 액체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상, 겔상, 분말상의 다양한 종류로 이용되고 있는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 구조의 것이 실용화되고 있으나, 기능면에서 대별하여 보면 용기를 외기와 차단시켜 저장하는 기밀 용기, 뚜껑이 열린 것을 표시하는 개봉 표시용기, 뚜껑을 손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간편 개폐 용기로 나눌 수 있다.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 용기는, 그 용도에 따라 제각각 독특한 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간편 개폐 용기의 경우는 뚜껑과 몸체 사이의 결합력이 다른 종류에 비해 다소 취약해 질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간편 개폐 용기는 외부에서 약간의 타격이 가해져도 열리는 단점이 있다.
종래에 이와 같은 간편 개폐 용기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 몸체의 주둥이 주변부 하측 둘레에 몇 개의 짧은 수평 홈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대응하는 뚜껑의 안쪽 면에는 상기 홈으로 끼워지는 돌기를 형성한 구조의 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 용기는 뚜껑의 안쪽 면에 형성된 돌기가 용기 몸체의 홈으로 끼워지면서 뚜껑과 몸체가 결합 되기 때문에 상당히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뚜껑을 살짝 돌려주면 돌기가 짧은 수평 홈에서 벗어나면서 쉽게 개봉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용기에서 겪게 되는 불편함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뚜껑의 안쪽 면에 형성된 돌기를 외부에서 볼 수 없으므로 뚜껑을 씌울 때에 돌기와 수평 홈이 쉽게 맞물리도록 하기 위하여 다각 형상으로 제작할 수밖에 없는 제한이 있다.
즉, 몸체와 뚜껑은 동일한 다각 입방체로 형성해야만 뚜껑을 쉽게 닫아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한은 제품의 디자인을 다변화할 수 없게 할 뿐만 아니라, 다각 입방체는 원통체에 비해 금형 가공도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제품 원가도 비싸진다.
본 고안자는 한국 실용신안 출원 제20-2005-18129호를 제안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바 있다.
제안한 용기의 몸체는 평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주둥이 가장자리의 바로 밑에 형성되는 둘레 턱은 몸체를 4등분 하여 대칭을 이루는 지점에서 높게 위치하는 등고점과 낮게 위치하는 등저점을 이루도록 곡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등고점과 등저점의 바로 위에는 각각 짧은 수평 홈을 부여한 형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뚜껑도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가장자리 하단 면에는 둘레 턱의 등저점에 부합되는 스커트를 연장하고, 그 안쪽 면으로 짧은 수평 홈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수평홈과 돌기 사이의 맞물림으로 뚜껑이 씌워질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의 용기는, 뚜껑의 간편 개폐기능을 갖춤에 따라 사용하기가 편리하게 되지만, 뚜껑이 옆으로 약간만 돌아가도 열리게 되어 밀봉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편 계폐기능을 갖추면서도 몸체에서 뚜껑이 예기치 않게 돌아가는 일이 없게 개량한 구조의 식품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은, 몸체의 주둥이 외주 면으로 걸림 턱이 다수로 형성되고, 뚜껑의 내주 면에는 상기 걸림 턱에 맞물리는 긴체 돌기가 다수로 형성된 구성의 식품용기로서, 상기 몸체의 주둥이 하측으로 형성되는 숄더의 상면에 반구상 돌기를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뚜껑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반구상의 돌기에 끼워지게 되는 고정공이 중심에 형성된 위치 고정날개를 다수로 연장 형성한 구성으로 된다.
몸체의 반구상 돌기와 뚜껑의 위치 고정날개는 동일한 수량으로, 또한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반구상 돌기가 위치 고정날개의 고정공으로 끼워지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뚜껑은 닫힌 상태에서 위치 고정날개가 반구상 돌기에 의해 위치 고정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몸체와 결합하고 있게 되는 것이므로 간편 개폐구조를 채용하고 있어도 예기치 않게 뚜껑이 열리게 되는 일이 없게 된다.
본 고안은 뚜껑과 몸체를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를 갖추면서도, 뚜껑을 몸체에 씌웠을 때는 숄더의 반구상 돌기에 뚜껑의 고정공이 끼워져서 위치 고정되기 때문에, 뚜껑과 몸체 사이는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뚜껑이 예기치 않게 옆으로 돌아가 열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뚜껑의 내주면에 형성된 긴체 돌기가 몸체의 걸림턱으로 걸려지면서 결합 되고, 이 과정에서 뚜껑의 내측 가장자리에 수용되는 패킹재는 몸체의 주둥이 상단부에 압착되면서 긴밀하게 밀봉되는 것이므로 누설 발생의 염려도 없어 장류 등의 수용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용기의 구성을 일부 단면 형태로 뚜껑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몸체와 뚜껑의 결합 싱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몸체 4: 주둥이
6: 걸림 턱 8: 몸체
10: 돌기 12: 뚜껑
14: 위치 고정날개 16: 고정공
18: 긴체 돌기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용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몸체(2)는 통상의 브로어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는 형태로서, 주둥이(4)는 외주 면에 다수로 걸림 턱(6)을 형성하고 있고, 또 주둥이(2)의 하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숄더(8)의 상면으로 다수의 돌기(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예에서 걸림 턱(6)과 돌기(10)는 모두 4방 배치된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3방 배치도 실용화 가능하다.
몸체(2)의 주둥이(4)는 뚜껑(12)에 의해 개폐되는바, 그 가장자리의 하단에는 상기 돌기(10)에 대응하는 부위로 위치 고정날개(14)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에는 고정공(16)이 뚫려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위치 고정날개(14)는 돌기(10)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뚜껑(12)의 내주 면에는 상기 걸림 턱(6)과 맞물리는 긴체 돌기(18)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은 몸체(2)의 상방에서 뚜껑(12)을 주둥이(4)에 일치시켜 내리누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2)의 내주 면에 형성된 긴체 돌기(18)가 걸림 턱(6)을 타고 넘어 맞물리면서 뚜껑에 의한 주둥이(4)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뚜껑(12)을 씌울 때에 위치 고정날개(14)의 고정공(16)을 반구상 돌기(10)에 일치시켜야 하고,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주둥이(4)의 걸림 턱(6)으로 뚜껑(12)의 긴체 돌기(18)가 일치되어 오 결합 되는 일이 없다.
즉, 뚜껑(12)의 위치 고정날개(14)는 몸체(2)와의 결합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되어, 주둥이(4)의 걸림 턱(6)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더라도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위치 고정날개(14)의 고정공(16)이 반구상 돌기(10)에 끼워짐에 따라 뚜껑(12)은 인위적으로 회동시키지 않는 한, 자연적인 회동을 불가능하게 된다.
이 구조는 걸림 턱(6)과 긴체 돌기(18)의 맞물림으로 보전되고 있는 뚜껑(12)의 불안정한 폐쇄상태를 해소하여 예기치 않게 뚜껑(12)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은 몸체(2)와 뚜껑(10) 모두 외력을 받으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정도의 자체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 프로필렌계, 또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되는 것이며, 뚜껑(12)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체(2)에 대하여 뚜껑(12)을 가볍게 회동하면, 위치 고정날개(14)가 반구상 돌기(10)의 표면을 타고 변형되면서 고정공(16)이 상기 반구상 돌기(10)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긴체 돌기(18)는 걸림 턱(6)으로부터 벗어나 열리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뚜껑(12)을 눌러 닫고, 옆으로 가볍게 돌려 열 수 있는 간편 개폐 구조와, 뚜껑(12)의 폐쇄상태가 안정되게 보전되는 구조를 겸비하는 것이므로 종래의 간편 개폐 구조로 된 용기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한다.

Claims (1)

  1. 몸체의 주둥이 외주 면으로 걸림 턱이 다수로 형성되고, 뚜껑의 내주 면에는 상기 걸림 턱에 맞물리는 긴체 돌기가 다수로 형성된 구성의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주둥이 하측으로 형성되는 숄더의 상면에 반구상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반구상의 돌기에 끼워지는 고정공을 중심에 보유한 위치 고정날개가 다수로 연장 형성된 구성의 식품 용기.
KR2020080002559U 2008-02-26 2008-02-26 식품 용기 KR200900087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559U KR20090008750U (ko) 2008-02-26 2008-02-26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559U KR20090008750U (ko) 2008-02-26 2008-02-26 식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50U true KR20090008750U (ko) 2009-08-31

Family

ID=4130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559U KR20090008750U (ko) 2008-02-26 2008-02-26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75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0996B2 (en) Flip top plastic lid
KR10118626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US8733585B2 (en) Folding container lid
CA2929768A1 (en) Ventable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CN103958363B (zh) 显窃启封闭件
EP1780141A1 (en)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s
CN206050440U (zh) 一种双材质密封盖及含有该密封盖的密封盒
CA2869494A1 (en) Plastic container neck configured for use with a fitment
JP6238031B2 (ja) 容器
KR101442422B1 (ko) 식품용 용기
US9321567B2 (en) Closure with tamper evident push-pull tether
EP3206962B1 (en) Flip top plastic lid
JP2016040174A (ja) 容器
KR20110010810U (ko) 밀폐용 식품 용기
KR20090008750U (ko) 식품 용기
KR200402818Y1 (ko) 간편 개폐 구조를 갖춘 액체 저장 용기
KR20120001224U (ko) 이중 병마개의 내,외부마개의 결속구조
US7380679B2 (en) Connectable containers
JP3124569U (ja) 容器の口栓装置
KR200398963Y1 (ko) 간편 개폐 구조를 갖춘 용기
KR20150011189A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CN220077220U (zh) 储物瓶盖及包装瓶
KR200449423Y1 (ko)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RU78471U1 (ru) Банка для хранения продуктов и рекламы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