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750A - 3 dimension image-based terminal and stereo scope applied to the same - Google Patents

3 dimension image-based terminal and stereo scope applied to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750A
KR20090008750A KR1020070071956A KR20070071956A KR20090008750A KR 20090008750 A KR20090008750 A KR 20090008750A KR 1020070071956 A KR1020070071956 A KR 1020070071956A KR 20070071956 A KR20070071956 A KR 20070071956A KR 20090008750 A KR20090008750 A KR 20090008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unit
eyepie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86321B1 (en
Inventor
최근환
남기선
조병기
양중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321B1/en
Publication of KR2009000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3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A terminal based on three-dimensional image and a stereoscope mirror applied to the same are provided to provide three dimensional image to a user through the stereoscope mirror by crossing each image into two display screens. A first camera part(110) takes a picture of the predetermined object. A second camera part(120) takes a picture about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ght of a user. A first display unit(130) displays the second image formed in the second camera part. A second display unit(140) displays the first image formed through the first camera part. A controller(150) drives the first camera part and the second camera part according to control input of the user. The controller outputs the second image to the first display unit.

Description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3 DIMENSION IMAGE-BASED TERMINAL AND STEREO SCOPE APPLIED TO THE SAME}3D image-based terminal and stereoscopic mirror applied thereto {3 DIMENSION IMAGE-BASED TERMINAL AND STEREO SCOPE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 및 영상형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맞추어 소정의 객체를 촬영하여 형성한 각각의 영상을 2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교차하여 출력하기 위한 단말과 이에 결합하는 입체경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mage form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for outputting each image formed by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object in accordance with a left / right time of a user on two display scree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image-based terminal for providing a 3D image to a user through a stereoscopic mirror coupled thereto, and to a stereoscopic mirror applied thereto.

최근, 이동통신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중요한 기능으로 생각되는 것은 기본적인 기능인 것으로 인식되어버린 통화 기능보다는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부가 기능이다.Recently, what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unction for a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additional function that can be performed in a terminal rather than a call function that has been recognized as a basic function.

또한, 단말 제조업체에서도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부가 기능의 개발에 많은 연구와 투자를 하고 있다. 예컨데, 단말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결합하거나 MP3 재생 기능을 부가하고, 최근에는 모바일 뱅킹 기능까지 부가하여 단말을 통해 수표 조회나 송금까지 가능하게 되었으며, 네비게이션 기능까지 부가된 단말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In addition, a lot of research and investment in the development of additional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manufacturers. For example, a digital camera function or an MP3 playback function is added to the terminal, and a mobile banking function has recently been added to enable checking and remittance of a check through the terminal.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단말에 더 이상 추가할 새로운 부가 기능을 찾을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 관련 업계에서는 기존에 부가된 기능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대신 좀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this situation, it is no longer possible to find a new additional function to add to the terminal. Accordingly, in the industry relat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provide contents that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while utilizing existing functions as they are.

이와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에 저장중인 영상이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저장중인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능은 아직 실행되고 있지 않으며, 상기 3차원 영상을 이동통신 단말에서 구현하기 위해 MAX, MAYA, VRML, ISA, ISB 등과 같은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전환하는 용도의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하기에는 프로세싱 처리능력 및 메모리 용량 등의 장애 요인들로 인하여 실제 구현하기에는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In addition, a function for providing a user with a 3D image by storing an image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is not yet executed, and implementing the 3D im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gram for converting 2D video to 3D video such as MAX, MAYA, VRML, ISA, ISB, etc., so that it is easy to actually implement due to obstacles such as processing capacity and memory capacity. I haven't.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2차원 영상을 3차원적인 영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이 용이하게 구현된다면, 사용자가 원하는 또 다른 서비스의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Therefore, if the technology for forming a two-dimensional imag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asily implemented,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nother service desired by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맞추어 소정의 객체를 촬영하여 형성한 각각의 영상을 2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교차하여 출력하기 위한 단말과 이에 결합하는 입체경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utput each image formed by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object in accordance with the left and right time of the user on two display screens. It provides a three-dimensional image-based terminal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image to the user through a terminal and a stereoscopic mirror coupled thereto, and a stereoscopic mirror applied there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은,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대응하여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부,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부, 상기 제 2 카메라부를 통해 형성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카메라부를 통해 형성된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제어입력을 토대로 상기 제 1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형성된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형성된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프로세싱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3D image-based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of the user, the imag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of the user Based on a second camera unit,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formed through the second camera unit,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irst image formed through the first camera unit, and a user control input. A controller for outputting the first image formed by driving the first camera unit to the second display unit, and executing a process of outputting the second image formed by driving the second camera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2 영상 및 상기 제 1 영상을 취합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입체경과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3D image-based terminal is detachable from the stereoscopic mirror that provides the 3D image to the user by collecting the second image and the first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f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카메라부 및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을 이루는 외부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camera unit and the second camera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outer housing forming the terminal based on the 3D imag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카메라부 및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 간의 사이 거리에 대한 평균 통계치를 토대로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camera unit and the second camera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ased on average statistic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views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좌측시각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display unit may correspond to the left eye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우측시각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display unit may correspond to a right eye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3D image-based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 제 1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영상 및 제 2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영상을 제공받는 디스플레이 화면부, 상기 제 2 영상을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영상을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전달하는 접안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 및 상기 접안부를 연결하는 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isplay screen receiving a second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screen and the first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screen The eyepiece may include an eyepiece for transmitting the second image to a left eye of the user and a first eyepiece for transmitting the first image to a right eye of the user, and a passage that connects the display screen unit and the eyepiece.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화면를 구비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과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uni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three-dimensional image-based terminal having the first display screen and the second display screen.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고정되기 위한 헤어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further comprises a hair band unit for fixing to the left / right eye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 말로부터 음향을 제공받기 위한 포트연결부 및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further comprises a port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sound from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terminal and 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는 상기 제 2 영상에 대응하는 제 1 영상모듈 및 상기 제 1 영상에 대응하는 제 2 영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screen unit may include a first imag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and a second imag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안부는 상기 제 2 영상에 대응하는 제 1 접안모듈; 및Preferably, the eyepiece includes: a first eyepiec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And

상기 제 1 영상에 대응하는 제 2 접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eyepiec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접안모듈 및 상기 제 2 접안모듈은 볼록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eyepiece module and the second eyepiece module include a convex len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접안모듈 및 상기 제 2 접안모듈은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대응하여 각각 좌/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eyepiece module and the second eyepiece module are respectively moved left / right corresponding to left / right time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안부는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접하기 위한 곡선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ye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urved structure for contacting the left / right eye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 구조물은 스폰지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urved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aterial comprising a sponge or rub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로부는 상기 제 2 영상이 전달되는 경로 및 상기 제 1 영상이 전달되는 경로 사이에 영상 차단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assage part has an image blocking layer between a path through which the second image is transmitted and a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image is transmit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 및 상기 접안부 간의 길이를 상기 접안부에 구비되는 렌즈특성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assage portion is set to correspond to the lens characteristics provided in the eyepiece portion of the length between the display screen portion and the eyepiece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 및 상기 접안부 간의 길이는 평균 통계치인 60mm에서 오차 범위 이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ength between the display screen and the eyepiece is set within an error range at 60 mm, which is an average statistic.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맞추어 소정의 객체를 촬영하여 형성한 각각의 영상을 2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교차하여 출력하기 위한 단말과 이에 결합하는 입체경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 내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더욱 현실감 있고 현장감 있게 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image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terminal for connecting each image formed by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object in accordance with the left / right time of the user and outputting the image on the two display screens and a stereoscopic mirror coupled thereto. By doing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a photo or video in the terminal can be viewed more realistically and realistically.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입체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hree-dimensional image-based terminal and a stereoscopic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입체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은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대응하여 소정의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부(110),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부(120), 상기 제 2 카메라부(120)에서 형성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부(130), 상기 제 1 카메라부(110)를 통해 형성된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디스플레이부(140), 및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제 1 카메라부(110) 및 제 2 카메라부(120)를 구동하여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각각 형성하 기 위한 프로세싱을 실행하고, 상기 제 2 영상을 제 1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하며, 상기 제 1 영상을 제 2 디스플레이부(140)에 교차하여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150)를 포함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3D image-based terminal and a stereoscopic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3D image-based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camera unit 110 for capturing a predetermined object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of the user, and the object 100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of the user. A second camera unit 120 for capturing a photograph, a first display unit 130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formed by the second camera unit 120, and a first camera unit 110 formed through the first camera unit 110. The second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the first image and the first camera unit 110 and the second camera unit 120 are driven according to a control input of a user to form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respectively. Control unit 150 for executing processing for outputting the first image to the first display unit 130 and outputting the first image to the second display unit 140. It includes.

더 나아가,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은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취합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입체경과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3D image-based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unit 16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stereoscopic mirror that collects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e 3D image.

한편,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은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부(230), 상기 제 2 영상을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영상을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전달하기 위한 접안부(2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접안부(210) 간을 연결하는 통로부(22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3D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200 includes a display screen unit 230 for receiv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provided from the 3D image-based terminal 100, and the second image. And an eyepiece 210 for transmitting to the left eye and delivering the first image to the right eye of the user, and a passage part 220 connecting the display unit and the eyepiece 210 to each other.

더 나아가,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은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과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20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coupling unit 240 for attaching and detaching from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terminal 10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에 대한 전면에는 제 1 카메라부(110) 및 제 2 카메라부(120)가 각각 사용자의 시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110) 및 제 2 카메라부(120)는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 간의 사이 거리에 대한 평균 통계치를 토대로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As shown in FIG. 2, the first camera unit 110 and the second camera unit 120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3D image-based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user's vision. The camera unit 110 and the second camera unit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ased on average statistics of distances between the left and right views of the user.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에 대한 후면에는 제 1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4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제 2 카메라부(120)를 통해 형성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제 1 카메라부(110)를 통해 형성된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교차하여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유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없이 상기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사용자가 바라볼 경우에도 사용자의 좌측시각은 우측방향에서 촬영하는 제 2 카메라부(120)를 통해 형성된 제 2 영상을 바라보고, 사용자의 우측시각은 좌측방향에서 촬영하는 제 1 카메라부(110)를 통해 형성된 제 1 영상을 바라보도록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영상들을 본 후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As shown in FIG. 3, a first display unit 130 and a second display unit 140 ar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3D image-based terminal 100, and the first display unit 130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130. The second image formed through the second camera unit 120 is displayed, and the second image formed through the first camera unit 110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40. As such, the reason why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displayed alternately is that even when the user views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without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200, the left eye of the user is in the right direction. As looking at the second image formed through the second camera unit 120 to shoot at, the right eye of the user is implemented to look at the first image formed through the first camera unit 110 to shoot in the left direction, This is for the user to feel the three-dimensional feeling after viewing the images.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입체경의 접안부(2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경의 접안부(210)는 제 2 영상에 대응하는 제 1 접안모듈(211) 및 제 1 영상에 대응하는 제 2 접안모듈(212)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안모듈(211) 및 상기 제 2 접안모듈(212)은 각각 볼록렌즈를 구비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is a view illustrating the eyepiece portion 210 of the stereoscopic mirror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4, the stereoscopic eyepiece 210 includes a first eyepiece module 211 corresponding to a second image and a second eyepiece module 212 corresponding to a first image, wherein the first eyepiece is provided. The module 211 and the second eyepiece 212 are preferably implemented with convex lens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1 접안모듈(211) 및 상기 제 2 접안모듈(212)은 각각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대응하여 각각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eyepiece module 211 and the second eyepiece module 212 may be implemented to b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time of the user.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과 입체경이 결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은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과 결합하여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에 구비되는 제 1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디스 플레이 화면부(230), 통로부(220) 및 접안부(210)를 포함하며, 통로부(22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30)로부터 제공되는 제 2 영상이 전달되는 경로와 제 2 디스플레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제 1 영상이 전달되는 경로 사이에 영상 차단막을 구비하여 영상 간의 교차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 is a view showing that the terminal and the three-dimensional mirror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the 3D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200 is combined with the 3D image-based terminal 100 and provided with the first display unit 130 provided in the 3D image-based terminal 100. And a display screen unit 230, a passage unit 220, and an eyepiece unit 210 for receiving an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40, wherein the passage unit 220 includes the first display unit 130.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image blocking film between the path through which the second image provided from the second image is transmitted and the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image provided from the second display unit 140 is transmitted to prevent the cross between the images.

상기 통로부(220)는 디스플레이 화면부(230) 및 접안부(210) 간의 길이를 접안부(210)에 구비되는 렌즈의 특성에 따라 설정되며, 이는 평균 통계치인 60mm에서 오차범위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로부(220)는 렌즈의 특성이 가변되도록 구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230) 및 접안부(210) 간의 길이도 가변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passage part 220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ns provided in the eyepiece 210, the length between the display screen 230 and the eyepiece 210, which can be set within the error range at 60mm, an average statistical value. In addition, when the passage part 220 is implemented to va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ns, the length between the display screen 230 and the eyepiece 210 may also be implemented to vary.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230)는 제 2 영상에 대응하는 제 1 영상모듈(231) 및 제 1 영상에 대응하는 제 2 영상모듈(232)을 포함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screen unit 230 may include a first image module 23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and a second image module 232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입체경을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은 접안부(210)에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접하기 위한 곡선 구조물을 더 포함하여 하고, 곡선 구조물의 재질은 스폰지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인 것으로 한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stereoscopic mirror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6,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200 further includes a curved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in the eyepiece 210, and the material of the curved structure may be a sponge or rubber. It is assumed to be the same elastic material.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은 해당 영상을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임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고정되기 위한 헤어 밴드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200 provides the user with a corresponding imag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200 further includes a hair band unit 240 to be fixed to the left / right eye of the user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desirable.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입체경을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은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 로부터 음향을 제공받기 위한 포트연결부(250) 및 제공되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stereoscopic mirror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7, the 3D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200 includes a port connector 250 for receiving sound from the 3D image-based terminal 100 and a speaker unit 260 for outputting the provided sound. It can be implemented to include mor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맞추어 소정의 객체를 촬영하여 형성한 각각의 영상을 2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교차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이러한 단말에 대응하는 입체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function of outputting each image formed by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object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left / right time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ross two display screens, and outputting a stereoscopic mirror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nvention that is industrially applicable because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r business is not only sufficient, but also practically obvio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입체경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image-based terminal and a stereoscopic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terminal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입체경의 접안부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eyepiece of the stereoscopic mirror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과 입체경이 결합한 것을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that the terminal and the three-dimensional mirror shown in FIG.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입체경을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 및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tereoscopic mirror shown in FIG. 1, and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입체경을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stereoscopic mirror shown in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110 : 제 1 카메라부100: 3D image-based terminal 110: the first camera unit

120 : 제 2 카메라부 130 : 제 1 디스플레이부120: second camera unit 130: first display unit

140 : 제 2 디스플레이부 150 : 제어부140: second display unit 150: control unit

160, 240 : 결합부 200 :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160, 240: coupling unit 200: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210 : 접안부 211 : 제 1 접안모듈210: eyepiece 211: first eyepiece module

212 : 제 2 접안모듈 220 : 통로부212: second eyepiece module 220: passage portion

230 : 디스플레이 화면부 231 : 제 1 영상모듈230: display screen unit 231: first image module

232 : 제 2 영상모듈 240 : 헤어 밴드부232: second image module 240: hair band portion

250 : 포트연결부 260 : 스피커부250: port connection 260: speaker

Claims (21)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대응하여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부;A first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of the user;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부;A second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of the user; 상기 제 2 카메라부를 통해 형성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부;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formed through the second camera unit; 상기 제 1 카메라부를 통해 형성된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디스플레이부; 및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irst image formed through the first camera unit; And 사용자 제어입력을 토대로 상기 제 1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형성된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형성된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프로세싱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Processing to output the first image formed by driving the first camera unit to the second display unit based on a user control input, and output the second image formed by driving the second camera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3D image-based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은Th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3D image-based terminal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2 영상 및 상기 제 1 영상을 취합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입체경과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And a coupling uni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stereoscopic mirror that combines the second image and the first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o provide a 3D image to a user. Video based termi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부 및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camera unit and the second camera unit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을 이루는 외부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3D image-base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outer housing forming the 3D image-based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부 및 상기 제 2 카메라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camera unit and the second camera unit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 간의 사이 거리에 대한 평균 통계치를 토대로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3D image-base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average statistic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views of the us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The display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used. 상기 외부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3D image-base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back of the outer hous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는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사용자의 좌측시각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3D image-base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of the us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display unit 사용자의 우측시각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3D image-base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of the us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은The terminal of claim 1 or 2, wherein the 3D image-based terminal 이동통신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3D image-base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영상 및 제 2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영상을 제공받는 디스플레이 화면부;A display scree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imag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screen and a first image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screen; 상기 제 2 영상을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영상을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전달하는 접안부; 및An eyepiece which transmits the second image to the left eye of the user and delivers the first image to the right eye of the user; And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 및 상기 접안부를 연결하는 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3D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ssage connecting the display screen and the eyepie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The stereoscopic mirror of claim 9,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is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화면를 구비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과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3D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s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uni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3D image-based terminal having the first display screen and the second display screen.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The stereoscopic mirror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is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고정되기 위한 헤어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air band to be fixed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The stereoscopic mirror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is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로부터 음향을 제공받기 위한 포트연결부; 및Port connection unit for receiving sound from the 3D image-based terminal; And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s further comprises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sound.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는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display screen unit 상기 제 2 영상에 대응하는 제 1 영상모듈; 및A first imag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And 상기 제 1 영상에 대응하는 제 2 영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And a second imag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는The method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eyepiece portion 상기 제 2 영상에 대응하는 제 1 접안모듈; 및A first eyepiec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And 상기 제 1 영상에 대응하는 제 2 접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3D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s comprising a second eyepiec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안모듈 및 상기 제 2 접안모듈은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eyepiece module and the second eyepiece module 볼록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A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comprising a convex len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안모듈 및 상기 제 2 접안모듈은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eyepiece module and the second eyepiece module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대응하여 각각 좌/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3D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are respectively moved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는The method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eyepiece portion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접하기 위한 곡선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s further comprises a curved structure for contacting the user's left and right vision.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구조물은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urved structure is 스폰지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sponge or rubber.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The method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passage portion 상기 제 2 영상이 전달되는 경로 및 상기 제 1 영상이 전달되는 경로 사이에 영상 차단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3D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s, characterized in that an image blocking film is provided between a path through which the second image is transmitted and a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image is transmitted.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The method of claim 9 or 10, wherein the passage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 및 상기 접안부 간의 길이를 상기 접안부에 구비되는 렌즈특성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3D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between the display screen and the eyepiece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lens characteristics provided in the eyepiece.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 및 상기 접안부 간의 길이는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length between the display screen and the eyepiece is 평균 통계치인 60mm에서 오차 범위 이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A three-dimensional image-based stereoscopic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is set within the error range at 60mm.
KR1020070071956A 2007-07-18 2007-07-18 3 dimension image-based terminal and stereo scope applied to the same KR1008863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956A KR100886321B1 (en) 2007-07-18 2007-07-18 3 dimension image-based terminal and stereo scope applied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956A KR100886321B1 (en) 2007-07-18 2007-07-18 3 dimension image-based terminal and stereo scope applied to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50A true KR20090008750A (en) 2009-01-22
KR100886321B1 KR100886321B1 (en) 2009-03-04

Family

ID=4048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956A KR100886321B1 (en) 2007-07-18 2007-07-18 3 dimension image-based terminal and stereo scope applied to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3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2882B (en) * 2016-06-07 2020-11-25 Charpak Ltd Packag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4442A4 (en) * 2017-09-12 2020-06-24 SZ DJI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mage transmission, movable platform,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8917A (en) 1998-04-10 1999-10-29 Ricoh Co Ltd Stereo attachment and stereo viewer for video camera
KR100682338B1 (en) 2004-08-06 2007-02-15 주식회사 자타 Liquid soap distributor
KR100641176B1 (en) * 2004-10-20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of three dimensions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748946B1 (en) * 2005-09-06 2007-08-13 (주)다산알앤디 Method of processing three-D im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2882B (en) * 2016-06-07 2020-11-25 Charpak Ltd Pack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321B1 (en)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50124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JP5572094B2 (en) One-source multi-use (OSMU) type stereo camera and method for producing stereo image content thereof
US20150358539A1 (en) Mobile Virtual Reality Camera, Method, And System
CN105657099B (en) Portable 3D camera and the mobile phone that 3D video can be shot
KR20130085784A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293024A1 (en) Foldabl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432201A (en)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WO2014119965A1 (en) Method for photographing side-by-side stereoscopic images and monocular camera therefor
JP2004274642A (en) Transmission method for three dimensional video image information
KR100886321B1 (en) 3 dimension image-based terminal and stereo scope applied to the same
JP2002218506A (en) Image pickup device
JP2015043187A (en) Image generation device and image generation program
CN101778304A (en) Three-dimensional photographing and view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1075432A (en) Stereoscopic video telephone set
CN104041026B (en) Image take-off equipment, method an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TW201332351A (en) Image capture device with multiple lenses and method for displaying stereo image thereof
KR101682049B1 (en) Real-time rear Recognition Multi glasses
JP4475201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system
CN107277492A (en) A kind of 3D rendering display methods and system
JP2012134885A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4481275B2 (en) 3D video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KR102201187B1 (en) Stereo camera based twin camera module
CN220554028U (en) Mobile phone capable of shooting stereoscopic image
JP2656787B2 (en) 3D image communication device
JP2010283550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