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686A - 부패식 정화조 - Google Patents

부패식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686A
KR20090008686A KR1020070071832A KR20070071832A KR20090008686A KR 20090008686 A KR20090008686 A KR 20090008686A KR 1020070071832 A KR1020070071832 A KR 1020070071832A KR 20070071832 A KR20070071832 A KR 20070071832A KR 20090008686 A KR20090008686 A KR 20090008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eptic tank
tube
pipe
sew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029B1 (ko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Priority to KR102007007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0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0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도록 원통 형태의 몸체 내측으로 관을 수직으로 설치한 부패식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부패식 정화조는, 일측벽으로 오수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구와, 타측으로 정화된 오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삽입 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으로 중앙에 맨홀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뚜껑과;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설치되되, 몸체의 하측에 형성된 삽입 관과 뚜껑에 형성된 맨홀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된 수직 관과;
상기 수직 관과 삽입 관과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과;
상기 수직 관의 내측에서 정화된 오수를 몸체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관과 몸체 사이에는 설치된 연결관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부패식, 정화조, 수직관

Description

부패식 정화조{Rot type sewage disposal tank}
본 발명은 수질 및 토양에 대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자 분뇨나 오니와 같은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오수를 정화시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정화조이며, 그중에서도 복수의 실을 구비하여 공급되는 분뇨 또는 오니를 부패시켜 정화시키는 부패식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조는 정화방법(설치공법)에 따라 부패탱크방법, 폭기방법, 접촉폭기방법, 살수여상방법, 변형접촉폭기방법, 산화형혐기성방법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은 부패탱크방법인 부패식 정화조이다.
보통 부패식 정화조는 건물마다 설치하는 경우와 몇 개의 건물이 공동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구조는 부패조, 산화조, 소독조로 이루어져 있다. 수세식 화장실에서 흘러들어 온 오수는 먼저 부패조에서 약 48시간 괴어 있는 동안에 침전분리하여, 오물은 혐기성세균에 의해 부패, 분해되어 일부는 액화, 가스화되어 그 용적이 줄어든다. 이러한 부패, 분해에 의해 유기물은 무기물화 되어 안정된다. 오수는 다음 산화조로 이동되며 여기에서 주방이나 욕실에서 흐르는 생활하수에 의하여 쇄석면(碎石面)을 흐르는 사이에 산소성균의 작용과 쇄석층 내의 유통하는 공기 와의 접촉에 의하여 산화된다. 처리된 오수는 소독조에서 염소용액의 주입을 받아 소화기 계통의 병원균의 살균을 한 후 방류된다.
이러한 부패식 정화조에 대한 기술의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현재에도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198042호(명칭:다중부패식 정화조)에는, 도 1과 같이 일측벽에 오니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벽에 정화된 오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부에 오니가 용이하게 퇴적될 수 있도록 중앙 쪽을 향해 소정 기울기로 경사진 중향경사 바닥면이 형성된 밀폐형의 외측 부패조; 상기 외측 부패조의 내부 일측에 종설되고 상기 외측 부패조의 내부에 충전된 오니를 유입할 수 있는 하측 유입구가 형성되며 그 상부에 유입된 분뇨 또는 오니를 유출할 수 있는 유출구가 형성된 오니 유입관; 상기 외측 부패조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상, 하측 지지관을 매개로 하여 종설 지지되고 상기 오니 유입관과 연통되는 상측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 하측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외측 부패조 내에 유입된 오니를 재차 수용하도록 된 밀폐형의 내측 부패조; 및 상기 내측 부패조의 하측 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외측 부패조의 배출구와 연결된 관상 부패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중부패식 정화조가 제시되어 있으며,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138900호(명칭:조립식 부패 정화조)에는, 도 2와 같이 유입관과 유출관을 갖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사이에 부패실과 침전실을 갖는 부패식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와 하부몸체(3) 사이에 부패실 원통(5)이 조립되며, 침전실(9)이 설치된 조립수단(20)에 의해 정화조(1)를 조립식으로 구성된 조립식 부패 정화조가 제시되어 있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53641호 (명칭 : 정화조)에는, 도 3과 같이 정화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내측면에 격판 삽입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본체의 통기공에는 안전 스크린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격판 삽입홈이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하 대칭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형성된 정화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에 제시된 종래기술들의 정화조는 구조가 복잡하고, 구조의 복잡으로 인하여 제작이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생산단가가 높아지며, 보수 및 수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본 발명은, 구조를 간단하도록 하도록 하되, 내구성을 가진 부패식 정화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부패식 정화조는,
다실로 이루어지는 부패식 정화조에 있어서,일측벽으로 오수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구와, 타측으로 정화된 오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삽입 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으로 중앙에 맨홀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뚜껑과;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설치되되, 몸체의 하측에 형성된 삽입 관과 뚜껑에 형성된 맨홀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된 수직 관과; 상기 수직 관과 삽입 관과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과; 상기 수직 관의 내측에서 정화된 오수를 몸체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관과 몸체 사이에는 설치된 연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부패식 정화조에 다수의 실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관의 내측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수직 관이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수직 관의 내측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수직 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몸체 하측에 형성된 삽입 관과 동일 중심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수직 관과 대응되게 삽입 관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 관의 상측에는 내측으로 설치되는 수직 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구가 설치된다.
상기 패킹은 수직 관의 단부와 몸체의 바닥면, 수직 관의 내측면과 삽입 관의 외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L'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관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삼중벽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구성과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이 용이함으로써 생산효율을 높이 수 있으며, 생산효율성을 증가로 인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부패식 정화조는 도 3 내지 도 8과 같이 크게 몸체(10)와, 뚜껑(20)과, 수직 관(30)과, 패킹(40)과, 연결관(50)으로 이루어진다.
도 5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보통 PE재질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먼저 하부판(15)과, 측면판(16, 17)을 제작하고, 상기 하부판(15)과 측면판(16, 17)을 서로 융착시켜 몸체(10)를 제작한다.
상기 몸체(10)의 측벽에는 오수(분뇨 또는 오니 등)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와 반대측벽에는 정화된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며, 하측의 바닥면에는 후설되는 수직 관(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삽입관(13)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1)에는 유입되는 오수가 몸통(10)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보통 'T'자형 관(11a)이 설치되며, 상기 삽입관(13)은 설치되는 수직 관(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돌출량은 설치되는 수직 관(30)의 크기에 따라 다르나 보통 2~10㎝가 적당하다.
상기 뚜껑(20)은 몸체(10)에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조립되거나 일체가 되도록 융착시키는 것으로, 뚜껑의 일측에는 오수의 부패시 발생하는 가스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홀들이 형성되고, 중앙부분에는 맨홀(21)이 형성되되, 상기 맨홀(21)은 뚜껑(20)의 하측으로 돌출턱(21a)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후설되는 몸체(10)의 삽입관(13)에 설치되는 수직 관(30)의 상부를 고정시키기 위함이며, 돌출량은 수직 관(30)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면 되는 것으로 약 2~5㎝가 적당하다. 또한, 뚜껑(20)은 후설되는 수직 관(3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평면형태의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맨홀(21)에는 맨홀 덮개(20a)가 설치될 수 있도록 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 관(30)은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몸통(10)의 삽입 관(13)과 뚜껑(20)의 하측으로 돌출된 맨홀(21)에 의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 관(30)은 몸통(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몸통(10)의 내부가 제1실(1)과 제2실(2)로 구획되도록 한다.
상기 관통 홀(31)은 유입구(11)로 유입된 오수가 제1실(1)에서 부패한 후 제2실(2)로 유입되도록 상기 수직 관(30)의 하측 부분에는 관통 홀(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수직 관(30)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3중벽 관을 사용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관(30)과 삽입 관(13) 사이에는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패킹(40)이 설치되며, 상기 패킹(40)은 도 7과 도 8과 같이 링 형태로 형성되되, 그 단면이 'L'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직 관(30)의 단부(30")와 몸체(10)의 바닥면(10'), 수직 관(30)의 내측면(30')과 삽입 관(13)의 외측면(13')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밀폐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수직 관(30)의 상부 부분에는 정화된 오수가 몸통(10)의 배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연결관(5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부패식 정화조는 유입구(11)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는 'T'자형 관(11a)의 안내에 의하여 제1실(1)로 유입되어 부폐되고, 제1실(1)에서 부패된 오수는 수직관(30)의 관통홀(31)을 통하여 제2실(2)에 유입되어 다시 한번 부패하여 상부에 설치된 연결관(50)을 통해 정화된 오수가 배출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에 기재한 부패식 정화조의 수직 관(30) 내측으로 수직 관(30a)이 더 설치된 것으로, 상기 수직 관(30a)은 수직 관(30)의 내측에 설치하되, 상기 수직 관(30)과 동심축을 가지도록 설치한다.
상기 수지 관(30)의 내측으로 수지 관(30a)을 설치할 수 있도록 몸체(10)의 바닥면에는 삽입 관(13)의 내측으로 삽입 관(13a)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 관(13, 13a)은 수직 관(30, 30a)들이 동심축을 가지도록 동심축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수지 관(30, 30a)들과 삽입 관(13, 13a)들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패킹(40)이 설치된다.
상기 수직 관(30)의 상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20)의 맨홀(21)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수직 관(30a)의 상부는 고정구(6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수직 관(30, 30a)들에 관통 홀(31, 31a)이 형성되되, 상기 수직 관(30)에는 상측 부분에 관통 홀(3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관(30a)의 하부에 관통 홀(3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 관(30a)의 상부에는 연결관(50)의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수직 관(30)을 관통하여 몸체(10)의 배출구(12)에 설치된다. 이는 상기 수직 관(30, 30a)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고정구(60)는 수직 관(30)의 내측에 체결부재(볼트나 너트 또는 피스 등) 또는 융착 방법으로 고정설치되며, 하측으로 수직 관(30a)을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턱(61)이 형성되고, 또한, 부패시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 홀(62)들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60)는 보통 몸체(10)와 같은 PE재질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10)의 내측에 수직 관(30, 30a)들이 설치됨으로써 부패식 정화조는 제1실(1), 제2실(2), 제3실(3)로 나누어진다.
상기와 같이 는 제1실(1), 제2실(2), 제3실(3)로 나누어진 부패식 정화조는 유입구(11)를 통하여 오수가 제1실(1)로 유입되고, 제1실(1)로 유입된 오수는 부패한 후 수지 관(3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 홀(31)을 통하여 제2실(2)로 유입되고, 제2실(2)로 유입된 오수는 다시 부패한 후 수지 관(30a)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 홀(31a)을 통하여 제3실(3)로 유입되고, 제3실(3)로 유입된 오수는 상부에 설치된 연결관(50)을 따라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에 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직 관이 1개 또는 2개가 설치될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2와 같이 수직 관(30, 30a, 30b)을 3개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부패식 정화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부패식 정화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부패식 정화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패식 정화조의 부분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패식 정화조의 부분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패식 정화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패식 정화조의 부분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패식 정화조의 패킹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패식 정화조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대한 부분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패식 정화조의 고정구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패식 정화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통 13 : 삽입관
20 : 뚜껑
30, 30a 30b : 수직 관
40 : 패킹
50 : 연결관
60 : 고정구

Claims (4)

  1. 부패식 정화조에 있어서,
    일측벽으로 오수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구(11)와, 타측으로 정화된 오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2)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삽입 관(13)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측으로 중앙에 맨홀(21)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뚜껑(20)과;
    상기 몸체(10)의 내측으로 설치되되, 몸체(10)의 하측에 형성된 삽입 관(13)과 뚜껑(20)에 형성된 맨홀(21)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된 수직 관(30)과;
    상기 수직 관(30)과 삽입 관(13)과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40)과;
    상기 수직 관(30)의 내측에서 정화된 오수를 몸체(10)의 배출구(12)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관(30)과 몸체(10) 사이에는 설치된 연결관(50)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패식 정화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관(30)의 내측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수직 관(30a)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패식 정화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관(30)의 내측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수직 관(30a)을 설치할 수 있도록 몸체(10) 하측에 형성된 삽입 관(13)과 동일 중심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수직 관(30a)과 대응되게 삽입 관(13a)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 관(30)의 상측에는 내측으로 설치되는 수직 관(30a)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구(6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패식 정화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40)은 수직 관(30, 30a)의 단부와 몸체(10)의 바닥면, 수직 관(30, 30a)의 내측면과 삽입 관(13, 13a)의 외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L'자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패식 정화조.
KR1020070071832A 2007-07-18 2007-07-18 부패식 정화조 Active KR10089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832A KR100891029B1 (ko) 2007-07-18 2007-07-18 부패식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832A KR100891029B1 (ko) 2007-07-18 2007-07-18 부패식 정화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86A true KR20090008686A (ko) 2009-01-22
KR100891029B1 KR100891029B1 (ko) 2009-03-31

Family

ID=4048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832A Active KR100891029B1 (ko) 2007-07-18 2007-07-18 부패식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9480A (zh) * 2014-12-31 2015-05-13 孙卫香 一种使用电机驱动的污水处理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026Y1 (ko) * 1992-05-30 1995-03-24 정계화 정화조
KR200424087Y1 (ko) * 2006-04-04 2006-08-16 서원애 콘크리트 정화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9480A (zh) * 2014-12-31 2015-05-13 孙卫香 一种使用电机驱动的污水处理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029B1 (ko) 2009-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80045A (zh) 循环用水一体化粪便处理厕所
US6908548B1 (en) Prefabricated biological purification system
KR100983375B1 (ko) 독립격벽구조의 활류식 원형 물탱크
KR100891029B1 (ko) 부패식 정화조
CN101348303B (zh) 微动力一体化生活污水净化装置
CN206244566U (zh) 一种粪便处理厕所
CN112850821A (zh) 可封堵水下臭源对外挥发臭气的堵臭抑菌设备
CN208229667U (zh) 一种壁挂式平板陶瓷膜家用水净化装置
CN208362022U (zh) 多功能水箱及采用其制成的水质净化池、蓄水池与化粪池
US1224913A (en) Septic tank.
CN201250161Y (zh) 微动力一体化生活污水净化装置
CN111675334B (zh) 一种污水处理一体化设备
CN206752600U (zh) 一种循环用水粪便处理厕所
CN108545850B (zh) 农用多功能水箱及采用其制成的水质净化池、蓄水池与化粪池
CN206244597U (zh) 一种循环用水厕所
KR200233830Y1 (ko) 합병정화조
CN208454734U (zh) 一种节水型移动厕所
CN206244598U (zh) 一种循环用水一体化粪便处理厕所
CN2900514Y (zh) 化粪池
KR20020024078A (ko)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CN210237410U (zh) 一种壳体结构及应用该壳体结构的污水处理装置
RU216925U1 (ru)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ES2425562T3 (es) Sistema para el tratamiento de aguas residuales
RU209999U1 (ru) Септик
RU2792735C1 (ru) Септ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