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101A -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 Google Patents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101A
KR20090008101A KR20070096778A KR20070096778A KR20090008101A KR 20090008101 A KR20090008101 A KR 20090008101A KR 20070096778 A KR20070096778 A KR 20070096778A KR 20070096778 A KR20070096778 A KR 20070096778A KR 20090008101 A KR20090008101 A KR 20090008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ball
cylinder
main body
fir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9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오리 요시타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체이서 저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체이서 저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체이서 저펜
Publication of KR2009000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2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with smoke, gas, or coloured or odorous powder or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8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6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 F41B11/62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with pressure supplied by a gas cartri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70Details not provided for in F41B11/50 or F41B11/6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Toy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경량의 휴대용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를 제공한다. 발사용구(10)는 본체(1), 중공의 실린더(2) 및 수용부(3)를 구비한다. 본체(1)는 트리거(4)를 마련한다. 실린더(2)는 본체(1)의 일방측 단부에 배치되어 페인트볼(2p)을 지지보관하고 있다. 수용부(3)는 본체(1)의 타방측 단부에 배치되어 고압가스가 충전된 가스봄베(3g)가 장착되어 있다. 발사용구(10)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트리거(4)를 조작하여 고압가스를 분사시켜 페인트볼(2p)을 발사시킨다. 발사용구(10)는 발사스위치(41)의 압동조작을 저지하는 슬라이드 가능한 안전장치(5)를 구비한다.
페인트볼, 발사용구

Description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DISCHARGE TOOLS OF PAINT BALL}
본 발명은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도등의 범죄자가 도주하는 때에, 도주범인을 향하여 페인트볼을 발사하는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점포등에 침입한 강도에 대하여 점원을 포함한 일반인이 과잉의 위협행동으로 강도에 맞서는 것은 피해가 신체에 미치는 위험성이 있어 피해야만 한다. 그러나, 도주하는 범인이나 도주차량에 대하여 페인트볼을 던져, 도주범인의 의류나 도주차량에 페인트볼에 내포된 도료를 부착(마킹)할 수 있다면, 그 후의 경찰등에 의한 범인체포의 단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페인트볼을 던져 도주하는 범인이나 도주차량에 명중시키는 것은 도달거리도 제한되고,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조작이 익숙하지 않은 자라도 용이하게 조작이 가능하고, 긴급히 사용하는 경우에도 명중율이 높은 저가의 페인트볼의 발사용구가 고안되고 있다. 그 예로, 일본국 등록실용신안 제3105596호 공보(이하, 문헌1)를 들 수 있다.
문헌1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페인트볼이 발사되는 발사실린더부재를 발사구가 전방이 되도록 배치하고, 페인트볼의 발사원이 되는 가스봄베를 발사실린더부재의 후방에 배치하고, 트리거를 조작하여 페인트볼을 발사시킨다.
문헌1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발사용 실린더와 평행한 레이저 포인터를 배치하고, 원통상의 그립부재의 내부에 가스봄베를 격납하고 있다. 또한, 발사실린더부재와 그립부재와의 사이에 피스톤수납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수납부재에는 트리거를 조작하는 경우에 가스봄베를 파단하는 돌선(突先)을 갖는 피스톤과, 피스톤을 가스봄베에 충돌시키는 스프링이 동축으로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레이저 포인터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도주자등의 목적물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목적물을 조준하고, 그 후에 트리거를 조작하여 페인트볼을 발사시킨다.
문헌1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도주자등의 목적물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목적물을 조준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정밀도로 목적물에 명중시킬 수 있다. 또한, 문헌1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한 쌍의 발사실린더부재가 병행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2개의 페인트볼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어 목적물에 명중하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문헌1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레이저 포인터 및 2개의 발사실린더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외형을 크게 하고 있다. 또한, 문헌1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2개의 페인트볼을 동시에 발사하기 때문에, 또한, 페인트볼의 도달거리를 늘리기 위해서, 트리거를 조작했을 때의 반동을 억제하도록 그 중량을 무겁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를 소형경량으로 할 수 있다면, 즉, 휴대용 페인트볼의 발사용구가 실현된다면, 긴급한 경우에 즉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주자 또는 도주차량이 멀어지기 전에 페인트볼을 발사하는 것도 가능하고, 명중율이 좋아진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으로 할 수 있다면, 운반이 용이하고, 불측의 사태에 대비하여 가방등에 휴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이 본 발명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한 것으로, 문헌1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가 갖는 구조의 이점을 살리면서, 소형경량의 휴대용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의 일방측 단부에 페인트볼이 발사되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그 본체의 타방측 단부에 페인트볼을 발사시키는 가스봄베를 장착하여, 본체의 외주에 구비된 트리거를 조작하여 페인트볼을 발사시키는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하는 것으로써,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를 소형경량으로 할 수 있는 것을 현출하고, 이것을 근거로, 이하와 같은 새로운 휴대용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트리거를 구비한 본체와, 그 본체의 일방측 단부에 배치되어 페인트볼을 지지보관하는 중공의 실린더와, 상기 본체의 타방측 단부에 배치되어 고압의 가스가 충전된 가스봄베가 장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거를 조작하여 상기 고압가스를 분사시켜 상기 페인트볼을 발사시키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된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1)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본체, 중공의 실린더 및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는 트리거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는 본체의 일방측 단부에 배치되어 페인트볼을 지지보관하고 있다. 수용부는 본체의 타방측 단부에 배치되어 고압가스가 충전된 가스봄베가 장착되어 있다. (1)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트리거를 조작하여 고압가스를 분사시켜 페인트볼을 발사시킨다.
예를 들면, 페인트볼은 직경이 약 17mm의 시판용 페인트볼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페인트볼은 얇은 젤라틴제의 캅셀안에 착색잉크를 충전하고 있어, 목표물에 페인트볼을 맞히면 그 충격으로 캅셀의 외측이 갈라지고 충전된 착색잉크가 비산하여 목표물에 착색잉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가스봄베는 전체길이×몸통직경이 약64mm×약 18mm인 시판용 가스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카트리지는 액화된 CO2를 충전하고 있고, 그 두부(頭部)를 밀봉하고 있는 밀봉판을 압괴하는 것으로 기화된 고압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리거를 외부에서 조작하면, 본체 내부의 메커니즘에 의해, 가스봄베의 고압가스를 분사시킨다. 발사용구를 휴대용으로 하는 경우에는 트리거는 본체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트리거를 제외한 외경이 약 3cm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체길이가 약 18cm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되어 있으므로, 도주자 또는 도주차량이 멀어지기 전에, 페인트볼을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상기 본체, 상기 실린더 및 상기 수용부는 동일 축상으로 직렬배치되어 있는 (1) 기재의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2)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본체, 실린더 및 수용부를 동축상으로 직렬배치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성을 간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운반이 용이하여 불측의 사태에 대비하여 가방등에 휴대할 수 있다.
(3) 상기 본체는 상기 실린더와 상기 수용부를 연통하여 상기 고압가스가 분사되는 통로와 그 통로에 배치되는 압축코일 스프링과, 그 압축코일스프링에 부세(付勢)되고, 상기 가스봄베의 두부의 밀봉판을 압괴하는 돌선이 일방측 단부에 구비되는 통 형상의 피스톤부재와, 상기 돌선이 상기 가스봄베의 두부의 밀봉판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선단부가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주에 설치된 단차에 계지(係止)되고, 기단부가 상기 트리거에 연결되는 로크핀을 갖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본체의 일방측 단부에 탈착자재로 접속하는 접속부와, 그 접속부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페인트볼이 발사되는 발사구를 갖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스봄베의 저부측을 밀봉가능하게 착탈하는 봄베캡을 갖고, 상기 트리거는 압동조작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로크핀을 상기 피스톤부재의 단차로부터 해제하는 요동가능한 발사스위치를 갖는 (1) 또는 (2) 기재의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3)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본체가 통로, 압축코일스프링, 통 형상의 피스톤부재 및 로크핀을 갖고 있다. 통로는 실린더와 수용부를 연통하고 있어, 고압가스가 분사된다. 압축코일스프링은 통로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 부재는 돌선이 일방측 단부에 설치되고, 압축코일스프링에 부세되며, 돌선이 가스봄베의 두부의 밀봉판을 압괴한다. 로크핀의 선단부는 피스톤부재의 외주에 설치된 단차에 계지되어 있다. 따라서, 돌선이 가스봄베의 두부의 밀봉판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로크핀의 기단부는 트리거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3)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실린더와, 접속부와 발사구를 갖고 있다. 접속부는 본체의 일방측 단부에 착탈자재로 접속한다. 발사구는 접 속부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페인트볼이 발사된다. 수용부는 봄베캡을 갖고 있다. 봄베캡은 가스봄베의 저부측을 밀봉가능하게 착탈할 수 있다. 트리거는 요동가능한 발사스위치를 갖고 있다. 발사스위치를 압동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로크핀을 피스톤부재의 단차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로는 본체의 축방향으로 관통되고, 일방측 개구가 실린더에 지지보관된 페인트볼로 밀봉되고, 타방측 개구가 수용부에 장착된 가스봄베로 밀봉되어 있다. 가스봄베를 개봉하면 고압가스가 통로내에 분사되어 페인트볼을 발사할 수 있다.
압축코일스프링은 본체의 축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통로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은 돌선을 구비하는 피스톤부재를 그 스프링 탄성력으로 순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선재를 나선상으로 권회한 압축코일 스프링은 내부에 공간을 갖고, 외주에 간격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고압가스의 분사력을 용이하게 감쇠시키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피스톤부재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방측 단부의 중심에 선단이 예리하게 잘린 돌선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부재의 외주에는 로크핀의 선단부가 계지되는 절결(切欠)된 단차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부재의 내부는 공동(空洞)으로 있고, 그 공동에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부 또는 대부분이 수용된다.
축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을 통로의 내부에 구비하고, 그 레일에 안내되는 그루브(溝)를 피스톤부재의 외주에 구비함으로써, 피스톤부재가 통로의 내부에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피스톤부재는 통로에 규제되어 진퇴운동만이 허용된다.
통상은, 로크핀의 선단부가 피스톤부재의 단차에 계지되어, 돌선이 가스봄베의 두부의 밀봉판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기상태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압축되어 있다. 따라서, 발사스위치를 압동조작하면, 로크핀이 피스톤부재의 단차로부터 해제되어 피스톤부재를 가스봄베를 향하여 부세할 수 있다. 즉, 돌선이 가스봄베의 두부의 밀봉판을 압괴할 수 있다.
수용부에는 이동된 피스톤부재가 정지하는 정지벽을 가스봄베의 두부의 주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피스톤부재의 정지위치가 규정된다. 피스톤부재가 정지벽에서 정지된 때에, 압축코일스프링이 그 스프링압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실린더의 접속부에는, 수나사부를 마련하고, 본체의 일방측 단부에는 암나사부를 마련하고, 실린더를 본체에 착탈자재로 나사결합할 수 있다. 실린더의 외경과 본체의 외경은 대략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린더의 접속부와 본체의 일방측 단부와의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을 구비하여 기밀로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봄 베캡에는 수나사부를 마련하고, 본체의 타방측 단부에는 암나사부를 마련하여 봄베캡을 본체에 착탈자재로 나사결합할 수 있다. 봄베캡의 외경과 본체의 외경은 대략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봄베캡과 본체의 일방측 단부와의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을 구비하여, 기밀 밀봉(밀폐)된다. 봄베캡은 고압가스가 분사된 때의 가스봄베의 반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발사스위치는, 예를 들면, 지렛대의 원리를 응용한 시소 스위치로, 지지점을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사스위치의 일방측 단부를 작용점으로 하고, 로크핀의 기단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발사스위치의 타방측 단부를 힘점으로 하고, 발사스위치의 타방측 단부를 압동조작하면, 발사스위치의 일방측 단부가 들어올려지고, 로크핀의 선단부가 피스톤부재의 단차로부터 끌어올려진다. (해제된다.)
발사스위치의 타방측 단부에는 초기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압축코일스프링등의 부세부재를 구비하고, 미끄럼방지를 위한 주름 룰렛을 표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3)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페인트볼 및 가스봄베의 장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길이가 다른 실린더와 교환할 수도 있다. 길이가 긴 실린더는, 명중율이 향상되지만 휴대에 불편하다는 점이 있다.
또한, (3)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한 손으로 본체를 파지할 수 있어, 엄지손가락으로 발사스위치를 누르는 것만으로 페인트볼을 발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 상기 발사스위치의 압동조작을 저지하는 안전장치를 더 구비하고, 그 안전장치는 상기 발사스위치의 양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축방향에 슬라이드 가능한 해제슬라이더와, 그 해제슬라이더의 양익에 상반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해제버튼을 갖고, 상기 한 쌍의 해제버튼을 서로 근접되도록 압동하면, 상기 해제슬라이더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해제슬라이더를 일방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발사스위치의 압동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3) 기재의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4)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발사스위치의 압동조작을 저지하는 안전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안전장치는 해제슬라이더와 한 쌍의 해제버튼을 갖고 있다. 해제슬라이더는 발사스위치의 양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본체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한 쌍의 해제버튼은 해제슬라이더의 양익에 상반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4)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한 쌍의 해제버튼을 서로 근접하도록 압동하면, 해제슬라이더를 일방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고, 발사스위치의 압동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해제 버튼이 해제슬라이더의 양익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는 본체에 대하여 해제슬라이더가 일방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없도록 저지부재를 발사스위치와 한 쌍의 해제버튼의 사이에 개재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 즉, 안전장치가 기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저지부재가 발사스위치의 힘점과 본체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므로, 발사스위치의 압동조작이 저지된다.
한 쌍의 해제버튼을 서로 근접하도록 압동하면, 상대적으로 저지부재가 이동하여 발사스위치와 한 쌍의 해제버튼과의 저지관계가 해제되고, 해제 슬라이더를 일방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다. 그리고, 해제슬라이더를 일방측 방향으로 완전히 슬라이드하면, 발사스위치의 힘점과 본체와의 사이에 저지부재가 개재되지 않게 되므로, 발사스위치의 압동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문헌1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링에 핀을 연결한 안전핀을 본체로부터 뽑아내는 구성이 용이한 안전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4)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본체로부터 안전핀이 돌출되지 않은 안전장치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휴대에 편리하다. 또한, (4)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에 구비되는 안전장치는 한 쌍의 해제버튼을 누르지 않는 이상, 즉, 일방의 해제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는, 페인트볼을 발사할 수 없으므로, 낙하시키는 등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한 페인트볼의 오발사를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실린더는 상기 발사구를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페인트볼의 직경 이하로 직경을 축소한 직원기둥의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접속부를 향하여 직원뿔체로 직경을 확대하여 상기 페인트볼의 발사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보관구멍을 갖는 (3) 또는 (4) 기재의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예를 들면, 직원기둥의 관통구멍의 직경은 공차의 범위내에서 페인트볼의 직경 이하로 직경이 축소되고, 지지보관구멍에 지지보관된 페인트볼은 중량이 가벼운 외주의 마찰저항으로 용이하게 탈락하지 않는다. 실린더의 지지보관구멍은 일단의 개구가 페인트볼의 직경 이상으로 직경이 확대되어 있으므로, 페인트볼의 지지보관이 용이하다.
(6) 상기 본체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피스톤부재를 대향하여 지지보관되는 원판을 내부에 구비하고, 그 원판은 상기 페인트볼의 중심을 향하여 상기 압축가스를 통기시키는 제1통기수단과, 상기 페인트볼의 소정직경의 원주를 향하여 상기 압축가스를 대략 균등한 분사력으로 통기시키는 제2통기수단을 갖는 (3) 내지 (5)의 어느 하나의 기재의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6)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본체가 원판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원판은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피스톤부재와 대향하여 지지보관되고 있다. 그리고, 원판은 제1 및 제2통기수단을 갖고 있다. 제1통기수단은 페인트볼의 중심을 향하여 고압가스를 통기시킨다. 제2통기수단은 페인트볼의 소정직경의 원주를 향하고, 압축가스를 대략 균등한 분사력으로 통기시킨다.
제1통기수단은 원형개구이며, 제2통기수단은 원형개구일 수 있고, 외주를 향하여 절결된 절결일 수 있다. 여기에서, 페인트볼의 소정직경의 원주를 향하여 고압가스를 대략 균등한 분사력으로 통기시키는 제2통기수단을 원판에 설치한 것으로, 발사된 페인트볼의 직진성이 향상되는 것을 실증할 수 있었다. 발사된 페인트볼이 회전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페인트볼의 주위에 발생하는 공기 저항의 차이에 의한 궤도변동이 억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7) 상기 봄베캡은 매달림이 가능한 매달림 구멍을 단부에 갖는 (3) 내지 (6)의 어느 하나의 기재의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7)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매달림 구멍을 갖고 있으므로, 벽 등에 매달릴 수 있어 긴급한 경우에 편리하다. 또한, 스트라이프를 이용하여 벽 등에 매달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8) 상기 본체는 합성수지제의 내통과, 그 내통이 내장되는 박육의 금속외통을 구비하는 (1) 내지 (7)의 어느 하나의 기재의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8)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합성수지제의 내통과 그 내통이 내장되는 박육의 금속외통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경량화할 수 있다. 실린더 및 봄베캡을 합성수지로 구성하면, 더욱 경량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고, 금속외통은 알루미늄 합금의 파이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상기 내통은 중심선에 따라서 반으로 분할된 반원 형상의 제1 및 제2분할원통으로 구성되는 (8) 기재의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9)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내통이 제1및 제2 분할 원통으로 구성되므로 조립이 용이해진다. 금속외통은, 실린더에 접속하는 제1외통과 봄베캡에 접속하는 제2외통으로 분할되어 있어 더욱 조립이 용이해진다.
(10) 직경이 약 3cm 및 전체길이가 약 18cm이상, 약 20cm이하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1) 내지 (9)의 어느 하나의 기재의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예를 들면, 휴대되는 신축 가능한 특수 경봉(警棒)은, 가장 줄인 전체길이가 약 17cm이다. 여기에서, (10)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그 전체길이가, 바람직하게는, 약 18cm이상, 약 20cm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8cm이며, 17cm에 근사하는 것이 휴대하는데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전체길이가 17cm보다 짧아지면, 본체를 파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11) 총중량이 200g이하인 (1) 내지 (10)의 어느 하나의 기재의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예를 들면, 가스봄베의 중량은 32g이다. 여기에서, (11)의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 발사용구는, 그 실질적인 중량이 168g이하의 경량의 발사용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의 일방측 단부에 페인트볼이 발사되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그 본체의 타방측 단부로부터 페인트볼을 발사시키는 가스봄베를 장착하여, 본체의 외주에 구비된 트리거를 조작하여 페인트볼을 발사시키는 간이한 구조로 된 것으로,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를 소형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휴대가 편리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이하, 발사용구로 약칭한다.)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외관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발사용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발사용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발사용구의 종단면도로, 도 2의 A-A실선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발사용구의 횡단면도로, 도 2의 B-B실선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발사용구에 구비되는 트리거의 횡단면도로, 안전장치가 발사스위치의 압동조작을 저지하고 있는 상태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발사용구에 구비되는 트리거의 횡단면도로, 안전장치가 해제된 상태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발사용구의 종단면도로, 안전장치가 발사스위치의 압동조작을 저지하고 있는 상태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발사용구의 종단면도로, 안전장치가 해제된 상태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발 사용구의 종단면도로, 페인트볼이 발사된 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발사용구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발사용구(10)는, 본체(1), 중공의 실린더(2) 및 수용부(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는 트리거(4)를 마련하고 있다. 실린더(2)는 본체(1)의 일방측 단부에 배치되어, 페인트볼(2p)을 지지보관하고 있다. 수용부(3)는 본체(1)의 타방측 단부에 배치되어 고압가스가 충전된 가스봄베(3g)가 장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발사용구(10)는, 본체(1), 실린더(2) 및 수용부(3)를 동축상에 직렬배치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발사용구(10)는 트리거(4)를 조작하여 고압가스를 분사시켜 페인트볼(2p)을 발사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있어서, 본체(1)는, 통로(11), 압축코일스프링(12), 통 형상의 피스톤부재(13) 및 로크핀(14)을 갖고 있다. 통로(11)는 실린더(2)와 수용부(3)를 연통하고 있어, 가스봄베(3g)의 고압가스가 분사된다.
도 4 또는 도 5에 있어서, 통로(11)는 본체(1)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일방측 개구가 실린더(2)에 지지보관된 페인트볼(2p)로 밀봉되어 있다. 또한, 통로(11)의 타방측 개구는 수용부(3)에 장착된 가스봄베(3g)로 밀봉되어 있다. 가스봄베(3g)가 개봉되면 고압가스가 통로(11)내에 분사되어 페인트볼(2p)을 발사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있어서, 압축코일스프링(12)은 통로(11)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12)은 본체(1)의 축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통로(11)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12)은 돌선(13a, 突先)을 마련하는 피스톤부재(13)를 그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순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4 또는 도 5에 있어서, 피스톤부재(13)는 돌선(13a)을 일방측 단부에 마련하고 있고, 압축코일스프링(12)에 부세되어, 돌선(13a)이 가스봄베(3g)의 두부의 밀봉판(g1)을 압괴할 수 있다. 피스톤부재(13)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방측 단부의 중심에 선단이 예리하게 잘린 돌선(13a)을 마련하고 있다. 피스톤부재(13)의 외주에는 로크핀(14)의 선단부(14a)에 계지(係止)되는 절결된 단차(13b)를 마련하고 있다. 피스톤부재(13)의 내부는 공동으로 되어 있어 이 공동에 압축코일스프링(12)의 일부가 수용되어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있어서, 통로(11)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11r)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피스톤부재(13)의 외주에는 레일(11r)에 안내되는 그루브(미도시, 溝)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부재(13)가 통로(11)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스톤부재(13)는 통로(11)에 규제되어 진퇴운동만이 허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은, 로크핀(14)의 선단부(14a)가 피스톤부재(13)의 단차(13b)에 계지되고, 돌선(13a)이 가스봄베(3g)의 두부의 밀봉판(g1)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기상태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12)이 압축되어 있다. 따라서, 발사스위치(41)를 압동조작하면, 로크핀(14)이 피스톤부재(13)의 단차(13b)로부터 해제되어, 피스톤부재(13)를 가스봄베(3g)를 향하여 부세할 수 있다. 즉, 돌선(13a)이 가스봄베(3g)의 두부의 밀봉판(g1)을 압괴할 수 있다. (도 5 참조)
도 4에 있어서, 로크핀(14)의 선단부(14a)는 피스톤부재(13)의 외주에 마련된 단차(13b)에 계지되고 있다. 따라서, 돌선(13a)이 가스봄베(3g)의 두부의 밀봉판(g1)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로크핀(14)의 기단부(14b)는 트리거(4)에 연결되어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있어서, 실린더(2)는 접속부(21)와 발사구(22)를 가지고 있다. 접속부(21)는 본체(1)의 일방측 단부에 착탈자재로 접속할 수 있다. 발사구(22)는 접속부(21)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 페인트볼(2p)이 발사된다. (도 10 참조)
도 4 또는 도 5에 있어서, 수용부(3)는, 봄베캡(31)을 갖고 있다. 봄베캡(31)은 가스봄베(3g)의 저부측을 밀봉가능하게 착탈할 수 있다. 트리거(4)는 요동가능한 발사스위치(41)를 갖고 있다. 발사스위치(41)를 압동조작하는 것으로서 로크핀(14)을 피스톤부재(13)의 단차(13b)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있어서, 수용부(3)에는 이동된 피스톤부재(13)가 정지되는 정지벽(32)을 가스봄베(3g)의 두부의 주위에 형성하고 있어, 피스톤부재(13)의 정지위치가 규정된다. 피스톤부재(13)가 정지벽(32)에서 정지된 때에는 압축코일스프링(12)이 그 스프링압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있어서, 실린더(2)의 접속부(21)에는 수나사부(21m)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1)의 일방측 단부에는 암나사부(1f)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2)를 본체(1)에 착탈자재로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실린더(2)의 외경과 본체(1)의 외경은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 참조) 실린더(2) 의 접속부(21)와 본체(1)의 일방측 단부와의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p1)이 마련되어 기밀로 밀봉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4 또는 도 5에 있어서, 봄베캡(31)에는 수나사산부(31m)가 마련되어 있고, 본체(1)의 타방측 단부에는 암나사산부(3f)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봄베캡(31)을 본체(1)에 착탈자재로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봄베캡(31)의 외경과 본체(1)의 외경은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 참조) 봄베캡(31)과 본체(1)의 일방측 단부와의 사이에는 링 형상의 패킹(p2)이 마련되어 기밀로 밀봉되어 있다. 봄베캡(31)은 고압가스가 분사된 때의 가스봄베(3g)의 반동을 억제하도록 기능을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발사용구(10)는 발사스위치(41)의 압동조작을 저지하는 안전장치(5)를 더 구비하고 있다. 안전장치(5)는 해제슬라이더(51)와 한 쌍의 해제버튼(52a)(52b)을 가지고 있다. 해제슬라이더(51)는 발사스위치(41)의 양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본체(1)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한 쌍의 해제버튼(52a)(52b)은 해제슬라이더(51)의 양익에 상반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발사용구(10)는 한 쌍의 해제버튼(52a)(52b)을 상호 근접되도록 압동하면, 해제슬라이더(51)를 일측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어, 발사스위치(41)의 압동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구성을 보충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발사용구의 동작 또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있어서, 발사스위치(41)는 지렛대의 원리를 응용한 시소스위치로, 지지점(Q)을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점(Q)은 본 체(1)의 외주로부터 융기한 볼록부(1t)의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계지구멍과, 발사스위치(41)의 양익으로부터 돌출한 한 쌍의 플랜지(41t)에 설치된 제2계지구멍과, 제1 및 제2계지구멍을 축지하는 나사(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이 나사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너트(1n)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있어서, 발사스위치(41)의 일방측 단부를 작용점으로 하고, 로크핀(14)의 기단부(14b)와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발사스위치(41)의 타방측 단부를 힘점으로 하고, 발사스위치(41)의 타방측 단부를 압동조작하면, 발사스위치(41)의 일방측 단부가 들어올려진다.
도 8 내지 도 10에 있어서, 로크핀(14)의 기단부(14b)는 한 쌍의 봉 형상의 돌출편(미도시)이 양익으로부터 돌출되도록 T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발사스위치(41)의 일방측 단부의 저면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편의 저면측으로부터 계합하는 한 쌍의 구편(鉤片)(41s)이 설치되어 있다. 발사스위치(41)의 타방측 단부를 압동조작하면, 한 쌍의 구편(41s)이 로크핀(14)을 끌어올리고, 로크핀(14)의 선단부(14a)가 피스톤부재(13)의 단차(13b)로부터 끌어 올려진다. (해제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있어서, 발사스위치(41)의 타방측 단부에는, 초기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압축코일스프링(1s)이 마련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1s)에 대신하여 판스프링 등의 부세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발사스위치(41)의 타방측 단부에는 압동조작하는 때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주름 룰렛(41n)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참조)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동작 또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에 있 어서, 한 쌍의 해제버튼(52a)(52b)이 해제슬라이더(51)의 양익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는, 본체(1)에 대하여 한 쌍의 해제버튼(52a)(52b)이 일방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없도록 한 쌍의 저지부재(41a)(41b)를 발사스위치(41)와 한 쌍의 해제버튼(52a)(52b)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한 쌍의 저지부재(41a)(41b)는 발사스위치(41)의 상면으로부터 본체(1)의 외주를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도 6 또는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즉, 안전장치(5)가 기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한 쌍의 저지부재(41a)(41b)가 발사스위치(41)의 힘점과 본체(1)와의 사이에 개재되므로, 발사스위치(41)의 압동조작이 저지된다.
도 7에 있어서, 한 쌍의 해제버튼(52a)(52b)을 서로 근접되도록 압동하면, 상대적으로 한 쌍의 저지부재(41a)(41b)가 이동하고, 발사스위치(41)와 한 쌍의 해제버튼(52a)(52b)과의 저지관계가 해제된다. 즉, 한 쌍의 해제버튼(52a)(52b)에 마련된 한 쌍의 오목부(52c)(52d)가 한 쌍의 저지부재(41a)(41b)로 이동하므로, 발사스위치(41)와 한 쌍의 해제버튼(52a)(52b)과의 저지관계가 해제된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슬라이더(51)를 일방측 방향으로 완전히 슬라이드하면, 발사스위치(41)의 힘점과 본체(1)와의 사이에 한 쌍의 저지부재(41a)(41b)가 개재되지 않게 되므로, 발사스위치(41)의 압동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6 또는 도 7에 있어서, 안전장치(5)에는 한 쌍의 해제버튼(52a)(52b)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압축코일스프링(52s)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전장치(5)에는 해제슬라이더(51)를 슬라이드했을 때에, 일방측 정지 위치와 타방측 정지위치를 클릭감으로 규정하는 한 쌍의 핀(52p)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전장치(5)에는 해제슬라이더(51)를 그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판(53)을 본체(1)에 고정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본체로부터 안전핀이 돌출되지 않은 안전장치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휴대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에 구비된 안전장치는 한 쌍의 해제버튼을 누르지 않는 한, 즉, 일방측 해제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는 페인트볼을 발사할 수 없으므로, 낙하시키는 등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한 페인트볼의 오발사를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사용구의 특징적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실린더(2)는 발사구(22)를 항하여 개구하고, 페인트볼(2p)의 직경 이하로 직경을 축소한 직원기둥의 관통구멍(2a)과, 관통구멍(2a)으로부터 접속부(21)를 향하여 직원뿔체로 직경을 확대하여 페인트볼(2p)의 발사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보관구멍(2b)을 가지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 직원기둥의 관통구멍(2a)의 직경은 공차의 범위내에서 페인트볼(2p)의 직경 이하에 불과하게 직경이 축소되고, 지지보관구멍(2b)에 지지보관된 페인트볼(2p)은 중량이 가벼운 외주의 마찰저항으로 용이하게 탈락되지 않는다. 또한, 실린더(2)의 지지보관구멍(2b)은 일단의 개구가 페인트볼(2p)의 직경 이상으로 직경이 확대되어 있으므로 페인트볼(2p)의 지지보관이 용이하다.
도 2 또는 도 10에 있어서, 본체(1)는 원판(15)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원판(15)은 압축코일스프링(12)을 사이에 두고 피스톤부재(13)와 대향하여 지지보관 되어 있다. 그리고, 원판(15)은 제1 및 제2통기수단이 되는 원형개구(15a)(15b)를 갖고 있다. 제1통기수단이 되는 원형개구(15a)는 페인트볼(2p)의 중심을 향하여 고압가스를 통기시킨다. 제2통기수단이 되는 원형개구(15b)는 페인트볼(2p)의 소정직경의 원주를 향하여 고압가스를 대략 균등한 분사력으로 통기시킨다.
도 2 또는 도 10에 있어서, 페인트볼(2p)의 소정직경의 원주를 향하여, 고압가스를 대략 균등한 분사력으로 통기시키는 제2통기수단을 원판(15)에 설치한 것으로, 발사된 페인트볼(2p)의 직진성이 향상되는 것을 실증할 수 있었다. 발사된 페인트볼(2p)이 회전되지 않는 것에 의하여, 페인트볼(2p)의 주위에 발생하는 공기저항의 차이에 의한 궤도변동이 억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봄베캡(31)은 매달림이 가능한 매달림 구멍(31h)을 단부에 가지고 있다. 발사용구(10)는 매달림 구멍(31h)을 가지고 있으므로, 벽 등에 매달릴 수 있어, 긴급한 경우에 편리하다. 또한, 스트라이프를 이용하여 벽 등에 매달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 있어서, 본체(1)는 합성수지제의 내통(1c)와, 내통(1c)이 내장되는 박육의 금속외통(1d)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용구(10)는 합성수지제의 내통(1c)과, 내통(1c)이 내장되는 박육의 금속외통(1d)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경량화할 수 있다. 실린더(2) 및 봄베캡(31)을 합성수지로 구성하면, 더욱 경량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고, 금속외통(1d)은 알루미늄 합금의 파이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발사용구(10)를 총중량이 200g 이하의 경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내통(1c)은 중심선을 따라 반으로 분할된 반원 형상의 제1 및 제2분할원통(1a)(1b)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용구(10)는 내통(1c)이 제1 및 제2분할원통(1a)(1b)으로 구성되므로, 조립이 용이해진다. 금속외통(1d)은 실린더(2)에 접속하는 제1외통(c1)과 봄베캡(31)에 접속하는 제2외통(c2)으로 분할되므로 더욱 조립이 용이해진다. (도 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10)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트리거(4)를 조작하여 고압가스를 분사시켜 페인트볼(2p)을 발사시킨다. (도 10 참조) 선단이 개구된 봉 형상의 밀어내기 지그(미도시)를 이용하여 압축코일스프링(12)을 압축하면, 초기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어 다음의 발사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 참조)
예를 들면, 페인트볼은, 직경이 약 17mm의 시판용 페인트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스봄베는, 전체길이×몸통직경이 약 64mm×약 18mm의 시판용 가스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트리거를 제외한 직경이 약 3cm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체길이가 약 18cm로 형성되며,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되어 있으므로, 도주자 또는 도주차량이 멀어지기 전에 페인트볼을 발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약 15m의 유효사정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의 일방측 단부에 페인트볼이 발사되는 실린더를 설치하고, 이 본체의 타방측 단부로부터 페 인트볼을 발사시키는 가스봄베를 장착하고, 본체의 외주에 설치된 트리거를 조작하여 페인트볼을 발사시키는 간이한 구조로 된 것으로,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를 소형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는 휴대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외관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의 종단면도로, 도 2의 A-A실선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의 횡단면도로, 도 2의 B-B실선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에 구비되는 트리거의 횡단면도로, 안전장치가 발사스위치의 압동조작을 저지하고 있는 상태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에 구비되는 트리거의 횡단면도로, 안전장치가 해제된 상태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의 종단면도로, 안전장치가 발사스위치의 압동조작을 저지하고 있는 상태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의 종단면도로, 안전장치가 해제된 상태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의 종단면도로, 페인트볼이 발사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실린더
2p: 페인트볼 3: 수용부
3g: 가스봄베 4: 트리거
5: 안전장치
10: 발사용구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Claims (11)

  1. 트리거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방측 단부에 배치되어 페인트볼을 지지보관하는 중공의 실린더와,
    상기 본체의 타방측 단부에 배치되어 고압가스가 충전된 가스봄베가 장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트리거를 조작하여 상기 고압가스를 분사시켜 상기 페인트볼을 발사시키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된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실린더 및 상기 수용부는 동일 축상에 직렬배치되는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실린더와 상기 수용부를 연통하여 상기 고압가스가 분사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에 배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에 부세(付勢)되고, 상기 가스봄베의 두부의 밀봉판을 압괴하는 돌선(突先)이 일방측 단부에 구비되는 통 형상의 피스톤부재와, 상기 돌선이 상기 가스봄베의 두부의 밀봉판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선단부가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주에 설치된 단차에 계지(係止)되고, 기단부가 상기 트리거에 연결되는 로크핀을 갖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본체의 일방측 단부에 착탈자재로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페인트볼이 발사되는 발사구를 갖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가스봄베의 저부측을 밀봉가능하게 착탈하는 봄베캡을 갖고,
    상기 트리거는 압동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로크핀을 상기 피스톤부재의 단차로부터 해제하는 요동가능한 발사스위치를 갖는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스위치의 압동조작을 저지하는 안전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발사스위치의 양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해제슬라이더와, 상기 해제슬라이더의 양익에 상반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해제버튼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버튼을 서로 근접되도록 압동하면 상기 해제슬라이더와의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해제슬라이더를 일방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발사스위치의 압동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발사구를 향하도록 개구되고 상기 페인트볼의 직경의 이하가 되도록 직경을 축소한 직원기둥의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접속부를 향하도록 직원뿔체로 직경을 확대하여 상기 페인트볼의 발사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보관구멍을 갖는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피스톤부재를 대향하여 지지보관되는 원판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원판은 상기 페인트볼의 중심을 향하여 상기 고압가스를 통기시키는 제1통기수단과, 상기 페인트볼의 소정직경의 원주를 향하여 상기 고압가스를 대략 균등한 분사력으로 통기시키는 제2통기수단을 갖는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봄베캡은 매달림이 가능한 매달림 구멍을 단부에 가지는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합성수지제의 내통과, 상기 내통이 내장되는 박육의 금속외통을 구비하는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중심선을 따라 반으로 분할된 반원 형상의 제1 및 제2분할원통으로 구성되는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이 약 3cm 및 전체길이가 약 18cm 이상, 약 20cm 이하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총중량이 200g 이하 인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KR20070096778A 2007-07-17 2007-09-21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KR200900081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85228 2007-07-17
JP2007185228A JP2009024887A (ja) 2007-07-17 2007-07-17 ペイントボールの発射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101A true KR20090008101A (ko) 2009-01-21

Family

ID=4026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96778A KR20090008101A (ko) 2007-07-17 2007-09-21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024887A (ko)
KR (1) KR20090008101A (ko)
CN (1) CN1013495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243Y1 (ko) 2009-06-19 2011-12-09 안재주 호신용분사장치
KR101282716B1 (ko) 2010-04-19 2013-07-05 김학량 휴대용 치한 퇴치구
JP2012013379A (ja) * 2010-07-02 2012-01-19 Kyowa Giken Kk 内容物を収容可能な容器を発射する容器発射装置
US20130082447A1 (en) 2011-10-04 2013-04-04 Garlock Sealing Technologies, Llc Spiral wound gasket
JP6283252B2 (ja) * 2014-04-14 2018-02-21 株式会社ダイセル 穿孔器およびガス排出装置
JP6097448B1 (ja) * 2015-05-13 2017-03-15 株式会社 スカイロボット カラーボール発射装置
WO2018198026A1 (en) * 2017-04-24 2018-11-01 Taljaard Tobias Richter Gas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49527A (zh) 2009-01-21
JP2009024887A (ja)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8101A (ko) 페인트볼의 발사용구
US7481209B1 (en) Toy projectile launcher with slidable outer cylinder and stationary inner compression member
US7752974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distributing irritant powder
CN110325812B (zh) 喷射装置
US5996503A (en) Reusable gas-powered hand grenade
JP5401677B2 (ja) 安全性が高くかつ繰り返しの使用が可能な発射機
US5791327A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having a non-lethal projectile
US20060027223A1 (en) Compact projectile launcher
US6119671A (en) Toy projectile launcher
TWI522153B (zh) 玩具槍及玩具槍用氣筒安裝裝置
US11320233B2 (en) Non-lethal self-protection system
US20080017179A1 (en) Compressed Gas Cartridge Puncture Apparatus
CZ20023564A3 (cs) Obranné zařízení, zejména zařízení pro sebeobranu, a v něm použitelná zásobníková jednotka
US11519700B2 (en) Non-lethal self-protection weapon
US5206445A (en) Projection devices
US2922412A (en) Cartridge cylinder for a toy gun
US20070017406A1 (en) Valve arrangement
US6540107B1 (en) Self-defense ring
KR200488286Y1 (ko) 화약을 이용한 그물 발사 기구
US20050081419A1 (en) Hand-held firing device comprising several cartridges
UA133352U (uk) Малогабаритний пристрій порошкового пожежогасіння "спас"
US2719507A (en) Personal alarm device
CN104224399A (zh) 注射器专用弹射器
CN210570224U (zh) 一种多发的刺激液体喷射器
JP3105596U (ja) 犯人追跡用ペイントボールの発射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