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072A - Segmental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pier - Google Patents

Segmental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p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072A
KR20090008072A KR1020070071380A KR20070071380A KR20090008072A KR 20090008072 A KR20090008072 A KR 20090008072A KR 1020070071380 A KR1020070071380 A KR 1020070071380A KR 20070071380 A KR20070071380 A KR 20070071380A KR 20090008072 A KR20090008072 A KR 20090008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concrete filled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만엽
백승덕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71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072A/en
Publication of KR2009000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0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A prefabricated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tube pier is provided to perform construction work rapidly using many pier segments, to increase load carrying capacity and earthquake resistance, and to solve the corrosion problem of a steel tube. A prefabricated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tube pier is composed of an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tube installed between a foundation(10) and a coping section(20), wherein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tube is divided into many segments(12,14,16), steel bar insertion holes(12d,14d,16d) are formed on each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tube segment, and the upper part of the uppermost segmen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most segment among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tube segments are tapered.

Description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Segmental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pier}Segmental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pier

본 발명은 조립식 교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각용 세그먼트를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으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여 교각을 완성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ridge pi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s made to assemble the field by pier segments made of internally boun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to complete the bridge.

교량을 건설하기 위한 핵심부재인 교각은 시멘트의 발명 이후로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오랫동안 건설되어 왔다. Piers, a key member for the construction of bridges, have been constructed using reinforced concrete since the invention of cement.

그러나, 최근 시공되는 교각의 높이와 내하력이 증대됨에 따라 토목분야에서는 중공(H: Hollow) 교각이 도입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최소단면의 기둥을 필요로 하는 건축분야에서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CFT: Concrete-Filled steel Tube) 기둥의 사용이 증대되어 왔다. 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height and load capacity of bridge piers have been increased, H (hollow) piers have been introduced and used in civil engineering fields, and concrete filled steel pipes (CFT: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s have been increasingly used.

이에 따라, 이들 2가지의 기술을 혼합한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H-CFT) 기둥도 토목에서는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H-CFT) 기둥은 지진에 의한 횡방향 하중이 작용할 경우, 중공 내부의 콘크리트가 쉽게 파괴됨으로 해서 내진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Accordingly, H-CFT columns, which combine these two technologies, have also started to be used in civil engineering, where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H-CFT) columns are subjected to seismic lateral loads. As the concrete inside the hollow is easily destroyed, the seismic performance is deteriorated.

이에 따라, 충전 기둥 내부의 중공에도 콘크리트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강관을 삽입한 내부가 구속된(IC: Internally Confined) 중공형 콘크리트 충전 강관을 이용한 기둥 또는 교각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ICH-CFT: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은 기존의 다른 형식의 기둥에 비하여 무게가 가볍고, 내하력이 큰 동시에 뛰어난 내진 성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형식의 교량은 현재 실험실에서 그 성능을 평가하고 있는 상태의 기술로서 아직 기술개발 초기 단계의 기술이다.Accordingly, pillars or piers using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s in which steel pipes are inserted to suppress the deformation of concrete in the hollow inside the filling column are used.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ICH-CFT) is lighter in weight than other types of columns, has a higher load bearing capacity, and has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This type of bridge is a technology that is currently being evaluated in the laboratory and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technology development.

현재, 기둥이나 교각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등의 모든 공정이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현장시공법은 품질관리의 어려움과 인건비의 상승 및 공사기간의 장기화에 따른 기술적,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 Currently, all the processes such as reinforcing steel bars, assembling formwork, placing concrete, curing, etc. are performed in the field to construct pillars and piers. There are technical and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the prolonged construction period.

이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교각을 PC화하여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 조립하는 조립식 교각 공법이 최근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C 세그먼트를 이용한 교각의 조립식 공법은 운반과 조립시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중공형 교각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세그먼트간의 결합에는 강봉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ccordingly, in the developed countries, prefabricated bridge construction methods for converting piers into PCs and producing them in factorie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and used. In the prefabricated construction method of piers using PC segments, hollow piers are generally used to reduce weight during transportation and assembly, and steel bars are generally used for joining segments.

반면, 건축에서 사용되는 기둥의 경우에는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둥의 단면적이 최소화되고, 용접이나 볼트를 이용하여 보와 기둥의 연결이 손쉽게 해결되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의 경우도 강관의 조립이나 콘크리트의 충전 작업이 모두 현장에서 이 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공법이 시도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illar used in construction, in order to secure the internal space of the building, the concret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llar is minimized, and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s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beams and columns is easily solved by welding or bolts are widely used. In the case of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s, assembling of steel pipes and filling of concrete are generally performed in the field, but recently, a prefabricated construction method using concrete-filled steel pipe columns has been attempted.

토목분야의 경우, 철근 콘크리트 교각은 현장에서 모든 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길고, 야외 작업에 따른 어려움이 있으며,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중공형 철근 콘크리트 교각은 철근 배근이 매우 복잡하고, 내진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건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교각에는 사용된 예가 거의 없고, 내부 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교각에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내부 강관이 부식되는 문제가 있으며, 부식이 발생되었을 때 해결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s have a long construction period because of all work in the field, difficulty in outdoor work, and time required for curing. In addition, hollow reinforced concrete pier has the disadvantage of very complicated reinforcement and poor seismic performance, concrete-filled steel pipe is a technique that is mainly used in construction, there are few examples used in pier, and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is used in pier Although recently started to b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steel pipe is corroded, it is difficult to solve when the corrosion occur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교각용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piers that allow rapid construction using a plurality of pier segmen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각의 연결부와 취약부를 보강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내하력과 내진성능을 증대시키고 강관의 부식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weak part of the pier, to provide a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s to increase the load capacity and seismic performance and solve the corrosion problem of the steel pip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은, 기초부와 코핑부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으로 된 교각으로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 prefabricat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er made of internally boun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installed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coping portion,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절되고,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에는 강봉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is segment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and each of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eel rod insertion hole is formed.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세그먼트 단위로 분절된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ICH-CFT)을 이용하여 교각을 형성시킴으로써, 건설현장으로의 운반이 용이하고, 시공이 신속하면서도, 연결부의 내하력이 크고, 내진성능과 내구성이 뛰어난 조립식 교각을 건설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such a configuration, by forming a bridge using an internally-constra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ICH-CFT) segment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it is easy to transport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construction is quick, It is possible to build prefabricated bridges with high load resistance and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and durability.

강관을 이용한 세그먼트 연결부의 보강 방법과 세그먼트에 기둥 받침부를 일체화시키는 변단면 공법 및 내부 강관의 내부식성 재료로의 대체 방법은 여타 모든 기둥공법에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Th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segment connection part using the steel pipe, the cross sectional method of integrating the pillar support part in the segment, and the method of replacing the inner steel pipe with the corrosion resistant material are techniques applicable to all other pillar method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교각의 조립식 시공법은 공사기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시공에 따른 사고 발생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ut als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wor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ccident occurrence rate due to construction.

또, 본 발명은 현장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교각으로서, 세그먼트 간의 연결부를 보강하고, 세그먼트와 연결 부재와의 연결부를 보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abricated piers that can be assembled in the field,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gment, reinforcing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gment and the connecting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s prefabric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inner hollow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of Figure 1,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FIG.

본 발명의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은 기초부(10)와 코핑부(20) 사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절된 내부구속 중공(中空) 콘크리트 충전 강관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를 세 개로 하였으나, 그 수는 가감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를 원통형으로 하였으나 사각 또는 그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기둥으로 하여도 무방하다.The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foundation portion 10 and the coping portion 20, and consists of an internally boun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are three, but the number may be added or subtracted. The inner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but may be a column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 or an ellipse having an angle of square or more.

상기 기초부(10)의 상면에는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의 전단키(3)가 끼워지는 전단홈(10a)이 형성되고, 각각의 전단홈(10a)에는 강봉(18)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너트(22)가 설치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is formed with a shear groove 10a into which the shear key 3 of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12 is fitted, and each of the shear grooves 10a has a steel bar 18 and A plurality of nuts 22 are installed for coupling.

상기 코핑부(20)에는 다수 개의 거더(미도시)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그 코핑부(20)의 저면에는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8)의 전단홈(17)에 끼워지는 전단키(미도시)가 형성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는 상기 기초부(10)와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및 상기 코핑부(20)와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8)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또는 정확한 결합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핑부(20)의 상면에는 전단홈(20a)이 형성되고, 그 전단홈(20a)에는 강봉 삽입구(미도시)가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A plurality of girders (not shown) are horizontally installed in the coping portion 20, and a shear key fitted into a front end groove 17 of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 18 on the bottom of the coping portion 20. Not shown). This facilitates or accurately selects the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foundation portion 10 and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12 and the coping portion 20 and the internally constra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18. It is to help you. In addition, a shear groove 20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portion 20, and a steel rod inserting hole (not shown) is vertically drilled in the shear groove 20a.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는 대직경의 외부 강관(12a, 14a, 16a)과 그 외부 강관(12a, 14a, 16a)내에 삽입된 소직경의 내부 강관(12b, 14b, 16b) 사이에 콘크리트(12c, 14c, 16c)를 충전시킨 구조로서, 그 콘크리트(12c, 14c, 16c)가 충전된 부위의 상면에는 전단홈(13, 15, 17)이 형성되고, 그 전단홈(13, 15, 17)내에는 다수개의 강봉 삽입구(12d, 14d, 16d)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물론, 그 전단홈(13, 15, 17)의 외부에 강봉 삽입구(12d, 14d, 16d)를 형성시켜도 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12c, 14c, 16c)가 충전된 부위의 하면에는 전단키(3, 5, 7)가 형성된다.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12, 14, and 16 have a large diameter outer steel pipe 12a, 14a, 16a and a small diameter inner steel pipe 12b, inserted into the outer steel pipe 12a, 14a, 16a. A structure in which concretes 12c, 14c, and 16c are filled between 14b and 16b, wherein shear grooves 13, 15, and 17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concretes 12c, 14c, and 16c are filled. In the shear grooves 13, 15, and 17, a plurality of steel rod insertion holes 12d, 14d, and 16d are vertically formed. Of course, you may form the steel rod insertion slots 12d, 14d, and 16d outside the front end grooves 13, 15, and 17. Then, shear keys 3, 5, and 7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ion filled with the concrete 12c, 14c, and 16c.

상기 강봉 삽입구(12d, 14d, 16d)는 상기 전단홈(13, 15, 17) 및 전단키(3, 5, 7)를 관통하게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상기 강봉 삽입구(12d, 14d, 16d)가 전단홈(13, 15, 17)내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그 강봉 삽입구(12d, 14d, 16d)의 설치형태에 따라 상기 전단홈(13, 15, 17) 및 전단키(3, 5, 7)를 관통하지 않아도 된다.The steel rod inserts 12d, 14d, and 16d are preferably formed vertically to penetrate the shear grooves 13, 15, 17 and the shear keys 3, 5, and 7, but the steel rod inserts 12d, 14d, 16d) does not have to be installed in the shear grooves 13, 15, and 17, so that the shear grooves 13, 15, 17 and shear keys 3, 5 depend on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rod inserts 12d, 14d, 16d. , 7) does not have to penetrate.

그리고, 상기 내부 강관(12b, 14b, 16b)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등과 같이 비부식성 재질로 된 관 또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부식에 강한 재질로 된 관을 사용하면 된다.In order to prevent corrosion, the inner steel pipes 12b, 14b, and 16b may be made of a non-corrosive material such as plastic, or a pipe made of a material resistant to corrosion, such as stainless steel.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는 주문에 따라 공장 또는 현장 주변에서 미리 제조된 후에 건설현장으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12, 14, 16 is preferably manufactured beforehand around the factory or site and then transferred to the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order.

그리고, 도 1에서, 상기 강봉 삽입구(12d, 14d, 16d)가 형성되는 부위는 네 군데로 하였는데, 그 강봉 삽입구(12d, 14d, 16d)의 배치 및 위치는 변동이 가능하며, 상기 강봉 삽입구(12d, 14d, 16d)가 개별적으로 단면 전체에 분산되어 있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FIG. 1, four portions of the steel rod inserts 12d, 14d, and 16d are formed, and the positions and positions of the steel rod inserts 12d, 14d and 16d are variable, and the steel rod inserts ( 12d, 14d, and 16d) may be individual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ross section.

한편,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의 상면 및 저면에 설치된 전단홈(13, 15, 17) 및 전단키(3, 5, 7)는 세그먼트간의 수평하중을 전달한다. 상기 전단홈(13, 15, 17) 및 전단키(3, 5, 7)는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의 상면 및 저면에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오목과 볼록으로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의 상면에는 오목(凹)형상의 전단홈(13, 15, 17)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의 저면에는 대면되는 기초부(10)의 전단홈(10a)과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상면의 전단홈(13, 15)에 끼워지는 볼록(凸) 형상의 전단키(3, 5, 7)가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전단홈(13, 15, 17)과 전단키(3, 5, 7)의 형상은 상호간에 결합만 된다면 오목형상 및 볼록형상으로 국한되지 않음은 주지의 사실이다.On the other hand, the shear grooves (13, 15, 17) and shear keys (3, 5, 7)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of the internally boun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12, 14, 16) transfer the horizontal load between the segments. do. The shear grooves 13, 15, 17 and shear keys 3, 5, 7 are concave and convex to allow mutual coupling to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respectiv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12, 14, and 16. Is formed. In FIG. 1, a plurality of concave shear grooves 13, 15, and 17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inner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s 12, 14, and 16. The convex fits into the bottom face of the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12, 14, and 16 in the shear groove 10a of the foundation portion 10 facing the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and the shear grooves 13 and 15 of the top surface of the internally-constra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Iii) A plurality of shear keys 3, 5, and 7 are formed. It is well known that the shape of the shear grooves 13, 15, 17 and the shear keys 3, 5, 7 are not limited to concave and convex shapes as long as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물론, 상기 다수개의 전단홈(13, 15, 17)과 전단키(3, 5, 7)의 형성 위치를 반대로 하여도 된다. 즉,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의 상면에 전단키(3, 5, 7)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의 저면에 전단홈(13, 15, 17)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세그먼트의 상면에는 전단키와 전단홈이 복합적으로 형성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면에는 이와 결합될 수 있는 전단홈과 전단키를 갖고 있으면 된다.Of course,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hear grooves 13, 15, 17 and shear keys 3, 5, 7 may be reversed. That is, shear keys 3, 5, and 7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internally boun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12, 14, and 16, and the respective internally boun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12, 14, and 16 are formed. Shear grooves 13, 15, and 17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gment can be arranged so that the shear key and the shear groove is formed in a complex, the lower surface may have a shear groove and shear key that can be coupled thereto.

특히,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는 상기 기초부(10)에 결합되는 최하단 세그먼트로서, 수직 하중에 대해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따라서, 이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의 외부 강관(12a)의 하부는 테이퍼지게 단면적이 커지도록 세그먼트를 형성하면 된다. 그로 인해, 기초부(10)와의 연결부위 단면이 확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의 직경만큼의 높이에서부터 테이퍼 지나 테이퍼의 높이는 변동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12 is the lowest segment coupled to the foundation 10 and is the most vulnerable to vertical load. Therefore, in order to reinforce this,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teel pipe 12a of the inner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 12 may be tapered so as to have a large cross-sectional area. Therefore,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base part 10 expands. Preferably, the height of the taper or taper from the height of the inner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12 is variable.

한편,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는 상기 코핑부(20)와 결합되는 최상단 세그먼트로서, 그 코핑부(20)와의 연결부위의 내하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그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의 외부 강관(16a)의 상부는 테이퍼지게 단면적이 커지도록 세그먼트를 형성하면 된다. 그로 인해, 코핑부(20)와의 연결부위 단면이 확대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16 is the uppermost segment coupled with the coping portion 20, the inner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to enhance the load capacity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oping portion 20 The upper part of the outer steel pipe 16a of 16 may form a segment so that a cross-sectional area may become large to taper. Therefore,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coping part 20 is expand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을 시공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ocedure for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기초부(10)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전단홈(10a)에 추후에 강봉(18-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는 너트(22)의 일부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그 기초부(10) 상면에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기초부(10) 상면의 전단홈(10a)에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의 저면의 전단키(3)를 끼워 맞춘다.First, a part of a nut 22 to which a steel bar 18-not shown may be later protruded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hear grooves 10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10 so as to protrude, and the foundation is used by using a crane or the like. The inner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 12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10. That is, the shear key (3)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 (12) is fitted into the shear groove (10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그 후, 순차적으로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4, 16)를 수직으로 결합시킨 후에, 코핑부(20)의 저면의 전단키(도시 생략)를 최상위에 위치한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의 상면의 전단홈(17)에 결합시킨다. Thereafter, after sequentially joining the internally boun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14 and 16 vertically, the shear key (not show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ping portion 20 is positioned at the top thereof. It is coupled to the shear groove 17 of the upper surface.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와 코핑부(20)와의 결합이 완성되면, 상기 코핑부(20)의 강봉 삽입구(즉, 전단홈(20a)내에 형성됨)에 기둥 높이의 강봉(18)을 삽입하여 기초부(10) 상면의 전단홈(10a)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22)에 결합시킨다. 그 후, 유압 잭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부(10)에 설치된 너트(22)와 연결된 강봉(18)을 긴장시켜 코핑부(20) 상면에서 고정시킨다. 그리하면, 최종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은 형태로 교각이 완성된다.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inner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 16 and the coping portion 20 is completed, a steel rod 18 having a column height at a steel rod insertion hole (ie, formed in the shear groove 20a) of the coping portion 20. ) Is inserted into the nut 22 installed in the shear groove 10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Thereafter, using a mechanism such as a hydraulic jack, the steel bar 18 connected to the nut 22 installed on the base portion 10 is tensioned and fix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portion 20. Then, the pier is finally completed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를 상호 연결시킬 때 상호간의 연결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가 상호 접하는 부위를 다음과 같이 변형시켜도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ly boun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12, 14, 1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reinforce the mutual connection when each of the internally boun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12, 14, 16) The site may be modified as follows.

도 4a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b의 상부 세그먼트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d는 도 4a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상부 세그먼트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d는 도 5a의 결합단면도이다.Figure 4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locking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s of Figure 1, Figure 4b is an exampl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locking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s of Figure 1 4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tate of the upper segment of FIG. 4B, and FIG. 4D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4A. Figure 5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locking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of Figure 1, Figure 5b is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terlocking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of Figure 1 Another example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Figure 5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tate of the upper segment of Figure 5b, Figure 5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ure 5a.

먼저, 도 4a 내지 도 4d에서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상부 세그먼트라고 약칭함)의 참조부호를 30으로 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하부 세그먼트라고 약 칭함)의 참조부호를 40이라고 설명한다.First, as shown in FIGS. 4A to 4D, the reference numeral of the internally-conta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abbreviated as the upper segment)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is 30, and the internally-conta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 located at the lower side (bottom) Reference numeral 40 is referred to as a segment.

상부 세그먼트(30)의 외부 강관(32)과 내부 강관(34) 사이에 충전된 콘크리트(36)의 하단부는 소정치 돌출되고, 그 콘크리트 돌출부위의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접착제 충진홈(38)이 세로로 형성되며, 그 콘크리트 돌출부위의 저면에는 전단키(31)가 형성된다.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36 filled between the outer steel pipe 32 and the inner steel pipe 34 of the upper segment 30 protrudes a predetermined value, and a plurality of adhesive filling grooves 38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protrusion. It is formed vertically, the shear key 31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crete projec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하부 세그먼트(40)의 외부 강관(42)과 내부 강관(44) 사이에 콘크리트(46)가 충전되는데, 상기 상부 세그먼트(30)의 콘크리트 돌출부위의 길이만큼 제외하고 충전된다. 그리고, 충전된 콘크리트(46)의 상면에는 상기 전단키(31)가 끼워지는 전단홈(41)이 형성된다. 만약, 그 전단키(31)가 없다면 상기 전단홈(41) 역시 없어도 무방하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는 접착제 충진홈(38)을 상부 세그먼트(30)의 콘크리트 돌출부위에 형성시켰으나, 하부 세그먼트(40)의 외부 강관(42)의 내주면 상부에 형성시켜도 된다.Then, the concrete 46 is filled between the outer steel pipe 42 and the inner steel pipe 44 of the lower segment 40, except the length of the concrete protrusion of the upper segment 30 is filled. In addition, a shear groove 41 into which the shear key 31 is fitte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lled concrete 46. If the shear key 31 is not present, the shear groove 41 may also be absent. In FIGS. 4A to 4D, the adhesive filling groove 38 is formed on the concrete protrusion of the upper segment 30, but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teel pipe 42 of the lower segment 40.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구성된 상부 세그먼트(30)와 하부 세그먼트(40)는 도 4d에서와 같이 그 상부 세그먼트(30)의 콘크리트 돌출부위가 하부 세그먼트(40)의 상부 수납부위에 결합되기 전에 하부 세그먼트(40)의 내부에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바른 후 상부 세그먼트(30)와 하부 세그먼트(40)를 결합시키면 여분의 에폭시가 에폭시 충진홈으로 누출되도록 하여 상, 하부 세그먼트들(30,40)의 결합이 완벽하게 될 수 있으며, 상, 하부 세그먼트들(30,40)사이의 상하면과 측벽면에 에폭시가 충진됨으로 해서 결합부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The upper segment 30 and the lower segment 40 constructed as shown in FIGS. 4A-4C have a lower portion before the concrete protrusion of the upper segment 30 is coupled to the upper receiving portion of the lower segment 40 as in FIG. 4D. Applying an adhesive such as epoxy to the inside of the segment 40 and then combining the upper segment 30 and the lower segment 40 to allow the excess epoxy to leak into the epoxy filling groove of the upper and lower segments (30, 40) The bond can be perfected, and the strength of the bond can be increased by filling the top and bottom and sidewall surfac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egments 30 and 40.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상부 세그먼트(50)의 외부 강관(52)과 내부 강관(54) 사이에는 콘크리트(56)가 완전히 충전되고, 그 충전된 콘크리트(56)의 저면에 전단키(51)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 강관(52)의 외부면 하부에 다수의 접착제 충진홈(58)이 세로로 형성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내부 강관(54)의 내부면 하부에도 접착제 충진홈(58)을 세로로 형성시켜도 된다. 그리고, 하부 세그먼트(60)의 외부 강관(62)과 내부 강관(64) 사이에 콘크리트(66)가 완전히 충전되고, 그 충전된 콘크리트(66)의 상면에는 그 전단키(51)가 끼워지는 전단홈(61)이 형성된다. 만약, 그 전단키(51)가 없다면 상기 전단홈(61) 역시 없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세그먼트(60)의 외부 강관(62)의 외부면 상부 및 내부 강관(64)의 내주면 상부에는 보조 강관(70)이 용접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 충진홈(58)의 길이와 상기 보조 강관(70)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느 정도 차이가 있어도 무방하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접착제 충진홈(58)을 상부 세그먼트(50)의 외부 강관(52)의 외부면 하부에 형성시켰으나, 보조 강관(70)의 내부면 상부에 형성시켜도 마찬가지 효과가 있다.5A to 5D, the concrete 56 is completely filled between the outer steel pipe 52 and the inner steel pipe 54 of the upper segment 50, and the shear key 51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led concrete 56. Is formed, a plurality of adhesive filling grooves 58 are formed vertically i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outer steel pipe (52).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adhesive filling groove 58 may be formed vertically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inner steel pipe 54. In addition, a shear groove in which the concrete 66 is completely filled between the outer steel pipe 62 and the inner steel pipe 64 of the lower segment 60, and the shear key 51 is fit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led concrete 66. 61 is formed. If the shear key 51 is not present, the shear groove 61 may also be absent. In addition, the auxiliary steel pipe 70 is wel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teel pipe 62 of the lower segment 6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teel pipe 64 to protrude upward. Here, the length of the adhesive filling groove 58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auxiliary steel pipe 70, but may be different to some extent. In FIGS. 5A to 5D, although the adhesive filling groove 58 is formed below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teel pipe 52 of the upper segment 50, the adhesive filling groove 58 may be form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steel pipe 70.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구성된 상부 세그먼트(50)와 하부 세그먼트(60)는 도 5d에서와 같이 그 상부 세그먼트(50)의 하부를 하부 세그먼트(60)의 보조 강관(70)내로 결합되기 전에 하부 세그먼트(60)의 내부에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바른 후 상부 세그먼트(50)와 하부 세그먼트(60)를 결합시키면 여분의 에폭시가 접착제 충진홈(58)으로 누출되도록 하여 상, 하부 세그먼트들(30,40)의 결합이 완벽하게 될 수 있으며, 상, 하부 세그먼트들(30,40)사이의 상하면과 측벽면에 에폭시가 충진됨으로 해서 결합부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The upper segment 50 and the lower segment 60 configured as in FIGS. 5A-5C have a lower portion prior to join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egment 50 into the auxiliary steel pipe 70 of the lower segment 60 as in FIG. 5D. Applying an adhesive such as epoxy to the inside of the segment 60 and then combining the upper segment 50 and the lower segment 60 causes the excess epoxy to leak into the adhesive filling groove 58,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egments 30, The coupling of 40 may be perfect, and the epoxy may be filled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sidewall surfac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egments 30 and 40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도 6은 도 1의 기초부(10)와 최하단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간의 결합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비교하여 볼 때 차이가 나는 점은 기초부(10)의 상면에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의 하부가 소정치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80)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의 하부는 그 삽입부(8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화되었다는 점이 차이난다.FIG. 6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upling between the base 10 of FIG. 1 and the lowermost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12. Compared with FIG. 1, the difference is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 12 is formed at an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portion 10, and an insertion portion 80 is formed. The difference is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12 is shaped to be inserted into its insert 80.

도 6과 같이 구성시키게 되면 도 1의 구성보다는 기초부(10)와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간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다. When configured as shown in FIG. 6, rather than the configuration of FIG. 1, the coupling between the base portion 10 and the internally-constra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 12 may be reinforced.

도 7은 도 1의 코핑부(20)와 최상단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간의 결합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비교하여 볼 때 차이가 나는 점은 코핑부(20)의 저면에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의 상부가 소정치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90)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의 상부는 그 삽입부(9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화되었다는 점이 차이난다.FIG. 7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upling between the coping part 20 of FIG. 1 and the topmost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16. Compared with FIG. 1, the difference is that the upper part of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 16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ping part 20, and an insertion part 90 may be inserted. The difference is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16 is shaped to be inserted into its insert 90.

도 7과 같이 구성시키게 되면 도 1의 구성보다는 코핑부(20)와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6)간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다.When configured as shown in FIG. 7, the coupling between the coping part 20 and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 16 may be reinforced rather than the configuration of FIG. 1.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 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b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to which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pplied also belongs to the following claims. Must se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inner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도,3 is a combined state of FIG.

도 4a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Figure 4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gment of the inner hollow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of Figure 1,

도 4b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gments of the inner hollow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of Figure 1,

도 4c는 도 4b의 상부 세그먼트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4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tate of the upper segment of FIG. 4B;

도 4d는 도 4a의 결합단면도,4D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4A;

도 5a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Figure 5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gments of the inner hollow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of Figure 1,

도 5b는 도 1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 연결부위를 보강해 주기 위한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5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for reinforc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segments of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of FIG. 1;

도 5c는 도 5b의 상부 세그먼트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5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tate of the upper segment of FIG. 5B;

도 5d는 도 5a의 결합단면도,5D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5A;

도 6은 도 1의 기초부와 최하단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의 결합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upling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lowermost internally boun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of FIG.

도 7은 도 1의 코핑부와 최상단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 트간의 결합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upling between the coping portion of Figure 1 and the topmost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3, 5, 7 : 전단키 10 : 기초부 3, 5, 7: shear key 10: foundation

12, 14, 16 :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12, 14, 16: Internally boun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13, 15, 17 : 전단홈 18 : 강봉13, 15, 17: shear groove 18: steel bar

20 : 코핑부 22 : 너트20: coping part 22: nut

12a, 14a, 16a : 외부 강관 12b, 14b, 16b : 내부 강관12a, 14a, 16a: outer steel pipe 12b, 14b, 16b: inner steel pipe

12c, 14c, 16c : 콘크리트 12d, 14d, 16d : 강봉 삽입구12c, 14c, 16c: Concrete 12d, 14d, 16d: Steel rod insert

Claims (6)

기초부와 코핑부 사이에 설치되는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으로 된 교각으로서,Piers made of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s installed between the foundation and the coping,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은 다수개의 세그먼트로 분절되고,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에는 강봉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is segment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each of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segment,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filled steel pipe piers, characterized in that a steel rod insertion hole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개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중에서 최상단 세그먼트의 상부 및 최하단 세그먼트의 하부가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The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most segmen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most segment of the plurality of internally boun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taper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내부 강관과 외부 강관의 높이와 상기 내부 강관과 외부 강관 사이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높이는 상호 차등적이고, 상기 콘크리트에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의 결합을 도와주는 결합 도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The heights of the inner steel pipes and the outer steel pipes constituting each of the inner hollow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s and the height of the concrete filled between the inner steel pipes and the outer steel pipes are mutually differential,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elp is formed to help the coupling.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강봉 삽입구는 상기 각각의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의 전단홈 및 전단키를 수직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The steel rod insertion hole is a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ly penetrating the shear groove and the shear key of each of the inner hollow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의 연결부위에는 소정의 접착제가 충진되는 접착제 충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inner hollow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is formed with an adhesive filling groove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dhesiv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간의 연결부위에는 보조 강관이 덧대어지고, 상기 보조 강관이 덧대어진 부위에는 소정의 접착제가 충진되는 접착제 충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교각.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pi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steel pipe is padded o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inner concrete hollow concrete filled steel pipe segment, the adhesive filling groove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auxiliary steel pipe is padded with a predetermined adhesive .
KR1020070071380A 2007-07-16 2007-07-16 Segmental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pier KR200900080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380A KR20090008072A (en) 2007-07-16 2007-07-16 Segmental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p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380A KR20090008072A (en) 2007-07-16 2007-07-16 Segmental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p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72A true KR20090008072A (en) 2009-01-21

Family

ID=4048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380A KR20090008072A (en) 2007-07-16 2007-07-16 Segmental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p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072A (en)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83B1 (en) * 2011-07-14 2012-01-16 서보산업 주식회사 Basic mat constructing method of high rise concrete structure
KR101245197B1 (en) * 2010-09-28 2013-03-19 주식회사 아앤시티 multi-column type modular pier
KR101359159B1 (en) * 2011-06-30 2014-02-06 주식회사 포스코 Jointing element for steel pipe support strut of retaining wall and joint structure using thereof
KR101389485B1 (en) * 2012-05-10 2014-04-25 (주) 에센스 The concrete pillar structure and the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403271B1 (en) * 2011-12-02 2014-06-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Jointing apparatus for steel pipe support strut and support strut using the same and support strut installation method
CN104790291A (en) * 2015-04-22 2015-07-22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Prefabricated type bridge pier column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CN106192729A (en) * 2016-07-14 2016-12-07 东南大学 Precast assembly bridge pier core shape joggl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CN106869569A (en) * 2017-04-09 2017-06-20 北京工业大学 A kind of core-added laminated post of raising underground frame structure system anti-seismic performance
CN108086140A (en) * 2018-01-31 2018-05-29 福建工程学院 A kind of assembled bridge pier structure of steel pipe socket
CN108951404A (en) * 2018-08-10 2018-12-07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Precast segment pier stud cross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CN109653083A (en) * 2019-01-22 2019-04-19 西安建筑科技大学 A kind of precast assembly segment concrete pier of encased steel plate connection
CN109853364A (en) * 2019-01-22 2019-06-07 西安建筑科技大学 A kind of the precast segment assembly bridge pier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shearing resistance
CN110886204A (en) * 2019-11-29 2020-03-17 重庆交通大学 Prefabricated segment pier of assembled
CN108570923B (en) * 2018-05-06 2020-11-27 北京工业大学 Reinforced concrete pier structure capable of being quickly repaired after earthquake
CN112681142A (en) * 2020-12-18 2021-04-20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for prefabricated assembly type bridge hollow pier column
CN112900227A (en) * 2021-01-22 2021-06-04 浙江兴业市政工程有限公司 Energy-saving and environment-friendly assembled bridge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CN113737636A (en) * 2021-09-18 2021-12-03 西安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Steel-concrete combined connecting structure suitable for assembly type pier stu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3756195A (en) * 2021-08-31 2021-12-07 中铁七局集团有限公司 Hollow pier top solid section 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
CN114541252A (en) * 2022-04-07 2022-05-27 安徽省交通规划设计研究总院股份有限公司 Segment prestress assembled pier with cor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CN116254759A (en) * 2023-05-11 2023-06-13 湖南大学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bridge pier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97B1 (en) * 2010-09-28 2013-03-19 주식회사 아앤시티 multi-column type modular pier
KR101359159B1 (en) * 2011-06-30 2014-02-06 주식회사 포스코 Jointing element for steel pipe support strut of retaining wall and joint structure using thereof
KR101105883B1 (en) * 2011-07-14 2012-01-16 서보산업 주식회사 Basic mat constructing method of high rise concrete structure
KR101403271B1 (en) * 2011-12-02 2014-06-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Jointing apparatus for steel pipe support strut and support strut using the same and support strut installation method
KR101389485B1 (en) * 2012-05-10 2014-04-25 (주) 에센스 The concrete pillar structure and the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N104790291A (en) * 2015-04-22 2015-07-22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Prefabricated type bridge pier column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CN106192729B (en) * 2016-07-14 2017-10-20 东南大学 Precast assembly bridge pier core shape joggle hea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CN106192729A (en) * 2016-07-14 2016-12-07 东南大学 Precast assembly bridge pier core shape joggl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CN106869569B (en) * 2017-04-09 2019-04-30 北京工业大学 A kind of core-added laminated column improving underground frame structure system anti-seismic performance
CN106869569A (en) * 2017-04-09 2017-06-20 北京工业大学 A kind of core-added laminated post of raising underground frame structure system anti-seismic performance
CN108086140A (en) * 2018-01-31 2018-05-29 福建工程学院 A kind of assembled bridge pier structure of steel pipe socket
CN108570923B (en) * 2018-05-06 2020-11-27 北京工业大学 Reinforced concrete pier structure capable of being quickly repaired after earthquake
CN108951404A (en) * 2018-08-10 2018-12-07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Precast segment pier stud cross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CN109653083A (en) * 2019-01-22 2019-04-19 西安建筑科技大学 A kind of precast assembly segment concrete pier of encased steel plate connection
CN109853364A (en) * 2019-01-22 2019-06-07 西安建筑科技大学 A kind of the precast segment assembly bridge pier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shearing resistance
CN109653083B (en) * 2019-01-22 2024-02-23 西安建筑科技大学 Prefabricated assembly segment concrete bridge pier connected by steel plates covered outside
CN110886204A (en) * 2019-11-29 2020-03-17 重庆交通大学 Prefabricated segment pier of assembled
CN112681142B (en) * 2020-12-18 2023-05-09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bridge hollow pier column
CN112681142A (en) * 2020-12-18 2021-04-20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for prefabricated assembly type bridge hollow pier column
CN112900227A (en) * 2021-01-22 2021-06-04 浙江兴业市政工程有限公司 Energy-saving and environment-friendly assembled bridge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CN112900227B (en) * 2021-01-22 2022-02-11 浙江兴业市政工程有限公司 Energy-saving and environment-friendly assembled bridge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CN113756195A (en) * 2021-08-31 2021-12-07 中铁七局集团有限公司 Hollow pier top solid section 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
CN113737636A (en) * 2021-09-18 2021-12-03 西安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Steel-concrete combined connecting structure suitable for assembly type pier stu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4541252A (en) * 2022-04-07 2022-05-27 安徽省交通规划设计研究总院股份有限公司 Segment prestress assembled pier with cor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CN116254759A (en) * 2023-05-11 2023-06-13 湖南大学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bridge p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8072A (en) Segmental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pier
KR100713692B1 (en) A prestresed connection set bridge post using unit filled concrete with internally confined hollow and a method for construction
US20080196341A1 (en) Modular Column System Using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lumn Unit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767677B1 (en) Compisite column structure for steel and concrete
KR100924746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precast coping by using multi-step tensioning
KR101325245B1 (en) Bridge Post which is assembled by precasted units
CN109267472B (en) Prefabricated spliced pile foundation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9667336B (en) Assembled self-resetting frame system connected by FRP (fiber reinforced Plastic) pipes
CN108867342B (en) High-durability earthquake collapse-resistant multi-column pier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CN101245584A (en) Modularization pole system of hollow pole unit using internal constraint and building method
KR10086200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gmental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US8578537B2 (en) Partially prefabricated structural concrete beam
KR101065098B1 (en) Rebar cage structure
KR100911148B1 (en) Lightened Coping for bridge
KR100713690B1 (en) A set bridge post using unit filled concrete with internally confined hollow and a method for construction
JP2001262774A (en) Steel concrete composite structural member
CN111197318B (en) Foundation for a tower of a wind turbine
CN209742073U (en) Assembly type self-resetting frame system connected by FRP (fiber reinforced plastic) pipes
CN111173129A (en) Prestress assembling fram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40125754A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continuous point part of pier using copping for connecting girder
CN110685215A (en) Semi-assembled combined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5165648U (en) Vertical bearing device of reverse construction area structure that can retrieve
CN11565279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wet joint prefabricated assembly type pier based on steel bar lapping and pier
KR20230081880A (en) Bridge lower structure of assembly type having elastic duct coupler of socket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200205092Y1 (en) A reinforced earthquake-proof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