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885U - 스팀 다리미 - Google Patents

스팀 다리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885U
KR20090007885U KR2020080001437U KR20080001437U KR20090007885U KR 20090007885 U KR20090007885 U KR 20090007885U KR 2020080001437 U KR2020080001437 U KR 2020080001437U KR 20080001437 U KR20080001437 U KR 20080001437U KR 20090007885 U KR20090007885 U KR 200900078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witch
iron
heating memb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256Y1 (ko
Inventor
시후 챈
Original Assignee
챙 삼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챙 삼손 filed Critical 챙 삼손
Priority to KR2020080001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25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8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8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2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14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in a reservoir carried by the ir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20Arrangements for discharging the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4Arrangements of the heating means within the iron; Arrangements for distributing, conducting or storing the hea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0Hand irons of special external shape or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6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리미케이싱, 제 1스팀출구, 제 2스팀출구, 물공급부와 다리미케이싱에 배치되는 스팀배출부를 구비하는 가열부재와, 스팀배출부와 제 1 및 제 2스팀출구에 연결되는 스위치밸브를 포함하는 스팀다리미로서 개시된다.
제 1스위치 포지션과 제 2스위치 포지션용 스위칭 루틴을 가지는 스위치밸브는, 스팀이 제 1스팀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스팀 배출부 또는 제 2스팀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스팀배출부에 의해 가열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스팀 다리미는 보드형과 스탠딩형 모두에 제공할 수 있고, 스팀 다리미의 가치를 상당히 개성할 수 있다.
스팀, 다림, 스팀출구, 물공급부, 가열부재, 스위치부재, 스위치밸브

Description

스팀 다리미{Steam Iron}
본 고안은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드형 다림질과 스탠딩형 다림질용 모두에 제공될 수 있는 2가지 형태의 스팀 출구를 가지는 디자인을 구비한 스팀 다리미에 관한 것이다.
스팀 다리미는 2가지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보드형과 스탠딩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드형 다리미는 주로 의복을 다림질하는데 사용되고, 그 구조는 주로 냉수 저장부, 증발기 및 다림질판을 포함하여, 냉수 저장부로부터 나온 냉수는 스팀을 생산하기 위한 증발기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되고, 상기 스팀은 다림질판에 형성된 복수의 스팀공으로부터 배출된다. 스탠딩형(standing-type) 스팀 다리미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보드형(boarding-type) 스팀 다리미와 동일하지만, 주요 차이점은 상기 스탠딩형 스팀 다리미가 스팀공을 구비하면서 손으로 파지가능한 다림질부를 포함함으로써, 배출되는 고온의 스팀은 의복을 클리닝(cleanig)하거나 냄새를 제거할 때는 물론, 의복을 다림질할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2가지 스팀 다리미는 냉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로 증발시키는 과정이 필 요하고, 의복을 다림질하거나 클리닝하는데 스팀을 사용한다. 따라서, 증발효과는 스팀 다리미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액체 상태에서의 물은 증발온도로 가열되면 증발이 이루어지지만, 물은 소위 "습증기"로 불리는 액체와 기체상태 모두에 상호 존재하게 되고, 상기 습증기는 불안정한 상태로 놓여있다. 특히, 스팀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온도강하가 발생하면, 스팀은 액체상태의 물로 응축되어 의복이 젖게된다. 만일, 온도가 계속해서 상승하여 증발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액체 상태의 물은 스팀으로 증발되는 소위 "건조증기"로 되며, 건조증기는 온도강하로 인해 쉽게 의복을 적시지는 않을 것이다.
스팀 다리미에 의해서 건조증기를 의복의 클리닝 또는 다림질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중화민국(R.O.C) 특허공보 제 M25072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팀 워셔 및 증발기 구조는 더 개선된 증발효과를 제공한다. 그 구조는 베이스(base), 상부케이싱(upper casing), 물공급장치로 구성되고, 여기서, 물공급장치는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도록 액체상태의 물을 제공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상부 케이싱이 베이스와 결합된 다음, 폐쇄공간을 한정하도록 하는 복수의 차단필러(pillar)와 U자형 물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필러는 액체상태의 물과의 접촉영역을 증가시키며, 상기 U자형 물통로는 액체상태의 물을 가열하는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액체상태에서의 물은 건조증기를 형성하도록 충분히 가열될 수 있다. 중화민국 특허공보 제 31925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팀 다리미의 스팀 챔버에서 스팀 온도를 증가시키고 저장하는 다른 통상적인 구조에 있어서, 적당한 양의 직립 핀(fin)이 스팀온도를 증가시키고 저장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스팀챔버 안에 설치되지만, 상기 2개의 스팀 다리미 또는 장치의 증발기는 스팀을 전달하는 동안, 스팀의 온도강하의 원인이 되어서 건조증기가 습공기로 응축될 것이다.
현재, 스팀은 의복을 다림질하고 클리닝하는데 사용되고, 보드형 스팀 다리미 또는 스탠딩형 스팀 다리미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보드형 스팀 다리미는 의복을 더 잘 다릴 수 있지만, 많은 양의 스팀이 분산되고,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다리미에 집중되어서 그 무게로 인해, 걸려있는 의복에는 적용할 수가 없다. 다른 한편, 스탠딩형 스팀 다리미는 스폿에서 스팀을 배출하여 여러 종류의 의복을 다림질하는데 사용될 수 없어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보드형 디자인과 스탠딩형 디자인의 스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열부재와 하부 플레이트로 스팀 챔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스팀 다리미는 다리미 케이싱, 가열부재 및 스위치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다리미 케이싱은 상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에 연결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가열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다리미 케이싱 안에 한정되는 설치공간부와, 상기 다리미 케이싱에 배치되어서 스팀출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스팀출구와 제 2스팀출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부재는 물공급부와 스팀배출부로 이루어지고, 제 1스위치 포지션과 제 2스위치 포지션 사이에 스위칭 루틴을 가지는 상기 스위치밸브는, 상기 스팀배출부로부터 나오는 가열된 스팀을 배출하도록 제 1스팀출구 또는 제 2스팀출구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는 제 2열전도 구조물을 가지는 제 2스팀챔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열전도 구조물은 제 1스팀챔버로부터 나오는 스팀을 가열할 수 있으며, 하부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하부 플레이트에 동일한 온도가 달성되도록 제 2스팀챔버에서 스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에 의거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각각 본 고안의 스팀 다리미 사시도, 분리사시도로서, 스팀 다리미는 다리미케이싱(10)을 구비하고, 상기 다리미케이싱(10)은 상부케이싱(11)과, 상기 상부케이싱(11)과 결합하는 하부 플레이트(12)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12)와 상부케이싱(11)은 다리미케이싱(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간부(13)(도 5B)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부케이싱(11)과 하부 플레이트(12) 각각은 분리된 설치공간부(13)를 형성하며, 상기 다리미 케이싱(10)은 제 1스팀출구(14)와 제 2스팀출구(15)를 가지고, 상기 설치공간부(13)는 가열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재(20)는 서로 연결되는 물 공급부(21)와 스팀 배출부(22)를 포함하고, 스팀 다리미는 스팀 배출부(22)와 제 1 및 제 2스팀출구(14)(15)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밸브(30)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밸브(30)는 적어도 상기 스팀배출부(22)에 의해 발생하는 가열된 스팀(41)(도 4A)이 제 1스팀출구(14)로부터 배출될지 또는 제 2스팀출구(15)로부터 배출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 1스위치포지션(301)과 제 2스위치포지션(302)용 스위칭 루틴을 포함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41)을 가열하기 위한 상기 가열부재(20)의 통로는 상기 가열부재(20)상에 설치되는 외부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기 가열파이프(23)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가열부재(20)의 상기 물공급부(21)의 상호연결된 구역 (여기서, 물공급부는 스팀 다리미의 내,외부에 설치될 수 있 고, 전체 중량을 좌우하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은 아니므로 여기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과 스팀 배출부(22)는 제 1스팀 챔버(24)를 구획하며, 제 1스팀챔버(24)는 제 1열전도 구조물(25)을 가지고, 상기 제 1열전도 구조물(25)은 가열부재(20)의 내벽에 배치되는 돌출부(251)를 가지며, 돌출판(252)이 제 1스팀챔버(24)에 정렬되면서 분할되어, 상기 제 1열전도 구조물(25)은, 상기 스팀(41)을 신속하게 발생시켜서 건조된 스팀(41)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물공급부(21)로부터 유입되는 냉수(40)의 가열시간과 가열영역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다리미케이싱(10)은 스위칭 루틴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버튼(111)(도 1)(본 실시예에서는 2중 스위치버튼(111)이고, 본 고안은 이러한 배열에만 국한되지 않고, 단일 스위치버튼(111)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을 누르는 힘으로 작동하는 스위치밸브(30)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밸브(30)는 상기 스위치버튼(111)에 연결되는 스위치바디(31)와, 상기 스위치밸브(30)에 배치되면서 상기 스팀 배출부(22)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팀 공급부(32)와, 상기 스팀 공급부(32)와 제 1 및 제 2 스팀출구(14)(15)에 각각 상호 연결되는 2개의 스팀배출부(33)(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스팀배출부(33)는 스팀덕트(331)(도 5B)에 의해 제 1스팀출구(14)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바디(31)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부재(311)와 차단부재(313)(315)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재(311)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기 차단부재(313)(315)에 의해 제 1스위치포지션(301)과 제 2스위치포지션(302)으로 작동되는 스위치버튼(111)을 스위칭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차단부재(313)(315)는 스위칭 루틴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밸브(30)를 작동시키도록 탄성 력을 저장하고 해제하는 탄성부재(312)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밸브(30)는 다리미케이싱(10)의 설치공간부(13)의 크기에 따라 다리미케이싱(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배열상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5B를 참조하면, 만일 스위치버튼(111)이 제 1스위치포지션(301)으로 연결되는 경우, 외부의 냉수(40)는 물공급부(21)를 통과하여 가열부재(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미 설명하고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수(40)는 스팀(41)을 형성하고, 스팀 배출부(22)를 통과하여 스위치밸브(30)안에 유입된다. 상기 제 2차단부재(315)는, 제 1공기구멍 통로(314)를 밀폐시켜서 제 1스팀배출부(33)를 통과하는스팀(41)을 차단하도록 상기 탄성부재(312)에 의해 지지되고, 따라서, 상기 스팀(41)은 제 2공기구멍 통로(316)를 통과하여 제 2스팀배출부(34)로 대신 통과하게 된다. 가열부재(20)와 하부 플레이트(1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스팀챔버(26)를 구성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 2스팀챔버(26)의 하부에 배치되는 본 고안의 가열부재(20)는 제 2열전도 구조물(27)을 가지고, 상기 제 2열전도 구조물(27)은 열전도 격벽(271)에 의해 상기 제 2스팀챔버(26)안에서 스팀통로(272)를 형성한다. 상기 열전도 격벽(271)은 균일한 온도에서 하부 플레이트(12)를 제어하기 위해 하부 플레이트(12)와 접촉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열전도 격벽(271)은 상기 스팀(41)과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251)를 포함함으로써, 제 2열전도 구조물(27)을 통과하는 상기 스팀(41)이 스팀의 온도와 건조도를 포함하여 존재 조건하에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제 2스팀챔버(26)를 통과하는 스팀(41)은 하부 플레이트(12)에 구비되어 있는 제 2스팀출구(15)로부터 배출된다.
본 고안의 제 2스위치 포지션에서 스위치밸브의 스팀배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탄성부재(312), 제 1차단부재(313) 및 제 2차단부재(315)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위치부재(311)가 제 2스위치포지션(302)에서 스위치버튼(111)에 의해 눌려진 다음, 제 2차단부재(315)는 제 2공기구멍통로(316)를 밀폐시켜, 제 2스팀 배출부(34)를 통과하는 스팀(41)을 차단하며, 따라서, 스팀(41)은 제 1공기구멍통로(314)쪽으로 유동방향을 변경하고, 제 1스팀 배출부(33)로 통과하여 스팀덕트(331)를 통해서 제 1스팀출구(14)로 나오며, 제 1스팀출구(14)는 하부 플레이트(12)에 설치되거나 또는 다리미케이싱(10)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내용을 요약함에 있어서, 본 고안은 다리미케이싱(10)에 설치되는 단일 스위치밸브(30) 및 적어도 2세트의 스팀 배출공(14)(15)을 구비하는 디자인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의복을 다림질하는 다수의 스팀공 디자인을 가지는 일반적인 보드형 스팀다리미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 1스팀출구(14)를 한정해야 하며, 제 2스팀공(15)은 스탠딩형 스팀다리미의 단일공 디자인과 유사하게 많은 양의 스팀(41)을 배출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보드형과 스탠딩형 디자인을 모두 가지는 스팀 다리미를 구성할 수 있고, 스팀 다리미의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지만,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는 한 당업자에 의해 여러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스팀 다리미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스팀 다리미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가열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스팀 플로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제 2스팀챔버의 스팀 플로우 방향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제 1스위치 포지션에서 스위치밸브의 스팀출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의 제 2스위치 포지션에서 스위치밸브의 스팀출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Claims (4)

  1. 다리미케이싱과, 가열부재와, 스위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미케이싱은, 상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다리미케이싱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설치공간부와, 상기 다리미케이싱에 배치되는 제 1스팀 출구와 제 2스팀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설치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부재에 배치되는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와 상호연결되는 스팀배출부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밸브는, 상기 스팀배출부를 상기 제 1 및 제 2스팀출구와 연결하고, 상기 스팀배출부에서 나오는 가열된 스팀이 상기 제 1스팀출구 또는 상기 제 2스팀출구 중 어느 출구로 배출될지 결정하는 제 1스위치 포지션과 제 2스위치 포지션 사이의 스위칭 루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물공급부와 상기 스팀배출부의 상호연결부에 의해 제 1스팀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제 1스팀챔버는 상기 가열부재의 내벽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가지고 스팀배출이 개선되도록 하는 제 1열전도 구조물과, 상기 제 1스팀챔버에 배치되고 구획되는 돌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제 2스팀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제 2스팀출구는 상기 제 2스팀챔버의 하부 플레이트에 배치되며,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제 2스팀챔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열전도 격벽에 의해 상기 제 2스팀챔버에서 스팀통로를 형성하는 제 2열전도 구조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밸브는, 상기 다리미 케이스에 설치되는 스위치버튼에 의해 상기 스위칭 루틴을 수행하고, 스팀덕트에 의해 상기 제 1스팀출구에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밸브는, 상기 스팀배출부에 연결되는 스팀 공급부를 포함하는 스위치바디와, 상기 스팀공급부와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스팀출구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스팀배출부와, 상기 스위치바디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부재와, 상기 스위치부재에 의해 작동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스위치부재의 상기 스위칭 루틴을 수행하도록 탄성력을 저장 및 해제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밸브가 상기 제 1스위치 포지션과 상기 제 2스위치 포지션 사이에서 스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
KR2020080001437U 2008-01-30 2008-01-30 스팀 다리미 KR200448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37U KR200448256Y1 (ko) 2008-01-30 2008-01-30 스팀 다리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37U KR200448256Y1 (ko) 2008-01-30 2008-01-30 스팀 다리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85U true KR20090007885U (ko) 2009-08-04
KR200448256Y1 KR200448256Y1 (ko) 2010-03-25

Family

ID=4129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437U KR200448256Y1 (ko) 2008-01-30 2008-01-30 스팀 다리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2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6254A (zh) * 2016-06-22 2016-09-07 宁波凯波集团有限公司 能够除垢的化汽锅炉及蒸汽刷
KR102058815B1 (ko) * 2019-03-08 2020-01-22 (주)넥스트업 스팀 다리미
WO2021185572A1 (fr) * 2020-03-19 2021-09-23 Seb S.A. Appareil de defroissage a vapeur muni de deux circuits de distribution de vapeur independa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11B1 (ko) 2013-10-30 2015-04-27 (주)에이타이드 스팀 다리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098A (ja) 1997-03-03 1998-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イロン
FR2766502B1 (fr) 1997-07-22 1999-09-17 Seb Sa Fer comportant deux moyens de chauffe avec un mode d'asservissement en temperature particulier
JP4667188B2 (ja) 2005-09-27 2011-04-06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チームアイロン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6254A (zh) * 2016-06-22 2016-09-07 宁波凯波集团有限公司 能够除垢的化汽锅炉及蒸汽刷
CN105926254B (zh) * 2016-06-22 2017-12-29 宁波凯波集团有限公司 能够除垢的化汽锅炉及蒸汽刷
KR102058815B1 (ko) * 2019-03-08 2020-01-22 (주)넥스트업 스팀 다리미
WO2021185572A1 (fr) * 2020-03-19 2021-09-23 Seb S.A. Appareil de defroissage a vapeur muni de deux circuits de distribution de vapeur independants
FR3108340A1 (fr) * 2020-03-19 2021-09-24 Seb S.A. Appareil de défroissage à vapeur muni de deux circuits de distribution de vapeur indépend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256Y1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9597B1 (en) Steam iron
US2010001807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56532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7204039B2 (en) Washing machine having a condensing duct
KR200448256Y1 (ko) 스팀 다리미
US9096969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moisture supply units
AU2016206407B2 (en) Heat pump dryer
KR20130127816A (ko) 의류건조기
KR102290758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9683323B2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806111B1 (ko) 덕트리스 건조기
RU2605845C2 (ru) Паровой утюг
KR20170096328A (ko) 드럼 세탁기
KR20180090371A (ko) 의류 건조 장치 및 의류 건조 방법
US20090320311A1 (en) Condensation type dryer
KR102063765B1 (ko) 폐열 회수수단을 갖는 건조기
EP2019160B1 (en) Washer-drier machine
KR970043474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1492986B1 (ko) 드럼세탁기
US1157844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9502449A (ja) 高効率洗濯乾燥機および制御方法
KR20090013965A (ko) 의류처리장치
CN216644173U (zh) 蒸汽发生器和家用电器
KR101385099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2555216B1 (ko) 저압 및 저온방식의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