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567U - 배관 연결유닛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7567U KR20090007567U KR2020080001915U KR20080001915U KR20090007567U KR 20090007567 U KR20090007567 U KR 20090007567U KR 2020080001915 U KR2020080001915 U KR 2020080001915U KR 20080001915 U KR20080001915 U KR 20080001915U KR 20090007567 U KR20090007567 U KR 2009000756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r
- welding
- pipe
- outer circumferenc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제1 및 제2배관을 직선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유닛에 있어서,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외주에 제1배관과 결합되는 제1나사부를 가지는 제1커플러와;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외주에 제2배관과 결합되는 제2나사부를 가지며, 제1커플러의 외주에 결합되는 제2커플러와; 제1 및 제2커플러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유닛이 개시된다.
배관, 연결유닛, 커플러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관 연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배관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배관 연결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설, 건축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건축물의 혈관이라 할 수 있는 배관(pipe)의 용도와,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배관 부속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관 부속품은 그 용도에 따라서, 배관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엘보(elbow)와, 기존배관에서 새로운 배관을 분기시키는 티(tee)와, 배관과 다른 배관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유니온 이음(uinon joint)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배관 부속품과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배관 이음 방법으로는 나사이음(screw joint)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배관의 일단에는 내경에 나사선을 형성하고, 타단에는 외경에 나사선을 형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배관들을 서로 나사 결합하여 연결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배관들의 끝단끼리 직접 접촉시켜 연결하는 구조 이므로,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강도나 직진성 등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서로 연결될 배관들의 마주하는 단부들 각각을 연결하되, 그 조립성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좋으며, 생산비가 저렴한 배관 연결유닛의 개발이 절실할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재료비가 절감되어 전체적으로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배관 연결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관 연결유닛은, 제1 및 제2배관을 직선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유닛에 있어서,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제1배관과 결합되는 제1나사부를 가지는 제1커플러와;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외주에 상기 제2배관과 결합되는 제2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제1커플러의 외주에 결합되는 제2커플러와;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커플러는, 외주의 일부분에 상기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외주부분에는 상기 제2커플러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커플러는, 상기 제1커플러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외주 일부분에 상기 제2나사부를 가지는 제2커플러몸체와; 상기 제2커플러몸체의 일단에서 그 외경이 확장되어 형성되며, 보조 기구를 지지하여 클램핑 할 수 있도록 비원형의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1나사부 쪽에 위치한 플랜지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커플러에 외주와 내주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용접공; 및 상기 제1커플러의 외주에 상기 제2커플러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 태에서, 상기 용접공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를 용접한 제1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커플러의 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1커플러의 단부에 복수 형성된 용접홈; 및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의 서로 대응되는 단부를 용접 결합하도록 상기 용접홈을 용접하여 형성된 제2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커플러의 일단을 상기 제1커플러의 제1나사부까지 접근하도록 상기 제2커플러를 상기 제1커플러에 끼워서 결합시, 상기 제2커플러의 타단은 상기 제1커플러의 끝단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커플러는 상기 제1커플러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제1 및 제2커플러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단부로부터 인입 형성된 결합홀을 포함하며, 결합홀에는 나사가 나사 결합되거나 용접에 의해 충진되며, 결합홀은 제1커플러의 외주와 제2커플러의 내주 각각에 대해 인입되게 형성된 것이 좋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유닛에 따르면, 제1 및 제2커플러를 별도로 제작하게 됨으로써, 서로 다른 크기의 파이프구조물에 제1 및 제2나사부를 각각 간단히 절삭 가공하면 되므로, 절삭 가공에 따른 가공시간 및 노력이 적게 든다.
또한, 절삭 가공하는 양이 그만큼 적으므로 고가의 재료를 낭비하지 않게 되어 생산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가공비 또한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커플러를 용접에 의해 결합시키되, 제1커플러에 용접공과 용접홈을 복수 개를 원주 방향으로 배열하여 형성함으로써, 결합력을 더욱 높이고, 안정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유닛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유닛은, 제1배관(1)과 제2배관(2)을 직선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커플러(10)와, 제2커플러(20) 및 고정부(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커플러(10)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제1배관(1)과 결합되는 제1나사부(11)를 가진다. 상기 제1나사부(11)는 제1커플러(10)의 외주에 일부분에 형성되며, 나머지 부분(12)은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는다. 나머지 부분(12)은 상기 제2커플러(2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제1나사부(11)보다 길게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나사부(11)는 상기 제1커플러(10)의 외주를 절삭 가공하여 간단히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이프형상의 제1커플러(10)를 일정한 두께의 파이프 구조로 마련한 뒤, 그 외주를 간단히 절삭가공하여 제1나사부(11)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가공시간의 단축은 물론, 가공시 발생되는 재료의 손실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커플러(20)는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외주에 상기 제2배관(2)과 결합되는 제2나사부(25)를 가진다. 상기 제2커플러(20)는 제1커플러(10) 보다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커플러(10) 보다는 짧은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제2커플러(20)가 제1커플러(10)에 끼워져 결합되면, 제2커플러(20)의 일단(20a)은 제1나사선(11)까지 접근하여 결합 된다. 이때, 제2커플러(20)의 타단(20b)은 제1커플러(10)의 타단(10b)과 동일한 위치에 대응되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부(30)를 용이하게 형성하고,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커플러(20)의 외주에 형성된 제2나사부(25)도 제2커플러(20)의 외주의 일부분만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나사부(25)는 제2배관(2)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부(2a)가 나사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1나사부(11)에는 제1배관(1)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부(1a)가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나사부(11,25)는 제1 및 제2커플러(10,20)의 외주를 절삭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나사부(11,25)는 최초의 커플러들(10,20)의 두께에서 소정 깊이로만 절삭가공하여 쉽게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절삭 가공에 따른 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절삭되어 소실되는 재료의 양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커플러(20)는 그 일단(20a) 쪽에 플랜지부(21)를 더 구비한다. 상기 플랜지부(21)는 제2커플러(20)의 일단(20a)이 반경(외측) 방향으로 그 외경이 일체로 확대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부(21)의 외측은 비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스패너(spaner)와 같은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그 플랜지부(21)를 용이하게 클램핑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플랜지부(21)는 제2커플러(20)의 일단(20a)에 형성됨으로써, 제1커플러(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커플러(10) 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함으로써, 제1 및 제2배관(1,2)의 결합시 배관들(1,2)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10,20)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용접 고정부(30)는 상기 제1커플러(10)의 외주와 내주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용접공(13)과, 상기 제1커플러(10)의 외주에 상기 제2커플러(20)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도 3의 상태)에서, 상기 용접공(13)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10,20)를 용접한 제1용접부(100)와, 상기 제2커플러(20)의 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1커플러(10)의 단부(15)에서 인입 형성된 복수의 용접홈(14) 및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10,20)의 서로 대응되는 단부들(10b,20b)을 용접 결합하도록 상기 용접홈(14)을 용접하여 형성된 제2용접부(200)를 구비한다.
상기 용접공(13)은 제1커플러(10)의 나머지 부분(12)에 복수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외주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복수로 형성될 경우, 여러 곳에서 용접을 하여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고정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복수 열로 하여 외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용접공(13)을 형성하고, 그 용접공(13)을 통해 용접을 하여 제1용접부(100)를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커플러(10,20)의 결합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접홈(14)을 제1커플러(10)의 단부(15)로부터 인입되게 더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용접홈(14)은 복수가 외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용접공(13)과 더불어 용접홈(14)은 펀칭 등의 가공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용접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홈(14)에 용접공정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서, 제1 및 제2커플러(10,20)의 서로 대응되는 타단(10b,20b) 쪽을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 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용접부(100,200)를 통해 여러 지점에서 용접에 의해 제1 및 제2커플러(10,20)를 결합시킴으로써, 견고하게 두 커플러(10,20)를 결합시키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서 도면부호 16은 제1커플러(10)의 외주면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26은 상기 외주면(16)에 마주하여 결합되는 제2커플러(20)의 내주면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2용접부(200)의 경우에는 용접 후에 그라인딩 장비 등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커플러(10,20)의 타단(10b,20b)으로 돌출된 거친 부분을 매끈하게 처리한 뒤, 그 단부(10b,20b) 면을 필요에 따라서는 2차 가공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유닛은, 제1커플러(10)의 단부에 제2용접부(200)를 위해 형성된 용접홈(14')이 제1커플러(10)의 외주로부터 단부(10b) 쪽으로 점진적으로 깊게 파이도록 인입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용접홈(14')을 형성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제2커플러(20)를 제1커플러(10)에 결합시, 용접홈(14')을 충진하도록 용접하여 형성된 제2용접부(200)가 제1커플러(10)의 외주와 제2커플러(20)의 내주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유닛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커플러(110)와 제2커플러(120)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는 각 커플러(110,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단부에 인입 형성된 결합홀(130)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홀(130)은 제1커플러(110)의 외주로부터 인입 형성된 제1결합홈(111)과, 제2커플러(120)의 내주로부터 인입 형성된 제2결합홈(121)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홈(111,121)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결합홀(130)은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130)에는 나사(14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홀(130)의 내주에는 나사선이 형성됨으로써, 결합홀(130)에 나사 결합된 나사(140)에 의해서 제1 및 제2커플러(110,120)는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고 결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130)의 내부는 용접에 의해 충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홀(130) 내에 충진된 용접에 의해서 제1 및 제2커플러(110,120)가 더욱더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유닛을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연결유닛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유닛을 나타내보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유닛을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유닛의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제1커플러 11..제1나사부
13..용접공 14,14'..용접홈
20..제2커플러 21..플랜지부
25..제2나사부 100,200..제1 및 제2용접부
Claims (7)
- 제1 및 제2배관을 직선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유닛에 있어서,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제1배관과 결합되는 제1나사부를 가지는 제1커플러와;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외주에 상기 제2배관과 결합되는 제2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제1커플러의 외주에 결합되는 제2커플러와;상기 제1 및 제2커플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러는,외주의 일부분에 상기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외주부분에는 상기 제2커플러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러는,상기 제1커플러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외주 일부분에 상기 제2나사부를 가지는 제2커플러몸체와;상기 제2커플러몸체의 일단에서 그 외경이 확장되어 형성되며, 보조 기구를 지지하여 클램핑 할 수 있도록 비원형의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1나사부 쪽에 위치한 플랜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유닛.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상기 제1커플러에 외주와 내주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용접공; 및상기 제1커플러의 외주에 상기 제2커플러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접공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를 용접한 제1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유닛.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상기 제2커플러의 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1커플러의 단부에 복수 형성된 용접홈; 및상기 제1 및 제2커플러의 서로 대응되는 단부를 용접 결합하도록 상기 용접홈을 용접하여 형성된 제2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유닛.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플러의 일단을 상기 제1커플러의 제1나사부까지 접근하도록 상기 제2커플러를 상기 제1커플러에 끼워서 결합시, 상기 제2커플러의 타단은 상기 제1커플러의 끝단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커플러는 상기 제1커플러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유닛.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상기 제1 및 제2커플러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단부로부터 인입 형성된 결합홀을 포함하며,상기 결합홀에는 나사가 나사 결합되거나 용접에 의해 충진되며,상기 결합홀은 상기 제1커플러의 외주와 상기 제2커플러의 내주 각각에 대해 인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1915U KR20090007567U (ko) | 2008-01-22 | 2008-02-13 | 배관 연결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0936 | 2008-01-22 | ||
KR2020080001915U KR20090007567U (ko) | 2008-01-22 | 2008-02-13 | 배관 연결유닛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7567U true KR20090007567U (ko) | 2009-07-27 |
Family
ID=4129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1915U KR20090007567U (ko) | 2008-01-22 | 2008-02-13 | 배관 연결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7567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7048B1 (ko) | 2021-05-21 | 2021-10-01 | (주)아그루코리아 | 배관 풀림 방지 장치 |
-
2008
- 2008-02-13 KR KR2020080001915U patent/KR20090007567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7048B1 (ko) | 2021-05-21 | 2021-10-01 | (주)아그루코리아 | 배관 풀림 방지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25126A1 (en) | Drill stem connection | |
CN109424807B (zh) | 榫槽连接接合器 | |
WO2011122349A1 (ja) | 鋼管杭の機械式継手構造 | |
CN102587506A (zh) | 用轴向十字插板对接钢管的方法及对接件 | |
KR20090007567U (ko) | 배관 연결유닛 | |
JP3336430B2 (ja) | 鋼管矢板等の縦継ぎ装置 | |
CN114810756B (zh) | 一种声测管的连接装置 | |
CN103726576B (zh) | 用轴向星形插板对接钢管的对接件及其方法 | |
JP6960423B2 (ja) | 梁補強金具、梁補強構造及び梁補強方法 | |
CA1132334A (en) | Spherical connector having integrally formed outlets | |
JP2002250487A (ja) | 管体の結合構造及び結合方法 | |
CN202519792U (zh) | 一种用轴向十字插板对接钢管的对接件 | |
KR20160052456A (ko) | 철근연결구 | |
CN214054244U (zh) | 法兰连接管道工厂模块化预制的焊缝对口工具 | |
KR101566610B1 (ko) |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 |
JP7256035B2 (ja) | 梁補強金具を用いた梁補強構造および梁補強方法 | |
JP2680273B2 (ja) | 配管用鋼管とホースとの接続装置 | |
CN213741217U (zh) | 缠绕结构壁热熔对接塑料检查井 | |
KR101308401B1 (ko) | 파이프와 고강도 연결구를 일체로 하는 하수관 연결 조립체 | |
KR20130002253A (ko) | 플렉시블 조인트 결합구조 | |
CN207553447U (zh) | 一种建筑用混凝土构件钢筋连接套 | |
JP4949486B2 (ja) | 鉄筋の継手構造 | |
KR100334603B1 (ko) | 철근이음장치 | |
JP2002013136A (ja) | 鋼管杭用ねじ継手、鋼管杭およびその埋設工法 | |
CN111075117A (zh) | 钢筋连接用绑焊套筒及其使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