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557U - 이상전압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이상전압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557U
KR20090007557U KR2020080000980U KR20080000980U KR20090007557U KR 20090007557 U KR20090007557 U KR 20090007557U KR 2020080000980 U KR2020080000980 U KR 2020080000980U KR 20080000980 U KR20080000980 U KR 20080000980U KR 20090007557 U KR20090007557 U KR 200900075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ing unit
state
control
shunt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0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557U/ko
Publication of KR20090007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5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rectifiers
    • H02H7/125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rectifiers responsive to overvoltage in input or output, e.g. by load dum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상전압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AC 입력전압을 반파 정류하는 반파 정류부; 상기 반파 정류부에서 반파 정류된 전압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제3 스위칭부; 컨트롤단자의 전위 상태에 따라 전원공급장치를 중지 또는 동작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3 스위칭부의 동작상태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컨트롤단자의 전위를 "하이" 또는 "로우"로 전환시키는 제4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Figure P2020080000980
AC 입력전압, 과전압, 분압회로, 션트 레귤레이터, 제어용 IC

Description

이상전압 보호회로{Irregular Voltage Protection Circuit}
도 1은 종래의 저전압 보호회로를 포함한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이상전압 보호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D1, D2: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
(R1, R2), (R4, R5); 분압회로
(R3, C1), (R6, C2): 시정수회로
U1, U2: 션트 레귤레이터
PC: 포토커플러
Q1: 스위칭 트랜지스터
Vcc1, Vcc2: 정전압
본 고안은 이상전압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공급장치는 AC 입력전압을 브리지 다이오드에서 정류하여 DC로 변환하고, 트랜스포머를 통해 승압하여 출력함으로써 원하는 레벨의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저전압 보호회로를 포함한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C 입력전압을 전파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D)와, 브리지 다이오드(BD)에서 전파 정류된 입력전압을 소정 비율로 승압하여 출력하는 트랜스포머(T)와, AC 입력전압을 반파 정류하는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D1, D2)와, 반파 정류된 입력신호를 소정 레벨로 분압하는 제1 분압회로(R1, R2)와, 제1 분압회로(R1, R2)에서 분압된 전압을 게이트로 공급받아 스위칭되는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와,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제어되는 포토커플러(PC)와, 포토커플러(PC)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정전압(Vcc2)이 제어용 IC(도시되지 않았음)의 컨트롤단자(CTL)에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분압회로(R1, R2)에서 분압된 전압이 제1 션트 레귤레이 터(U1)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것을 지연하는 제1 시정수회로(R3, C1)를 구성하고, 이에 따라 정전압(Vcc2)이 제어용 IC의 컨트롤단자(CTL)에 공급되는 지연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한다.
즉, 종래의 전원공급장치는 AC 입력전압이 정상 레벨일 때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D1, D2)를 통해 정류된 전압이 제1 분압회로(R1, R2)에서 대략 2.5V로 분압된 후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의 게이트에 공급되어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는 턴-온된다.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가 턴-온되면 정전압(Vcc1)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포토커플러(PC)를 동작시켜 정전압(Vcc2)을 그라운드로 패스시키고, 이로 인해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상태이면 정전압(Vcc2)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제어용 IC의 컨트롤단자(CTL)에 공급되어 제어용 IC는 전원공급장치를 정상 동작시킨다.
만약, AC 입력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은 저전압 상태일 때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D1, D2)를 통해 정류된 전압이 제1 분압회로(R1, R2)에서 분압되는데, 이때 제1 분압회로(R1, R2)에서 분압된 전압은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를 도통시키기에는 부족한 전압레벨이 된다. 따라서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는 턴-오프되고, 포토커플러(PC)는 동작되지 않는다.
포토커플러(PC)가 오프상태이면 정전압(Vcc2)이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어 제어용 IC의 컨트롤단자(CTL)에 공급되는 전위를 그라운드로 패스시킨다. 따라서 제어용 IC의 컨트롤단자(CTL)는 "로우"상태가 되고, 제어용 IC는 제1 시정수회로(R3, C1)의 시정수만큼 지연된 후 전원공급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AC 입력전압이 저전압일 때 회로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전원공급장치에는 AC 입력전압이 정상전압의 레벨보다 높은 과전압에 대해 회로를 보호하는 장치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경우, AC 입력전압이 과전압이 되면, 전원공급장치 내의 구성소자들이 과전압에 의해 파괴되거나 오동작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입력전압이 이상전압일 경우에도 전원공급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AC 입력전압을 반파 정류하는 반파 정류부; 상기 반파 정류부에서 반파 정류된 전압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제3 스 위칭부; 컨트롤단자의 전위 상태에 따라 전원공급장치를 중지 또는 동작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3 스위칭부의 동작상태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컨트롤단자의 전위를 "하이" 또는 "로우"로 전환시키는 제4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이상전압 보호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리지 다이오드(BD)는 AC 입력전압을 전파 정류한다. 트랜스포머(T)는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BD)에서 전파 정류된 입력전압을 소정 비율로 승압하여 출력한다.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D1, D2)는 AC 입력전압을 반파 정류한다. 제1 분압회로(R1, R2)는 상기 반파 정류된 입력신호를 소정 레벨로 분압한다.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는 제1 분압회로(R1, R2)에서 분압된 전압을 게이트로 공급받아 스위칭된다. 포토커플러(PC)는 상기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제어된다.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는 상기 포토커플러(PC)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정전압(Vcc2)이 제어용 IC(도시되지 않았음)의 컨트롤단자(CTL)에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한다.
또한, 제1 시정수회로(R3, C1)는 상기 제1 분압회로(R1, R2)에서 분압된 전압이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것을 지연한다. 상기 제1 시정수회로(R3, C1)는 정전압(Vcc2)이 제어용 IC의 컨트롤단자(CTL)에 공급되는 지연시 간을 결정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제2 분압회로(R4, R5)는 상기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D1, D2)에서 반파 정류된 입력전압을 분압한다. 제2 션트 레귤레이터(U2)는 상기 제2 분압회로(R4, R5)에서 분압된 전압을 게이트로 공급받아 온/오프되어 정전압이 포토커플러(PC)에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한다.
또한, 제2 시정수회로(R6, C2)는 상기 제2 분압회로(R4, R5)에서 분압된 전압이 제2 션트 레귤레이터(U2)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것을 지연한다. 상기 제2 시정수회로(R6, C2)는 정전압(Vcc1)이 포토커플러(PC)에 공급되는 지연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저항(R11)은 바이어스 저항이다.
즉, AC 입력전압이 정상 레벨일 때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D1, D2)를 통해 정류된 전압이 제1 분압회로(R1, R2)에서 대략 2.5V로 분압된 후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의 게이트에 공급되어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는 턴-온된다.
또한, AC 입력전압이 정상 레벨일 때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D1, D2)를 통해 정류된 전압이 제2 분압회로(R4, R5)에서 대략 2.5V보다 낮은 전압 값으로 분압된 후 제2 션트 레귤레이터(U2)의 게이트에 공급되어 제2 션트 레귤레이터(U2)는 턴-오프된다.
제1 션트 레귤레이터(U1)가 턴-온되고 제2 션트 레귤레이터(U2)가 턴-오프되면, 정전압(Vcc1)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포토커플러(PC)를 동작시켜 정전압(Vcc2)을 그라운드로 패스시키고, 이로 인해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상태이면 정전압(Vcc2)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제어용 IC의 컨트롤단자(CTL)에 공급되어 제어용 IC는 전원공급장치를 정상 동작시킨다.
만약, AC 입력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은 저전압 상태일 때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D1, D2)를 통해 정류된 전압이 제1 분압회로(R1, R2) 및 제2 분압회로(R4, R5)에서 각각 분압되는데, 이때 제1 분압회로(R1, R2) 및 제2 분압회로(R4, R5)에서 분압된 전압은 제1 및 제2 션트 레귤레이터(U1, U2)를 도통시키기에는 부족한 전압레벨이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션트 레귤레이터(U1, U2)는 모두 턴-오프되고, 포토커플러(PC)는 동작되지 않는다.
포토커플러(PC)가 오프상태이면 정전압(Vcc2)이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어 제어용 IC의 컨트롤단자(CTL)에 공급되는 전위를 그라운드로 패스시킨다. 따라서 제어용 IC의 컨트롤단자(CTL)는 "로우"상태가 되고, 제어용 IC는 제1 시정수회로(R3, C1)의 시정수만큼 지연된 후 전원공급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만약, AC 입력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높은 과전압 상태일 때,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D1, D2)를 통해 정류된 전압이 제1 분압회로(R1, R2) 및 제2 분압회로(R4, R5)에서 각각 분압되는데, 이때 제1 분압회로(R1, R2) 및 제2 분압회로(R4, R5)에 서 분압된 전압은 제1 및 제2 션트 레귤레이터(U1, U2)의 게이트전위를 초과하는 전위가 공급되고, 제1 및 제2 션트 레귤레이터(U1, U2)는 모두 턴-온된다.
제1 및 제2 션트 레귤레이터(U1, U2)가 턴-온되면, 정전압(Vcc1)은 제2 션트 레귤레이터(U2)를 통해 그라운드로 패스되므로 포토커플러(PC)는 동작되지 않는다.
포토커플러(PC)가 오프상태이면 정전압(Vcc2)이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어 제어용 IC의 컨트롤단자(CTL)에 공급되는 전위를 그라운드로 패스시킨다. 따라서 제어용 IC의 컨트롤단자(CTL)는 "로우"상태가 되고, 제어용 IC는 제2 시정수회로(R6, C2)의 시정수만큼 지연된 후 전원공급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AC 입력전압이 저전압일 경우와 과전압일 경우에도 전원공급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고안은 AC 입력전압이 저전압인 경우와 과전압인 경우,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저전압 및 과전압에 대하여 동시에 전원공급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Claims (8)

  1. AC 입력전압을 반파 정류하는 반파 정류부;
    상기 반파 정류부에서 반파 정류된 전압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와 제2 스위칭부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제3 스위칭부;
    컨트롤단자의 전위 상태에 따라 전원공급장치를 중지 또는 동작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3 스위칭부의 동작상태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컨트롤단자의 전위를 "하이" 또는 "로우"로 전환시키는 제4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이상전압 보호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단자의 전위가 "하이"상태이면 정상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컨트롤단자의 전위가 "로우"상태이면 동작 중지하는 제어용 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전압 보호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파 정류부는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 이고,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션트 레귤레이터이고, 상기 제2 스위칭부는 제2 션트 레귤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전압 보호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C 입력전압이 정상 레벨일 때 상기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에서 반파 정류된 전압을 상기 제1 션트 레귤레이터의 도통전압보다 높은 전압 레벨로 분압하는 제1 분압회로를 더 포함하는 이상전압 보호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압회로에서 분압된 전압이 상기 제1 션트 레귤레이터에 공급되는 것을 지연하는 제1 시정수회로를 더 포함하는 이상전압 보호회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C 입력전압이 정상 레벨일 때 상기 반파 정류용 다이오드에서 반파 정류된 전압을 상기 제2 션트 레귤레이터의 도통전압보다 낮은 전압 레벨로 분압하는 제2 분압회로를 더 포함하는 이상전압 보호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압회로에서 분압된 전압이 상기 제2 션트 레귤레이터에 공급되는 것을 지연하는 제2 시정수회로를 더 포함하는 이상전압 보호회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칭부는 포토커플러이고,
    상기 제4 스위칭부는 상기 포토커플러가 온상태이면 상기 제어용 IC의 컨트롤단자 전위를 "하이"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포토커플러가 오프상태이면 상기 제어용 IC의 컨트롤단자 전위를 "로우"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전압 보호회로.
KR2020080000980U 2008-01-22 2008-01-22 이상전압 보호회로 KR200900075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980U KR20090007557U (ko) 2008-01-22 2008-01-22 이상전압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980U KR20090007557U (ko) 2008-01-22 2008-01-22 이상전압 보호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557U true KR20090007557U (ko) 2009-07-27

Family

ID=4129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980U KR20090007557U (ko) 2008-01-22 2008-01-22 이상전압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755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7072B2 (en) AC-DC converters and method with soft-start scheme for AC-DC converters
US9391525B2 (en) Power system switch protection using output driver regulation
US20110069420A1 (en) Protection to a power converter by using a high-voltage start-up device in a controller chip of the power converter
EP1706941B1 (en) Dv/dt-detecting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power supply
JPH08140260A (ja) 電源装置
US10396674B2 (en) Flyback power converter circuit and primary side controller circuit thereof
EP2804278A1 (en) Self-power circuit for protecting relay
TW201622283A (zh) 過電壓保護裝置及其操作方法
US7394675B2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ing method
JP4946226B2 (ja) Dc−dcコンバータおよび電源装置
TWI538334B (zh) 自給的耐受高電壓電源供應系統及其操作方法
KR20120081015A (ko) 감전 방지 장치
KR101681696B1 (ko) 누전차단기의 전원 중첩 제어장치
US9525353B2 (en) Switching power-supply device for performing control of output voltage switching operation
US20060152954A1 (en) Curren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inrush current through an energy storage capacitor of a power supply
KR101707715B1 (ko) 급전 회로 및 당해 급전 회로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090007557U (ko) 이상전압 보호회로
US9263966B2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low stand-by losses
US9755502B2 (en) Start-up circuit and power device using the same
KR100681645B1 (ko) Smps에서의 고전압 보호장치
KR20090007658U (ko) 과전압 보호회로
KR200412051Y1 (ko) 전원공급장치
TWI704737B (zh) 過功率保護電路、充電器及過功率保護方法
KR20160039404A (ko) 과전류 보호회로
KR20090081587A (ko) 과전압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