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416U - 전동 때밀이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때밀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416U
KR20090007416U KR2020080000785U KR20080000785U KR20090007416U KR 20090007416 U KR20090007416 U KR 20090007416U KR 2020080000785 U KR2020080000785 U KR 2020080000785U KR 20080000785 U KR20080000785 U KR 20080000785U KR 20090007416 U KR20090007416 U KR 200900074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ime
arm
pressing means
driv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761Y1 (ko
Inventor
강남수
Original Assignee
강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수 filed Critical 강남수
Priority to KR2020080000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76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4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7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4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mechanism or vibrating unit being hit for starting vibration and then applied to the body of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3Control means thereof mechanically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형의 본체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어 전동의 힘으로 신체의 때를 밀 수 있는 전동 때밀이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내부의 전력장치(110)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구동모터(120); 상기 구동모터(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동하는 제1기어(130); 상기 제1기어(130)와 맞물려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130)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하는 제2기어(140); 상기 제2기어(140)에 링크(200)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아암(210); 상기 아암(210)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겉면에 때밀이타월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때를 미는 때밀이수단(300); 및 상기 때밀이수단(300)의 상하이동 속도와 가동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제어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기존의 회동방식이 아니라 상하로 움직이는 때밀이수단을 개선함에 따라, 위생적이면서 몸의 넓은 면적의 때를 밀어주어 사용자가 여러번 움직일 필요가 없이 때를 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손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도 간편하게 몸 전체의 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밀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때밀이, 전동, 상하, 모터, 솔레노이드, 기어, 아암, 링크

Description

전동 때밀이장치 {A device for rubbing off the dirt of body}
본 고안은 전동 때밀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회동방식이 아니라 상하로 움직이는 때밀이수단을 개선함에 따라, 위생적이면서 몸의 넓은 면적의 때를 밀어주어 사용자가 여러번 움직일 필요가 없이 때를 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손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도 간편하게 몸 전체의 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밀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전동 때밀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때밀이는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의 일명 '이태리타월'이라고 불리는 때밀이 타월을 이용하여 피부에 마찰을 가하여 때를 미는 것을 말하는데 특히 노약자의 경우에는 때밀이 작업이 힘들어 상당한 피로감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람도 등줄기와 같이 자신의 손이 가기 어려운 부분은 제대로 때를 밀 수 없어 목욕감이 저하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하여 종래에도 팔이 닿지 않는 등부위는 제대로 씻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터의 구동력으로 신체의 등부위의 때를 제거하도록 전동을 이용하는 때밀이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때밀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5427호에 의하면 『 고정대(17) 전방으로 돌출설치되는 제1모터(11)와 캡형테로 되어 내부공간에 상기 제1모터(11)를 수용하면서 상기 제1모터(11)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동드럼(13)이 구비되는 때밀이수단(10);상기 때밀이수단(10)의 승강운동을 위하여 제2모터(31)에 장착되는 구동롤러(33)와 복수의 가이드롤러(34,35,36)가 프레임(50)에 배설되고 상기 롤러들(33,34,35,36)에 의하여 가이드 이동되는 벨트(37)가 상기 때밀이수단(10)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고정대(17)를 지지하는 승강 벨트기둥(37A)을 형성하는 승강수단(30);상기 제1모터(11)와 제2모터(3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 및상기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프레임(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때밀이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동 때밀이 장치는 때밀이수단(10)이 회동하여 때를 밀게 되므로 사용자가 등부분을 때밀이수단(10)에 대고 압력을 가할 경우에 가하는 압력이 적으면 때가 제대로 밀리지 않게 되며, 가하는 압력이 많으면 때밀이수단(10)의 빠른 회동으로 피부가 손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구나, 종래의 전동 때밀이 장치는 동작이 단순 회동 및 상하 이동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신체의 때를 골고루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비위생적이며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생적이면서 몸의 넓은 면적의 때를 밀어주어 사용자가 여러번 움직일 필요가 없이 때를 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손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도 간편하게 몸 전체의 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밀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전동 때밀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박스형의 본체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어 전동의 힘으로 신체의 때를 밀 수 있는 전동 때밀이장치에 있어서: 내부의 전력장치(110)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구동모터(120); 상기 구동모터(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동하는 제1기어(130); 상기 제1기어(130)와 맞물려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130)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하는 제2기어(140); 상기 제2기어(140)에 링크(200)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아암(210); 상기 아암(210)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겉면에 때밀이타월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때를 미는 때밀이수단(300); 및 상기 때밀이수단(300)의 상하이동 속도와 가동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제어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때밀이수단(300)은 슬라이딩 구조를 지닌 아암(210) 상에 솔레노이드(230)를 더 포함하여 진동에 의한 안마기능과 곡선 경로 이동을 보조적으로 수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기어(140)는 이와 맞물려 설치되는 제3기어(150), 제3기어(150)에 맞물려 설치되는 제4기어(160)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어(150, 160) 들과 연결되는 때밀이수단(300)을 복수개 설치하여 동시에 때를 밀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동 때밀이장치는 상하로 움직이는 때밀이수단과 때밀이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위생적이면서 손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도 힘들이지 않고 시원하고 개운하게 전신의 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움직이는 때밀이수단으로 회동에 의한 피부의 찰과상을 방지함 과 동시에 몸의 넓은 면적의 때를 밀어주어 사용자가 여러 번 움직일 필요가 없이 때를 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때밀이수단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몸 전체의 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밀수 있다.
더욱이, 솔레노이드의 진동에 의한 안마기능과 곡선 경로 이동을 보조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등이 패인 곳의 때를 효과적으로 밀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 때밀이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 때밀이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 때밀이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박스형의 본체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어 전동의 힘으로 신체의 때를 밀 수 있는 전동 때밀이장치에 관련되며,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동 때밀이장치는 박스형의 본체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며, 전력장치(110), 구동모터(120), 제1기어(130), 제2기어(140), 아암(210), 때밀이수단(300), 제어기(40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의 전력장치(110)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구동모터(120)가 설치된다. 전력장치(110)는 전동의 힘으로 신체의 때를 밀 수 있도록 전력을 인가하는 장치로서, 본체 케이스(100)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본 고안의 전동 때밀이 장치에 전력을 인가한다. 구동모터(120)는 상기 전력장치(110)에 케이블(111)로 연결되어 전력을 인가받으며 회동하여 구동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터(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동하는 제1기어(130)와, 상기 제1기어(130)와 맞물려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130)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하는 제2기어(140) 및 상기 제2기어(140)에 링크(200)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아암(210)이 설치된다.
즉, 제1기어(130)는 상기 구동모터(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톱니바퀴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구동모터(120)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회동한다. 상기 제2기어(140)도 마찬가지로 톱니바퀴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제1기어(130)와 맞물려 설치된다. 따라서 제1기어(130)가 회동하면, 맞물려 설치된 톱니바퀴에 의해 제2기어(140)도 함께 연동되어 회동한다. 이때, 구동모터(12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 바, 즉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박스형의 본체 케이스(100) 내부에 하측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아암(210)은 상기 제2기어(140)에 링크(200)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크(200)를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 끝에 각각 힌지축을 구비하며, 일측의 힌지축(201)은 제2기어(140)의 일면에 연결되며, 타측의 힌지축(202)은 아암(210)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제2기어(140)가 제1기어(130)의 움직임에 맞물려 회동하면, 제2기어(140)의 일면에 연결된 링크(200)의 힌지축(201) 또한 원모양을 그리며 회전한다. 따라서 힌지축(201)의 회전에 따라, 링크(200)에 연결된 타측의 힌지축(202)은 아암(210)에 연결되어 상하로 왕복하여 운동하게 된다.
또한, 아암(210)은 제2기어(140)에 링크(200)를 개재하여 연결되므로,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링크(200)의 일측 힌지축(201)이 제2기어(140)의 일면에 설치되어, 제2기어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며, 회전에 연동되어 링크(200)의 타측 힌지축(202)에서 상하로 운동한다. 따라서 제2기어(140)의 회전운동은 링크(200)에 의하여 아암(210)에서 상하 운동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아암(210)은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때밀이수단(300)과 연결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아암(210)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겉면에 때밀이타월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때를 미는 때밀이수단(300)이 설치된다. 때밀이수단(300)은 겉면에 때밀이타월이 장착되며, 아암(210)의 상하 운동에 의하여 사용자의 때를 밀게 된다. 상기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의 일명 '이태리타월'이라고 불리는 때밀이 타월을 때밀이수단(300)의 겉면에 장착하며, 때밀이 타월이 손상되면 상기 때밀이수단(300)에서 탈착이 가능하여, 새로운 때밀이 타월을 부착할 수 있어 사용상 위생적이다.
여기서, 때밀이수단(300)은 슬라이딩 구조를 지닌 아암(210) 상에 솔레노이드(230)를 더 포함하여 진동에 의한 안마기능과 곡선 경로 이동을 보조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구조의 아암(210) 상에 솔레노이드(230)를 설치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축으로 인해 때밀이수단(300)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때밀이수단(300)이 아암(210)의 상하 운동으로 사용자의 등을 밀수 있으며, 곡선 형태로 되어 있어 패여진 등쪽은 때가 잘 밀리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때밀이수단(300)을 솔레노이드(230)의 운동으로 전후로 이동한 다음 상하로 때를 밀어 잘 밀리지 않는 패여진 등 또한 때를 쉽게 밀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30)는 전력장치(110)에 케이블(112)로 연결되어 전력이 인가되면 구동된다.
또한, 상기 아암(210)과 아암과 연결된 때밀이수단(300)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고정대(21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어(140)의 뒷면에 설치되고 아암(210)에 연결되어 고정 지지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상으로 아암(2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때밀이수단(300)의 상하이동 속도와 가동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제어기(400)가 설치된다. 제어기(400)는 사용자가 등을 밀 때,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속도를 줄이거나 빠르게 제어 할 수 있으며, 가동 시간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기(400)를 무선으로 제어 가능한 리모콘(미도시)등으로 상하이동 속도와 가동시간을 선택하여 때를 밀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솔레노이드(230)의 전후의 이동을 제어하여 때밀이수단(300)을 전후로 이동시키며, 진동에 따른 안마의 속도를 선택하거나, 등이 패인 곳을 밀 때 전후의 이동을 선택한 다음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때밀이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 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때밀이수단(300)을 복수개 설치하여 동시에 때를 밀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2기어(140)와 맞물려 설치되는 제3기어(150), 제3기어(150)에 맞물려 설치되는 제4기어(160)를 더 구비한다.
즉, 제3기어(150), 제4기어(160)는 제2기어(140)와 같이 톱니바퀴 형상으로 맞물려 설치되고, 제1기어(130)의 회전에 따라, 제2기어(140), 제3기어(150), 제4기어(160)가 연동되어 모두 회전한다. 또한, 제3기어(150)와 제4기어(160)에는 링크(200)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아암(210)과 사용자의 때를 미는 때밀이수단(300)이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기어의 회전에 따라 아암(210)이 상하로 이동하고, 이에 연결된 복수의 때밀이수단(300)이 상하로 왕복운동하여 동시에 때를 밀게 된다.
이때, 도 1 내지 도 4의 전력장치(110), 구동모터(120), 제1기어(130), 제2기어(140), 아암(210), 때밀이수단(300), 제어기(400)의 구성은 동일하고, 여타의 구성에 있어서도 전술한 바와 동일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적용에 차이가 없고, 전술한 작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
도 4를 통하여 작동에 있어서, 우선 내부의 전력장치(110)가 구동모터(120)에 전원을 인가하면 일측에 설치된 제1기어(130)가 회동하고, 이에 연동된 제2기어(140), 제3기어(150), 제4기어(160)가 맞물린 채로 회동한다. 각 기어에 연결된 링크(200)에 의하여 아암(210)이 회전운동에서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고, 이에 연결된 때밀이수단(300)이 상하로 반복 운동한다.
또한, 아암(210) 상에 솔레노이드(230)를 구비하여 진동에 의한 안마기능과 곡선 경로 이동을 보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전동 때밀이장치를 제어기(400)를 통하여 때밀이수단(300)의 상하이동 속도와 가동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때밀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 때밀이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 때밀이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 때밀이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때밀이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본체 케이스 110: 전력장치
120: 구동모터 130: 제1기어
140: 제2기어 150: 제3기어
160: 제4기어 200: 링크
210: 아암 211 : 고정대
230: 솔레노이드 300: 때밀이수단
400: 제어기

Claims (3)

  1. 박스형의 본체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어 전동의 힘으로 신체의 때를 밀 수 있는 전동 때밀이장치에 있어서:
    내부의 전력장치(110)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구동모터(120);
    상기 구동모터(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동하는 제1기어(130);
    상기 제1기어(130)와 맞물려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130)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하는 제2기어(140);
    상기 제2기어(140)에 링크(200)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는 아암(210);
    상기 아암(210)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겉면에 때밀이타월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때를 미는 때밀이수단(300); 및
    상기 때밀이수단(300)의 상하이동 속도와 가동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제어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때밀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때밀이수단(300)은 슬라이딩 구조를 지닌 아암(210) 상에 솔레노이드(230)를 더 포함하여 진동에 의한 안마기능과 곡선 경로 이동을 보조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때밀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140)는 이와 맞물려 설치되는 제3기어(150), 제3기어(150)에 맞물려 설치되는 제4기어(160)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어(150, 160) 들과 연결되는 때밀이수단(300)을 복수개 설치하여 동시에 때를 밀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때밀이장치.
KR2020080000785U 2008-01-18 2008-01-18 전동 때밀이장치 KR200448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785U KR200448761Y1 (ko) 2008-01-18 2008-01-18 전동 때밀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785U KR200448761Y1 (ko) 2008-01-18 2008-01-18 전동 때밀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416U true KR20090007416U (ko) 2009-07-22
KR200448761Y1 KR200448761Y1 (ko) 2010-05-17

Family

ID=4129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785U KR200448761Y1 (ko) 2008-01-18 2008-01-18 전동 때밀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7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0039A (zh) * 2016-04-06 2017-10-20 金成夏 自动搓澡椅
CN108713988A (zh) * 2018-08-08 2018-10-30 付星 一种花式搓背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819Y1 (ko) * 1990-05-11 1992-06-12 최현규 자동 때밀이 장치
KR940005896Y1 (ko) * 1992-03-18 1994-08-29 김점동 자동 때밀기구의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0039A (zh) * 2016-04-06 2017-10-20 金成夏 自动搓澡椅
CN108713988A (zh) * 2018-08-08 2018-10-30 付星 一种花式搓背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761Y1 (ko) 2010-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44899U (zh) 一种竖直振动式按摩机构及使用其的按摩脚机
KR200448761Y1 (ko) 전동 때밀이장치
JP5739030B2 (ja) 捏ね叩き同期按摩器
CN100455242C (zh) 多功能自动人体搓澡机
CN101862258B (zh) 揉压式按摩器
KR200415427Y1 (ko) 전동 때밀이기구
CN104814694B (zh) 往复式自动搓澡机
CN204233402U (zh) 一种沿人体背部搓揉推拿的按摩靠垫
CN202104726U (zh) 汽车侧窗的电动拉帘
CN208811772U (zh) 一种汽车配件圆弧板生产用打磨装置
JP2004041689A (ja) 4つ玉式マッサージ機構とこの機構を内蔵したマッサージ装置
CN208163275U (zh) 一种高效的建筑板材打磨装置
CN102715859B (zh) 搓澡机
CN207914235U (zh) 洗药机筒体驱动机构
CN106901657A (zh) 一种家用电动清洁工具
JP5134330B2 (ja) マッサージ機
CN209346845U (zh) 一种履带式搓澡机
KR101050686B1 (ko) 지압겸용 자동때밀이 장치
KR200392518Y1 (ko) 안마겸용 때밀이 장치
CN110881939A (zh) 一种高效环保的皮鞋鞋底清扫设备
KR200168747Y1 (ko)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CN2703484Y (zh) 自动擦背器
CN1726895A (zh) 全自动搓背按摩机
KR101555966B1 (ko) 두드림 기능이 있는 안마기
CN201216579Y (zh) 电动擦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