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296U -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296U
KR20090007296U KR2020080000618U KR20080000618U KR20090007296U KR 20090007296 U KR20090007296 U KR 20090007296U KR 2020080000618 U KR2020080000618 U KR 2020080000618U KR 20080000618 U KR20080000618 U KR 20080000618U KR 20090007296 U KR20090007296 U KR 200900072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protector
frame
ring
cr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주
김남식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0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296U/ko
Publication of KR200900072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29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03Combination of crank axles and bearings housed in the bottom bra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different-sized wheels, e.g. rear sprocket chain wheels selectively engaged by the chain, bel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크랭크(50)가 자전거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50)에는 상기 프레임(3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과 톱니(52')의 갯수가 많아지는 다수개의 체인링(54,56,58)이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체인링(54,56,68)에는 체인(C)이 걸어 감아져서 구동력을 전달한다. 체인프로텍터(70)는 상기 다수개의 체인링(54,56,58)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한 내측체인링(58)과 상기 프레임(30)의 간격이 상기 체인(C)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내측체인링(58)에서 상기 프레임(30)을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에 의하면, 체인링과 프레임 사이에 체인프로텍터를 설치하여 체인프로텍터와 프레임의 간격이 체인의 폭보다 작아지므로, 체인이 체인링의 안쪽으로 이탈되더라도 체인링과 프레임 사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자전거, 크랭크, 체인링, 스프라켓, 체인프로텍터, 바텀브라켓

Description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Crank assembly of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상태에 따라 변속비를 변환할 수 있는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프레임의 앞 측과 뒤 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앞바퀴 및 뒷바퀴와, 운전자가 앉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장과, 운전자가 파지하여 주행중 균형을 유지하고 앞바퀴에 연계되어 주행시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핸들과,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에 설치되고 운전자가 페달을 밟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이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링이 구비된 크랭크와, 뒷바퀴에 장착되고 체인에 의해 체인링에 연결되는 스프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운전자가 페달을 밟아 체인링을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이 체인으로 연결된 스프라켓에 전달되어 뒷바퀴가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전거에는 다단 기어로 구성된 체인링세트가 장착되어 오르막길 또는 평탄한 길과 같이 주행도로의 변화에 따라 최소한의 힘으로 페달을 밟아 주행할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전거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크랭크(1)에는 체인링세트(3)가 설치된다. 상기 체인링세트(3)에는 뒷바퀴(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체인(도시되지 않음)이 걸어진다. 상기 체인링세트(3)의 외주에는 체인이 연결되는 톱니(3')가 반복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인링세트(3)는 서로 다른 직경과 톱니(3')의 갯수를 갖는 다수개의 체인링(5,7,9)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인링(5,7,9) 중 직경이 가장 큰 외측체인링(5)은 아래에서 설명될 크랭크커버(15)에 가장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외측체인링(5)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 중간체인링(7)과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진 내측체인링(9)은 상기 외측체인링(5)의 안쪽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체인링(5,7,9) 각각은 볼트, 리벳 또는 코킹(caulking) 부재 등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다.
한편, 상기 외측체인링(5)의 외측에는 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크랭크커버(15)가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커버(15)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몰드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1)의 중심에는 페달이 설치되는 크랭크암(17)이 구비된다. 상기 크랭크암(17)은 운전자의 페달을 밟는 힘을 상기 크랭크(1)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크랭크암(17)은 크랭크축(19)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다. 상기 크랭크축(19)은 아래에서 설명될 프레임(23) 양측의 크랭크암(17)이 서로 연결되는 구동축 역할을 한다.
상기 크랭크축(19)은 바텀브라켓(21)을 통해 프레임(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3)은 자전거의 몸체를 구성한다.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체인링(9)과 바텀브라켓(21)은 소정거리(L) 이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내측체인링(9)과 바텀브라켓(21)이 이격된 거리는 체인의 폭보다 넓거나 비슷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는 페달을 회전시킴으로써 발생되는 회전력을 뒷바퀴에 전달하고, 뒷바퀴가 지면에 대해여 구름으로써 전방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자전거의 변속은 체인이 상기 체인링(5,7,9) 사이를 이동하며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크랭크(1)의 외측에 크랭크커버(15)가 구비되어 기어변속중에 체인이 상기 외측체인링(5)의 바깥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크랭크(1)의 내측에는 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체인이 상기 내측체인링(9)의 안쪽으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체인이 바텀브라켓(21)과 내측체인링(9) 사이에 떨어지게 된다.
상기 바텀브라켓(21)과 내측체인링(9)은 소정거리(L)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이 떨어져서 바텀브라켓(21)과 내측체인링(9) 사이에 강하게 끼워지면, 상기 크랭크(1)를 회전시킬 수 없고 체인을 빼기도 어려워 주행불능에 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체인링 안쪽으로 체인이 이탈되더라도 쉽게 체인을 뺄 수 있는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자전거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고 톱니의 갯수가 많아지는 다수개의 체인링이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체인링에 체인이 걸어감아져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크랭크와; 상기 다수개의 체인링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한 내측체인링과 상기 프레임의 간격이 상기 체인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내측체인링에서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되는 체인프로텍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인프로텍터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내측체인링을 향하는 상기 몸체의 일면에 직립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체인링에 체결되도록 그 선단이 상기 몸체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측체인링과 체인프로텍터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체인프로텍터의 결합을 유도하고 유동을 방지하는 계지돌기와 상기 계지돌기가 삽입되는 계지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내측체인링에는 상기 계지돌기 또는 계지부가 형성되는 라운드부가 상기 내측체인링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인프로텍터에는 상기 라운드부에 닿아 상기 체인프로텍터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체인링에는 다수개의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걸이공에 대응되는 상기 체인프로텍터에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체인링에는 상기 다수개의 걸이공 중 어느 하나의 걸이공 일부를 차폐하는 방향돌기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체인링과 프레임 사이에 체인프로텍터를 설치하여 체인프로텍터와 프레임의 간격이 체인의 폭보다 작아지므로, 체인이 체인링의 안쪽으로 이탈되더라도 체인링과 프레임 사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체인링의 안쪽으로 이탈된 체인이 고정되지 않고 프레임 상에 위치하여 체인링으로의 복귀가 용이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크랭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자전거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 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체인프로텍터가 체결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의 크랭크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 및 도 7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인프로텍터가 배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전거의 골격은 프레임(30)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는 운전자가 앉는 안장(3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의 전방에는 운전자가 파지하여 주행중 균형을 유지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앞바퀴(38)에 연계되어 주행시 방향을 조정하는 핸들(32)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32)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30)에는 자전거의 전방으로 빛을 발산하는 전조등(34)이 장착된다.
상기 핸들(3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런트브레이크(40) 및 리어브레이크(44)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레버(36)가 장착된다. 상기 브레이크레버(36)에 인접한 상기 핸들(32)에는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변속레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30)의 앞 측에는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앞바퀴(38)가 설치된다. 상기 앞바퀴(38)에는 프런트브레이크(40)가 설치된다. 상기 프런트브레이크(40)는 상기 브레이크레버(36)에 의해 작동되어 앞바퀴(38)에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프레임(30)의 뒤 측에는 뒷바퀴(42)가 설치된다. 상기 뒷바퀴(42)는 아래에서 설명될 크랭크(5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뒷바 퀴(42)에는 리어브레이크(44)가 설치된다. 상기 리어브레이크(44)는 상기 브레이크레버(36)에 의해 작동되어 뒷바퀴(42)에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뒷바퀴(42)의 중앙에는 체인(C)에 의해 크랭크(50)와 연결되는 스프라켓(46)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라켓(46)은 체인(C)의 이동을 뒷바퀴(42)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스프라켓(46)은 다수개가 서로 다른 직경과 톱니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인(C)은 다수개의 스프라켓(46) 사이를 이동하며 자전거의 주행속도 및 주행에 필요한 동력의 요구량을 변화시킨다.
상기 스프라켓(46)에는 상기 체인(C)의 이동을 규제하는 리어디레일러(48)가 설치된다. 상기 리어디레일러(48)는 상기 체인(C)이 기어 변동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앞바퀴(38)와 뒷바퀴(42)의 사이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크랭크(50)가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50)의 상부에는 체인(C)의 이동을 규제하는 프론트디레일러(52)가 설치된다. 상기 리어디레일러(48)와 프론트디레일러(52)는 상기 변속레버에 의해 상기 체인(C)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3에는 상기 크랭크(50)의 구성이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50)에는 체인링세트(52)가 설치된다. 상기 체인링세트(52)에는 뒷바퀴(42)에 연결된 체인(C)이 걸어진다. 상기 체인링세트(52)의 외주에는 체인이 연결되는 톱니(52')가 반복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인링세트(52)는 서로 다른 직경과 톱니(52')의 갯수를 갖는 다수개의 체인링(54,56,58)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체인링(54,56,58)은 상기 프레임에 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고 톱니(52')의 갯수가 많아지게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체인링(54,56,58)의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상기 체인링(54,56,58) 중 직경이 가장 큰 외측체인링(54)은 아래에서 설명될 크랭크커버(80)에 가장 인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체인링(54)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 중간체인링(56)과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진 내측체인링(58)은 상기 외측체인링(54)의 안쪽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체인링(54,56,58)은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제조비용의 절감을 위해서는 프레스 가공에 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링(54,56,58) 각각은 볼트, 리벳 또는 코킹(caulking) 부재 등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체인링(58)의 중심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크랭크축(84)이 관통하는 관통부(58')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58')는 크랭크축(84)이 회전할 때, 상기 체인링(54,56,58)이 함께 회전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측체인링(58)의 안쪽에는 상기 관통부(58')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부(60)가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60)는 상기 중간체인링(56)과 상기 내측체인링(58)의 체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라운드부(60) 각각의 사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인프로텍터(70)의 후크(76)가 체결되는 걸이공(60')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체인프로텍터(70)의 후크(76)가 상기 걸이공(60')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체인링(58)의 안쪽에 걸어지는 것이다.
상기 라운드부(60)에는 계지돌기(62)가 아래에서 설명될 바텀브라켓(86)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계지돌기(62)는 상기 라운드부(60)에 직립되게 형성된다.
상기 계지돌기(62)는 상기 중간체인링(56)과 내측체인링(58)의 체결을 위한 리벳팅(riveting)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계지돌기(62)는 체인프로텍터(70)의 결합을 유도하고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내측체인링(58)의 안쪽에는 방향돌기(64)가 상기 관통부(58')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방향돌기(64)는 일측에 형성된 두 개의 라운드부(60) 사이에 형성되어 걸이공(60')의 일부를 차폐한다. 상기 방향돌기(64)는 후크(76)의 진입을 방해하여 체인프로텍터(70)의 체결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내측체인링(58)에는 체인프로텍터(70)가 설치된다. 상기 체인프로텍터(70)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체인링(58)과 바텀브라켓(86) 사이를 채우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인프로텍터(70)와 바텀브라켓(86)의 간격(L)은 상기 체인(C)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체인프로텍터(70)가 상기 내측체인링(58)과 바텀브라켓(86) 사이에 설치되어 체인(C)이 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설계조건에 따라 바텀브라켓(86)이 상기 프레임(3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체인프로텍터(70)와 바텀브라켓(86)의 간격(L)이 상기 프레임(30)과 체인프로텍터(70)의 간격이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체인프로텍터(70)가 상기 내측체인링(58)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상기 내측체인링(58)과 바텀브라켓(86)의 간격(H)보다 작고, 상기 내측체인링(58)과 바텀브라켓(86)의 간격(H)에서 체인(C)의 폭을 뺀 치수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프로텍터(70)는 폴리아세탈(poly acetal)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 가볍고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프로텍터(70)의 골격은 중간에 원형의 공간(70')이 형성된 몸체(7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71)는 대략 링(ring) 형상이다. 상기 내측체인링(58)에 결합되는 상기 몸체(71)의 일면에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지돌기(62)에 대응되는 위치에 계지부(7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계지부(72)에는 상기 계지돌기(62)가 삽입되는 계지돌기삽입부(7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계지돌기(62)는 상기 내측체인링(58)에 형성되고, 상기 계지부(72)는 상기 체인프로텍터(70)에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계지돌기(62)가 체인프로텍터(70)에 형성되고, 상기 계지부(72)가 상기 내측체인링(58)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계지부(72)에 인접한 상기 체인프로텍터(70)의 몸체(71)에는 가이드돌기(74)가 상기 계지부(72)의 양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74)의 선단은 상기 계지부(72)의 선단보다 돌출되어 상기 체인프로텍터(70)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걸이공(60')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71)에는 후크(76)가 상기 내 측체인링(58)을 향하여 직립되게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후크(76)는 상기 방향돌기(64)가 형성된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걸이공(6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후크(76)의 선단은 상기 체인프로텍터(7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후크(76)는 상기 체인프로텍터(70)를 상기 내측체인링(58)에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크(76)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체인프로텍터(70)는 상기 몸체(71)와 후크(76) 만으로도 기초적인 구성이 가능하다.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76)에는 상기 내측체인링(58)이 걸어지는 후크공(76')이 상기 계지부(72)의 선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공(76')에 상기 내측체인링(58)이 걸어졌을 때 상기 계지부(72)의 선단이 상기 라운드부(60)에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후크(76)는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내측체인링(58)에 형성되어 상기 체인프로텍터(70)에 걸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잘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체인링(54)의 외측에는 체인의 이탈을 방지하는 크랭크커버(80)가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커버(80)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몰드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50)의 중심에는 페달이 설치되는 크랭크암(82)이 구비된다. 상기 크랭크암(82)은 운전자의 페달을 밟는 힘을 상기 크랭크(50)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크랭크암(82)의 일단은 크랭크축(84)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암(84)의 타단에는 페달(84')이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축(84)은 상기 프레임(30) 양측의 크랭크암(82)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크랭크축(84)은 바텀브라켓(86)을 통해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축(84)은 상기 크랭크(50)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크랭크암(82)에 연결된다.
상기 바텀브라켓(86)의 내부에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크랭크축(84)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바텀브라켓(86)은 상기 크랭크축(84)을 상기 프레임(3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해준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크랭크(50)가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크랭크(50)의 가장 내측에 구비된 내측체인링(58)에 체인프로텍터(7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체인프로텍터(70)의 계지부(72)가 상기 계지돌기(62) 상에 위치하며, 상기 체인프로텍터(70)에서 상기 후크(76)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방향돌기(64)가 형성된 방향에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체인프로텍터(70)가 상기 내측체인링(58)에 다가가면, 상기 가이드돌기(74)가 상기 라운드부(60)에 닿아 상기 체인프로텍터(70)의 설치위치를 안내한다. 이때, 상기 후크(76)는 상기 걸이공(60)을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계지돌기(62)가 상기 계지부(72)의 계지돌기삽입부(72')에 삽입될 때 상기 후크(76)는 상기 내측체인링(58)에 닿아 탄성변형되며, 상기 내측체인링(58)이 상기 후크공(76')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체인프로텍터(70)가 상기 내측체인링(58)에 설치되어 고정되면, 상기 크랭크축(84)이 상기 관통부(58')를 관통하여 상기 크랭크암(82)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체인프로텍터(70)와 바텀브라켓(86) 사이의 간격(L)은 체인(C)의 폭보다 작게 된다.
상기 스프라켓(46)과 체인링세트(52)는 체인(C)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뒷바퀴(42)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자전거의 주행시에는 변속레버에 의해 작동하는 프론트디레일러(52) 및 리어디레일러(48)를 이동시켜 주행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프론트디레일러(52)에 의해 체인(C)이 이동하면서 상기 내측체인링(58)의 안쪽으로 체인(C)이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체인프로텍터(70)가 없다면, 상기 내측체인링(58)을 이탈한 체인(C)이 상기 내측체인링(58)과 바텀브라켓(86) 사이에 끼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체인프로텍터(70)가 상기 내측체인링(58)과 바텀브라켓(8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C)이 상기 체인프로텍터(70)와 바텀브라켓(86) 사이에 끼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체인링(58)에서 이탈된 체인(C)이 상기 크랭크(5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30)이나 바텀브라켓(86)에 유동가능하게 위치된다. 이는 체인(C)이 상기 내측체인링(58)과 바텀브라켓(86)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에 비해 수리가 쉽다. 또한, 상기 체인(C)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크랭크(5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체인(C)이 손상되는데, 상기 체인프로텍터(70)의 설치로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크랭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자전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체인프로텍터가 체결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의 크랭크를 보인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인프로텍터를 보인 배면도와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크랭크 52: 체인링세트
54: 외측체인링 56: 중간체인링
58: 내측체인링 58': 관통부
60: 라운드부 60': 걸이공'
62: 계지돌기 64: 방향돌기
70: 체인프로텍터 71: 몸체
72: 계지부 72': 계지돌기삽입부
74: 가이드돌기 76: 후크
80: 크랭크커버 82: 크랭크암
84: 크랭크축 86: 바텀브라켓

Claims (6)

  1. 자전거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고 톱니의 갯수가 많아지는 다수개의 체인링이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체인링에 체인이 걸어감아져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크랭크와;
    상기 다수개의 체인링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한 내측체인링과 상기 프레임의 간격이 상기 체인의 폭보다 작아지도록 상기 내측체인링에서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되는 체인프로텍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프로텍터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내측체인링을 향하는 상기 몸체의 일면에 직립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체인링에 체결되도록 그 선단이 상기 몸체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체인링과 체인프로텍터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체인프로텍터의 결합을 유도하고 유동을 방지하는 계지돌기 와 상기 계지돌기가 삽입되는 계지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체인링에는 상기 계지돌기 또는 계지부가 형성되는 라운드부가 상기 내측체인링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인프로텍터에는 상기 라운드부에 닿아 상기 체인프로텍터의 설치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체인링에는 다수개의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걸이공에 대응되는 상기 체인프로텍터에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체인링에는 상기 다수개의 걸이공 중 어느 하나의 걸이공 일부를 차폐하는 방향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KR2020080000618U 2008-01-15 2008-01-15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KR200900072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618U KR20090007296U (ko) 2008-01-15 2008-01-15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618U KR20090007296U (ko) 2008-01-15 2008-01-15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296U true KR20090007296U (ko) 2009-07-20

Family

ID=4365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618U KR20090007296U (ko) 2008-01-15 2008-01-15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729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0452B (zh) 自行車後變速器及用於自行車後變速器之阻尼總成
US6860171B1 (en) Drive mechanism for a bicycle transmission assist mechanism
US6761655B2 (en) Motion sensor for use with a bicycle sprocket assembly
US6443032B1 (en) Assisting apparatus for shifting a bicycle transmission
EP2042420B1 (en) Control device for a bicycle derailleur
US5611556A (en) Speed change mechanism
JP2005271911A (ja) 自転車用変速装置
US7503862B2 (en) Transmission with internal protective shield and bicycle incorporating same
US5961416A (en) Internally mounted bicycle transmission
CZ303289B6 (cs) Zarízení pro interní razení prevodu jízdního kola a zpusob prenášení síly na tomto zarízení
US20220274670A1 (en) Electrically-assisted vehicle propulsion system
US7367575B2 (en) Arrangement structure of speed-change cable
US6640938B2 (en) Shift assist apparatus for a bicycle
KR20090007296U (ko)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KR20140102588A (ko) 자전거용 무단 변속 장치
KR200447756Y1 (ko) 자전거의 크랭크 조립체
US11305839B2 (en) Transmission device for bicycle
WO2021026811A1 (zh) 自行车变速装置
IT202000013297A1 (it) Sistema di selezione del rapporto di trasmissione in biciclette o simili
KR19990015683A (ko) 자전거의 자동 변속장치
KR19990045930A (ko) 자동변속장치를구비한자전거
KR20010001599U (ko) 자동변속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