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158A -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 - Google Patents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158A
KR20090007158A KR1020070070855A KR20070070855A KR20090007158A KR 20090007158 A KR20090007158 A KR 20090007158A KR 1020070070855 A KR1020070070855 A KR 1020070070855A KR 20070070855 A KR20070070855 A KR 20070070855A KR 20090007158 A KR20090007158 A KR 2009000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ump
pulsation reducing
pulsation
hollow
eye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158A/ko
Publication of KR2009000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2Bolts or sleeves for positioning of machine parts, e.g. notched taper pins, fitting pins, sleeves, eccentric position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일단이 개방되며, 중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 및 이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맥동 저감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 내부에 댐핑 밸브와 같은 맥동 저감부재를 구비하여, 오일 펌프에 의한 유체의 유압차에 의해서 발생한 맥동파를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수명 단축을 방지함은 물론, 차체의 진동이 상당량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오일 펌프, 고압 호스, 맥동파

Description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EYE BOLT DECREASING PULSATORY MOTION}
본 발명은 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구비되는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스티어링 시스템은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한 장치로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앞바퀴 또는 뒷바퀴를 조향하게 되며, 자동차의 안전상 브레이크 시스템과 함께 매우 중요한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시스템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자동차가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조향을 행하여야하며, 운전자의 조작력이 바퀴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조향력으로 증강되어야 하고, 선회시 좌우 바퀴의 조향각에 차이가 있어야 하며, 노면의 충격이 스티어링 휠에 전달되지 않아야 하고, 또한 선회시 저항이 적고 옆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대형의 자동차나 저압 타이어를 적용하는 자동차에서는 앞바퀴의 접지 저항이 크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이 크게 되고 신속한 조향 조작이 안될 염려가 있으므로, 가볍고 신속한 조향 조작을 하기 위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으로 오일 펌프를 구동하여 발생한 유압을 스티어링 시스템의 중간에 설치된 배력장치로 보내서 배력장치의 작동으로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가볍게 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자동차용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엔진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동력으로 유체를 압송하는 오일 펌프(10)와, 이 오일 펌프(10)에서 발생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 기어(12)와, 이 조향 기어(12)에서 보내진 유체가 저장되는 오일 탱크(14)를 구비한다. 또한, 오일 펌프(10)와 조향 기어(12) 사이에는 고압 호스(16)가 접속되어 있고, 조향 기어(12)와 오일 탱크(14) 사이에는 리턴 호스(18)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오일 펌프(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구비된 캠 링 내벽과 로터 및 두 개의 인접한 베인으로 둘러싸인 공간 용적의 변화에 따라 유압을 발생시켜 유체를 압송하게 된다.
이러한 오일 펌프(10)를 구비하는 종래 자동차용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오일 펌프(10)를 이용하여 유압을 발생시켜 고압 호스(16)로 전달하고, 조향 기어(12)는, 오일 펌프(10)에서 동력을 받아 타이로드를 움직여 타이어를 회전시킨 후, 다시 오일 탱크(14)로 유체를 리턴시키고, 오일 탱크(14)에서 유체를 여과한 후 다시 오일 펌프(10)로 보내어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동력을 얻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일 펌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아이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자동차용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구비되는 오일 펌프(10)에는, 고압 호스(16)를 오일 펌프(10)에 체결하기 위한 아이볼트(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아이볼트(20)는, 내부에 중공(22)이 형성되며, 측부에는, 중공(22)과 연통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되어, 고압 호스(16)를 오일 펌프(10)에 체결함과 동시에, 오일 펌프(10)와 고압 호스(16) 사이의 유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오일 펌프(10)에서 압송되는 유체는, 그 유압차에 의해서 맥동파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맥동파는,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차체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를 불안하게 하여 사고를 야기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종래 오일 펌프(10)에 구비되는 아이볼트(20)에 따르면, 오일 펌프(10)와 고압 호스(16) 사이의 유로 역할을 하는데 있어서, 중공(22) 및 관통공(24)의 형상 때문에, 급격한 유로 변화가 일어나게 되어, 유체의 유동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맥동파 발생을 더욱 크게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오일 펌프에서 압송되는 유체에서 발생하는 맥동파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맥동 저감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맥동 저감부재는, 상기 몸체 내부 상단에 구비되는 댐핑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오일 펌프 및 상기 오일 펌프에 연결되는 고압 호스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에 따르면, 종래 발명과 달리, 몸체 내부에 댐핑 밸브와 같은 맥동 저감부재를 구비하여, 오일 펌프에 의한 유체의 유압차에 의해서 발생한 맥동파를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수명 단축을 방지함은 물론, 차체의 진동이 상당량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오일 펌프에 적용되는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맥동 저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100)는, 몸체(110) 및 맥동 저감부재(12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고압 호스(16; 도 1 참조)를 오일 펌프(10; 도 1 참조)에 체결하도록 오일 펌프(10) 상에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오일 펌프(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 내측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몸체(110)를 오일 펌프(10)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110)는, 내부에 중공(111)이 형성되며, 그 일단은 개방된다. 이에 따라, 몸체(110)가 오일 펌프(10) 내부에 삽입되면, 내부의 중공(111)이 오일 펌프(10)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의 측부에는, 관통공(112)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112)은, 몸체(110) 측부를 관통하면서, 동시에 중공(111)과 연통된다.
이와 같은 중공(111) 및 관통공(112)이 형성되는 몸체(110)는, 고압 호스(16)를 오일 펌프(10)에 체결함과 동시에, 오일 펌프(10)와 고압 호스(16) 사이의 유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오일 펌프(10)에서 배출된 유체는, 중공(111)을 통해 몸체(110)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몸체(11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다시 관통공(112)을 통해 고압 호스(16)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몸체(110)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중공(111)이 형성된 몸체(110) 내부 상단에는, 맥동 저감부재(120)가 구비된다. 이러한 맥동 저감부 재(120)는, 바람직하게는, 댐핑 밸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동 저감부재(120)에 따르면, 맥동 저감부재(120)의 외형을 이루는 대략 원통형의 하우징(121)이 몸체(110) 내부 상단에 삽입되고, 이 몸체(110) 내부에는 일측이 하우징(121)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는 이동체(122) 및 이 이동체(1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100)의 작동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100)가 고압 호스(16; 도 1 참조)를 오일 펌프(10; 도 1 참조)에 체결하도록 오일 펌프(10) 상에 구비된 상태에서, 오일 펌프(10)에서 유체가 배출되면, 이 유체는 몸체(110)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몸체(110) 내부의 중공(111)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유체는, 몸체(110) 내부 상단에 배치된 맥동 저감부재(120)와 충돌하게 된다.
즉, 몸체(110) 내부에 유입된 유체는, 오일 펌프(10)에 의해 발생된 유압에 의해 몸체(110) 내부 상단까지 압송되고, 이렇게 압송된 유체는, 맥동 저감부재(120)의 이동체(122)에 충돌하여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을 받은 이동체(122)는, 하우징(121)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어 오일 펌프(10)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상당량 흡수하게 되고, 그런 다음 탄성체(123)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오일 펌프(10)에서 불규칙적인 압력으로 배출되는 유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100) 내부에서, 그 유압차에 의한 맥동파가 상당량 흡수된 다음, 관통공(112)을 통해 고압 호스(16) 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100)에 따르면, 몸체(110) 내부에 댐핑 밸브와 같은 맥동 저감부재(120)를 구비함으로써, 오일 펌프(10)에 의한 유체의 유압차에 의해서 발생한 맥동파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100)는,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차체의 진동이 상당량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오일 펌프에 적용되는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오일 펌프가 아닌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일 펌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아이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맥동 저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 110 : 몸체
111 : 중공 112 : 관통공
120 : 맥동 저감부재 121 : 하우징
122 : 이동체 123 : 탄성체

Claims (3)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일단이 개방되며,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맥동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동 저감부재는, 상기 몸체 내부 상단에 구비되는 댐핑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오일 펌프 및 상기 오일 펌프에 연결되는 고압 호스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
KR1020070070855A 2007-07-13 2007-07-13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 KR20090007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855A KR20090007158A (ko) 2007-07-13 2007-07-13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855A KR20090007158A (ko) 2007-07-13 2007-07-13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158A true KR20090007158A (ko) 2009-01-16

Family

ID=4048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855A KR20090007158A (ko) 2007-07-13 2007-07-13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71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7119A (zh) * 2010-07-23 2010-12-08 林友根 带有卸荷溢流阀的铰接螺栓
CN104214185A (zh) * 2014-09-17 2014-12-17 平湖市当湖街道飞天人机械图文设计服务部 一种数控车床的油路螺栓及其热处理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7119A (zh) * 2010-07-23 2010-12-08 林友根 带有卸荷溢流阀的铰接螺栓
CN104214185A (zh) * 2014-09-17 2014-12-17 平湖市当湖街道飞天人机械图文设计服务部 一种数控车床的油路螺栓及其热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7158A (ko) 맥동 저감형 아이볼트 장치
US6637542B2 (en) Power steering system with noise reduction
KR100291062B1 (ko) 동력조향장치의작동실린더구조
KR100631801B1 (ko) 작동유의 진동 저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유압식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070060402A (ko) 차량용 유압식 스티어링 기어박스
KR101171420B1 (ko) 피니언 밸브 바디와 이를 구비한 피니언 밸브 어셈블리
KR101338718B1 (ko) 파워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유동저항 가변장치
CN206691193U (zh) 一种带阻尼孔单向阀的液压转向器
KR100986341B1 (ko) 롤마운트와 일체로 형성된 스티어링 기어 박스 구조
KR20010000543U (ko) 자동차용 파워스티어링시스템의 에어홀
KR100471894B1 (ko) 자동차용 유압식 동력조향장치
KR100707281B1 (ko) 작동유 진동 저감 장치
KR19990040230A (ko) 동력조향장치의 맥동소음 저감장치
KR100804599B1 (ko) 감속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입력축을 구비한 자동차의피니언 밸브 어셈블리
KR100646397B1 (ko) 입력축 및 그를 구비한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0224282Y1 (ko) 동력조향장치의 오일탱크 기밀구조
KR101740823B1 (ko)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제어밸브
KR100482150B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랙바 지지구조
KR101241738B1 (ko) 피니언 밸브하우징의 포핏 밸브 및 이를 구비한 피니언 밸브 어셈블리
KR100610980B1 (ko) 파워 스티어링의 추력 증대 구조
KR101138084B1 (ko)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댐핑 밸브
KR101304741B1 (ko) 자동차의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0599269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역류방지밸브 구조
KR101191314B1 (ko)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댐퍼 지지구조
KR19980054007A (ko) 동력조향장치의 노이즈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