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003U - 과일용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과일용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003U
KR20090007003U KR2020080000227U KR20080000227U KR20090007003U KR 20090007003 U KR20090007003 U KR 20090007003U KR 2020080000227 U KR2020080000227 U KR 2020080000227U KR 20080000227 U KR20080000227 U KR 20080000227U KR 20090007003 U KR20090007003 U KR 200900070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ruit
packaging box
pape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345Y1 (ko
Inventor
강창국
Original Assignee
강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국 filed Critical 강창국
Priority to KR2020080000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34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3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24Partitions inserted
    • B65D5/48026Squaring or like elements, e.g. honeycomb element,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 B65D5/48038Strips cross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으로 과일이 담겨지도록 지지하는 상부격지와 하부격지의 높이가 서로 상이한 과일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과일용 포장박스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중간지(200)와; 상기 중간지(200)의 하측에 구비되어, 과일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격지(210)와; 상기 중간지(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과일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격지(22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커버(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상부격지(220)와 하부격지(210)는, 상하 높이가 서로 상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재료비가 절감되고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포장, 과일, 박스, 격지

Description

과일용 포장박스{A parking box for fruit}
본 고안은 과일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으로 과일이 담겨지도록 지지하는 상부격지와 하부격지의 높이가 서로 상이한 과일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가 하나의 2차원적 평면지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가 절감 및 조립능률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과일용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과일과 같은 농산물의 포장을 위한 박스는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과일용 포장박스는, 사각통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다수의 과일을 구분없이 일정 용량의 무게가 되도록 수용하여 판매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일용 포장박스는, 일반적으로 하면과 상면을 별도의 스카치 테잎 등을 사용하여 밀봉한다. 따라서, 과일 포장을 위해 항상 테잎을 준비하여야 하며, 내부의 과일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다시 부착된 테잎을 떼어내고 검사한 다음, 다시 테잎을 붙여 밀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일부의 과일박스에서는 다수의 과일을 다수의 층으로 적층시켜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각각의 개별 과일 사이에 별도의 간지를 삽 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시되므로, 운반 도중에 과일끼리 충돌하여 흠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일 상호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과일 상호간에 별도의 간지를 끼워넣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동일한 크기의 간지를 사용하므로, 재료비가 과다하게 낭비되며, 제품을 전시하는 경우에 과일의 외관이 외부로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층을 이루도록 적층되는 과일 상호 간의 분리를 위해 사용되는 상부격지와 하부격지의 높이가 서로 상이한 과일용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가 하나의 2차원 평면지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2차원 평면지의 조립에 의해 과일 박스용 케이스가 완성되는 과일용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과 양 측면이 이중으로 이루어지고, 단부가 서로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조립이 가능한 과일용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과일용 포장박스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중간지와; 상기 중간지의 하측에 구비되어, 과일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격지와; 상기 중간지의 상측에 구비되어, 과일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격지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상부격지와 하부격지는, 상하 높이가 서로 상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과일용 포장박스에 따르면, 케이스 내부에는 과일을 분리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격지가 상하에 각각 구비되고, 이러한 상하의 각 격지는 상하 높이가 서로 상이하다. 즉, 최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격지는 하부의 격지에 비해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는 동시에, 과일을 전시하는 경우에는 과일의 전체적인 윤곽이 외부로 드러나는 이점이 있다. 즉 커버를 벗기고 전시하는 경우에는 소비자가 바로 과일의 윤곽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구매욕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과일을 수용하는 케이스가 하나의 2차원 평면지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2차원 평면지의 조립에 의해 과일 박스용 케이스가 완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결합부재나 테잎 등의 부가적 수단이 불필요하므로, 박스 조립능률 및 과일 포장을 위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과 양 측면이 이중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에는 바닥지가 더 첨가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박스의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외부와의 온도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과일을 보다 신선한 상태로 유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 중앙에 구비되어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중간지에 통기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과일 상호간에 공기 전달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으로 신선도 유지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과일용 포장박스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과일용 포장박스의 일례가 외관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10)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중간지(200)와, 상기 중간지(200)의 하측에 구비되어 과일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격지(210)와, 상기 중간지(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과일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격지(22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커버(24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바닥에 놓여지는 바닥지(2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2차원 평면지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며, 전면 및 후면과 측면은 각각 이중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00)의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중간지(20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 공간의 평면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중간지(200)의 중앙부에는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소정 크기의 통기공(20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202)은 상기 중간지(200)를 통해 상하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하여 과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격지(210)와 상부격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모양으로 이루어져 과일 사이를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격자모양의 격지(210,220)에 의해 다수의 과일이 서로 부딪치지 않게 된다.
상기 하부격지(210)와 상부격지(220)는 전후 및 좌우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다만, 상기 하부격지(210)와 상부격지(220)는, 상하 높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격지(220)의 높이(H')는 하부격지(210)의 높이(H)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격지(220)의 높이(H')는, 상기 하부격지(210) 높이(H) 크기의 약 1/2 내지는 3/5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격지(210)와 상부격지(220)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하는 이유는, 재료비를 줄이고 과일의 진열시 과일이 전체적으로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격지(210)는, 내부에 수용되는 과일을 분리하는 역할 외에도 상기 중간지(200)를 지지하여야 하므로, 하부격지(210)의 높이(H)는 과일의 높이보다 적어도 커거나 같아야 한다. 반면, 상기 상부격지(220)의 상측에는 박스커버(240)가 위치되며, 이러한 박스커버(240)는 상기 케이스(100)에 씌워지므로 상부격지(220)가 박스커버(240)를 지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상부격지(220)는 상기 중간지(200)의 상측에 놓여지는 과일들을 분리하는 역할만 하면 되므로, 상기 하부격지(210)와 같이 높이가 클 필요가 없다. 또한, 과일 진열시에는 상기 박스커버(240)를 벗겨내고 진열하게 되므로, 이 경우에 상기 상부격지(220)의 높이(H')가 낮게 되면, 과일의 상반부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므로 소비자가 과일의 상태를 바로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박스커버(240)는 상기 케이스(100)를 덮는 뚜껑이다. 따라서, 상기 박스커버(24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 모양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단면적은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상단 외부를 덮게 된다.
도 3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펼쳐진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면(120)과, 상기 베이스(1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면(130)과, 상기 베이스(110)의 좌우에 형성되는 측면(150,16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측면(150,160)은 상기 베이스(110)의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면(150)과, 상기 베이스(110)의 우측에 구비되는 우측면(1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중간지(200)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정사각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베이스(110)의 전후 좌우에 상기 전면(120)과 후면(130) 그리고, 측면(150,160)이 각각 벤딩(bending)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10)의 테두리에는 베이스벤딩선(1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120)과 후면(130) 그리고, 측면(150,160)은 조립시 상기 베이스벤딩선(112)을 따라 상방으로 용이하게 세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120)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내면(122)과,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외면(124)과, 상기 전방외면(124)과 전방내면(122)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전방간격부(126)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의 전방에는 전방외면(124)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외면(124)의 전방에는 전방내면(12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전방외면(124)과 전방내면(122)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전방간격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간격부(126)는, 상기 전방외면(124)과 전방내면(122)이 겹쳐지는 경우에 전방외면(124) 전방내면(122)이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전방간격부(126)의 전후에는 좌우로 한 쌍의 전방벤딩선(126')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전방벤딩선(126')은, 눌려진 벤딩(bending)선으로 상기 전방내면(122)이 쉽게 접혀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내면(122)과 전방외면(124)은 좌우 폭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내면(122)의 좌우 폭(L')은 전방외면(124)의 좌우 폭(L)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방내면(122)의 좌우 폭 크기(L')가 상기 전방외면(124)의 좌우 폭 크기(L)보다 작도록 하는 이유는 조립시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측면(150,160)과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120) 끝단부 양단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측면(150,160)에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체결편(140)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내면(122)의 선단 좌우에는 좌우로 돌출된 삽입체결편(140)이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체결편(140)은 조립시 상기 측면(150,160)에 형성되는 아래에서 설명할 삽입체결홈(182)에 끼워진다.
상기 케이스(100)의 후면(130)은, 상기 전면(120)과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즉,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내면(132)과,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외면(134)과, 상기 후방외면(134)과 후방내면(132)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후방간격부(136)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의 후방에는 후방외면(134)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외면(134)의 후방에는 후방내면(13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후방외면(134)과 후방내면(132)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후방간격부(136)가 형성된다.
상기 후방간격부(136)는, 상기 후방외면(134)과 후방내면(132)이 겹쳐지는 경우에 후방외면(134) 후방내면(132)이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후방간격부(136)의 전후에는 좌우로 한 쌍의 후방벤딩선(136')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후방벤딩선(136')은, 눌려진 벤딩선으로 상기 후방내면(132)이 쉽게 접혀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방내면(132)과 후방외면(134)은 좌우 폭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내면(132)의 좌우 폭(L')은 후방외면(134)의 좌우 폭(L)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내면(132)의 좌우 폭(L') 크기가 상기 후방외면(134)의 좌우 폭 크기(L)보다 작도록 하는 이유는 조립시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측면(150,160)과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120) 끝단부 양단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측면(150,160)에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체결편(140)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내면(132)의 선단 좌우에는 좌우로 돌출된 삽입체결편(140)이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체결편(14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시 상기 측면(150,160)에 형성되는 아래에서 설명할 삽입체결홈(182)에 끼워진다.
상기 케이스(100)의 우측면(160)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우측내면(162)과,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우측외면(164)과, 상기 우측외면(164)과 우측내면(162)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우측간격부(16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120) 및 후면(130)과 마찬가지로 상기 우측면(160)도 상기 우측외면(164)과 우측내면(162)에 의해 이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측외면(164)과 우측내면(162) 사이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우측간격부(166)에 의해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우측간격부(166)의 좌우에도 전후로 벤딩(bending)선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우측내면(162)이 쉽게 벤딩(bending)되어 상기 우측외면(164)과 겹쳐지도록 하여 조립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우측내면(162)의 전후 길이(M')는 우측외면(164)의 전후 길이(M)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우측내면(162)과 우측외면(164)이 겹쳐져 조립될 때 아래에서 설명할 외면가이드(172) 및 외면가이드(172)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측면(150,160) 양단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 면(120) 및 후면(130)과 측면(150,160)의 결합을 지지하는 가이드(170,172)가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우측내면(162)의 전후 양단에는 내면가이드(170)가 형성되고, 우측외면(164)의 전후 양단에는 외면가이드(172)가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시 상기 한 쌍의 내면가이드(170)는, 상기 한 쌍의 외면가이드(172) 내측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170,172)에는, 상기 케이스(100) 우측면(160)의 우측내면(162)과 우측외면(16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180)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내면가이드(170) 끝단부에는 상기 우측내면(162) 방향으로 돌출된 간격유지부(18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간격유지부(180)는, 상기 우측내면(162)의 일부가 절개된 것으로, 상기 내면가이드(170)와 동일 평면을 이룬다. 따라서, 조립시 상기 간격유지부(180)는 상기 우측내면(162)과 우측외면(164) 사이가 밀착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상기 간격유지부(180)가 절개된 자리는 삽입체결홈(182)을 형성하게 되어, 이러한 삽입체결홈(182)에 상기에서 설명한 전면(120) 및 후면(130)의 삽입체결편(14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좌측면(150)은 상기 우측면(160)과 대칭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좌측면(150)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좌측내면(152)과,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좌측외면(154)과, 상기 좌측외면(154)과 좌측내면(152)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좌측간격부(156)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간격부(166)와 대응되는 좌측간격부(156)도 형성되며, 외면가이드(172)와 내면가이드(170) 및 간격유지부(180)도 형성된다. 이러한 좌측면(150)의 각 기능은 상기에서 설명한 우측면(160)의 각 기능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5b에는 상기 격지(210,220)의 구성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부격지(210)와 상부격지(220)는 높이 차이 외에는 구성이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함께 그 구성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하부격지(210)와 상부격지(220)는, 서로 대칭되는 구성을 가지는 상간지(230)와 하간지(2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다수의 상간지(230) 및 하간지(240)가 격자 모양으로 결합된 것이다. 여기서는 상기 상간지(230)와 하간지(240)가 각각 2개씩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상간지(230)와 하간지(240)는 각 체결홈(232,242)의 형성 위치 외에는 서로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상간지(23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단에 각각 상체결홈(232)이 형성되며(도 5a 참조), 상기 하간지(240)에는 내측에 2개의 하체결홈(242)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각각 관통 형성된다.(도 5b 참조)
그리고, 상기 상간지(230)와 하간지(240)는 각각 이중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간지(230)와 하간지(240)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는 간지간격부(244)가 형성되고, 이러한 간지간격부(244)의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중앙벤딩선(244')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상간지(230)와 하간지(240)는, 상기 중앙벤딩선(244')을 따라 겹쳐진 다음, 상하에서 서로 상기 상체결홈(232)과 하체결 홈(242)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체결홈(232)과 하체결홈(242)의 폭은 상기 간지간격부(244)의 폭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과일용 포장박스의 조립 및 사용 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케이스(100)이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6의 (a)에는 상기 케이스(100)이 2차원적으로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펼쳐진 케이스(100)의 각 부위의 연결부분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딩(bending)이 용이하도록 벤딩선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측면(150,160)을 먼저 세운다. 즉, (b)와 같이 상기 좌측내면(152)과 우측내면(162)이 상기 좌측외면(154)과 우측외면(164)에 각각 겹쳐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좌측면(150)과 우측면(160)을 세우고, (c)와 같이 상기 좌측면(150)과 우측면(160)에 각각 형성된 내면가이드(170)와 외면가이드(172)가 서로 마주보도록 한다. 즉, 상기 내면가이드(170)와 외면가이드(172)가 좌측면(150)과 우측면(160)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내면가이드(170)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간격유지부(180)는 상기 좌측면(150)과 우측면(160)에 대해 수직을 이루게 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부(180)가 위치했던 좌측내면(152)과 우측내면(162)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삽입체결홈(182)이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d)와 같이 상기 전방외면(124)과 후방외면(134)을 세워 직립시킨 다음, 상기 전방내면(122)과 후방내면(132)을 내측으로 벤딩(bending) 시킨 다. 이렇게 되면, (e)와 같은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전방내면(122)과 후방내면(132)에 형성된 삽입체결편(140)이 상기 삽입체결홈(182)에 각각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체결편(140)이 상기 삽입체결홈(182)에 삽입되면, 상기 전면(120) 및 후면(130)과 상기 측면(150,16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지는 한편, 이중으로 형성된 측면(150,160)의 하단부 사이의 간격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체결편(140)이 상기 삽입체결홈(182)에 삽입되도록 하면, 도 6의 (e)와 같이 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조립이 완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120) 및 후면(130)과 측면(150,160)을 서로 결합되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00)의 조립이 완성되고 나면, 이러한 케이스(100)의 내부에 단감과 같은 과일을 수용하게 되는데, 이때의 과정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a)와 같이 조립된 상기 케이스(100)을 바닥에 놓은 다음, (b)와 같이 상기 바닥지(250)를 케이스(100)의 베이스(110) 상면에 놓는다. 이는 상기 케이스(100)의 베이스(1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는, 상기 하부격지(210)를 (c)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넣는다. 그리고, 이러한 하부격지(210) 사이의 공간에 단감(P)과 같은 과일을 삽입한다.
그 다음으로는, 상기 하부격지(210)의 상측에 (d)와 같이 상기 중간지(200)를 올려놓는다. 그런 다음, 상기 중간지(200) 상측에 (e)와 같이 상기 상부격지(220)를 놓는다.
그리고는, 상기 상부격지(220)의 각 공간에 단감(P)을 올려놓는다. 도 6의 (e)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격지(220) 사이 공간에 단감(P)을 모두 채우고 나면, 다음으로는 상기 박스커버(240)를 덥는다.
이렇게 되면,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감(P)과 같은 과일의 포장이 완료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포장박스를 이동하게 된다.
한편, 백화점이나 과일상회에서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박스에 감겨진 단감과 같은 과일을 전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박스커버(240)를 벗겨낸 상태에서 주로 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도 6의 (e)에서와 같이 상측의 단감(P)과 같은 과일은 상반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박스커버(240)는 별도의 위치에 보관되거나, 상기 케이스(100)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전시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지(210,220)가 하부격지(210)와 상부격지(220)로 이루어져 상하 2층으로 과일을 수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러한 격지(210,220) 3 이상으로 구비하여 3층 이상으로 과일을 수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과일용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과일용 포장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케이스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격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간지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전개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간지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조립과정을 보인 조립공정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과일을 담은 과정을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포장박스 100. 케이스
200. 중간지 202. 통기공
210. 하부격지 220. 상부격지
240. 박스커버 250. 바닥지

Claims (8)

  1.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중간지와;
    상기 중간지의 하측에 구비되어, 과일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격지와;
    상기 중간지의 상측에 구비되어, 과일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격지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박스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상부격지와 하부격지는, 상하 높이가 서로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포장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은,
    하나의 2차원 평면지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며;
    전면 및 후면과 측면은 각각 이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포장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내면과,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외면과,
    상기 외면과 내면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내면의 좌우 폭은 외면의 좌우 폭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포장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의 끝단부 양단에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체결편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포장박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은,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내면과,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외면과,
    상기 외면과 내면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내면의 전후 길이는 외면의 전후 길이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포장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 양단에는,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과 측면의 결합을 지지하는 가이드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케이스 측면의 내면과 외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포장박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격지와 상부격지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하에서 서로 체결되는 상간지와 하간지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상간지와 하간지는, 이중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포장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에는,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통기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용 포장박스.
KR2020080000227U 2008-01-07 2008-01-07 과일용 포장박스 KR200448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227U KR200448345Y1 (ko) 2008-01-07 2008-01-07 과일용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227U KR200448345Y1 (ko) 2008-01-07 2008-01-07 과일용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003U true KR20090007003U (ko) 2009-07-13
KR200448345Y1 KR200448345Y1 (ko) 2010-04-02

Family

ID=4133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227U KR200448345Y1 (ko) 2008-01-07 2008-01-07 과일용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3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5279A (ja) * 2016-12-12 2018-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包装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57B1 (ko) * 2011-12-28 2012-06-20 안종희 과채류 포장 보호대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736A (ja) * 1989-06-15 1991-01-25 Nec Corp 固定小数点数値演算方式
JP2006176152A (ja) * 2004-12-22 2006-07-06 Toppan Printing Co Ltd トレー形状の段ボール製組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5279A (ja) * 2016-12-12 2018-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345Y1 (ko) 201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69200A1 (en) High strength partition box assembly
KR102043614B1 (ko) 포장상자
NZ225385A (en) Stackable container: lugs in lid fit in slots in double walled sides
JP6135423B2 (ja) トレイ型の包装箱
US1588857A (en) Egg carton or carrier
KR200448345Y1 (ko) 과일용 포장박스
JP2006264717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JP6523310B2 (ja) 手動による組立てのためのボール紙シート材料製トレイ及びそのようなトレイを製作するためのブランク
JP6440442B2 (ja) 青果物パック収納用トレー
US6293459B1 (en) Carton ventilation system
JP2017507857A5 (ko)
US3632037A (en) Carton adapted for field assembly
KR101029739B1 (ko) 음식물 배달용 포장 박스
KR20230003816A (ko) 보냉 기능을 갖는 조립식 종이박스
JPH0516093Y2 (ko)
US1966672A (en) Chick shipping container
JP7444085B2 (ja) トレイ
CN219770418U (zh) 对开门包装盒
US200900787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es integrated with product containers
KR102449382B1 (ko) 골판지 보냉 박스
JPS6315138Y2 (ko)
US20230015782A1 (en) Folding box
JP7123535B2 (ja) 梱包容器及び梱包容器用シート材
KR20240038392A (ko) 상품 포장 구조체
US20180305068A1 (en)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