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890A -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890A
KR20090006890A KR1020090000495A KR20090000495A KR20090006890A KR 20090006890 A KR20090006890 A KR 20090006890A KR 1020090000495 A KR1020090000495 A KR 1020090000495A KR 20090000495 A KR20090000495 A KR 20090000495A KR 20090006890 A KR20090006890 A KR 20090006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client
receiving client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9000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890A/ko
Publication of KR2009000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호접속을 요청하는 발신 클라이언트의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와, 상기 정보 확인부가 확인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와 연계되는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확인하는 추출부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확인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와 상기 추출부가 확인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가 상기 추출부가 확인한 위치정보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또는 무선 단말에서 전송하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또는 무선 단말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호접속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부를 구비한다.
위치정보, 선택적 전송,

Description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System for Connecting Wireles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도1은 수신 클라이언트가 저장 매체에 저장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하는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전송 또는 차단하는 일 실시 도면이다.
도2는 수신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유·무선 단말을 통해 선택적 메시지 수신을 위한 소정의 위치 정보를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바람직한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3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소정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바람직한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4는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로 메시지 전송 차단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말기 화면 예시도이다.
도5는 수신 클라이언트가 저장 매체에 저장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사이의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일 실시 도면이다.
도6은 수신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유·무선 단말을 통해 선택적 통화 채널 연결을 위한 소정의 위치 정보를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바람직한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7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소정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사이의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바람직한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서버 또는 장치 105 : 통지부
110 : 저장부 115 : 판단부
120 : 추출부 125 : 단말정보 확인부
130 : 전송부 135 : 위치 확인부
140 : 저장매체 145 :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150 : 이동통신망 155 :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
160 :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호접속을 요청하는 발신 클라이언트의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와, 상기 정보 확인부가 확인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와 연계되는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확인하는 추출부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확인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와 상기 추출부가 확인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가 상기 추출부가 확인한 위치정보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또는 무선 단말에서 전송하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또는 무선 단말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호접속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부를 구비하는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기반으로 유선 전화기(Telephone) 사이의 음성 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기존의 유선 통신에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휴대성(Portability)과 이동성(Mobility)을 부여한 것으로, 유선 상에서 유선 전화기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기존 유선 통신에 비해, 무선 또는 이동 상에서 휴대성과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가입자 및/또는 방문자 무선 단말의 위치(예컨대, 무선 단말과 무선 구간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의 셀 아이디(Cell Identification) 정보)를 저장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VLR(Visitor Location Register)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 상에서 통화 채널이 연결되는 호처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무선 단말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무선 단말은 소정의 시스템 부팅(System Booting) 과정을 통해 저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체제, 시스템 프로그램, 및 응용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상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데이터 블록 등이 실행 메모리로 로드(Load)되고,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드된 시스템 프로그램 및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 특유의 무선 주파수 통신을 이용하여 인접한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과 무선 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무선 경로를 통해 소정의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소정의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의 위치를 상기 기지국 또는 HLR/VLR에 등록하여 통화 대기 상태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통화 대기 상태에서,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에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누르면,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호접속을 요청하는 소정의 발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구간과 유선 구간을 통해 이동 통신망에 구비된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으로 전송하고, 교환국은 HLR/VLR을 참조하여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를 확인한다. 만약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가 확인된다면, 상기 교환국은 유선 구간과 무선 구간을 통해 상기 호접속 요청에 해당하는 발신호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에서 상기 발신호를 착신하면, 상기 교환국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사이의 통화 채널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망에는 음성 통화를 위한 망 하부 구조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 및 다른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및 X.25/PRI(ISDN Primary Rate Interface) 접속 기능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접속, 인터넷 접속, PSPDN(Packet Switching Public Data Network) 접속으로 다른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회선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연동장치(Interworking Function; IWF)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 상에서 소정의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의 통화 대기 상태에서 메시지 전송을 위한 소정의 에이전트 프로그램(예컨대, 단문 메시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전송할 소정의 메시지를 입력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전화번호 및/또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버튼을 누르면, 상기 메시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전화번호 및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소정의 메시지는 무선 구간과 유선 구간을 통해 이동 통신망 상의 메시지 센터(예컨대, 단문 메시지의 경우 SMC(Short Message Center))로 전송되어 임시 저 장되고, 상기 메시지 센터는 상기 HLR/VLR을 통해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 및 통화 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메시지 전송 또는 호접속을 요청함에 있어서,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을 선택할 수 있지만,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은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을 선택하지 못하고,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이 전송하는 소정의 메시지를 무조건 수신해야 하거나, 또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의 발신호를 무조건 착신해야 하는 불합리함이 존재한다.
그런데, 기존의 메시지 전송 또는 호접속 요청 방법 및 시스템으로는 상기와 같은 불합리함을 해소하는 것이 난해하다. 특히, 집에서 가족과 함께 있는데 무선 단말로 성인 광고 메시지가 전송되거나, 또는 업무와 관련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이것은 명백한 사생활 침해이자, 국민의 기본권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클라이언 트 위치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호접속을 요청하는 발신 클라이언트의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와, 상기 정보 확인부가 확인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와 연계되는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확인하는 추출부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확인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와 상기 추출부가 확인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가 상기 추출부가 확인한 위치정보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또는 무선 단말에서 전송하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또는 무선 단말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호접속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부를 구비하는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호접속을 요청하는 발신 클라이언트의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와, 상기 정보 확인부가 확인한 상기 발신 클라 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와 연계되는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확인하는 추출부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확인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와 상기 추출부가 확인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가 상기 추출부가 확인한 위치정보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또는 무선 단말에서 전송하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또는 무선 단말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호접속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부는, 이동 통신 시스템 상의 기지국에 구비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셀 아이디 기반 무선 측위 방식과,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네트워크 기반 무선 측위 방식과, 무선 단말기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셋이 구비된 경우 상기 GPS 칩셋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핸드셋 기반 무선 측위 방식을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단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는, 문자메시지와, 이미지메시지와, 동영상메 시지와, 멀티미디어메시지와 전자메일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 또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로 통화 채널을 연결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시스템은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은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단말과 무선 단말을 모두 포함하는 바람직한 경우를 설명하되, 바람직한 방법은 본 발명에 대한 효율적인 설명을 위해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은 발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인 경우를 위주로 설명한다.
특히,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한 메시지 수단으로서 IS-95-A상의 DBM(Data Burst Message)을 이용하는 단문 메시지(수신 메시지는 150 bytes 내외, 발신 메시지는 100 bytes)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사용하는데, 이 때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은 MO SMS(Mobile Oriented SMS)의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은 MT SMS(Mobile Terminated)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방법일 뿐이며, 본 발명에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SMS 이외에 EMS(Enhanced Messa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는 물론,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서버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등을 모두 포함한다.
도면1은 수신 클라이언트가 저장 매체(140)에 저장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145)에서 전송하는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 또는 차단하는 일 실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을 참조하면, 수신 클라이언트가 저장 매체(140)에 저장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145)에서 전송하는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의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를 서버 또는 장치에 등록시키는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 및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이 저장시킨 소정의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위치 정보에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가 부합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전송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는 서버 또는 장치(100)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이 메시지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이동 통신망(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이동 통신망(150)은 무선 단말과 무선 구간을 통해 연결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유선 구간으로 연결되는 제어국과 교환국 및 상기 교환국과 연계되며 상기 이동 통신망(150)의 가입자 및/또는 방문자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HLR/VLR과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망연동장치(IWF)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부터 SMS가 전송되는 메시지에 대한 제어 및 송수신을 처리하는 SMC 및 상기 SMC를 유선 인터넷 상의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단말에 해당하는 개인 컴퓨터와 연 결하는 게이트웨이, 그리고 셀 아이디 기반, 네트워크 기반, 및/또는 핸드셋 기반 무선 측위를 통해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측위 정보를 측위하는 측위 서버가 구비된다.
상기 무선 측위에 있어서, 셀 아이디 기반 무선 측위 및/또는 네트워크 기반 무선 측위를 통해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가 측위되는 경우, 상기 측위 서버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며, 핸드셋 기반 무선 측위의 경우, 상기 측위 서버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에 구비된 GPS 칩셋을 통해 측위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측위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145)은 소정의 SME(Short Message Ent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MO SMS로서,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단말은 SMS 전송 기능이 구비된 개인 컴퓨터 및 서버를 포함하고, 발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은 SMS 전송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155)은 소정의 SME의 기능을 수행하는 MT SMS로서, SMC로부터 SMS 수신하는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를 포함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이 등록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저장 매체(140)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 정보 확인부(125)와, 상기 단말 정보 확인부(125)가 확인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연계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저장 매체(140)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120)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135)와, 상기 위치 확인부(135)에서 확인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와 상기 추출부(120)가 추출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가 상기 추출부(120)가 추출한 위치 정보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115), 및 상기 판단부(115)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전송하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전송부(1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판단부(115)의 판단 결과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전송하는 상기 메시지를 차단하는 경우, 상기 확인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가 상기 추출부(120)가 추출한 위치 정보에 부합되거나, 또는 부합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전송하는 상기 메시지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 메시지 전송불가를 통지하는 통지부(10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 매체(140)는 수신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예측되는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를 제공받고, 또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 또는 차단하고자 하는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하기 위해 수신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제공받는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MO SMS 단말의 식별 코드 또는 번호이고, 발신 클라이언트 CID 정보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이름 또는 애칭(Nickname)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하기 위해 수신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제공받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는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좌표값으로 가공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좌표값으로 저장되지 않는 경우 판단부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좌표값으로 가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140)에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에 추가적으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 및/또는 메시지 전송 방법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식별 코드 또는 번호이고, 메시지 전송 방법은 상기 위치 정보에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가 부합하거나, 또는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 또는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용되는 통상의 지식에 따르면,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메시지는 이동 통신망(150)에 구비된 SMC(Short Message Center)에 임시 저장 후 전송(Store and Forward)되는 데,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단말 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SMC에 저장되는 메시지로부터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및/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 정보와 연계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가 저장 매체(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 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저장 매체(140)를 검색함으로써 직접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및/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가 저장 매체(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정보 확인부(125)가 추출부(120)를 통해 상기 저장 매체(140)를 검색함으로써 직접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및/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가 저장 매체(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단말 정보 확인부(125)가 저장 매체(140)로부터 상기 단말 정보와 연계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추출부(120)는 저장 매체(140)로부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를 추출 및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추출부(120)는 저장 매체(140)로부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 및/또는 메시지 전송 방법을 더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단말 정보 확인부(125)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의 단말 정보를 확인하고, 및/또는 추출부(120)가 상기 단말 정보와 연계된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추출하면, 위치 확인부(135)는 측위 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160)의 현재 위치를 무선 측위하고, 그 결과로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측위 정보를 추출 및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확인부(135)가 무선 단말기의 측위 정보를 추출 및 확인하는 방법은, 셀 아이디 기반 무선 측위 방법, 네트워크 기반 무선 측위, 및/또는 측위하는 핸드셋 기반 무선 측위 방법을 통해 측위한 무선 단말기의 측위 정보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좌표를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정보에 부합되는지 판단할 수 있는 좌표계(예컨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동일한 좌표 평면을 사용하는 좌표계)로 변환하는 것이다.
위치 확인부(135)가 소정의 무선 측위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에 대한 측위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상기 추출부(120)가 저장매체(140)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클라이언트와 연계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면, 판단부(115)는 상기 위치 확인부(135)에서 확인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와 상기 추출부(120)가 추출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가 상기 추출부(120)가 추출한 위치 정보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부(115)가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것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저장 매체(140)로부터 추출된 위치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소정의 위치 영역의 범위 내부에 존재하는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판단부(115)가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가 2차 평면 상에서 P(x1, y1)과 같이 하나의 좌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의 측위 정보 (x, y)가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좌표점과의 거리가 특정 상수(Contant)보다 크거나, 또는 작음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상기 P(x1, y1)과 (x, y) 사이의 거리가 20m 보다 작다면,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일 때는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에 무선 단말기 현재 위치가 부합하는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115)가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가 2차 평면 상에서 P1(x1, y1), P2(x2, y2)와 같이 두개의 좌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의 측위 정보 (x, y)가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두개의 좌표점을 연결하는 사각(Rectangle) 영역의 내부점 또는 외부점 판단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x1 < x2”이고 “y1 < y2”일 때, “x1 < x” 이고, “x < x2”이며, 또한 , “y1 < y” 이고, “y < y2”라면, 상기 (x, y)는 P1(x1, y1) 및 P2(x2, y2)로 이루어진 사각 영역의 내부점이며,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 상기 (x, y)는 P1(x1, y1) 및 P2(x2, y2)로 이루어진 사각 영역의 외부점이며,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115)가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발신 클라 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가 2차 평면 상에서 n개의 점(n>=3)으로 이루어진 폐도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무선 단말기의 측위 정보 (x, y)가 상기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폐도형 영역의 내부점 또는 외부점 판단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발신 클라이언트 연계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 (x, y)가 n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폐도형의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상기 판단부(115)는 상기 (x, y)값으로부터 상기 폐도형의 변을 이루기 위한 두개 점 P1(x1, y1)과 P2(x2, y2) 사이의 각(예컨대, P1(x1, y1)에서 (x, y)를 연결하는 직선과 (x, y)에서 P2(x2, y2)을 연결하는 직선 사이의 사이각) T1을 P1에서 P2방향으로 구하고, 다시 상기 (x, y)값으로부터 상기 폐도형의 변을 이루기 위한 두개 점 P2(x2, y2)과 P3(x3, y3) 사이의 각 T2를 P2에서 P3 방향으로 구하는 과정을 P1(x1, y1)에서 Pn(xn, yn)까지의 사이각 Tn을 반복하여 구한 후, 상기 T1에서 Tn까지 합이 360°인 경우, 상기 (x, y)는 n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폐도형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상기 (x, y)는 n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폐도형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 (x, y)가 n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폐도형의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상기 판단부는 상기 (x, y)에서 (x, - ) 사이의 직선, 또는 상기 (x, y)에서 (x, + ) 사이의 직선과 상기 폐도형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 사이의 교점을 구하는데, 상기 교점의 개수가 0 또는 짝수이고, 또한 상기 (x, y)에서 (- , y) 사이의 직선, 또는 상기 (x, y)에서 (+ , y) 사이의 직선과 상기 폐도형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 사이의 교점을 구하는데, 상기 교점의 개수가 0 또는 짝수라면, 상기 (x, y)는 n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폐도형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이다.
또는, 상기 (x, y)에서 (x, - ) 사이의 직선, 또는 상기 (x, y)에서 (x, + ) 사이의 직선과 상기 폐도형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 사이의 교점을 구하는데, 상기 교점의 개수가 홀수이고, 또한 상기 (x, y)에서 (- , y) 사이의 직선, 또는 상기 (x, y)에서 (+ , y) 사이의 직선과 상기 폐도형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 사이의 교점을 구하는데, 상기 교점의 개수가 홀수라면, 상기 (x, y)는 n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폐도형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다.
다만, 상기와 같이 (x, y)와 폐도형의 교점을 구하는 과정에 있어서, (x, y)을 포함하는 직선이 폐도형을 이루는 n개의 점(P1~Pn)을 통과하거나, 또는 상기 폐도형을 이루는 직선과 접하는 경우는 교점의 개수에서 제외한다.
전송부(130)는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소정의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115)의 판단 결과가 상기 추출부(120)가 저장 매체(140)로부터 추출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에 상기 위치 확인부(135)를 통해 측위한 측위 정보가 부합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거나, 또는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송부(130)는 상기 판단부(115)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에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가 부합되는 경우,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이 전송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도록 하는 플래그(Flag)에 해당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송부(130)는 상기 판단부(115)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지 않고 차단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에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부합되는 경우,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이 전송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플래그에 해당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송부(130)는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에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가 부합되거나, 또는 부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에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이 전송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전송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판단부(115)의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는 것이 차단하도록 결정된 경우, 상기 전송부(130)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이 전송한 상기 메시지를 저장부(110)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측위 정보를 지속적으로 측위함으로써,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이 지정 또는 제공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며, 만약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측위 정보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전송부(130)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송부(130)가 상기 판단부(115)의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결정한 경우,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통지부(105)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 상기 메시지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되는 것이 차단되었음을 통지한다.
상기 통지부(105)가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 상기 메시지 전송이 차단되었음을 통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이 차단되었음을 공지만 하는 경우, 상기 통지는 상기 통지부(105)가 구비된 서버 또는 장치(100)가 MO SMS 기능을 수행하는 SME로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메시지가 전송이 차단되고, 이후에 발신 클라이언트로부터 추가적인 정보 입력 또는 승인이 필요한 경우, 상기 통지는 콜백유알엘(Callback URL)을 포함하여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 전송되며,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은 상기 콜백유알엘을 근거로 상기 통지부(105)가 구비된 서버 또는 장치(100)에 접근하여 추가적인 정보 입력 또는 승인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설명한 단말 정보 확인부(125)와, 위치 확인부(135)와, 추출부(120)와, 판단부(115)와, 전송부(130) 및/ 또는 저장부(110)와 통지부(105)의 기능이 구비된 하드웨어로서, 이동 통신망(150) 상에 독립된 서버 또는 장치(100)로서 구비되거나, 이동 통신망(150) 상에 기 구비되어 있는 구성 요소(예컨대, SMS 전송을 위한 SMC)에 추가되는 모듈로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150)과 연결되어 있는 외부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 상의 독립된 서버 또는 장치(100)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 매체(140)와 단말 정보 확인부(125)와, 위치 확인부(135)와, 추출부(120)와, 판단부(115)와, 전송부(130) 및/또는 저장부(110)와 통지부(105)가 하나의 서버 또는 장치(100)에 구비되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140)가 별도의 웹 서버에 구비되고, 상기 단말 정보 확인부(125)와, 위치 확인부(135)와, 추출부(120)와, 판단부(115)와, 전송부(130) 및/또는 저장부(110)와 통지부(105)가 SMC 내부에 추가되는 모듈로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와 SMC 사이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기반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에 구비된 기능은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등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 매체(140)에 저장하는 기능,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기능, 소정의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소정의 메시지 수신시,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발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CID 정보와 연계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저장 매체(140)로부터 추출하는 기능, 상기 추출한 위치 정보와 상기 확인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추출한 위치 정보가 상기 확인한 현재위치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루틴(Routine)이 구비된 소프트웨어로서, 이동 통신망(150) 상에 기 구비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기록 매체, 상기 루틴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추가된 구성 요소의 기록 매체,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는 외부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 상에 구비되는 기록 매체에 전자 정보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 매체(140)에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단말 정보 확인 기능과, 위치 확인부 기능과, 추출 기능과, 판단 기능과, 전송 기능 및/또는 저장 기능과 통지 기능이 하나의 소프트웨어로서 구비되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은 별도의 웹 서버에 구비되고, 상기 단말 정보 확인 기능과, 위치 확인부 기 능과, 추출 기능과, 판단 기능과, 전송 기능 및/또는 저장 기능과 통지 기능이 SMC 내부에 구비되는 루틴으로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와 SMC 사이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기반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더 구비된다.
도면2는 수신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선택적 메시지 수신을 위한 소정의 위치 정보를 저장 매체(140)에 저장하는 바람직한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저장 매체(140)에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 또는 메시지 전송 방법을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기 위해, 수신 클라이언트는 소정의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서버 또는 장치(100)에 접속한다. 만약 상기 저장 매체(140)가 별도의 웹 서버에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는 소정의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저장 매체(140)가 구비된 웹 서버에 접속한다(2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수신 클라이언트는 개인 컴퓨터와 같은 소정의 유선 단말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소정의 무선 단말을 통해 이동 통신망(150)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 에 접속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신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에 접속하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로 소정의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수신 클라이언트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로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를 제공하고(205), 또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로부터 소정의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원하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에 대한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210).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로부터 상기와 같이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가 제공되면,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를 판단부(115)에서 위치 비교가 가능한 소정의 좌표값으로 변환한다(21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서버 또는 장치(100)에 구비된 위치 확인부(135)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를 핸드셋 기반의 무선 측위를 통해 측위 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는 GPS를 이용하는 무선 측위에서 사용하는 WGS 84(World Geodetic System 1984) 좌표계의 좌표값으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는 대표적인 지도측량 좌표계인 베셀(Bessel) 타원체 좌표계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나, 만약 위치 확인부(135)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를 핸드셋 기반의 무선 측위를 통해 측위 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판단부(115)가 상기 위치 정보에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측위 정보가 부합되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WGS 84를 베셀좌표로 좌표변환하거나, 또는 베셀좌표를 WGS 84로 좌표변환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로부터 서버 또는 장치(100)로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55)의 위치 정보가 제공된 후, 추가적으로 상기 위치 정보와 측위 정보의 부합 여부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55)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을 더 제공한다.
또한, 수신 클라이언트가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에 접속한 경우,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가 전송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더 제공한다(220). 물론, 수신 클라이언트가 무선 단말을 통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의 접속 과정 에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자동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 및/또는 메시지 전송 방법 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가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로 제공되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 및/또는 메시지 전송 방법 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 매체(140)에 저장한다(22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14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구비된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인데, 이 때 상기와 같은 위치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의 제1 필드(Field)에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를 등록하고, 제2 필드에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고, 제3 필드 또는 제4 필드에 메시지 전송 방법 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등록한 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상기 각 필드의 관계(Relationship)를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140)는 수신 클라이언 트 위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File)인데, 이 때 상기와 같은 위치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상기 파일의 제1 영역에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를 할당하고, 제2 영역에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를 할당하고, 제3 영역 또는 제4 영역에 메시지 전송 방법 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할당한 후, 파일의 해더(Header)에 상기 제1, 제2, 및/또는 제3 또는 제4 영역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저장 매체(140)에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가 저장되면, 서버 또는 장치(100)는 단말 정보 확인부(125)를 통해 SMC로 수신되는 메시지 중에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 및/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230),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소정의 메시지가 전송되는지 판단한다(235).
만약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소정의 메시지가 전송된다면(240),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측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측위 정보가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된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선택적으로 전송한다(245).
상기와 같은 과정은 상기 저장 매체(140)에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위치 정보가 삭제될 때까지 반복되며, 상기 저장 매체(140)에서 상기 위치 정보가 삭제되는 경우(250),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기 위해 SMC로 수신되는 메시지를 감시하는 과정을 종료한다(255).
도면3은 저장 매체(140)에 저장된 소정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바람직한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상기 저장 매체(140)에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가 저장되고, 또한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에서 SMC로 수신되어 임시 저장되는 소정의 메시지를 감시하는 과정이 개시되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단말 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된 위치 정보에 포함된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지속적으로 감시한다(300).
상기와 같이 서버 또는 장치(100)가 SMC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중에, 도면4의 (a), (b), 및 (c)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소정의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메시지는 이동 통신망(150) 상의 SMC로 수신 및 임시 저장된다.
만약 상기 SMC로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305),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단말 정보 확인부(125)는 상기와 같이 SMC로 수신 및 임시 저장된 메시지로부터 해당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추출하고(310),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단말 정보 확인부(125) 및/또는 추출부(120)는 저장 매체(140)로부터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315).
만약 저장 매체(140)로부터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다면(320), SMC는 기존 메시지 전송방법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한다(325).
반면 저장 매체(140)로부터 상기와 같은 위치 정보가 검색된다면(330), 서버 또는 장치(100)의 추출부(120)는 상기 저장 매체(140)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상기 위치 정보와 연계된 메시지 전송 방법을 추출한다(335).
또한, 서버 또는 장치(100)의 위치 확인부(135)는 소정의 무선 측위를 통해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측위 정보를 추출하고, 및/또는 상기 측위 정보를 상기 저장 매체(140)로부터 추출된 위치 정보와 비교할 수 있는 좌표값으로 변환한다(340).
상기와 같이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측위 정보가 추출되고, 또한 저장 매체(140)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판단부(115)는 상기 측위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다(34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에 대한 측위 정보가 저장 매체(140)로부터 추출된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이 저장 매체(140)로 제공하여 저장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소정의 위치 영역의 내부에 존재하는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측위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에 부합하지 않는다면(350),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측위 정보가 위치 정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할지, 또는 전송하지 않을지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을 결정한다(355).
반면 상기 측위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에 부합한다면(360),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측위 정보가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할지, 또는 전송하지 않을지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을 결정한다(365).
상기와 같이 상기 측위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에 부합 여부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이 결정되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메시지 전송 방법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도록 결정되었는지, 또는 전송하지 않도록 결정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메시지 전송 방법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지 않도록 결정되었다면(370), 서버 또는 장치(100)의 저장부(110)는 SMC로 수신 및 임시 저장된 메시지를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하고, 통지부(105)는 도면4의 (e)와 같이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 메시 지 전송 차단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375).
반면 상기 메시지 전송 방법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하도록 결정되었다면(380),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전송부(130)는 도면4(d)와 같이 SMC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전송한다(385).
도면5는 수신 클라이언트가 저장 매체(140)에 저장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일 실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5를 참조하면, 수신 클라이언트가 저장 매체(140)에 저장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145)말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정보를 서버 또는 장치(100)에 등록시키는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통화 채널 연결을 위한 호접속을 요청하는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 및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이 저장시킨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정보에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가 부합하는지 판단하 여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의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호처리 절차를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서버 또는 장치(100)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이 통화 채널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이동 통신망(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연결하는데 사용되어지는 이동 통신망(1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제어국 및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교환국과, 상기 교환국과 연계되며 상기 이동 통신망(150)의 가입자 및/또는 방문자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HLR/VLR과, 다른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회선 데이터 서비스 및/또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연동장치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망연동장치는 PSTN을 이용하는 유선 전화기 또는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 통신을 통해 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개인 컴퓨터와 같은 데이터 통화 장치는 소정의 게이트웨이를 거쳐 상기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과 통화 채널을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145)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과 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통화 장치로서, 호접속 요청에 대 응하는 발신호를 생성하여 발신하며,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160)은 통화 채널 연결을 위한 상기 발신호를 착신하는 모든 종류의 무선 단말기를 포함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이 등록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저장 매체(140)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호접속 요청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 정보 확인부(125)와, 상기 단말 정보 확인부(125)가 확인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연계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저장 매체(140)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120)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135)와, 상기 위치 확인부(135)에서 확인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와 상기 추출부(120)가 추출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가 상기 추출부(120)가 추출한 위치 정보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115) 및 상기 판단부(115)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의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전송부(1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판단부(115)의 판단 결과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전송하는 상기 호접속 요청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확인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가 상기 추출부(120)가 추출한 위치 정보에 부합되거나, 또는 부합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전송하는 상기 호접속 요청을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 호처리 불가를 통지하는 통지부(10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 매체(140)는 수신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160)로 호접속을 요청하도록 예측되는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를 제공받고, 또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160)로 호접속을 요청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고자 하는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하기 위해 수신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제공받는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가 상기 수신 클라이 언트 무선 단말(160)로 호접속을 요청하는 유·무선 단말 통화 단말의 식별 코드 또는 번호이고, 발신 클라이언트 CID 정보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이름 또는 애칭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하기 위해 수신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제공받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는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좌표값으로 가공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좌표값으로 저장되지 않는 경우 판단부(115)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좌표값으로 가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140)에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에 추가적으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 및/또는 호처리 방법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식별 코드 또는 번호이고, 호처리 방법은 상기 위치 정보에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가 부합하거나, 또는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의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통화 채널의 연결 또는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근 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용되는 통상의 지식에 따르면,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전송되는 호접속 요청은 소정의 호처리 절차에 따라 기지국과 제어국을 거쳐 교환국으로 전송되는데,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단말 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교환국에 수신되는 호접속 요청으로부터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단말 정보와 연계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 정보가 저장 매체(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호접속 요청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 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저장 매체(140)를 검색함으로써 직접 상기 호접속 요청에 포함된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및/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가 저장 매체(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정보 확인부(125)가 추출부(120)를 통해 상기 저장 매체(140)를 검색함으로써 직접 상기 호접속 요청에 포함된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및/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가 저장 매체(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단말 정보 확인부(125)가 저장 매체(140)로부터 상기 단말 정보와 연계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상기 도면1과 같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추출부(120)는 저장 매체(140)로부터 상기 위치 코드와 연계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위치 확인부(135)는 측위 서버를 통해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측위 정보를 추출 및 확인하고, 판단부(115)는 상기 측위 정보가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전송부(13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호처리 절차를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단말 정보 확인부(125)와, 위치 확인부(135)와, 추출부(120)와, 판단부(115)와, 전송부(130) 및/또는 저장부(110)와 통지부(105)의 기능이 구비된 하드웨어로서, 이동 통신망(150) 상에 독립된 서버 또는 장치로서 구비되거나, 이동 통신망(150) 상에 기 구비되어 있는 구성 요소(예컨대, 이동 통신망 상의 교환국)에 추가되는 모듈로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150)과 연결되어 있는 외부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 상의 독립된 서버 또는 장치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 매체(140)와 단말 정보 확인부(125)와, 위치 확인부(135)와, 추출부(120)와, 판단부(115)와, 전송부(130) 및/또는 저장부(110)와 통지부(105)가 하나의 서버 또는 장치에 구비되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 매체(140)가 별도의 웹 서버에 구비되고, 상기 단말 정보 확인부(125)와, 위치 확인부(135)와, 추출부(120)와, 판단부(115)와, 전송부(130) 및/또는 저장부(110)와 통지부(105)가 교환국 내부에 추가되는 모듈로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와 교환국 사이에는 저장 매체(140)에 저장된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기반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에 구비된 기능은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에서 등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 매체(140)에 저장하는 기능,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기능, 소정의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소정의 호접속 요청시, 상기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발신호를 송신하는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발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45)의 CID 정보와 연계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저장 매체(140)로부터 추출하는 기능, 상기 추출한 위치 정보와 상기 확인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추출한 위치 정보가 상기 확인한 현재위치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제공되는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5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루틴(Routine)이 구비된 소프트웨어로서, 이동 통신망(150) 상에 기 구비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기록 매체, 상기 루틴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추가된 구성 요소의 기록 매체,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150)과 연결되어 있는 외부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 상에 구비되는 기록 매체에 전자 정보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 매체(140)에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단말 정보 확인 기능과, 위치 확인부 기능과, 추출 기능과, 판단 기능과, 전송 기능 및/또는 저장 기능과 통지 기능이 하나의 소프트웨어로서 구비되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은 별도의 웹 서버에 구비되고, 상기 단말 정보 확인 기능과, 위치 확인부 기능과, 추출 기능과, 판단 기능과, 전송 기능 및/또는 저장 기능과 통지 기능이 교환국 내부에 구비되는 루틴으로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와 교환국 사이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기반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더 구비된다.
도면6은 수신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선택적 통화 채널 연결을 위한 소정의 위치 정보를 저장 매체(140)에 저장하는 바람직한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저장 매체(140)에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 또는 호처리 방법을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기 위해, 수신 클라이언트는 소정의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서버 또는 장치(100)에 접속한다. 만약 상기 저장 매체(140)가 별도의 웹 서버에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는 소정의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저장 매체(140)가 구비된 웹 서버에 접속한다(600).
상기와 같이 수신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에 접속하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로 소정의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수신 클라이언트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로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를 제공하고(605), 또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로부터 호처리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호처리 요청을 선택적으로 수신되거나, 또는 차단되도록 원하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에 대한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610).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로부터 상기와 같이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가 제공되면,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를 판단부(115)에서 위치 비교가 가능한 소정의 좌표값으로 변환한다(615).
또한, 수신 클라이언트가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에 접속한 경우,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가 호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더 제공한다(620). 물론, 수신 클라이언트가 무선 단말을 통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의 접속 과정에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자동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 및/또는 호처리 방법 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가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로 제공되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 및/또는 호처리 방법 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 매체(140)에 저장한다(625).
본 도면6에 있어서, 수신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특정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의 호접속 요청을 선택적으로 착신하기 위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를 저장 매체(140)에 등록 및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같이 수신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수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55)을 통해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 또는 호처리 방법을 제공하면,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에서 상기와 같은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 관련 정보를 저장 매체(140)에 저장한 후,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단말 정보 확인부(125)를 통해 교환국으로 수신되는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발신호 중에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 및/또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호접속 요청을 지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630),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소정의 통화 채널 연결이 시도되는지 판단한다(635).
만약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호접속이 요청된다면(640),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측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측위 정보가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된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호처리 절차를 수행함으로써(645),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에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상기 저장 매체(140)에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해당 위치 정보가 삭제될 때까지 반복되며, 상기 저장 매체(140)에서 상기 위치 정보가 삭제되는 경우(650),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의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선택적 통화 채널 연결을 위해 교환국으로 수신되는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발신호를 감시하는 과정을 종료한다(655).
도면7은 저장 매체(140)에 저장된 소정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바람직한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6의 과정을 통해 상기 저장 매체(140)에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가 저장되고, 또한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에서 교환국으로 수신되는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발신호를 감시하는 과정이 개시되면, 상기 서버 또는 장 치(100)의 단말 정보 확인부(125)는 상기 저장 매체(140)에 저장된 위치 정보에 포함된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호접속 요청이 수신되는지 지속적으로 감시한다(700).
상기와 같이 서버 또는 장치(100)가 교환국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중에,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로 통화 채널의 연결을 위한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발신호가 수신되면(705),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단말 정보 확인부(125)는 상기와 같이 교환국으로 수신된 호접속 요청에 해당하는 발신호로부터 해당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를 추출하고(710),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단말 정보 확인부(125) 및/또는 추출부(120)는 저장 매체(140)로부터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715).
만약 저장 매체(140)로부터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 정보 또는 CID 정보와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다면(720), 교환국은 기존 호처리 절차에 따라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연결한다(725).
반면 저장 매체(140)로부터 상기와 같은 위치 정보가 검색된다면(730), 서버 또는 장치(100)의 추출부(120)는 상기 저장 매체(140)로부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위치 정보 및/또는 상기 위치 정보와 연계된 호처리 방법을 추출하고(735), 위치 확인부(135)는 소정의 무선 측위를 통해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측위 정보를 추출하고(740), 판단부(115)는 상기 측위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다(745).
만약 상기 측위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에 부합하지 않는다면(750),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측위 정보가 위치 정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연결할지, 또는 연결하지 않을지 여부를 포함하는 호처리 방법을 결정한다(755).
반면 상기 측위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에 부합한다면(760),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는 측위 정보가 위치 정보에 부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연결할지, 또는 연결하지 않을지 여부를 포함하는 호처리 방법을 결정한다(765).
만약 상기 호처리 방법이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연결하지 않도록 결정되었다면(770), 서버 또는 장치(100)의 저장부(110)는 교환국으로 수신된 호접속 요청을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하고, 통지부(105)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로 통화 채널 차단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775).
반면 상기 호처리 방법이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연결하도록 결정되었다면(780), 상기 서버 또는 장치(100)의 전송부(130)는 교환국을 통해 소정의 호처리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을 연결한다(785). 물론, 상기와 같은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에서 상기 호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발신호를 착신하지 않는다면,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145)과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160) 사이의 통화 채널은 연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이 전송하는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함에 있어서, 수신 클라이언트가 지정하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에 따라 특정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할지, 또는 수신 거부할지 여부를 선택함으로써, 수신 클라이언트는 특정 위치에서 수신해야 할 메시지와 수신하지 말아야 하는 메시지를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신 클라이언트는 불필요한 메시지 수신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호접속 요청을 착신함에 있어서, 수신 클라이언트가 지정하는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에 따라 특정 발신 클라이언트 유·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호접속 요청에 따라 통화 채널을 연결할지, 또는 통화 채널을 연결하지 않을지 여부를 선택함으로써, 수신 클라이언트는 특정 위치에서 착신해야 할 메시지와 착신하지 말아야 하는 통화 채널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신 클라이언트는 불필요한 호접속 요청의 착신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호접속을 요청하는 발신 클라이언트의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상기 정보 확인부가 확인한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 또는 CID정보와 연계되는 수신 클라이언트 위치정보를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확인하는 추출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확인한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와 상기 추출부가 확인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확인된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위치가 상기 추출부가 확인한 위치정보에 부합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또는 무선 단말에서 전송하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 유선 또는 무선 단말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 단말의 호접속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부는,
    이동 통신 시스템 상의 기지국에 구비된 무선 단말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셀 아이디 기반 무선 측위 방식과,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네트워크 기반 무선 측위 방식과, 무선 단말기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칩셋이 구비된 경우 상기 GPS 칩셋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하는 핸드셋 기반 무선 측위 방식을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여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무선단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문자메시지와, 이미지메시지와, 동영상메시지와, 멀티미디어메시지와 전자메일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
KR1020090000495A 2009-01-05 2009-01-05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 KR20090006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495A KR20090006890A (ko) 2009-01-05 2009-01-05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495A KR20090006890A (ko) 2009-01-05 2009-01-05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00423A Division KR20050072002A (ko) 2004-01-05 2004-01-05 위치정보에 기반하는 선택적 메시지 전송 또는 호연결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890A true KR20090006890A (ko) 2009-01-15

Family

ID=4048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495A KR20090006890A (ko) 2009-01-05 2009-01-05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8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009B1 (ko) * 2009-07-13 2012-02-22 현상수 위치정보를 호신호로 접속하는 통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009B1 (ko) * 2009-07-13 2012-02-22 현상수 위치정보를 호신호로 접속하는 통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7189A (ko) 이동통신망에서 위치기반 발신자 애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20090006890A (ko) 위치정보 기반 무선 연결 시스템
KR20060111112A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2002A (ko) 위치정보에 기반하는 선택적 메시지 전송 또는 호연결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090016749A (ko) 위치 기반 무선 연결 방법
KR100738208B1 (ko) 통화중인 상대방과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서비스제공서버
KR100588617B1 (ko)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97808B1 (ko)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17779B1 (ko) 위치 기반 선택적 메시지 제공 방법
KR101712151B1 (ko) 위치 기반 선택적 메시지 제공 방법
KR20140109595A (ko) 발신자 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30137423A (ko) 주소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93066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동작 방법
KR101564682B1 (ko) 위치 기반 선택적 메시지 출력 방법
KR101493061B1 (ko) 위치를 이용한 메시지 처리 방법
KR101461991B1 (ko) 발신정보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정보 제공 시스템및 그 제공 방법
KR101493071B1 (ko) 선택적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90018697A (ko) 메시지 전송 또는 호연결 시스템
KR100990379B1 (ko) 선택적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
KR100990377B1 (ko) 선택적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
US20140228052A1 (en) Method for alerting a mobile device at a predetermined destination
JP6110042B2 (ja) 特定情報送信サーバー、位置情報送信システム
KR101665712B1 (ko) 발신자 부가정보를 이용한 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069399B1 (ko)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9104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