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396A -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 Google Patents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396A
KR20090006396A KR1020070069690A KR20070069690A KR20090006396A KR 20090006396 A KR20090006396 A KR 20090006396A KR 1020070069690 A KR1020070069690 A KR 1020070069690A KR 20070069690 A KR20070069690 A KR 20070069690A KR 20090006396 A KR20090006396 A KR 20090006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volume
spraying
incision
com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8943B1 (ko
Inventor
고재호
Original Assignee
고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호 filed Critical 고재호
Priority to KR1020070069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943B1/ko
Publication of KR2009000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01G24/35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water-absorbing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7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derived products of animal origin or their wastes, e.g. leather, dairy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지에 그물망(100)을 설치하는 그물망설치단계; 황토, 머드, 상수도오니, 분쇄된 패류껍질, 발효퇴비, 섬유질화이버, 코어칩, 토양접착제, 및 고흡수성수지를 교반기에 투입교반하여 혼합토를 제조하는 혼합토제조단계; 상기 혼합토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혼합토를 그물망(100)이 형성된 절개지에 살포(soil spray)하여 토벽층(200)을 형성하는 토벽층살포단계; 상기 토벽층(200) 상부에 향토초목류의 씨앗, 화분, 또는 초류의 씨앗을 화이버혼합물과 혼합살포(seed spray)하여 식물종자층(300)을 형성하는 식물종자살포단계; 및, 식물종자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살포하는 살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및 녹화구조에 관한 것이다.
토벽층, 식물종자층, 그물망, 발효퇴비, 화이버혼합물, 황토, 머드

Description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및 절개지녹화구조{Cutting Area Multi-stage Spray Greening Method and Cutting Area Greening Structure}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절개지의 단면 구조이다.
도2은 그물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그물망
110:앵카핀
200:토벽층
300:식물종자층
본 발명은 절개지에 그물망(100)을 설치하는 그물망설치단계; 황토, 머드, 상수도오니, 분쇄된 패류껍질, 발효퇴비, 섬유질화이버, 코어칩, 토양접착제, 및 고흡수성수지를 교반기에 투입교반하여 혼합토를 제조하는 혼합토제조단계; 상기 혼합토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혼합토를 그물망(100)이 형성된 절개지에 살포(soil spray)하여 토벽층(200)을 형성하는 토벽층살포단계; 상기 토벽층(200) 상부에 향토초목류의 씨앗, 화분, 또는 초류의 씨앗을 화이버혼합물과 혼합살포(seed spray)하여 식물종자층(300)을 형성하는 식물종자살포단계; 및, 식물종자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살포하는 살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및 녹화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공사 시 절토, 성토로 조성되는 토사면이나 폭파 등에 의한 암절개와 같은 암벽사면은 대개가 급경사를 이루고 있어 붕괴의 위험이 매우 높고, 시각적으로도 주변 경관과 조화롭지 못하여 자연경관을 해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절개지는 지반 여건이나 토양의 형태상 초목이 자생하기에 상당히 불리한 여건을 지니고 있어 조기에 자생적으로 초지가 조성되거나 수목이 지반에 견고히 활착, 번식하여 주변 경관과 조화로워지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블록을 절개지에 축조하고 그 사이 내부에 잔디 등의 식물을 식재하여 초지를 조성하거나, 절개지에 망을 치고 앵카를 박아 유실에 대비한 다음 망 위에서 종자를 혼합한 인공토양을 취부하는 방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으나, 전자와 같이 블록을 이용한 방법은 우수 시 토사가 빗물과 함께 유실되어 잔디의 생육이 어려우며 무거운 블록을 설치함에 따라 우기에 블록이 무너져 내릴 위험이 있으며 암반으로 형성된 절개지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도 우수에 의해 토사가 유실되며, 망 내부에 잔디 묘판을 그대로 고정하므로 원활한 잔디의 생육이 불가능하다. 또 상기 전술한 방법들은 시공 후 우수, 풍화 등에 의하여 토사가 유실됨으로써 식물 식생에 적합한 일정 깊이의 토사층의 확보가 어려워지게 되고, 이러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코자 토사층 시공 시 과다 토사량을 포설하여 적정 깊이를 초과하여 토사층을 조성하게 되어 시공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절개지 위에 고정핀으로 고정된 보호망을 설치하고 난 후 그 상부에 향토를 살포하여 보호망을 채우고, 향토 상부에 식물의 종자가 혼합된 보양토를 고압의 펌푸기를 이용하여 10 ㎜ 정도의 두께로 살포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향토와 보양토가 별도의 층을 구성하게 되고 보양토와 함께 혼합되는 식물 종자의 소모율에 비하여 식물 종자의 발아율이 저조하여 기대한 만큼의 녹화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절개지에 살포된 토벽층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식물종자의 과도한 소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발아율을 향상시켜 녹화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공기를 단축하여 경제성을 추구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절개지에 그물망(100)을 설치하는 그물망설치단계; 황토, 머드, 상수도오니, 분쇄된 패류껍질, 발효퇴비, 섬유질화이버, 코어칩, 토양접착제, 및 고흡수성수지를 교반기에 투입교반하여 혼합토를 제조하는 혼합토제조단계; 상기 혼합토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혼합토를 그물망(100)이 형성된 절개지에 살포(soil spray)하여 토벽층(200)을 형성하는 토벽층살포단계; 상기 토벽층(200) 상부에 향토초목류의 씨앗, 화분, 또는 초류의 씨앗을 화이버혼합물과 혼합살포(seed spray)하여 식물종자층(300)을 형성하는 식물종자살포단계; 및, 식물종자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살포하는 살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절개지의 단면 구조이고, 도2는 그물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절개지 녹화공법의 단면 구조를 살펴보면 그물망(100)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토벽층(200)이 형성되며, 토벽층의 상부에 식물종자층(300)이 형성된다.
그물망(100)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황마(Jute)가 사용되었으며, 그물 격자의 크기는 50 ㎜ x 50 ㎜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황마가 그물망(100)의 재료로 사용되는 바, 일반 합성수지 재료에 비하여 환경친화적이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물망(100)의 재질과 그물 격자의 규격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개지의 환경에 따라 적절한 재질과 규격을 선택할 수 있다.
그물망(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카핀(110)을 이용하여 절개지에 고정한다.
필요한 앵카핀(110)은 현장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간격(1 m 내지 5 m 정도의 범위 내에서 선택)으로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그물망(100)을 절개지 표면에 설치하여 절개지 표면의 토사나 암석의 유실을 1차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토벽층(200)은 황토, 머드, 상수도오니, 분쇄된 패류껍질, 발효퇴비, 섬유질화이버, 코어칩, 토양접착제, 및 고흡수성수지를 교반기에 투입교반하여 제조되는 혼합토로 구성된다.
교반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적당량의 물을 뿌려주면서 교반한다.
토벽층(200)을 구성하는 혼합토는 황토 18 내지 22 부피%, 머드 8 내지 12 부피%, 상수도오니 18 내지 22 부피%, 분쇄된 패류껍질 4 내지 6 부피%, 발효퇴비 18 내지 22 부피%, 섬유질화이버 13 내지 17 부피%, 코어칩 8 내지 12 부피%, 토양접착제 0.2 내지 1.2 부피%, 및, 고흡수성수지 0.2 내지 1.2 부피%로 구성된다.
황토는 머드와는 달리 절개지 주변의 일반적인 토양을 사용할 수 있다.
머드는 육지에서 채취된 천연 머드를 사용한다.
황토나 머드는 혼합토를 구성하는 근간이 되며, 다른 구성 성분들을 하나로 뭉쳐서 혼합토 살포시 모든 구성 성분들이 함께 분사되도록 한다.
상수도오니는 하수처리 또는 정수(淨水)과정에서 생긴 침전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하수오니는 약 50%의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하수오니에 포함된 유기물을 활용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분쇄된 패류껍질은 칼슘비료의 역할을 하며, 칼슘은 작물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첫째 역할은 식물 영양에 필수적인 영양소라는 것이고, 또 하나의 역할은 좋은 토양 구조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요소라는 것이다.
칼슘비료의 사용시기는 생육 초기부터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생육초기에서부터 중기에 걸쳐서 생육이 왕성한 잎이나 줄기는 칼슘을 다량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생육과 과방형성이 왕성한 단계에서 일어나는 칼슘부족현상은 여러 가지 칼슘결핍증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초기부터 사용하여 식물체 내에 칼슘농도를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발효퇴비는 짚, 왕겨, 미강, 녹비, 낙엽, 톱밥, 수피 또는 한약재 찌꺼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부산물과 분뇨를 혼합하여 발효한 것이다.
이러한 발효퇴비는 분뇨와 유기부산물을 발효장의 한 끝에서 일정비율로 투입하고 교반기로 분뇨와 유기부산물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퇴비를 교반기로 퇴적시키면서 수분함량을 80% 이상으로 조절하는 예비 발효 단계; 예비 발효된 퇴비를 교반기로 반복하여 뒤집어 퇴비에 공기를 공급하고, 수분함량을 75% 이상으로 유지하여 자연 발효시키는 본 발효 단계; 및, 본 발효된 퇴비를 교반기로 반복하여 뒤집어 본 발효된 퇴비에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 자연 발효시키는 최종 발효 단계;를 거쳐서 제조된다.
여기서 분뇨 : 유기부산물의 혼합비율은 2 : 3 또는 3 : 2 의 부피비가 되도록 하며 발효퇴비의 최종 수분함량은 65% 이상이 되도록 한다.
섬유질화이버는 골판지가 3 내지 7 ㎜ 정도의 크기로 분쇄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습도유지 및 보온유지 작용을 한다.
코어칩은 코코스야자의 과실에서 얻는 섬유로 만들어지는 칩(Chip)을 말한다. 코코스야자의 과실은 가장 바깥층이 매끄러운 외과피이고, 그 안쪽의 중과피는 두께 2∼5cm의 섬유층으로 되어 있다. 이 섬유층을 꺼내어 몇 달 동안 물에 담갔다가 판 위에서 두들겨 협잡물을 제거하여 물로 씻고 건조시켜 만든다.
코어칩은 강도도 그리 크지는 않지만 비교적 탄력성(彈力性)이 있고 가벼우며 물에서 잘 썩지 않는 성질이 있다.
토양접착제는 혼합토를 구성하는 물질들이 서로 잘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토양의 수분침투을 용이하게 하여 종자의 발아를 촉진하여 손상된 지역의 녹화를 가속화시키는 재료이다.
이러한 토양접착제의 하나로 선택될 수 있는 구체적 실시예로서, 미국 환경보호청에서 승인한 접착제로서 피쉬본드(FISCH-BOND)가 있다.
피쉬본드는 매우 높은 친수성으로 빠르게 반응하고, 99% 이상의 순수활성 성분을 자랑하는 고순도제품으로서 비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피쉬본드는 바람과 빗물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는 성능이 탁월하여 침식 가능한 지역에 일시 적인 토양안정을 위한 표면 처리제로서도 사용되며, 토양을 안정시키고 또한 먼지 방지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312)는 자체무게의 5백 - 1천배의 순수한 물(0.9% 생리식염수는 50-70배)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합성 고분자 물질로서, 다른 종류의 흡수체와는 달리 물만을 흡수할 수 있고, 흡수속도가 빠르고 흡수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물을 흡수하면 빠르게 겔 상태로 변화되고, 겔상태로 변화된 이후에는 압력을 받아도 물을 잘 배출하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위생용품인 토목,건축용 지수재, 농원예용 보수재 등의 재료로 사용된다.
토벽층(200)은 절개지의 여건을 고려하여 3 내지 5 ㎝ 의 두께로 살포한다.
식물종자층(300)을 구성하는 화이버혼합물은 섬유질화이버 55 내지 65 부피%, 머드 8 내지 12 부피%, 짚, 왕겨, 미강, 녹비, 낙엽, 톱밥, 수피 또는 한약재 찌꺼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부산물 18 내지 22 부피%, 및 상수도오니 8 내지 12 부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화이버혼합물에 향토초목류의 씨앗, 화분, 또는 초류의 씨앗과 같은 식물의 종자를 혼합하여 살포하여 식물종자층(300)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망설치단계
절개지에 그물망(10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그물망(100)의 재질은 황마(Jute)가 사용되었으며, 그물 격자의 크기는 50 ㎜ x 50 ㎜가 사용되며 앵카 핀(110)을 이용하여 절개지 사면에 고정한다.
(2) 혼합토제조단계
황토, 머드, 상수도오니, 분쇄된 패류껍질, 발효퇴비, 섬유질화이버, 코어칩, 토양접착제, 및 고흡수성수지를 교반기에 투입교반하여 혼합토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혼합토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성분에 대한 설명은 이미 살펴본 바 생략한다.
(3) 토벽층살포단계
상기 혼합토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혼합토를 그물망(100)이 형성된 절개지에 살포(soil spray)하여 토벽층(2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토벽층(200)의 두께는 3 내지 5 ㎝ 가 되도록 한다.
혼합토에 포함되는 황토와 머드는 혼합토를 구성하는 나머지 구성요소들과 결합하여 살포시 살포효과를 증진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4) 식물종자살포단계
상기 토벽층(200) 상부에 향토초목류의 씨앗, 화분, 또는 초류의 씨앗을 화이버혼합물과 혼합살포(seed spray)하여 식물종자층(3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화이버혼합물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화이버혼합물에 포함된 머드는 씨앗과 결합하여 씨앗 살포 효과를 증진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만약 머드가 없다면 씨앗이 제대로 살포되지 않는다.
(5) 살수단계
식물종자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살포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토벽층살포단계, 식물종자살포단계, 및 살수단계가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친환경 생태 복원 녹화공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절개지 녹화구조 및 절개지 향토살포 녹화공법은 절개지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녹화가 필요한 골프장, 운동장, 성토지역, 공항 활주로 주변, 헬기 계류장 등에 적용이 가능한 바, 비록 절개지가 아니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함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개지에 살포된 토벽층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경우 코어칩 및 토양접착제를 향토 및 머드와 혼합하여 만든 혼합토로 토벽층을 형성하여, 토벽층의 결집력을 강화시키고 토벽층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식물종자의 과도한 소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발아율을 향상시켜 녹화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토벽층 및 식물종자층에는 패류껍질, 발효퇴비, 코어칩, 머드 등이 포함되어 있는 바, 식물종자의 발아 및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이 풍부하여 녹 화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섬유질과 머드가 혼합되어 살포되면 섬유질의 분해가 촉진되어 유기질 비료로 신속하게 변하여 식물의 발육에 도움이 된다.
셋째, 공기를 단축하여 경제성을 추구한다.
다시 말하면, 녹화공법이 필요한 절개지 등에 앵카핀을 이용하여 그물망을 설치한 후, 그 상부에 토벽층 및 식물종자층을 단계별로 살포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는 바, 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절개지에 그물망(100)을 설치하는 그물망설치단계;
    황토, 머드, 상수도오니, 분쇄된 패류껍질, 발효퇴비, 섬유질화이버, 코어칩, 토양접착제, 및 고흡수성수지를 교반기에 투입교반하여 혼합토를 제조하는 혼합토제조단계;
    상기 혼합토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혼합토를 그물망(100)이 형성된 절개지에 살포(soil spray)하여 토벽층(200)을 형성하는 토벽층살포단계;
    상기 토벽층(200) 상부에 향토초목류의 씨앗, 화분, 또는 초류의 씨앗을 화이버혼합물과 혼합살포(seed spray)하여 식물종자층(300)을 형성하는 식물종자살포단계; 및,
    식물종자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살포하는 살수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2. 제1항에서, 상기 혼합토제조단계의 혼합토는,
    황토 18 내지 22 부피%, 머드 8 내지 12 부피%, 상수도오니 18 내지 22 부피%, 분쇄된 패류껍질 4 내지 6 부피%, 발효퇴비 18 내지 22 부피%, 섬유질화이버 13 내지 17 부피%, 코어칩 8 내지 12 부피%, 토양접착제 0.2 내지 1.2 부피%, 및, 고흡수성수지 0.2 내지 1.2 부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녹화공법.
  3. 제2항에서, 상기 발효퇴비는,
    짚, 왕겨, 미강, 녹비, 낙엽, 톱밥, 수피 또는 한약재 찌꺼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부산물과 분뇨를 혼합하여 발효한 것으로서,
    분뇨와 유기부산물을 발효장의 한 끝에서 일정비율로 투입하고 교반기로 분뇨와 유기부산물을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퇴비를 교반기로 퇴적시키면서 수분함량을 80% 이상으로 조절하는 예비 발효 단계;
    예비 발효된 퇴비를 교반기로 반복하여 뒤집어 퇴비에 공기를 공급하고, 수분함량을 75% 이상으로 유지하여 자연 발효시키는 본 발효 단계; 및,
    본 발효된 퇴비를 교반기로 반복하여 뒤집어 본 발효된 퇴비에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 자연 발효시키는 최종 발효 단계;
    를 거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4.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화이버혼합물은,
    섬유질화이버 55 내지 65 부피%, 머드 8 내지 12 부피%, 짚, 왕겨, 미강, 녹비, 낙엽, 톱밥, 수피 또는 한약재 찌꺼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부산물 18 내지 22 부피%, 및 상수도오니 8 내지 12 부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5. 제4항에서,
    상기 그물망(100)은 황마(Jute)로 만들어지고,
    상기 토벽층(200)은 3 내지 5 ㎝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6. 제1항 내지 제5항 가운데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절개지녹화구조.
KR1020070069690A 2007-07-11 2007-07-11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KR100888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690A KR100888943B1 (ko) 2007-07-11 2007-07-11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690A KR100888943B1 (ko) 2007-07-11 2007-07-11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96A true KR20090006396A (ko) 2009-01-15
KR100888943B1 KR100888943B1 (ko) 2009-03-17

Family

ID=4048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690A KR100888943B1 (ko) 2007-07-11 2007-07-11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9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04B1 (ko) * 2017-01-05 2018-07-05 김인한 내건성 용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9407A (ko) * 2017-03-28 2018-10-08 조경인 상생 협동조합 법면녹화용 토양재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
CN109024626A (zh) * 2018-08-15 2018-12-18 深圳市粤通建设工程有限公司 河岸滑坡处治方法
KR102456453B1 (ko) * 2022-04-28 2022-10-18 김낙성 향기로운 비탈면 식생기반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57B1 (ko) 2018-10-25 2019-07-10 기회용 절개지 물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개지의 녹화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417B1 (ko) * 2006-02-21 2007-06-15 주식회사 한천조경개발 절개지 녹화구조 및 절개지 향토살포 녹화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04B1 (ko) * 2017-01-05 2018-07-05 김인한 내건성 용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9407A (ko) * 2017-03-28 2018-10-08 조경인 상생 협동조합 법면녹화용 토양재 및 이를 이용한 법면녹화방법
CN109024626A (zh) * 2018-08-15 2018-12-18 深圳市粤通建设工程有限公司 河岸滑坡处治方法
KR102456453B1 (ko) * 2022-04-28 2022-10-18 김낙성 향기로운 비탈면 식생기반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943B1 (ko)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417B1 (ko) 절개지 녹화구조 및 절개지 향토살포 녹화공법
CN204238229U (zh) 麻椰植生绿化毯
KR100805188B1 (ko) 생태숲 조성공법
CN108684422A (zh) 基于w-oh的防侵蚀有机生态基质层边坡生态修复方法
KR102018687B1 (ko) 사면녹화용 조성물의 시공방법
KR101412522B1 (ko) 사면 녹화용 식생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KR100888943B1 (ko) 절개지다단계살포녹화공법
KR100735686B1 (ko) 경사면 식재용 토양 조성물을 이용한 녹화공법
CN107372014A (zh) 一种树木的移栽方法
CN109328805A (zh) 一种石漠化地区边坡生态治理方法
KR100844008B1 (ko) 활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CN110036811A (zh) 植被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318811B1 (ko) 법면 녹화토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CN218779515U (zh) 一种用于干热河谷区受损边坡生态景观重建的施工结构
CN111576453A (zh) 坡面锚钉挂网及使用其的裸露岩体生态修复方法
KR101572110B1 (ko) 친환경 법면녹화용 식생토
KR100917121B1 (ko) 법면 녹화용 그린토
KR101236697B1 (ko) 알리신을 이용한 암반절개지 사면녹화공법
CN105917921A (zh) 一种马尾松林下套种明党参改善土壤土质的栽培方法
KR101203934B1 (ko)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30656A (ko) 사면보호용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사면보호용 식생매트
CN212506332U (zh) 坡面锚钉挂网结构
KR100970189B1 (ko) 그린복합토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KR200404060Y1 (ko) 짚코 원단 네트
CN114223467A (zh) 一种高寒地区岩土边坡快速生态恢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