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287A - 무정전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287A
KR20090006287A KR1020070069473A KR20070069473A KR20090006287A KR 20090006287 A KR20090006287 A KR 20090006287A KR 1020070069473 A KR1020070069473 A KR 1020070069473A KR 20070069473 A KR20070069473 A KR 20070069473A KR 20090006287 A KR20090006287 A KR 20090006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ic load
commercial power
power supply
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287A/ko
Publication of KR20090006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28Modifications for introducing a time delay before switch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압강하가 발생할 시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력전압이 순간적으로 급강하거나 순간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아주 미세한 시간차에 의해 보조전원이 부하로 공급되지 못하여 설비에 에러가 발생되거나 순간적으로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무정전 전원장치는, 전기부하기기로 상용전원의 공급 시간을 설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와, 상기 전원입력단으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전압강하 또는 정전상태를 감지하여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UPS와, 상기 지연부로부터 지연된 상기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포함한다.
전압이 순간적으로 급강하거나 순간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아주 미세한 시간차에 의해 보조전원이 부하로 공급되지 않아 에러가 발생하거나 민감한 설비의 경우 순간적으로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설비의 저장된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설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한다.
Figure P1020070069473
보조전원, 무정전 전원, 순간정전, 전압급강하

Description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압강하가 발생할 시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PS로 널리 알려져 있는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상용 공급전원(Commercially Supplied Power)과 중단 없이 전원공급을 요구하는 전기적 부하(Electrical Load) 사이의 완충장비(Buffer)로 사용된다. 만일 공급되는 라인전압(Line Voltage)이 변하거나 중단되는 경우, UPS는 전원 중단기간 동안의 부하장비의 작동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피해 없이 부하를 폐쇄(Shut-Down)할 수 있도록 소정의 시간동안 부하에 백업전원을 공급한다. UPS는 보통 정류기(Rectifier), 인버터(Inverter) 그리고 배터리 충전기(Battery Charger)로 구성되어 있다. UPS는 상용 교류(AC) 전원을 직류(DC)로 변환시켜 배터리를 충전한다. 필요시 UPS는 적절한 회로를 사용하는 DC/AC 인버터를 통해 내장된 배터리의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시켜 컴퓨터 또는 전자장비 등의 부하에 제공한다. UPS는 이런 구조를 통해 부하 장비를 전원의 서지(surge) 또는 전압 저하(brownout) 현상을 방지하고, 일시적인 정전 기간동안 부하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소형화와 가격인하에 따라 소형화되고 저렴한 UPS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소형 UPS장비는 대기(Stand-By), 온라인(On-Line), 및 회선-상호작용(Line-Interactive) 방식으로 구분된다. 대기 방식의 UPS는 낮은 충전율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유지하고 전원이 중단되는 경우에만 작동한다. 통상적으로, 대기방식 하에서는 전원이 교류 전원에서 UPS 출력으로 전달된다. 서지 보호능력은 억제 전원 스트립(Suppression Power Strip)과 유사하며, 정전 시 수분 동안만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대기 방식에서는 내열성이 거의 문제가 되지 않으나, 예비 전원공급체계의 고장이 예비전원이 필요한 시점까지 발견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UPS의 주된 목적에는 부합되지 않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온라인 방식의 UPS는 AC 전원을 DC 배터리로 전환시킨 후 배터리에서 다시 AC 출력으로 재생산한다. 출력 전원이 자체 내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전원은 UPS 출력과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따라서 뛰어난 서지 방지능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전원 생산회로가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의 고장은 전원 또는 주 전원이 가용한 상태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UPS는 회로의 고장시 주 전원으로 전환하며 사용자에게 예비전원이 필요하게 되기 이전에 예비 전원이 사용 불가함을 통보한다. 따라서, 대기 방식의 UPS에서와 같이 시스템에 이상이 있으나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온라인 시스템은 최고 부 하 시에도 배터리를 충전하고 교류전원 출력을 제공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배터리 충전회로를 요구한다. 이러한 장치는 UPS 장비의 추가적인 비용을 초래하며, 높은 전원소비 부품의 지속적인 작동은 내부 과열의 요인이 된다.
회선-상호작용 방식의 UPS는 교류 생성회로(Generation Circuitry)를 역(Reverse)으로 작동시켜 충전지를 충전하는 대기 공급(Stand-By Supply) 방식이다. 본 방식은 전원의 서지나 전압 저하의 발생 시 출력전압을 정격전압(Normal Range)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입력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시키는 추가적인 변압기 권선(Winding)을 포함한다. 회선-상호작용 방식의 UPS는 소요 부품의 숫자가 적어 현재 소형 UPS 시장에서 범용화되고 있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UPS 시스템은 50 또는 60 사이클의 AC 출력을 생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UPS가 본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대형 변압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UPS가 등록실용신안 20-0276828호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276828호의 UPS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 제어장치인 마이컴 제어부와 충전부, 승압부, 역변환부, 동기절체부, 정전검출부를 포함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구성도가 개시되어 있다. 정상전원이 입력 신호로 들어오면 평상시에는 동기절체부(220)를 통해 부하로 공급되면서 동시에 정류회로를 통해 충전부에서 축전지로 충전이 된다. 그러나 정전 또는 이와 유사한 순시정전이 발생하면 이를 정전검출부(230)에서 퍼지(Fuzzy)제어기법에 의해 정전여부를 정확히 검출하여 이를 마이컴 제어부(240)에 보내면 마이컴 제어부(240)는 스위칭으로 축전지의 방전이 시작되도록 지시한다. 이때 축전지의 직류 전압 12[v]는 승압부(210)에 의해 직류 전압 280[v]로 승압되고 역변환부(210)에 의해 교류형태의 펄스전압으로 변환된 후 필터를 거쳐 동기절체부(220)를 통해 부하인 컴퓨터에 정상적인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마이컴 제어부인 PIC16C74A의 마이컴에 프로그램된 명령에 따라 무정전 전원장치의 정전검출에 따른 스위칭으로의 명령신호 전송과 역변환부에 의한 펄스형태의 전압발생을 명령하는 신호의 전송과 그래픽으로 무정전 전원장치의 동작상태를 표현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신호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정전 전원장치(UPS)는 전압이 순간적으로 급강하거나 순간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아주 미세한 시간차에 의해 보조전원이 부하로 공급되지 않아 에러가 발생하거나 민감한 설비의 경우 순간적으로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초래하여 저장된 설비의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설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전압이 순간적으로 급강하거나 순간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아주 미세한 시간차에 의해 보조전원이 부하로 공급되지 못하여 설비에 에러가 발생되거나 순간적으로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무정전 전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는, 전기부하기기로 상용전원의 공급 시간을 설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와, 상기 전원입력단으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전압강하 또는 정전상태를 감지하여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UPS와, 상기 지연부로부터 지연된 상기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연부는 상기 전선을 통해 전원입력단자와 상기 전기부하기기간에 일정거리 이격시켜 상기 상용전원의 전압강하된 전원이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도달되기 전에 상기 UPS로부터 공급되는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해 지연되는 Δt시간만큼 지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
상기 지연부는 상기 전선을 지그제그 형태로 구부려 상기 상용전원의 전압강하된 전원이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도달되기 전에 상기 UPS로부터 공급되는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해 지연되는 αt시간만큼 지연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는, 상용전원을 설정시간(αt) 지연시키는 지연부와, 상기 지연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과, 상기 상용전원의 전압강하를 감지하는 전압강하 감지부와, 상기 전압강하 감지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UPS로부터 출력되는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되도록 스위칭 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연부는 저항 및 캐패시터에 의한 시정수에 의해 지연시간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상 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는, 상용전원(AC)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입력단과,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공급받아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전기부하기기와,상기 전원입력단으로부터 상기 전기부하기기까지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상용전원의 공급 시간을 설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와,상기 지연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과, 상기 전원입력단으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전압강하 또는 정전상태를 감지하여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UPS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연부는 상기 전선을 지그제그 형태로 구부려 상기 전원입력단의 상용전원이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전달되는 시간을 αt시간만큼 지연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에서 상용전원의 전압강하 발생 시 전압 강하된 상용전원이 전기부하기기에 전달되지 않도록 지연시킨 후 보조전원이 전기부하기기로 공급되도록 하므로, 전압이 순간적으로 급강하거나 순간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아주 미세한 시간차에 의해 보조전원이 부하로 공급되지 않아 에러가 발생하거나 민감한 설비의 경우 순간적으로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설 비의 저장된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설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이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너무나 자명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구성도이다.
상용전원(AC)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입력단(10)과, 상용 교류전원이나 보조전원을 공급받아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전기부하기기(18)와, 상기 전원입력단(10)으로부터 상기 전기부하기기(18)까지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전기부하기기(18)로 상용전원의 공급 시간을 설정시간(Δt) 지연시키는 전선(12)과, 상기 전원입력단(10)으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전압강하 또는 정전상태를 감지하여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18)로 공급하기 위한 UPS(14)와, 상기 전선(12)과 상기 UPS(14)의 출력라인에 접속되는 접속점(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입력단자(10)를 통해 전기부하기기(18)를 동작시키기 위한 상용전원(AC) 이 인가된다. 상기 전원입력단자(10)를 통해 인가된 상용전원(AC)은 전선(12)를 통해 전기부하기기(18)로 인가되는데, 전원입력단자(10)와 전기부하기기(18) 간에 전선(12)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용전원(AC)이 Δt만큼 지연된 후 전기부하기기(18)로 인가된다. 이때 전원입력단자(10)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전원(AC)은 UPS(14)로 인가되고, UPS(14)는 상용전원(AC)이 전압강하나 정전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기부하기기(18)로 보조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UPS(14)는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0509263호에 개시된 무정전원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용전원의 전압강하나 정전될 경우 전원입력단자(10)를 통해 입력된 상용전원(AC)이 Δt만큼 지연되기 때문에 그 전압강하나 정전된 상용전원(AC)이 전기부하기기(18)로 전달되기 전에 UPS(14)에서 보조전원을 전기부하기기(18)로 인가되도록 하므로 전압강하나 순간 정전전원이 전기부하기기(18)로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전압이 순간적으로 급강하거나 순간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아주 미세한 시간차에 의해 보조전원이 부하로 공급되지 않아 에러가 발생하거나 민감한 설비의 경우 순간적으로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초래하여 저장된 설비의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설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구성도이다.
상용전원(AC)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입력단(20)과,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공급받아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전기부하기기(28)와, 상기 전원입력단(20)으로부터 상기 전기부하기기(28)까지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전기부하기기(18)로 상용전원의 공급 시간을 설정시간(αt) 지연시키는 연장선로(21)와, 상기 연장선 로(21)에 연장되어 상기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전기부하기기(28)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22)과, 상기 전원입력단(20)으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전압강하 또는 정전상태를 감지하여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28)로 공급하기 위한 UPS(24)와, 상기 전선(22)과 상기 UPS(24)의 출력라인에 접속되는 접속점(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선로(21)는 전선(22)을 지그제그 형태로 구부려 전원입력단(20)의 상용전원이 전기부하기기(28)로 전달되는 시간을 αt시간만큼 지연토록 하였다.
상술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입력단자(20)를 통해 전기부하기기(28)를 동작시키기 위한 상용전원(AC)이 인가된다. 상기 전원입력단자(20)를 통해 인가된 상용전원(AC)은 연장선로(21)와 전선(12)을 통해 전기부하기기(28)로 인가되는데, 전기부하기기(28) 간에 연장선로(21)는 전원입력단자(20)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αt만큼 지연시킨다. 그리고 전선(22)은 연장선로(21)로부터 전기부하기기(28)까지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용전원(AC)이 Δt만큼 지연된 후 전기부하기기(28)로 인가된다. 따라서 전원입력단자(20)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은 t+αt+Δt 만큼 지연된 후 전기부하기기(28)로 인가된다. 이때 전원입력단자(20)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전원(AC)은 UPS(24)로 인가되고, UPS(214)는 상용전원(AC)이 전압강하나 정전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기부하기기(28)로 보조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UPS(24)는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0509263호에 개시된 무정전 전원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용전원의 전압강하나 정전될 경우 전원입력단자(20)를 통해 입력된 상용전원(AC)이 연장선로(21)를 통해 αt만큼 지연된다. 그런 후 전선(22)은 상기 연장선로(21)를 통과한 상용전원(AC)을 Δt만큼 지연되기 때문에 그 전압강하나 정전된 상용전원(AC)이 전기부하기기(28)로 전달되기 전에 UPS(24)에서 보조전원을 전기부하기기(28)로 인가되도록 하므로 전압강하나 순간 정전전원이 전기부하기기(28)로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전압이 순간적으로 급강하거나 순간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아주 미세한 시간차에 의해 보조전원이 부하로 공급되지 않아 에러가 발생하거나 민감한 설비의 경우 순간적으로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초래하여 저장된 설비의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설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구성도이다.
상용전원(AC)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입력단(30)과,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공급받아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전기부하기기(42)와, 상기 전원입력단(30)을 통해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설정시간(αt) 지연시키는 지연부(32)와, 상기 지연부(32)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전기부하기기(42)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34)과, 상기 전원입력단(30)으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전압강하 또는 정전상태를 감지하여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42)로 공급하기 위한 UPS(40)와, 상기 전원입력단(30)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전원의 전압강하를 감지하는 전압강하 감지부(36)와, 상기 UPU(40)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강하 감지부(36)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UPS(40)로부터 출력되는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42)로 공급되도록 스위칭 되는 스위칭부(38)와, 상기 전선(34)과 상기 스위칭부(38)의 출력라인에 접속되는 접속점(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연부(32)는 저항(R1) 및 캐패시터(C1)에 의한 시정수에 의해 지연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입력단자(20)를 통해 전기부하기기(28)를 동작시키기 위한 상용전원(AC)이 인가된다. 상기 전원입력단자(20)를 통해 인가된 상용전원(AC)은 지연부(32)와 전선(34)을 통해 전기부하기기(42)로 인가되는데, 지연부(32)는 전원입력단자(20)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αt만큼 지연시킨다. 지연부(32)는 저항(R1) 및 캐패시터(C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저항(R1) 및 캐패시터(C1)의 시정수에 의해 지연시간을 결정한다. 그리고 전선(34)은 지연부(32)로부터 출력된 상용전원(AC)을 Δt만큼 다시 지연시킨 후 전기부하기기(42)로 인가된다. 따라서 전원입력단자(30)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은 t+αt+Δt 만큼 지연된 후 전기부하기기(42)로 인가된다. 이때 전원입력단자(30)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전원(AC)은 전압강하 감지부(36)로 인가되고, 전압강하 감지부(36)는 전원입력단자(30)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AC)의 전압강하상태를 감지한다. 그리고 전원입력단자(30)를 통해 인가되는 상용전원(AC)은 UPS(40)로 인가되고, UPS(214)는 상용전원(AC)이 전압강하나 정전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보조전원을 출력한다. 상기 UPS(24)는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0509263호에 개시된 무정전 전원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전압강하 감지부(36)에서 상용전원(AC)의 전압강하 상태를 감지하면 스위칭부(38)로 스위칭 온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스위칭부(38)는 스위치 온되어 상기 UPS(40)로부터 출력된 보조전원이 전기부하기기(42)로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용전원의 전압강하나 정전될 경우 전원입력단자(30)를 통해 입력된 상용전원(AC)이 지연부(32)를 통해 αt만큼 지연된다. 그런 후 전선(34)은 상기 지연부(32)를 통과한 상용전원(AC)을 Δt만큼 지연시키기 때문에 그 전압강하나 정전된 상용전원(AC)이 전기부하기기(42)로 전달되기 전에 UPS(40)로부터 출력된보조전원이 전기부하기기(42)로 인가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전원입력단자(10)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전압강하나 순간 정전전원이 전기부하기기(42)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전압이 순간적으로 급강하거나 순간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아주 미세한 시간차에 의해 보조전원이 부하로 공급되지 않아 에러가 발생하거나 민감한 설비의 경우 순간적으로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초래하여 저장된 설비의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설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한다.
도 1은 종래의 마이컴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전원입력단자 12: 전선
14: UPS 16: 접속점
18: 전기부하기기

Claims (7)

  1. 무정전 전원장치에 있어서,
    전기부하기기로 상용전원의 공급 시간을 설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와,
    상기 전원입력단으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전압강하 또는 정전상태를 감지하여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UPS와,
    상기 지연부로부터 지연된 상기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전선을 통해 전원입력단자와 상기 전기부하기기간에 일정거리 이격시켜 상기 상용전원의 전압강하된 전원이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도달되기 전에 상기 UPS로부터 공급되는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해 지연되는 Δt시간만큼 지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전선을 지그제그 형태로 구부려 상기 상용전원의 전압강하된 전원이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도달되기 전에 상기 UPS로부터 공급되는 보조전 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해 αt시간만큼 지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
  4. 무정전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용전원을 설정시간(αt) 지연시키는 지연부와,
    상기 지연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과,
    상기 상용전원의 전압강하를 감지하는 전압강하 감지부와,
    상기 전압강하 감지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UPS로부터 출력되는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되도록 스위칭 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저항 및 캐패시터에 의한 시정수에 의해 지연시간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
  6. 무정전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용전원(AC)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입력단과,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공급받아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전기부하기기와,
    상기 전원입력단으로부터 상기 전기부하기기까지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상용전원의 공급 시간을 설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와,
    상기 지연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전원이나 보조전원을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과,
    상기 전원입력단으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전압강하 또는 정전상태를 감지하여 보조전원을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공급하기 위한 UPS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전선을 지그제그 형태로 구부려 상기 전원입력단의 상용전원이 상기 전기부하기기로 전달되는 시간을 αt시간만큼 지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장치.
KR1020070069473A 2007-07-11 2007-07-11 무정전 전원장치 KR20090006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473A KR20090006287A (ko) 2007-07-11 2007-07-11 무정전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473A KR20090006287A (ko) 2007-07-11 2007-07-11 무정전 전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287A true KR20090006287A (ko) 2009-01-15

Family

ID=4048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473A KR20090006287A (ko) 2007-07-11 2007-07-11 무정전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2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279A (ko) 2019-09-27 2021-04-0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정전 전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279A (ko) 2019-09-27 2021-04-0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정전 전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99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US78554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US72741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EP22786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US200600437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US7372177B2 (en) Control system, method and product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EP2759038B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on-demand energy storage
TWI499786B (zh) 不斷電系統及其操作方法
US11031807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US9634512B1 (en) Battery backup with bi-directional converter
US20110068630A1 (en) Power supply cooperation system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JP2013121205A (ja) 分散型電源の自立運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5000876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TWI552485B (zh) 直流備援設備
KR20090006287A (ko) 무정전 전원장치
KR100992587B1 (ko) 수퍼캐패시터를 이용한 정류회로
CN101741263A (zh) 绝缘型开关电源装置
CN115166573A (zh) 一种通过ups系统检测回馈和错误接线事件的方法
CN108808834B (zh) 在线式不间断电源及其控制方法
JP6777571B2 (ja) 蓄電制御装置および該蓄電制御装置を備えた蓄電システム
JP2589799Y2 (ja) 無停電電源装置
KR100952663B1 (ko) 선박용 전기장치 보호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JP2004153890A (ja) 電源装置および無停電電源ユニット
US4703192A (en)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with improved phase adjusting capability
JP4896239B2 (ja) 電圧低下対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