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474A -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자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자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474A
KR20090005474A KR1020070068527A KR20070068527A KR20090005474A KR 20090005474 A KR20090005474 A KR 20090005474A KR 1020070068527 A KR1020070068527 A KR 1020070068527A KR 20070068527 A KR20070068527 A KR 20070068527A KR 20090005474 A KR20090005474 A KR 20090005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eering angle
lateral acceleration
senso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70068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474A/ko
Publication of KR2009000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9Later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B60W40/13Load or weight
    • B60W2040/1323Moment of inertia of the vehicle body
    • B60W2040/133Moment of inertia of the vehicle body about the rol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된 롤 모멘트에 따라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도록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조정 안정성 및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자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 상기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 상기 차량의 횡가속도를 감지하는 횡가속도 센서; 상기 차량에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감지된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이용하여 롤 측정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롤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상응하는 롤 모멘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테빌라이저 바, 강성, 조절, 롤 모멘트, 액츄에이터

Description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자세 제어 방법{vehicle stability control device and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의 자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차속 센서 12 : 조향각 센서
13 : 횡가속도 센서 20 : ECU
21 : 수신부 22 : 계산부
23 : 판단부 24 : 강성조절부
30 : 메모리 40 : 스테빌라이저 바
45 : 액츄에이터
본 발명은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 량의 주행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된 롤 모멘트에 따라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도록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조정 안정성 및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 장치에 있어 스테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는 차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장착되어, 주행중 좌/우측 현가장치의 상대적인 거동자세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차체의 롤링을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롤 강성을 매개로 완화시킴으로써, 차체의 거동자세를 보다 더 안정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테빌라이저 바의 적용을 보면, 바퀴의 움직임에 차이가 있을 때만 작용하여 코너링을 할 때 바깥쪽 바퀴가 부딪히거나 안쪽 바퀴가 튀어 오르게 하는 현상에 대하여 좌, 우 바퀴의 움직임을 같게 하여 차체의 기울기를 최소로 하고 차체의 롤(roll) 현상을 억제하여 승차감 및 차체를 안정되게 한다.
이와 같은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 조절을 제어함에 있어, 종래 조향각 및 차속을 이용하여 차량의 자세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평탄로 주행시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해제하여 승차감을 확보하고, 급 조향시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인가하여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불균일한 노면 조건이나 예측이 어려운 노면조건에서 차량의 거동을 고려하지 않은 채 차량의 자세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차량의 자세 제어의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된 롤 모멘트에 따라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이 조절되도록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조정 안정성 및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자세 제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 상기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 상기 차량의 횡가속도를 감지하는 횡가속도 센서; 상기 차량에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감지된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이용하여 롤 측정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롤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상응하는 롤 모멘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ECU는 상기 차속 센서, 조향각 센서 및 횡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차속,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이용하여 차량의 롤 측정값을 계산하고, 상기 롤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차이를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상응하는 롤 모멘트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각 변위량에 반영하여 보상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는 강성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액츄에이터는 전동기, 유압 모듈레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의 자세 제어 방법은 차속 센서, 조향각 센서 및 횡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차속, 조향각 및 횡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롤 측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롤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상응하는 롤 모멘트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는 차속 센서(vehicle speed sensor)(11)와, 조향각 센서(steering angle sensor)(12)와, 횡가속도 센서(lateral acceleration sensor)(13)와, 전륜 및 후륜에 각각 설치된 스테빌라이저 바(40)의 강성을 조절하기 위한 액츄에이터(45) 및 차속, 조향각 및 횡각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된 롤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면 그 초과분에 상응하는 몰 모멘트에 따라 액츄에이터(45)의 구동을 제어하 는 ECU(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속 센서(11)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휠 스피드 센서(wheel speed sensor)라 칭하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속도 신호를 ECU(20)에 제공한다.
조향각 센서(12)는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고, 감지된 조향각 신호를 ECU(20)에 제공한다. 이러한 조향각 센서(12)는 스티어링 휠의 조향 샤프트(미도시)에 설치되며,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조작에 따른 조향각을 감지한다.
횡가속도 센서(13)는 차량의 횡가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횡가속도 신호를 ECU(20)에 제공한다.
스테빌라이저 바(40)는 차체에 횡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스테빌라이저 바(40)는 차체가 롤링하였을 때 발생하는 좌우 바퀴를 지지하는 보조 스프링 기능을 하면서, 좌우 바퀴가 동위상으로 움직일때는 힘을 받지 않고, 역위상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좌우 바퀴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차체의 롤 거동을 줄인다.
ECU(20)는 차속 센서(11), 조향각 센서(12) 및 횡가속도 센서(13)로부터 차량의 주행상태를 감지하여 전,후륜에 설치된 스테빌라이저 바(40)의 강성을 조절하기 위해 액츄에이터(45)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ECU(20)는 액츄에이터(45)와 연결된 스테빌라이저 바(40)에 힘을 가하도록 작동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 즉 차량의 자세 및 안정성을 최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ECU(20)는 전류 값을 PWM(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폭 변조)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어 및 출력하여 액츄에이터(45)를 제어한다.
액츄에이터(45)는 전,후륜측에 각각 설치된 스테빌라이저 바(40)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45)는 스테빌라이저 바(40)의 강성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모터와 기어를 이용한 전동기 또는 유압 모듈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5)가 유압 모듈레이터로 구성되는 경우, ECU(20)는 액츄에이터(45)의 동작에 의해 전,후륜 액츄에이터(45)에 유입되는 유량을 제어하고 액츄에이터(45)의 회전각을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차량의 롤각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ECU(20)는 차량 전,후륜에 부착된 유압 액츄에이터의 유압유량을 제어하여 차량의 운동상태를 적극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스테빌라이저바(40)에서 얻을 수 없는 승차감 및 조정 안정성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더 설명하면, ECU(20)는 차속 센서(11), 조향각 센서(12) 및 횡가속도 센서(13)로부터 수신된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미리 설정된 산출방식에 따라 적용시켜 롤 측정값, 즉 롤 각도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롤 각도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차이를 계산한 후 계산된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면 그 초과분에 비례하는 롤 모멘트에 따라 액츄에이터(45)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즉, 롤 각이 없는 경우 차고 변화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은 ECU(20)는 수신부(21), 계산부(22), 판단부(23) 및 강성 조절부(24)를 포함한다.
수신부(21)는 차속 센서(11), 조향각 센서(12) 및 횡가속도 센서(13)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수신한다.
계산부(22)는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다음의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롤 각도 값('
Figure 112007049737618-PAT00001
')을 계산한다.
Figure 112007049737618-PAT00002
여기에서, '
Figure 112007049737618-PAT00003
'는 차량의 속도이고, '
Figure 112007049737618-PAT00004
Figure 112007049737618-PAT00005
'은 전륜센터와 후륜센터 사이의 직선거리이고, '
Figure 112007049737618-PAT00006
'는 전륜 조향각이며, '
Figure 112007049737618-PAT00007
'는 차량 특성 속도이다. 이와 같은 변수를 이용하여 계산된 값은 횡가속도 값('
Figure 112007049737618-PAT00008
')이다. 여기에서, '
Figure 112007049737618-PAT00009
'는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112007049737618-PAT00010
여기에서, '
Figure 112007049737618-PAT00011
'는 언더 스티어 특성 게인으로, 미리 정의되어 있는 값이다.
Figure 112007049737618-PAT00012
여기에서, 'Mass'는 차체 질량이고, 'H_roll'은 롤 센서에서 무게중심까지의 높이이며, 'K_roll'은 롤 강성이다.
또한, 계산부(22)는 롤 각도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차이를 계산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메모리(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판단부(23)는 계산부(22)에 의해 계산된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강성 조절부(24)는 판단부(23)의 판단결과, 계산부(22)에 의해 계산된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상응하는 롤 모멘트를 생성하여 생성된 롤 모멘트에 따라 액츄에이터(45)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초과분에 비례하는 롤 모멘트를 스테빌라이저 바(40)의 각 변위량에 반영하여 보상되도록 액츄에이터(45)를 구동시켜 스테빌라이저 바(40)의 강성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의 자세 제어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CU(20)의 수신부(21)는 차속 센서(11), 조향각 센서(12) 및 횡가속도 센서(13)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수신한다(S101).
다음, ECU(20)의 계산부(22)는 수신된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상술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롤 각도 값을 계산한다(S103).
다음, 계산부(22)는 계산된 롤 각도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차이를 계산한다(S105).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임계값은 메모리(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다음, 판단부(23)는 계산된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S107).
상기 S107 단계의 판단결과, 계산된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ECU(20)의 강성 조절부(24)는 스테빌라이저 바(40)의 강성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45)의 구동을 중지시켜 스테빌라이저 바(40)에 강성을 가하지 않도록 조절한다(S108).
상기 S107 단계의 판단결과, 계산된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강성 조절부(24)는 차이에 상응하는 롤 모멘트에 따라 액츄에이터(45)의 구동을 제어하여 스테빌라이저 바(40)의 강성을 조절한다(S109).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의 제어목표가 정해지기 때문에 차량조건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관된 자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이용하여 롤 각도 값을 계산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주행중인 차량의 롤 레이트 값을 계산하여서도 차량의 자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된 롤 모멘트에 따라 스테빌라이저바의 강성을 조절하도록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차량의 조정 안정성 및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된 롤 각도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할 경우 그 초과분에 비례하여 롤 모멘트를 액츄에이터에 인가함으로써, 차량 조건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관된 자세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
    상기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
    상기 차량의 횡가속도를 감지하는 횡가속도 센서;
    상기 차량에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감지된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이용하여 롤 측정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롤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상응하는 롤 모멘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CU는
    상기 차속 센서, 조향각 센서 및 횡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차속,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이용하여 차량의 롤 측정값을 계산하고, 상기 롤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차이를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상응하는 롤 모멘트를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각 변위량에 반영하여 보상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는 강성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전동기, 유압 모듈레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4. 차량에 설치된 차속 센서, 조향각 센서, 횡가속도 센서 및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의 자세 제어 방법으로,
    상기 차속 센서, 조향각 센서 및 횡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차량의 속도, 조향각 및 횡가속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차속, 조향각 및 횡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롤 측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롤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상응하는 롤 모멘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강성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의 자세 제어 방법.
KR1020070068527A 2007-07-09 2007-07-09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자세 제어 방법 KR20090005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527A KR20090005474A (ko) 2007-07-09 2007-07-09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자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527A KR20090005474A (ko) 2007-07-09 2007-07-09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자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474A true KR20090005474A (ko) 2009-01-14

Family

ID=4048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527A KR20090005474A (ko) 2007-07-09 2007-07-09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자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4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44157B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US91933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ffecting cornering performance of a motor vehicle, and a motor vehicle
JP4161923B2 (ja) 車両安定化制御システム
US7715963B2 (en) Stabilizer control apparatus
US9387852B2 (en) Method for adjusting the spatial position of the roll axis of a motor vehicle
KR101698599B1 (ko) 서스펜션 제어 장치
JP4715351B2 (ja) ステアリング制御システム
US7647148B2 (en) Roll stability control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anti-roll bar and brakes
US2008026997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Dynamics of a Vehicle,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Use Thereof
EP1621373A1 (en) Roll stiffness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WO2019065289A1 (ja) 車両制御装置
JP2020001606A (ja) 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
CN111231940B (zh) 车辆运动控制系统
KR102589031B1 (ko) 액티브 서스펜션 제어유닛 및 액티브 서스펜션 제어방법
JP2021109515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8544926A (ja) 車両のローリング防止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対応する車両
JP2006007865A (ja) 車両制御装置
KR20130048411A (ko) 조향각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2417608B1 (ko) 액티브 롤 스테빌라이저를 구비하는 자동차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061041A1 (en) Steering control device and steering device
JP2007030574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7228705B2 (ja) 車両運動制御装置
KR20090005474A (ko)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자세 제어 방법
KR20090006275A (ko) 차량용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자세 제어 방법
US20180208012A1 (en) Vehicle with adjustable damper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