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437U - 책장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책장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437U
KR20090005437U KR2020070019313U KR20070019313U KR20090005437U KR 20090005437 U KR20090005437 U KR 20090005437U KR 2020070019313 U KR2020070019313 U KR 2020070019313U KR 20070019313 U KR20070019313 U KR 20070019313U KR 20090005437 U KR20090005437 U KR 200900054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case
bookshelf
connection structure
side plates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7120Y1 (ko
Inventor
윤희철
김이겸
Original Assignee
(재)경기대진테크노파크
김이겸
윤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경기대진테크노파크, 김이겸, 윤희철 filed Critical (재)경기대진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20070019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12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4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4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1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7Releasable locking means or connectors for fastening together part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장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장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더라도 서로 다른 여러 형태의 책장을 일체감을 갖도록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분리시에는 독립적인 책장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책장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책장의 연결구조는, 책장을 서로 연결하는 책장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책장의 서로 인접되는 측판 사이에 끼워지도록 내면상에 종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요입된 연결부재; 및 상기 끼움홈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좌우 측판의 내면을 소정 간격으로 압지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연결부재의 간단한 체결동작에 의해 책장과 책장을 일체감이 표현되도록 연결할 수 있으므로 외관이 미려한 맞춤 형태의 책장을 구현할 수 있고, 이때, 별도의 체결부재가 요구되지도 않으므로 조립시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책장, 연결구조, 연결부재, 탄성부재, 고정수단

Description

책장의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BOOKCASE}
본 고안은 책장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장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더라도 서로 다른 여러 형태의 책장을 일체감을 갖도록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분리시에는 독립적인 책장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책장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장은 책, 장식품 등의 각종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측판에 상하방향으로 다단의 선반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책장은 책상 등의 다른 가구들과 연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외관의 미려함을 도모하기 위해 서랍장이나, 도어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책장은 설치공간의 크기나 형태에 맞게 단일 구조의 맞춤식으로 구성할 수 도 있지만, 비교적 고가이고 제조, 보관, 및 취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사를 할 경우에는 재사용이 곤란하다는 단점으로 인해, 대개는 일정 규격으로 제작된 복수의 책장을 공간의 여러 조건에 맞게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한 후, 대응되는 측판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책장이 설치되는 바닥면이 고루지 못할 경우, 측면판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면서 외관이 불량해지게 되고, 책장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56104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책장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른 '책장 연결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판(10) 전면에 세로로 외측으로 돌출되어지게 돌출편(10a)이 구성되어지고, 우측판(11)에 상판과 하판(12,13)의 전후면 넓이 보다 다소 작게 요입부(11a)가 구성되어져 서로 다른 책장(1,1')이 각각 돌출편(10a)과 요입부(11a)에 맞물릴 수 있게 맞물림식으로 연결 구성되어지며, 선반(14) 전면에는 수납되어진 책이 전방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걸림판(16)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책장 연결구조'에 따르면, 복수의 책장(1, 1', 1")들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돌출편(10a)과 요입부(11a)가 서로 맞물림되면서 틈새를 밀폐하여 일체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하지만, 책장은 다수 개의 책장이 항상 서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설치장소의 공간 구조나 형태, 사용목적,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종래 책장(1, 1')은 좌측판(10)에 돌출편(10a)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판(11)에 요입부(11a)가 형성되어 있는 비대칭 구조로서 좌우측의 형태가 서로 달라 독립적인 책 장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책장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일체감이 표현되는 책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우측에 설치되는 책장(1")은 좌측판(10)과 우측판(11)에 모두 돌출편(10a)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종래 '책장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일체감을 주는 책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형태의 책장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책장을 일체감을 갖도록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분리시 독립적인 책장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책장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책장을 서로 연결하는 책장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책장의 서로 인접되는 측판 사이에 끼워지도록 내면상에 종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요입된 연결부재; 및 상기 끼움홈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좌우 측판의 내면을 소정 간격으로 압지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끼움홈의 내면에 밀착, 설치되도록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천공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 굴곡, 연장되어 소정 탄성력을 갖도록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책장을 서로 연결하는 책장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책장의 서로 인접되는 측판 사이에 끼워지도록 내면상에 종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요입되고, 상기 끼움홈의 내측 좌우 벽면에 슬라이딩홈이 요입된 연결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홈으로 삽입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소정 상하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우 측판의 내면을 소정 간격으로 압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구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책장을 서로 연결하는 책장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책장의 서로 인접되는 측판 사이에 끼워지도록 내면상에 종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끼움홈을 구비하되, 상기 끼움홈이 내광(內廣) 외협(外狹) 구조로 요입되어 입구측에 걸림홈부가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 걸림되도록 상기 측판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책장을 서로 연결하는 책장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책장 연결부위의 틈새 부분을 밀폐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의 양단부에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연장되는 탄성부, 및 이웃하는 상기 책장의 측판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밀폐부와 탄성부의 내측에 종방향을 따라 요입된 끼움홈을 갖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판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 중 최상측 선반에 다양한 높이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책장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는, 연결부재의 간단한 체결동작에 의해 책장과 책장을 일체감이 표현되도록 연결할 수 있으므로 외관이 미려한 맞춤 형태의 책장을 구현할 수 있고, 이때, 별도의 체결부재가 요구되지도 않으므로 조립시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책장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책장의 좌우 측판이나 선반의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여러 가지 형태의 책장을 갖추지 않아도 되므로, 필요에 따라 연결부재를 분리한 후 책장을 독립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제조시간의 단축과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좌우 측판(110,120) 사이에 상하로 복수의 선반(130)을 구비하고 다양한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책장을 서로 연결하되, 연결되는 부분의 틈새가 밀폐되면서 단일의 책장처럼 일체감이 표현되도록 하는 연결구조로서, 책장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연결부재(200)와, 연결부재(200)에 삽입되어 책장(100)의 측판(110,120)에 고정력을 인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300)를 구비한다.
연결부재(200)는 책장(100)의 측판 높이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사각봉 형태의 부재로서, 내면상에 서로 인접되는 측판(110,120) 사이에 끼워지도록 종방향을 따라 끼움홈(210)이 요입,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재(200)는 책장(100)의 측판(110,120) 및 선반(130)과 동일한 질감과 색상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일체감이 표현되도록 한다.
탄성부재(300)는 연결부재(200)의 끼움홈(210) 내부에 소정 상하 간격으로 삽입, 설치되고, 측판(110,120)의 내면에 압지되어 고정력을 인가하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된다.
예컨대, 탄성부재(300)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판형부재를 "ㄷ" 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하되, 끼움홈(210)의 내면에 압입되어 밀착되는 고정부(310)와, 고정부(310)의 양단에 굴곡, 연장되되 탄성 반발되도록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탄성부(320)를 구비한다. 이때, 탄성부(320)의 단부는 라운딩 처리하여 측판(110,120)으로의 삽입과정에서 측판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탄성부재(300)는 억지끼움방식 또는 접착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재(2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고정부(310)의 중앙에 체결공이 천공되고, 이 체결공을 통해 체결부재(330)가 삽입되어 연결부재(200)의 내면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연결부재(200) 및 탄성부재(300)는 측판(110,120)의 전면에만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책장(100)의 배면측의 측판상에도 구성하여 별도의 체결부재로 체결하지 않더라도 견고하게 책장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에 적용되는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3에 나타난 연결부재(200)에 따르면, 끼움홈(210)의 좌우 내벽면에 탄성부재(300)가 탄성 반발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요홈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 한, 요홈부(220)는 결과적으로 끼움홈(210)의 개구부측 폭을 확대함으로써 탄성부재(300)를 측판(110,120)상으로 압입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벌어지는 고정부(320)에 충분한 각운동 공간을 마련하여 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책장(100)을 연결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연결부재(200)의 끼움홈(210)에 복수의 탄성부재(300)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준비한다.
그런 다음, 다양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책장(100)을 사용자가 원하는 설치공간에 배치하고, 인접하는 측판(110,120)의 외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밀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책장(100)의 각 연결부위에 해당되는 측판(110,120)상으로 연결부재(200)를 압입하여 결합하게 되면, 측판(110,120)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움홈(210) 내부로 진입됨과 동시에 탄성부재(300)에 의해 압지되면서 인접하는 책장과의 연결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측판(110,12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00)는 책장(100)과 책장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밀폐하게 되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책장(100)을 단일의 마춤책장 형태로 깔끔하게 연출할 수 있고, 연결부재(200)에 의해 책장(100)이 서로 고정되므로 별도의 체결부재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는 좌우 측판(110,120) 및 선반(130)의 형태가 대칭 구조인 책장(1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연결부재(200)를 분리하게 되더라도 대칭 구조의 책장이 노출되 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독립 책장으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이나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는, 다양한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책장(100)을 서로 연결하되, 연결되는 부분의 틈새가 밀폐되면서 단일의 책장으로 표현되도록 연결부위의 수량에 해당되는 연결부재(400)와, 연결부재(400)에 삽입되어 책장(100)의 측판(110,120)에 고정력을 인가하는 고정수단(500)을 구비한다.
연결부재(400)는 서로 인접되는 측판(110,120) 사이에 끼워지도록 내면상에 종방향을 따라 끼움홈(410)이 요입되고, 끼움홈(410)의 내측 좌우 벽면에 슬라이딩홈(420)이 요입되어 있다.
고정수단(500)은 슬라이딩홈(420)으로 삽입되는 고정바(510)와, 고정바(510)에 소정 상하 간격으로 형성되어 좌우 측판(110,120)의 내면을 소정 간격으로 압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520)를 구비한다. 이때, 탄성부재(520)는 고정바(510)에 조립방식으로 체결할 수도 있지만,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400) 및 고정수단(500)은 도4에서 측판(110,120)의 전면에만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책장(100)의 배면측의 측판상에도 구성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하게 책장을 서로 연결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에 따르면, 다수의 탄성부 재(520)를 구비한 고정수단(500)을 연결부재(400)에 한 번 삽입하게 되면 연결준비가 완료되므로 제1 실시예에 비해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좌우 측판(110,120) 사이에 상하로 복수의 선반(130)을 구비하고 다양한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책장(100)을 서로 연결하되, 연결되는 부분의 틈새가 밀폐되면서 단일의 책장으로 표현되도록 연결부위의 수량에 해당되는 연결부재(600)를 구비한다.
연결부재(600)는 서로 인접되는 측판(110,120) 사이에 끼워지도록 내면상에 종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끼움홈(610)을 구비하되, 끼움홈(610)이 내광(內廣) 외협(外狹) 구조로 요입되어 입구측에 걸림홈부(620)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재(600)가 접속되는 책장(100)의 측판(110,120)상에는 걸림홈부(620)와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턱(140)은 평면상에서의 형상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걸림턱(140)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140)에 삽입되는 걸림홈부(620)의 형상 또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연결부재(600) 및 걸림턱(140)의 구성은 측판(110,120)의 전면에만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책장(100)의 배면측의 측판(110,120)상에도 구성되어 보다 견고하게 책장을 서로 연결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는, 다양한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책장(100)을 서로 연결하되, 연결되는 부분의 틈새가 밀폐되면서 단일의 책장으로 표현되도록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700)를 구비한다.
연결부재(700)는 인접하는 책장(100)의 서로 접촉된 측판(110,120)상으로 삽입되는 끼움홈(710)을 구비하되, 압입된 상태에서 측판(110,120)의 내면을 압지하도록 끼움홈(710)의 폭을 입구측은 좁고 내측은 넓은 형태가 되도록 형성한다.
예컨대, 연결부재(700)는 금속재 박판을 이용하여 "ㄷ" 자 형상의 평단면 구조를 갖도록 절곡하여, 책장 연결부위의 틈새 부분을 밀폐하는 밀폐부(720)와 이 밀폐부(720)의 양단부에 직교되게 연장되는 탄성부(730)를 구비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탄성부(730)는 탄성력을 갖도록 내측을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부재(70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탄성을 갖도록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책장(100) 연결부위의 틈새 부분을 밀폐하는 밀폐부(720)와 이 밀폐부(720)의 양단부에 직교되게 연장되는 탄성부(730)를 구비하도록 형성한 다.
연결부재(700)의 외측 표면에는 책장과 동일한 질감이나 색감이 표현되도록 별도의 시트(미도시)를 부착할 수 있다. 예컨대, 책장이 목재나 무늬목으로 형성된 경우, 동일한 질감이 얻어지도록 무늬목 시트를 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에 적용되는 책장(100)은 상단부의 선반(130)에 다양한 높이를 갖는 책이나 장식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도2, 도4, 도5, 및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개구부는 책장(100)의 최상측에 설치되는 커버용 선반을 삭제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제2,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는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측판에 걸림턱(140)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책장 자체에는 전혀 변형을 가하지 않고도 책장을 연결할 수 있어 일반적인 책장의 연결에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1, 제2, 및 제4 실시예의 연결구조는 연결부재의 조립을 전면에서 압입하여 시행함으로 미리 연결부재를 조립할 필요없이 책장의 배치를 완료한 상태에서 천정의 전고와 무관하게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1은 종래 책장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에 적용되는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책장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책장 110,120:측판
130:선반 140:걸림턱
200,400,600,700:연결부재 210,410,610,710:끼움홈
300,520:탄성부재 310:고정부
320,730:탄성부 330:체결부재
500:고정수단 510:고정바
720:밀폐부

Claims (6)

  1. 책장을 서로 연결하는 책장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책장의 서로 인접되는 측판 사이에 끼워지도록 내면상에 종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요입된 연결부재; 및
    상기 끼움홈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좌우 측판의 내면을 소정 간격으로 압지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끼움홈의 내면에 밀착, 설치되도록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천공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 굴곡, 연장되어 소정 탄성력을 갖도록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의 연결구조.
  3. 책장을 서로 연결하는 책장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책장 연결부위의 틈새 부분을 밀폐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의 양단부에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연장되는 탄성부, 및 이웃하는 상기 책장의 측판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밀폐부와 탄성부의 내측에 종방향을 따라 요입된 끼움홈을 갖는 연결부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의 연결구조.
  4. 책장을 서로 연결하는 책장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책장의 서로 인접되는 측판 사이에 끼워지도록 내면상에 종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요입되고, 상기 끼움홈의 내측 좌우 벽면에 슬라이딩홈이 요입된 연결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홈으로 삽입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소정 상하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우 측판의 내면을 소정 간격으로 압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구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의 연결구조.
  5. 책장을 서로 연결하는 책장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책장의 서로 인접되는 측판 사이에 끼워지도록 내면상에 종방향을 따라 요입되는 끼움홈을 구비하되, 상기 끼움홈이 내광(內廣) 외협(外狹) 구조로 요입되어 입구측에 걸림홈부가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 걸림되도록 상기 측판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의 연결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 중 최상측 선반에 다양한 높이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책장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의 연결구조.
KR20070019313U 2007-11-30 2007-11-30 책장의 연결구조 KR200447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9313U KR200447120Y1 (ko) 2007-11-30 2007-11-30 책장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9313U KR200447120Y1 (ko) 2007-11-30 2007-11-30 책장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437U true KR20090005437U (ko) 2009-06-03
KR200447120Y1 KR200447120Y1 (ko) 2009-12-28

Family

ID=4129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9313U KR200447120Y1 (ko) 2007-11-30 2007-11-30 책장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12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20Y1 (ko) * 2009-07-24 2010-02-03 이주민 수납함
CN104770988A (zh) * 2015-04-27 2015-07-15 杜志刚 一种智能自助取衣柜
KR101631989B1 (ko) * 2016-01-28 2016-06-20 영진앵글 주식회사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CN108720345A (zh) * 2018-06-15 2018-11-02 上海健康医学院 一种可快速查找的图书馆管理用借书卡放置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4900A (en) * 1983-01-25 1984-03-06 Masonite Corporation Free standing article display apparatus
KR200371629Y1 (ko) * 2004-10-01 2005-01-03 김성태 책장 연결구조
JP2006341060A (ja) * 2005-06-21 2006-12-21 Shu Nakamura 前面そろえ本棚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20Y1 (ko) * 2009-07-24 2010-02-03 이주민 수납함
CN104770988A (zh) * 2015-04-27 2015-07-15 杜志刚 一种智能自助取衣柜
KR101631989B1 (ko) * 2016-01-28 2016-06-20 영진앵글 주식회사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CN108720345A (zh) * 2018-06-15 2018-11-02 上海健康医学院 一种可快速查找的图书馆管理用借书卡放置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120Y1 (ko)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433B2 (en)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US11517130B2 (en) Frame apparatus
EA027261B1 (ru) Мебельное изделие в сборе
US7255236B1 (en) Shelf assembly
CN203860796U (zh) 铝材柜体的拼装结构
KR101339341B1 (ko) 모듈형 조립식 판재
CN103167813A (zh) 家具抽拉部件
KR200447120Y1 (ko) 책장의 연결구조
MXPA00009749A (es) Mueble.
KR200418240Y1 (ko) 조립식 책상
US20210321772A1 (en) Improved Furniture Components and Assemblies
GB2236049A (en) Display cabinet
KR200438710Y1 (ko) 가구용 문짝 부재
KR200392546Y1 (ko) 주방가구용 도어
KR101794156B1 (ko) 못을 쓰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고 높낮이, 넓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꽂이
KR102260427B1 (ko) 다용도 선반
US11882949B2 (en) Frame apparatus
KR200234874Y1 (ko)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
KR20110004536U (ko) 가구조립용 체결구
KR200339065Y1 (ko) 매장진열용 패널부재
KR20150003434U (ko) 책장용 중간수직연결부재와 중간부 측판 및 후판의 연결구조
KR101528849B1 (ko) 슬라이드식 진열대
KR200396464Y1 (ko) 조립용 가구의 결합장치
KR20230119407A (ko) 철제 신발장 및 그 조립방법
KR200202103Y1 (ko) 조립식 다기능 신발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