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874Y1 -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 - Google Patents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874Y1
KR200234874Y1 KR2020010006529U KR20010006529U KR200234874Y1 KR 200234874 Y1 KR200234874 Y1 KR 200234874Y1 KR 2020010006529 U KR2020010006529 U KR 2020010006529U KR 20010006529 U KR20010006529 U KR 20010006529U KR 200234874 Y1 KR200234874 Y1 KR 200234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fastener
bent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풍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풍로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풍로자
Priority to KR2020010006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874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맞대어진 각 판체 모서리가 그 상단과 하단에 걸쳐 단일의 물품에 의해 수합되도록 하고,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단부와 하단부를 절곡하여 1이상 다수개의 체결구를 결합함에 따라 수납가구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체결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판체의 높이에 따라 단일의 부재로 체결되어 그 체결행위가 보다 편리하므로써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며, 모서리의 상단과 하단에 걸쳐 전면에 지지력이 제공되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이 제공되므로써 제품의 사용수명연장 및, 모서리부의 은폐에 의한 우수한 미감을 제공하게 되어 제품의 고급화와 더불어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Edge clamp}
본 고안은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수납가구를 구성하는 각각의 격벽의 이음부분을 보다 손쉽게 연결하고, 연결된 상태가 높은 체결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가구는 일반 가정이나 사무소 등에서 각종 비품을 정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소정면적의 판체를 세워 격벽을 형성한 후, 이들의 양측변을 상호 연결하여 내부에 각종 물품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된 수납가구의 상호 연결되는 모서리의 종래 결합구조는 각 판체의 변에 암, 수의 요철을 형성하여 이들을 결합하거나, 각각의 끝단을 맞대어 못이나 비스 등으로 체결하는 것이 주된 구성이다.
우선, 상기된 암, 수의 요철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방식에서는 요철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판체의 변을 가공하는 작업이 대단히 번거로우며, 이러한 가공은 주로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게 고가의 가구에서 채택되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못이나 비스 등으로 체결하는 방식은 상당히 원시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못이나 비스 등이 타정된 부분에서는 못 등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의 외력에는 그 체결력이 유지되기는 하지만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는 그 체결력이 대단히 낮아 사소한 외력에도 판체가 상호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된 못이나 비스등은 금속재의 체결구로 휨응력에 대해 대단히 낮은 대응력을 가지며, 가구가 상, 하로 높은 경우에는 높이를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다수개수를 타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가구를 구성하는 판체의 모서리부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후에 그 결합력이 높도록 한 체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맞대어진 각 판체 모서리가 그 상단과 하단에 걸쳐 단일의 물품에 의해 수합되도록 하고,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단부와 하단부를 절곡하여 1이상 다수개의 체결구를 결합함에 따라 수납가구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체결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체결구 2: 몸체
3: 걸림편 4: 마감편
5: 체결부재 6: 삽입편
10: 수납가구 11: 판체
12: 모서리
상기된 본 고안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판체와 판체의 끝단이 직교되도록 구비되어 형성된 수납가구의 모서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에 있어서, 평단면상 상기 모서리와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절곡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모서리에 걸려지도록 절곡된 걸림편과;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서 모서리의 저면측으로 절곡되어 밀착되도록 형성된 마감편과; 상기 마감편이 모서리의 저면에 밀착되면,마감편을 관통하여 모서리의 저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이며, 도 3은 저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상기 체결구가 수납가구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와 같이 장착된 체결구를 일측에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1)는 몸체(2), 상측의 걸림편(3), 하측의 마감편(4), 마감편(4)과 모서리(12)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체결부재(5)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는 평단면상 판체(11)와 판체(11)의 끝단이 직교되도록 근접된 수납가구(10)의 모서리(12) 형태와 대응되도록 'ㄴ'의 형태로 절곡되며, 절곡된 내측면에 판체(11)의 끝단부분 외면이 밀착된다.
상기 걸림편(3)은 몸체(2)의 상단부에서 절곡되어 판체(11)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12)의 상단면에 걸려지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걸림편(3)은 몸체(2)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모서리(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모서리(12)의 상단이 절곡된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편(4)은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수납가구(10) 모서리(12)의 저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상면이 모서리(12)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감편(4)은 몸체(2)의 하단부 좌, 우측에서 1쌍이 형성되어 각각의 판체(11)와 마감편(4)을 상호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한다.
상기 체결부재(5)는 비스나 못 등의 것이 채택되며, 마감편(4)을 관통하고 각각의 판체(11)와 결합되어 체결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의 절곡된 좌, 우측단에는 수납가구(10)의 판체(11)측으로 절곡되어 판체(11)와 결합시 판체(11)의 면에 삽입되는 삽입편(6)이 형성되어 각각의 판체(11)와 체결구(1)가 보다 견고히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편(6)은 걸림편(3)의 좌, 우측에까지 연장형성하여 판체(11)의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판체(11)가 연질의 것일 경우에는 체결구(1)를 타정하여 삽입편(6)이 삽입되도록 해도 무방하지만, 작업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판체(11)에 미리 삽입홈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된 체결구(1)는 절곡이 용이하고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합성수지 사출의 방식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며, 이 때, 상기 마감편(4)이 몸체(2)에서 절곡됨이 용이하기 위해서는 몸체(2)와 마감편(4)의 경계부분에 절곡홈을 형성함이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는 상기 몸체(2), 걸림편(3), 마감편(4)이 일체로 형성되어 판체(11)와 판체(11)를 일체화 할 때 작업의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서리(12)의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흡사 'ㄴ'의 형태로모서리(12)를 지지하는 형태가 되어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체결구(1) 몸체(2)가 라운드의 형태로 절곡하면 모서리부(12)의 부드러운 미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판체의 높이에 따라 단일의 부재로 체결되어 그 체결행위가 보다 편리하므로써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며, 모서리의 상단과 하단에 걸쳐 전면에 지지력이 제공되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이 제공되므로써 제품의 사용수명연장 및, 모서리부의 은폐에 의한 우수한 미감을 제공하게 되어 제품의 고급화와 더불어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

  1. 판체와 판체의 끝단이 직교되도록 구비되어 형성된 수납가구의 모서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에 있어서,
    평단면상 상기 모서리와 대응되어 밀착되도록 절곡형성된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상단부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모서리(12)에 걸려지도록 절곡된 걸림편(3)과;
    상기 몸체(2)의 하단부에서 모서리의 저면측으로 절곡되어 밀착되도록 형성된 마감편(4)과;
    상기 마감편(4)이 모서리(12)의 저면에 밀착되면, 마감편(4)을 관통하여 모서리(12)의 저면에 결합되는 체결부재(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절곡된 좌, 우측단에는 수납가구(10)의 판체(11)측으로 절곡되어 판체(11)와 결합시 판체(11)의 면에 삽입되는 삽입편(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
KR2020010006529U 2001-03-12 2001-03-12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 KR200234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529U KR200234874Y1 (ko) 2001-03-12 2001-03-12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529U KR200234874Y1 (ko) 2001-03-12 2001-03-12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874Y1 true KR200234874Y1 (ko) 2001-10-06

Family

ID=7309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529U KR200234874Y1 (ko) 2001-03-12 2001-03-12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8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891B1 (ko) * 2005-05-26 2007-06-14 박재영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KR101344906B1 (ko) * 2013-06-25 2013-12-26 남기태 가구의 모서리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891B1 (ko) * 2005-05-26 2007-06-14 박재영 인테리어용 몰딩의 연결 부재
KR101344906B1 (ko) * 2013-06-25 2013-12-26 남기태 가구의 모서리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406B2 (en) Plastic pegboard assembly
CA1133565A (en) Device for assembling and connecting to one another constructive elements particularly panels for furniture and like
EA027261B1 (ru) Мебельное изделие в сборе
US20050129460A1 (en) Modular frame corners
US20050108970A1 (en) Parquet block with woodwork joints
US4295316A (en) Nestable building wall panel
US4106251A (en) Relocatable wall mounting system
KR10126661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US20010045076A1 (en) Building component
US5878984A (en) Foot for an article of furniture
KR200234874Y1 (ko) 수납가구용 모서리 체결구
US4569450A (en) Necktie storage rack with folding hanger members
JP6041521B2 (ja) 目地構造
KR200447120Y1 (ko) 책장의 연결구조
JP6041520B2 (ja) 外装用役物
USD939326S1 (en) Two part clip
JPH0433290Y2 (ko)
KR100614156B1 (ko) 캐비넷용 코너연결 구조물
JPS606267Y2 (ja) 衣裳ケ−スの外枠
CN206443452U (zh) 一种带装饰线的家具
JPH0236811Y2 (ko)
JP4982904B2 (ja) パネル接続用連結具。
CN215837940U (zh) 一种防变形组件
JP2013104270A (ja) 見切接続具
USD1017555S1 (en) Fastening clips for c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