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202U -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202U
KR20090005202U KR2020070019003U KR20070019003U KR20090005202U KR 20090005202 U KR20090005202 U KR 20090005202U KR 2020070019003 U KR2020070019003 U KR 2020070019003U KR 20070019003 U KR20070019003 U KR 20070019003U KR 20090005202 U KR20090005202 U KR 200900052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rank
coupled
sin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청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노
Priority to KR2020070019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202U/ko
Publication of KR20090005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2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문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가지는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에 있어서, 선반;과 수납공간 내에서 개폐문의 일측에 설치된 제1회전축;과 수납공간 내에서 개폐문의 타측에 설치된 제2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선반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크랭크;와 일단이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선반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크랭크; 및 일단이 상기 제1크랭크 또는 제2크랭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타단은 수납공간 내에서 힌지결합된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반은 제1크랭크와 제2크랭크의 회동괘적을 따라서 회동하며 인출되되, 상기 선반의 회동에 따라서 탄성수단은 압축된 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선반 인출장치는 반자동적으로 작동되므로, 선반을 더욱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반, 제1회동판, 제1크랭크, 브라켓

Description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Apparatus for drawing shelf for sink}
본 고안은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된 공간, 개폐문이 구비된 싱크대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의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는 좁은 의미로서 설거지 후 물을 버리는 개수대의 의미로도 사용되나, 넓은 의미로는 부엌에서 설치되는 주방용 가구를 지칭하기도 한다.
본 고안에서 언급되는 싱크대는 개수대가 설치된 가구뿐만 아니라 주방에 설치되며 상기 싱크대에 연장 또는 결합되어 설치되는 가구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통칭한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손이 쉽게 닿는 곳에 보관하게 되고, 잘 사용하지 않는 것은 가구의 모서리 부분에 수납한다. 따라서, 가구의 모서리 부분은 공간 활용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수납된 물건을 꺼내기에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 출원 제 10-2005-43453 호(2005. 5. 24 출원)에서 싱크대의 코너 부분에 설치되는 인출장치를 소개한 바 있다.
상기 인출장치는 선반의 하부에 두 개의 크랭크를 결합하고 개폐문의 일측과 타측에 크랭크를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용이하게 선반이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싱크대의 모서리 부분은 사람의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작은 힘으로도 더욱 용이하게 선반을 인출시킬 수 있는 개선된 선반의 인출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즉, 소정의 거리만큼 약간만 인출시켜도 반자동식으로 완전히 인출되는 선반의 인출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크랭크에 탄성수단을 결합하여 더욱 작은 힘으로 선반을 인출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단은 가스스프링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장 시 또는 수명이 다했을 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브라켓에 끼움결합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안출된 본 고안은, 개폐문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가지는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에 있어서, 선반;과 수납공간 내에서 개폐문의 일측에 설치된 제1회전축;과 수납공간 내에서 개폐문의 타측에 설치된 제2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선반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크랭크;와 일단이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선반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크랭크; 및 일단이 상기 제1크랭크 또는 제2크랭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타단은 수납공간 내에서 힌지결합된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 반은 제1크랭크와 제2크랭크의 회동괘적을 따라서 회동하며 인출되되, 상기 선반의 회동에 따라서 탄성수단은 압축된 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반의 일측변에는 제1면취부가 형성되고, 타측변에는 제2면취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더욱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크랭크와 제2크랭크는 선반의 하부면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상기 탄성수단은 가스스프링이며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크랭크는 선반과 평행인 평면상에서 "∩" 형상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가 형성되어 브라켓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더욱 작은 힘으로 소정의 거리만큼만 인출시켜도 완전하게 인출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선반은 양측변에 제1면취부와 제2면취부가 형성되어 인출시 개폐문의 간섭받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크게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인출장치는 가스스프링으로 실시되므로 더욱 큰 힘의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교체가 용이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스스프링은 교체가 용이하도록 일단이 브라켓에 연결되어 파손시 교체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다 수개의 인출장치를 더욱 용 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선반의 인출장치(100)는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싱크대(200)의 개폐문(210) 내부로 선반(10)이 수납되고, 상기 개폐문(210)의 양측으로 제1크랭크(30)와 제2크랭크(20)가 설치된다.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선반(10)은 타원형 형상으로서 개패문(210)의 출입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제1면취부(11)와 제2면취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선반(10)은 제1크랭크(30)와 제2크랭크(20)의 회동궤적을 따라서 회전하며 인출되므로 그 넓이 및 크기가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선반(10)의 일측 및 그 타측으로 제1면취부(11)와 제2면취부(12)를 각각 형성하여 인출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선반(10)의 넓이를 가능한 크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선반(10)의 하부에는 제1크랭크(30) 및 제2크랭크(20)의 일단이 각각 결합된다. 도 6a 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크랭크(30)는 선반(10)의 하부면 좌측 중단 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크랭크(20)는 선반(10)의 하부면에서 브라켓(60)과 인접하는 소정의 위치에 결합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크랭크(30)는 일 단이 개폐문(210)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33)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제1회동판(3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회동판(31)은 선반(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제1크랭크(30)의 끝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크랭크(30)는 "∩" 형상의 제1절곡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제1절곡부(32)는 제1크랭크(30)의 회동시 결합부재(50)나 개폐문(210)의 모양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최대한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선반(10) 및 개폐문(21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개폐문(210)의 타측에도 힌지부재(23)가 부착되고 제2크랭크(20)의 일단이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제1회전축은 힌지(33)로 실시되고, 제2회전축은 힌지부재(23)로 실시된다. 제2크랭크(20)의 타단에는 제2회동판(21)이 설치되며, 제2회동판(21) 역시 제2크랭크(20)의 타단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선반(10)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2크랭크(20) 또한 개폐문(210)의 타측에서 간섭받지 않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제2절곡부(22)가 형성된다.
도 2 에 도시된 결합부재(50)는 제1크랭크(30) 및 브라켓(60)을 더욱 용이하게 개폐문(210)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다 수개의 선반(10)을 설치할 경우 길이를 연장하여 더욱 용이하게 개폐문(210)에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이때, 다 수개의 제2크랭크(20)를 연결하는 별도의 결합부재가 추가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재(50)는 설치되는 선반(10)의 갯 수 및 개폐문(210)의 넓이와 형상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1크랭크(30)의 상측으로 브라켓(60)과 탄성수단이 설치 된다. 본 고안의 탄성수단은 탄성력의 변화가 적고 비교적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가스스프링(40)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브라켓(6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서 상면의 일단에는 돌기(6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보강부(62)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62)의 배면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210) 또는 결합부재(5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홈(63)은 브라켓(60)이 큰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62)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스프링(40)의 회동시 간섭하지 않도록 전면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졌으며, 돌기(61)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다. 상기 돌기(61)는 가스스프링(40)의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서 소정거리만큼 돌출되고 상단이 구형상을 가진다.
다시,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라켓(60)의 일단은 제1크랭크(30)의 상측으로 결합부재(50) 또는 개폐문(2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의 돌기(61)에는 가스스프링(40)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된다. 상기 가스스프링(40)의 타단은 제1크랭크(30)의 상면 소정의 위치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물론, 가스스프링(40)이 결합되는 제1크랭크(30)의 상면에는 브라켓(60)의 돌기(61)와 유사한 돌기가 형성되거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스프링(40)은 제1크랭크(30)와 브라켓(60)의 설치높이 차이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있게 되며, 충진된 가스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가 충진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절곡부(32)와 제2절곡부(22)의 형상과 제1크랭크(30)와 제2크랭 크(20)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브라켓(60) 및 가스스프링(40)을 제2크랭크(20) 상면에 설치하거나, 제1크랭크(30)의 하부로 설치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반 인출장치의 작동 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는 선반(10)이 싱크대(200)의 개폐문(210) 내부에 수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크랭크(30)에 결합된 가스스프링(40)은 이완(弛緩)된 상태이고, 제1크랭크(30)와 제2크랭크(20)에 가해지는 힘이 없는 상태이다.
이때, 선반(10)을 개폐문(210) 외부로 잡아당기면, 제1크랭크(30), 제1회동판(31), 제2크랭크(20) 및 제2회동판(21)이 유기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전에 의하여 선반(10)은 도 6b 와 같은 모습으로 회전하게 되고, 가스스프링(40)은 가압수축된 상태가 된다.
도 6c 와 같이, 선반(10)이 회전하여 어느 정도 인출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선반(10)을 잡아당기는 힘이 중단되어도, 가스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크랭크(30)를 회전시켜 선반(10)을 도 6d 와 같이 완전하게 인출시킨다. 이때, 가스스프링(40)의 복원력이 제1크랭크(30)를 회전시키기 시작하는 지점은, 제1크랭크(30)와 제2크랭크(20)의 형상 및 설치위치, 가스스프링(40)의 복원력 크기, 그리고, 선반(10)이 외부로 인출된 정도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 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제1크랭크에 가스스프링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브라켓의 배면도,
도 6a 내지 도 6d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가 인출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반 11 : 제1면취부
20 : 제2크랭크 30 : 제1크랭크
40 : 가스스프링

Claims (7)

  1. 개폐문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가지는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에 있어서,
    선반;과
    수납공간 내에서 개폐문의 일측에 설치된 제1회전축;과
    수납공간 내에서 개폐문의 타측에 설치된 제2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선반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크랭크;와
    일단이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선반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크랭크; 및
    일단이 상기 제1크랭크 또는 제2크랭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타단은 수납공간 내에서 힌지결합된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반은 제1크랭크와 제2크랭크의 회동괘적을 따라서 회동하며 인출되되, 상기 선반의 회동에 따라서 탄성수단은 압축된 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일측변에는 제1면취부가 형성되고, 타측변에는 제2면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랭크와 제2크랭크는 선반의 하부면에서 결합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가스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의 일단은 브라켓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랭크는 선반과 평행인 평면상에서 "∩" 형상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랭크와 브라켓이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KR2020070019003U 2007-11-26 2007-11-26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KR200900052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003U KR20090005202U (ko) 2007-11-26 2007-11-26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003U KR20090005202U (ko) 2007-11-26 2007-11-26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202U true KR20090005202U (ko) 2009-05-29

Family

ID=4130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003U KR20090005202U (ko) 2007-11-26 2007-11-26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20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09Y1 (ko) 2017-10-11 2018-05-15 신영민 고정이 용이한 대쉬보드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09Y1 (ko) 2017-10-11 2018-05-15 신영민 고정이 용이한 대쉬보드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82541B (zh) 带有异形板的冰箱
CN108661470A (zh) 一种铰链组件及安装有该铰链组件的器具
KR20060129116A (ko) 도어완충장치 및 이를 갖춘 가전제품
US10502432B2 (en) Kitchen appliance comprising drawer
CN108468488A (zh) 一种铰链组件及安装有该铰链组件的器具
CN112282540A (zh) 带有活动板的冰箱
WO2017109648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KR101137412B1 (ko) 공공장소용 컴퓨터 책상
RU2427769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KR20090005202U (ko) 싱크대용 선반 인출장치
KR100726797B1 (ko) 컴퓨터용 책상
JP2006207196A (ja) 引戸装置
KR101563129B1 (ko) 도어장치
KR20120045345A (ko) 천장 매립형 수납장
KR20130000299U (ko) 사물함 경첩
KR200340005Y1 (ko) 이중도어 연결구조
KR101388198B1 (ko) 매립형 손잡이
KR200473624Y1 (ko) 개폐형 멀티 수납장 구조
KR200389282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200288889Y1 (ko) 싱크대용 수납선반 인출장치
JP3114072U (ja) ラックの扉板構造
KR20230000015U (ko) 티슈 페이퍼 용기
JP5271152B2 (ja) 振動感知ロック装置
WO2023124619A1 (zh) 冰箱
CN211647638U (zh) 储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