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197U - Mounting Structure of Shoesblock and Frame in Inline Skate - Google Patents

Mounting Structure of Shoesblock and Frame in Inline Sk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197U
KR20090005197U KR2020070018997U KR20070018997U KR20090005197U KR 20090005197 U KR20090005197 U KR 20090005197U KR 2020070018997 U KR2020070018997 U KR 2020070018997U KR 20070018997 U KR20070018997 U KR 20070018997U KR 20090005197 U KR20090005197 U KR 200900051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oe
shoe block
slot groo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9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설아
이현길
Original Assignee
이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설아 filed Critical 이설아
Priority to KR2020070018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197U/en
Publication of KR20090005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19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슈즈와 프레임이 상호 체결되는 지간거리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2점 결합되도록 하여 슈즈와 프레임을 결합시키는데 편의성과 결합력이 우수해지도록 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line skating, and more specifically, inline that allows the two points to be combined at the same time to allow free adjustmen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hoes and the frame. It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shoe block for skates and a frame.

상술한 본 고안은, 휠이 구비된 프레임이 슈즈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슈즈의 하부에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슈즈블록이 내장된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in-line skate with a shoe block that is coupled to the fram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so that the frame with a wheel is coupled to the shoe,

상기 슈즈블록에는,In the shoe block,

슬롯홈과, 상기 슬롯홈에 내장되어 슬롯홈을 따라 이동되는 결합구가 구비되고,A slot groove, and a coupling hole embedded in the slot groove and moving along the slot groove,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결합구와 대응되는 곳에는 결합장공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결합구와 상기 결합장공이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Wherein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coupler in the frame provide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in-line skate shoe block and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coupl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hole.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용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결합구조{Mounting Structure of Shoesblock and Frame in Inline Skate}Mounting Structure of Shoesblock and Frame in Inline Skate}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슈즈와 프레임이 상호 체결되는 지간거리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2점 결합되도록 하여 슈즈와 프레임을 결합시키는데 편의성과 결합력이 우수해지도록 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ine skate, and more specifically, to allow free adjustment of the distance between which the shoe and frame are fastened to each other. It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shoe block for skates and a frame.

인라인 스케이트는 레이스, 묘기, 하키 등 다양한 종목에 사용될 수 있으며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사계절 스포츠로, 어디서나 쉽게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어린이나 청소년 뿐만 아니라 일반 청, 장년층까지 애용하고 있으며 최근 여러 종류의 전문 동호회가 생겨나는 등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각광 받는 대중적 스포츠로 부상하고 있다.In-line skating can be used for various sports such as races, stunts and hockey, and it is a seasonal sport that is not influenced by the seasons. Professional clubs have emerged, and it is emerging as a popular sport attracted by all ages.

특히, 일부 사용자들은 레이싱용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레이싱용 인라인 스케이트에는 84mm, 90mm, 100mm, 110mm 이상의 지름을 갖는 휠을 결합할 수 있는바, 휠의 지름과 속도는 서로 비례하여 사이즈가 큰 휠일수록 속도의 우위를 갖게 된다.In particular, some users use inline skates for racing, which can combine wheels with diameters of 84mm, 90mm, 100mm, and 110mm or more.The diameter and speed of the wheels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Larger wheels have a speed advantage.

또한, 슈즈 하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내장되어 프레임과 슈즈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2개의 슈즈블록간 마운팅 거리(이하, "지간거리"라 한다)는 휠의 지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길어지는 추세에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distance between two shoe bloc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val distance”) for respectively coupling the frame and the shoes to be integra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part of the shoe,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diameter of the wheel increases. have.

도1은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2는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되는 슈즈블록과 프레임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typical inline skate,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hoe block and a frame structure used in the conventional inline skates.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라인 스케이트는 착용시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슈즈(10)와, 상기 슈즈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휠(30)로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1, the in-line skates can be rota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the shoes 10, the frame 2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wrapped around the user's foot when worn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heels 30 that are mounted.

이때, 상기 슈즈(10)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20)과 결합되도록 슈즈블록(40)이 내장되는데, 상기 슈즈블록(40)은 상기 프레임(20)을 슈즈(10)에 마운팅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즈(10) 하부로 소정높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20)과 접촉되고, 이렇게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11)를 매개로 프레임(20)과 고정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shoe block 40 is buil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10 to be coupled to the frame 20, the shoe block 40 is a member for mounting the frame 20 to the shoe 10 As shown in FIG. 1,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10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contact the frame 20. In this contact state, the frame 20 is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20 via a bolt 11.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상기 슈즈블록(40)과 프레임(20)이 결합되는 구조는 도2에 자세하게 나타나 있는바, 여기서 보면 상기 슈즈블록(40)에는 프레임(20)과 결합되는 지간거리(L)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형태로 배열된 다수개의 체결공(41)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에는 결합장공(21)이 형성된다.In the conventional inline skate, the structure in which the shoe block 40 and the frame 20 are coupled is shown in detail in FIG. 2, and in this case, the shoe block 40 has a distance L coupled to the frame 20.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41 are formed to be arranged in a constant shape so as to be adjustable, and the coupling holes 21 are formed in the frame 20.

따라서, 상기 프레임(20)의 결합장공(21) 위로 상기 슈즈블록(40)의 체결 공(41) 중 어느 하나가 일치되면 그 곳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슈즈(10)와 프레임(20)을 상호 결합시킨다.Therefore, when any one of the fastening holes 41 of the shoe block 40 is matched to the coupling hole 21 of the frame 20, the bolt 10 is fastened therein to mutually connect the shoe 10 and the frame 20 to each other. Combin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의 슈즈블록과 프레임 결합구조에서는 여러개의 체결공이 슈즈블록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장공이 그렇게 정해진 체결공과 서로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슈즈와 프레임간의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However, in the shoe block and fram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inline skate as described above, althoug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shoe block at regular intervals, when the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frame do not coincide with the predetermined fastening holes, In some cases, assembly between the shoe and the frame may not be performed.

즉,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의 대부분은 슈즈블록과 프레임 결합에 있어서 몇몇 정해진 위치에서만 체결이 가능해 보다 다양한 위치에서 체결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That is, most of the conventional inline skates can be fastened on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hoe block and frame coupling, and thus cannot be fastened at various positions.

또한, 종래에는 슈즈와 프레임의 결합지점이 1점이어서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upling force is lowered because the coupling point of the shoe and the frame is one point.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슈즈에 내장되는 슈즈블록의 높이가 높은 문제점이 있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점 마운팅 방식이므로 휠과 마운팅 지점이 서로 닿지 않도록 프레임의 높이가 높아져 전체적으로 지상고가 높아지게 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 height of the shoe block embedded in the shoe has a high problem, 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ne-point mounting method increases the height of the frame so that the wheel and the mounting point do not touch each other, the ground height becomes higher overall, resulting in poor stability. There i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as follows.

첫째, 지간거리가 서로 달라서 슈즈와 프레임이 상호 결합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간거리가 자유롭게 조정되도록 하여 슈즈와 프레임을 결합하는데 있어서 기존 방식과 같이 몇몇 고정적인 위치에서만 결합이 가능했던 것을 일정 범위 내에서는 어떠한 위치든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Firs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shoes and frames are not mutually coupled due to different distances, the distances can be freely adjusted so that they can be combined only in a few fixed positions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to allow any position within the combination.

둘째, 슈즈와 프레임의 결합지점을 복수개로 하여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함에 있다.Second, the coupling force is increased by a plurality of coupling points between the shoe and the frame.

셋째, 인라인 스케이트의 지상고를 최대한 낮춰 주행 안정성을 높이는데 있다.Third, to reduce the ground clearance of inline skates as much as possible to increase driving stability.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휠이 구비된 프레임이 슈즈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슈즈의 하부에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슈즈블록이 내장된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line skate with a shoe block that is coupled to the fram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so that the frame with a wheel can be combined with the shoe,

상기 슈즈블록에는,In the shoe block,

슬롯홈과, 상기 슬롯홈에 내장되어 슬롯홈을 따라 이동되는 결합구가 구비되고,A slot groove, and a coupling hole embedded in the slot groove and moving along the slot groove,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결합구와 대응되는 곳에는 결합장공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결합구와 상기 결합장공이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Wherein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coupler in the frame provide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in-line skate shoe block and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coupl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hole.

여기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슬롯홈에 복수개로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upl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uilt-in slot groove.

또한, 상기 슈즈블록에는 상기 슬롯홈과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oe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lot groove.

또한, 상기 슈즈블록은 상기 슬롯홈이 상기 프레임의 결합장공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슈즈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oe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t groove is embedded in the shoe so as to b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coupling hole of the frame.

또한, 상기 슈즈블록 중 상기 슈즈 전방에 내장되는 슈즈블록의 슬롯홈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직교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슈즈블록 중 상기 슈즈 후방에 내장되는 슈즈블록의 슬롯홈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lot groove of the shoe block of the shoe block is built in the front of the shoe is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the slot groove of the shoe block of the shoe block is built in the rear of the shoe is the length of the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또한, 상기 결합구는 플랜지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lange nut.

본 고안에 의하면, 인라인 스케이트의 지간거리가 자유롭게 조정되어 다양한 종류의 슈즈와 프레임간 결합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고, 슈즈와 프레임이 2점지지됨에 따라 결합력이 우수해지며 특히 슈즈블록이 얇아지고 2점지지로 인한 휠과의 간섭이 방지되어 스케이트의 지상고가 낮아짐에 따라 스케이트의 주행 안정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inline skates can be freely adjusted to facilitate the coupling between various kinds of shoes and the frame, and the two-point support of the shoes and the frame improves the bonding force, and in particular, the shoe block becomes thinner and 2 As interference with the wheel due to the point support is prevented, the ground clearance of the skate is lowered, thereby improving driving stability of the skat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슈즈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and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hoe block and th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휠이 구비된 프레임(200)이 슈즈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슈즈의 하부에 상기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슈즈블록(100)이 내장된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슈즈블록(100)은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ine skate having a shoe block 100 coupled to the frame 200 at a lower portion of the shoe so that the frame 200 having a wheel can be coupled with the shoe.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s.

도3 내지 도5에서 살펴보면, 상기 슈즈블록(100)은 소정의 강도와 강성을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슈즈블록(100)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슬롯홈(110)이 형성된다.3 to 5, the shoe block 1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rigidity, and the shoe block 100 has a slot groove 1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상기 슬롯홈(110)에는 슬롯홈(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결합구(120)가 내장되는데, 상기 결합구(120)는 상기 슬롯홈(110)에 끼워진 후 슬롯홈(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슬롯홈(110)의 단턱에 걸려야 하고, 상기 결합구(120)가 슬롯홈(110)에 걸린 상태로 슬롯홈(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옆으로 자유롭게 이동된다.In addition, the slot groove 110 has a coupling hole 120 that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groove 110, the coupling hole 120 is inserted into the slot groove 110 after the slot groove 110 It should be caught on the step of the slot groove 11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and the coupling hole 120 is freely moved sideway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groove 110 in a state of being caught in the slot groove (110).

이때, 상기 결합구(120)는 상기 슬롯홈(110)을 통해 외부와 통하도록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the coupler 120 should be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slot groove 110.

여기서, 상기 결합구(120)는 상기 슬롯홈(110)에 복수개로 내장되는 것이 프레임(200)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한데, 비록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상 기 슬롯홈(110)에 2개의 결합구(120)가 내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3개, 4개, 또는 그 이상으로 내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coupler 120 is preferably built in a plurality of the slot groove 110 can increas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frame 200, although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n the slot groove 110 Although the coupler 120 is shown as being buil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embedded in three, four, or mor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implementer.

상기 결합구(120)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롯홈(110)에 걸리는 플랜지부(121)를 갖는 플랜지너트가 사용되었으나, 이 또한 반드시 플랜지너트가 아니더라도 이와 같은 기능 및 구조를 갖는 것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것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The coupler 120 may have various kinds,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nge nut having a flange portion 121 caught by the slot groove 110 is used, but this is not necessarily a flange nut. It can be carried out by changing to those having a function and a structure, which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결합구(120)가 상기 슈즈블록(100)의 슬롯홈(110)에 삽입된 후 상기 슬롯홈(11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슈즈블록(100)에서 슬롯홈(110)이 형성된 반대면에는 상기 결합구(120)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개구부가 형성되는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결합구(120)가 슈즈블록(10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슬롯홈(110)에 끼워지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부재(130)로 상기 개구부를 커버해서 상기 결합구(120)가 슈즈블록(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After the coupling hole 120 is inserted into the slot groove 110 of the shoe block 100, the slot groove 110 in the shoe block 100 is maintained so that it can be held in the slot groove 110. An opening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to allow the coupler 120 to enter, and the coupler 120 is inserted into the shoe block 100 through the opening and inserted into the slot groove 110. The opening is covered with a closing member 130 as shown in FIG. 5 to prevent the coupler 1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oe block 100.

여기서, 상기 슈즈블록(100)은 종전보다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되어 스케이트의 지상고가 낮아지도록 한다.Here, the shoe block 100 is configured to be thinner than before, so that the ground clearance of the skate is lowered.

또한, 상기 슈즈블록(100)에는 상기 슬롯홈(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공(1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슈즈블록(100)에 상기 체결공(101)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기존의 프레임(200)과 호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shoe block 10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0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groove 110, the fastening hole 101 in the shoe block 100 The reason for this formation is to be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frame 200.

또한, 상기 프레임(200)에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120)와 대응되는 곳에 소정길이를 갖는 결합장공(220)이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rame 200 has coupling holes 220 having predetermined length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s 120 at the front and the rear, respectively.

상기 결합장공(220)은 도면상에서 보면 프레임(200)의 전방에 형성된 결합장공(220)은 프레임(200)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레임(200)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장공(220)은 프레임(2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결합장공(220)의 길이방향은 반드시 도면에 국한될 필요없이 상기 슈즈블록(100)의 슬롯홈(110)과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면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upling hole 220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ame 200, and the coupling hole 220 formed at the rear of the frame 2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20. Although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rame 200,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hole 22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rawings and is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lot groove 110 of the shoe block 100 do.

즉, 상기 슈즈블록(100)의 슬롯홈(110)과 상기 프레임(200)의 결합장공(220)은 서로 교차되어야 하는바, 상기 프레임(200)의 결합장공(220) 방향에 따라 상기 슈즈블록(100)의 방향성이 정해져도 좋고, 상기 슈즈에 내장되는 슈즈블록(100)의 방향에 따라 상기 프레임(200)의 결합장공(220) 방향을 정해도 무방하다.That is, the slot groove 110 of the shoe block 100 and the coupling hole 220 of the frame 200 should cross each other, the shoe block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hole 220 of the frame 200. Orientation of the (100) may be determined, or the direction of the engagement hole 220 of the frame 2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hoe block 100 incorporated in the shoe.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슈즈블록(100)은 상기 슬롯홈(110)이 상기 프레임(200)의 결합장공(2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슈즈에 내장되는데, 슈즈의 전방에 내장되는 슈즈블록(100)의 슬롯홈(110)은 프레임(200)의 길이방향과 직교 상태로 배치되도록 내장되고, 슈즈의 후방에 내장되는 슈즈블록(100)의 슬롯홈(110)은 프레임(2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내장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 block 100 is embedded in the shoe so that the slot groove 110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coupling hole 220 of the frame 200, in front of the shoe The slot groove 110 of the shoe block 100 to be embedded is embedded to be dispos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200, and the slot groove 110 of the shoe block 100 to be built in the rear of the shoe is a frame ( It is embedded to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200).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200)의 전방에 형성되는 결합장공(220)은 상기 슬롯홈(110)과 교차되도록 상기 프레임(2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레임(200)의 후방에 형성되는 결합장공(220)은 상기 프레임(2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Accordingly, the coupling hole 220 formed in front of the frame 200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200 to cross the slot groove 110, the rear of the frame 200 Coupling holes 220 formed in the is form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frame 200.

따라서, 상기 결합장공(220)에 상기 슈즈블록(100)을 위치시킨후, 상기 결합구(120)를 상기 결합장공(220)과 일치되도록 움직여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상호 체결하면 된다.Therefore, after the shoe block 100 is positioned in the coupling hole 220, the coupling hole 120 may be moved to coincide with the coupling hole 220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이때, 상기 결합장공(220)과 상기 결합구(120)가 움직일 수 있는 슬롯홈(110)이 상호 교차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200)은 슈즈에 대하여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격을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전후방향 유격을 갖도록 하는 것은 슈즈와 프레임(200)간의 다양한 지간거리를 흡수할 수 있게 해준다.In this case, since the slot groove 110 in which the coupling hole 220 and the coupling hole 120 are movable cross each other, the frame 200 may adjust the pla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hoes. In particular, having a front and rear clearance allows the various distances between the shoe and the frame 200 to be absorbed.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using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bstitution and modification of the components are possible, which also belongs to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를 보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typical inline skate,

도2는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되는 슈즈블록과 프레임 구조를 보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hoe block and a frame structure used in the conventional inline skates,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3 and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oe block and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의 슈즈블록을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슈즈블록 101 : 체결공100: shoe block 101: fastening hole

110 : 슬롯홈 120 : 결합구110: slot groove 120: coupling sphere

200 : 프레임 220 : 결합장공200: frame 220: combined long hole

Claims (5)

프레임(200)과 결합되도록 슈즈의 하부에 슈즈블록(100)이 내장된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In the inline skate in which the shoe block 100 is built in the lower part of the shoe to be coupled to the frame 200, 상기 슈즈블록(100)에는,The shoe block 100, 슬롯홈(110)과, 상기 슬롯홈(110)에 내장되어 슬롯홈(110)을 따라 이동되는 결합구(120)가 구비되고,Slot groove 110 and the coupling groove 120 which is embedded in the slot groove 110 and moved along the slot groove 110, 상기 프레임(200)에는 상기 결합구(120)와 대응되는 곳에 결합장공(2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결합구조.The frame 200,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n-line skate shoe block and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220 is formed in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sphere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20)는 상기 슬롯홈(110)에 복수개로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결합구조.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coupler (120) is built in the slot groove (110) in pluralit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블록(100)에는 상기 슬롯홈(1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체결공(1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결합구조.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hoe block 100,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n-line skate shoe block and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hole 101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lot groove (1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블록(100)은 상기 슬롯홈(110)이 상기 프레임(200)의 결합장공(2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슈즈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결합구조.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hoe block 100 is for inline ska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t groove 110 is embedded in the shoe so as to be arranged in a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coupling hole 220 of the frame 200. Combination structure of shoe block and fram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블록(100) 중 상기 슈즈 전방에 내장되는 슈즈블록(100)의 슬롯홈(110)은 상기 프레임(200)의 길이방향과 직교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슈즈블록(100) 중 상기 슈즈 후방에 내장되는 슈즈블록(100)의 슬롯홈(110)은 상기 프레임(2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슈즈블록과 프레임의 결합구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lot groove 110 of the shoe block 100 of the shoe block 100 is built in the front of the shoe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200, the shoe block ( The slot groove 110 of the shoe block 100 embedded in the shoe rear of the 100 is in combination with the frame of the in-line skate sho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stat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200. .
KR2020070018997U 2007-11-26 2007-11-26 Mounting Structure of Shoesblock and Frame in Inline Skate KR2009000519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997U KR20090005197U (en) 2007-11-26 2007-11-26 Mounting Structure of Shoesblock and Frame in Inline Sk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997U KR20090005197U (en) 2007-11-26 2007-11-26 Mounting Structure of Shoesblock and Frame in Inline Sk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197U true KR20090005197U (en) 2009-05-29

Family

ID=4130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997U KR20090005197U (en) 2007-11-26 2007-11-26 Mounting Structure of Shoesblock and Frame in Inline Sk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197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330A1 (en) * 2012-09-24 2014-03-27 Lee Jeong Hyun Sk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330A1 (en) * 2012-09-24 2014-03-27 Lee Jeong Hyun Sk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6957A (en) In-line roller skate having adjustable biasing angle for each individual wheel
US7516562B2 (en) Multi-function cycling shoe
KR200390119Y1 (en) Inline skate which serves as a skate board
US6276696B1 (en) In-line roller skates
KR20090005197U (en) Mounting Structure of Shoesblock and Frame in Inline Skate
US6402162B1 (en) Dual-purpose roller skate
US10524533B2 (en) Roller skate system having a rail and a boot
KR200301197Y1 (en) Roller skating board
EP1226848B1 (en) Gliding board
KR200392446Y1 (en) Inline skate
KR100766134B1 (en) Inline skate
KR100722369B1 (en) Inline skate and Frame unit
CN207126094U (en) A kind of foot-operated wearable ice and snow face skid
WO2004087270A1 (en) In-line roller-skate, particularly for racing
KR200373864Y1 (en) Inline Skate for Carbon Boots and Inline Skate
JPS64946Y2 (en)
KR100806643B1 (en) Inline Skate Board
KR200381550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friction of the wheels in an inline-skate, and inline-skate with the apparatus
KR200326930Y1 (en) In-line skates wheel with projecting parts
KR200445227Y1 (en) Mounting block of in-line skate
KR200320208Y1 (en) An inline skate for figure skating
KR200325200Y1 (en) Heeling shoes
KR200348269Y1 (en) Multi-purpose inline skate
TWM589582U (en) Skateboard with different gameplay functions
US20150321074A1 (en) Binding system and method with interchangeable frames having sporting blades or rollers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