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227Y1 - Mounting block of in-line skate - Google Patents

Mounting block of in-line sk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227Y1
KR200445227Y1 KR2020080007605U KR20080007605U KR200445227Y1 KR 200445227 Y1 KR200445227 Y1 KR 200445227Y1 KR 2020080007605 U KR2020080007605 U KR 2020080007605U KR 20080007605 U KR20080007605 U KR 20080007605U KR 200445227 Y1 KR200445227 Y1 KR 200445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unt
boots
carbon
mount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6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순용
Original Assignee
홍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용 filed Critical 홍순용
Priority to KR2020080007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22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22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마운트볼트의 삽입 체결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마운트홀이 수직으로 형성된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부에서 인라인 스케이트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상기 블럭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block of the inline skate, the block body is formed with one or more mount hole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bolt vertically, and the block so as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block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inline skat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plate integrally formed in the body.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은 마운트 간격이 증가하여 비록 마운트 블럭이 발바닥 앞쪽에 집중되는 힘의 작용위치보다 앞쪽에 위치되더라도 직접 작용하는 힘을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속도향상 및 사용자의 피로 감소 효과가 있음과 함께 카본부츠 바닥면의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unt block of the inline sk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creased mount spacing, so that even if the mount block is located in front of the action position of the force concentrated on the front of the sole, it can receive a direct acting force, thereby improving speed and reducing user fatigue. In addition to being effecti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sagging of the bottom of the carbon boots.

인라인 스케이트, 마운트 블럭 Inline Skates, Mount Blocks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 {Mounting block of in-line skate}Mounting block of in-line skates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운트 블럭의 블럭몸체 상단부에 지지판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발 앞부분에 가해지는 힘이 마운트 블럭을 통해 프레임과 휠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 block of an inline skate, and more particularly, an inline in which a support plate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lock body of the mount block so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front of the foot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frame and the wheel through the mount block. It is about a mount block of skates.

일반적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는 빙판에서만 즐길 수 있었던 기존의 스케이트날을 휠로 대체하여 빙판이 아닌 지면에서도 스케이팅의 속도감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타기가 간편하고 장소의 제한없이 어디서든 즐길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적인 인기 스포츠로 자리매김을 하였으며, 최근 들어서는 레이싱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inline skating is a wheel that replaces the traditional skate blade, which was only available on ice, so that you can enjoy the speed of skating on the ground, not on the ice. It has established itself as a popular popular sport, and has recently been widely used for racing.

이러한 인라인 스케이트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부츠(1)와, 상기 카본부츠의 하단에 결합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휠(3)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카본부츠(1)의 바닥면에는 상기 카본부츠(1)와 프레임(2)의 결합을 위한 두 개의 마운트 블록(5)이 일정한 간 격을 두고 고정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면과 관련하여 카본부츠(1)의 경우는 내피와 외피를 제외한 카본 쉘 부분만을 도시한 것이며, 이하의 도면들에서도 동일하다.A general configuration of such an inline skate includes a carbon boots 1, a frame 2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arbon boots, and a plurality of wheels 3 rotatably mounted to the fram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bon boots 1, two mounting blocks 5 for coupling the carbon boots 1 and the frame 2 are fixed at regular intervals. Here, in the case of the carbon boot 1 in relation to the above drawings, only the carbon shell portion excluding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is shown, and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2는 종래의 마운트 블럭(5)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종래의 마운트 블럭(5)은 블럭몸체(6)에 마운트볼트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마운트홀(7)이 수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unting block 5, the conventional mounting block 5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unting hole 7 is formed vertically to allow the mounting bolt to be fastened to the block body (6).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는 그 성능 개선을 위해 계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는데, 초창기에는 아이스 스케이팅과 같은 주행감을 얻기 위하여 카본부츠(1)가 지면으로부터 위치되는 높이(일명 ‘지상고’라 함.)를 낮추기 위해 저중심 설계의 프레임(2)을 제작하였고 그에 따라 휠(3)의 직경이 매우 작을 수 밖에 없었다.Inline skates with this configuration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In the early days, the height of the carbon boots 1 to be positioned from the ground (also called 'ground ground') to obtain a feeling of running like ice skating was reduced. In order to produce a low center of gravity frame 2, the diameter of the wheel 3 was inevitably small.

그러나 작은 직경의 휠(3)로는 인라인 스케이팅에서 최고속도에 도달하기 곤란하며, 휠(3)의 직경이 크면 클수록 같은 힘을 주고 굴렸을 때 더 멀리 굴러가게 됨과 아울러 일정한 속도 이상이 되면 휠(3)의 직경이 클수록 작은 휠보다 적은 힘으로도 같은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에 따라 많은 제조사들이 보다 큰 휠(3)을 장착할 수 있는 프레임을 제작함으로써, 80mm, 84mm, 90mm 직경의 휠을 거쳐 현재에는 100mm, 110mm 직경의 휠(3)을 장착한 프레임이 제작되기에 이르렀다.However, with a small diameter wheel (3) it is difficult to reach the maximum speed in in-line skating, the larger the diameter of the wheel (3), the greater the force to roll with the same force and when rolling over a certain speed, the wheel (3) The larger the diameter, the greater the speed of the wheel, and the smaller the wheels can achieve the same speed.As a result, many manufacturers have made 80mm, 84mm, and 90mm diameters by making frames that can accommodate larger wheels (3). After the wheels, the frame was mounted with wheels 3 of 100mm and 110mm diameter.

그런데, 이와 같이 휠(3)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주행속도는 증가되는 장점이 있지만, 휠(3)이 커짐에 따라 카본부츠(1)가 지면으로부터 위치되는 높이도 증가(‘지상고’가 커짐)됨으로써 주행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By the way, as the diameter of the wheel 3 increases, the running speed increases, but as the wheel 3 increases, the height at which the carbon boots 1 are positioned from the ground also increases (the 'ground height' increases. By this, the disadvantage of deterioration of the running stability is generated.

즉, 직경이 큰 휠(예컨대 100mm 휠)의 경우는 앞쪽에서 두 번째 휠이 카본부츠(1)의 앞쪽 마운트 블럭(5)과 접촉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지상고가 높아질 수 밖에 없었다. That is, in the case of a large diameter wheel (for example, a 100 mm wheel),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second wheel from the fron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mounting block 5 of the carbon boots 1, so that the ground clearance is unavoidably high. There was only.

그래서, 주행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100mm와 같은 직경의 휠(3)을 사용하면서도 주행안정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앞쪽의 마운트 블록(5)을 카본부츠(1)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2개의 마운트 블럭간의 간격, 즉 마운트 간격(L1)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를 달성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165mm의 마운트 간격을 갖는 종래의 부츠에서 점차 190mm, 195mm의 마운트 간격(L1)을 갖는 부츠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improve driving speed, the front mounting block 5 is moved forward of the carbon boots 1 so that the driving stability is not deteriorated while the wheel 3 having a diameter of 100 mm is used. This has been achieved by increasing the spacing of the liver, that is, the mount spacing L1, and thus is being replaced by boots having a mount spacing L1 of 190 mm and 195 mm in the conventional boots having a mount spacing of 165 mm.

그런데, 190mm, 195mm와 같이 마운트 간격(L1)이 증가된 카본부츠(1)는 기존 165mm 마운트 간격의 카본부츠에 비해 지상고를 낮추어 안정성을 높이면서도 100mm, 110mm 휠의 속도향상이란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는데, 그것은 무엇보다 발바닥의 힘이 프레임(2)의 휠(3)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However, carbon boots (1) with increased mount spacing (L1), such as 190mm and 195mm, have a positive effect of improving the speed of 100mm and 110mm wheels while increasing stability by lowering the ground height compared to the carbon boots with 165mm mount spacing. Although possible, there are still problems to be improved, among other things that the force of the sole is not properly transmitted to the wheel 3 of the frame 2.

이를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스케이팅시에는 몸을 앞으로 전진시키기 위한 중심의 이동이 있게 되는데, 이 때 체중은 발의 뒷꿈치와 발 앞쪽의 볼(발 앞쪽의 둥근부분) 부위에 집중되게 된다. 즉, 가해지는 힘이 발의 뒷 꿈치 부분(F1)과 발의 볼 부위(F2)에 집중되는 것이다. Looking at this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n skating there is a movement of the center for advancing the body forward, wherein the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heel of the foot and the ball (round part in front of the foot) of the foot. That is, the force applied is concentrated on the back dream portion F1 of the foot and the ball portion F2 of the foot.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간격(L1)이 증가되어 앞쪽의 마운트 블럭(5)이 힘이 가해지는 발의 볼 부위보다 앞쪽에 위치되게 되는 바, 종래의 마운트 블럭(5)의 경우에는 앞쪽 발바닥의 힘(F2)이 직접적으로 마운트 블럭(5)을 통해 프레임(2) 및 휠(3)에 전달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속도를 내기 위해서 발 앞쪽에 더 많은 힘을 가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mounting distance L1 is increased so that the front mounting block 5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ball portion of the foot to which the force is applie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ounting block 5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ce of the front sole F2 is difficult to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frame 2 and the wheel 3 via the mounting block 5, so that more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of the foot to speed up. There must be a problem.

즉, 힘이 가해지는 위치에 비해 종래의 마운트 블럭(5)의 위치가 더 앞쪽에 위치됨과 함께 종래 마운트 블럭(5)이 마운트 홀(7)이 형성된 블럭몸체(6)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해지는 힘이 직접적으로 마운트 블럭(5)에 전달될 수가 없는 것이다.That is, compared with the position where the force is applied, the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mount block 5 is located in the front, and the conventional mount block 5 is composed of only the block body 6 in which the mount hole 7 is formed. The force cannot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mount block 5.

또한, 상기와 같이 힘 전달의 문제와 아울러 앞쪽 발바닥의 힘이 집중되는 부위에 지지해주는 마운트 블럭이 없기 때문에 스케이팅이 계속되면서 힘을 받는 카본부츠(1)의 바닥면 부위가 그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결국 휘어져 내려앉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이 힘이 집중되는 부위의 카본부츠(1) 바닥면이 내려앉으면서 아래 쪽에 위치된 두 번째 휠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이 발생하는 문제점까지 일어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mount block that supports the problem of force transmission as well as the area where the force of the front sole is concentrated, the bottom part of the carbon boot (1) that is subjected to the force while the skating continues cannot endure the pressure. The problem of bending down frequently occurs, and thus, the carbon boots (1) bottom of the portion where the force is concentrated, as the bottom surface is settled, a problem occurs in the friction caused by the contact with the second wheel located below.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발바닥 앞쪽에 집중되는 힘의 작용위치까지 연장되어 상기 힘을 직접 전달받을 수 있는 지지판을 블럭몸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가해지는 힘이 제대로 프레임과 휠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to the action position of the force concentrated on the front of the sole is applied by integrally forming a support plate that can receive the force directly on the block bod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ounting block for inline skates that allows force to be properly transmitted to the frame and wheel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As a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카본부츠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다수의 휠이 장착된 프레임의 상면에 마운트볼트의 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볼트의 삽입 체결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마운트홀이 수직으로 형성된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부에서 인라인 스케이트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상기 블럭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이 개시된다.In the mounting block of the inline skate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bon boot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on which the plurality of wheels are mounted by mounting the bolt, at least one mount hol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bolt is vertically Disclosed is a mount block of an inline skate comprising a formed block body and a support plate integrally formed on the block body so as to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block body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line skate.

여기서, 상기 지지판에는 그 끝단의 가운데가 내측으로 절개되어 휠이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is cut inward to form a wheel separation groove.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은,Mounting block of the inline sk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마운트 간격이 증가하여 비록 마운트 블럭이 발바닥 앞쪽에 집중되는 힘의 작용위치보다 앞쪽에 위치되더라도 직접 작용하는 힘을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속도향상 및 사용자의 피로 감소 효과가 있음과 함께 카본부츠 바닥면의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mount distance is increased, even if the mount block is located in front of the action of the force concentrated on the front of the sole, the force can be directly applied, which improves speed and reduces user fatigu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sag phenomenon.

또한, 마운트 블럭의 지지판에 휠이격홈이 형성되어 종래의 마운트 블럭과 동일한 지상고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안정성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heel separ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support plate of the mount block to maintain the same ground clearance as the conventional mount block,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running stability is not deteriorat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10)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블럭(10)은 블럭몸체(11)를 포함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block 10 of the inline sk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mounting bloc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body 11 .

상기 블럭몸체(11)에는 수직으로 하나 이상의 마운트홀(12)이 형성되며, 상기 마운트홀(12)에는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마운트볼트(도면 미도시)가 삽입 체결되게 된다.One or more mount holes 12 are formed in the block body 11 vertically, and mount bolts (not shown) ar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mount holes 12 for coupling with the frame.

이러한 블럭몸체(11)의 형상과, 상기 마운트홀(12)의 갯수 및 형성위치 등은 종래 기술과 같이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block body 11, the number an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mount hole 12 may be variously adopted as in the prior art.

상기 블럭몸체(11)의 상단부에는 지지판(13)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판(13)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plate 13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lock body 11, and the support plate 13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to one side of the inline sk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블럭몸체(11)에서 연장된 지지판(13)의 연장 길이(L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운트 블럭(10)이 고정되는 위치와 힘의 작용위치의 이격 간격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는데, 현재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마운트 간격인 195mm를 기준으로 볼 때 대략 30~60mm 정도의 길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Extension length (L2) of the support plate 13 extending from the block body 11 may be variously adopted depending on the spaced interval of the position where the mounting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nd the action position of the force, It is preferable to extend the length of about 30 ~ 60mm based on 195mm, which is a generally manufactured mount spacing.

이러한 상기 지지판(13)에는 그 끝단의 가운데가 내측으로 절개되어 휠이격홈(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late 13 is preferably the center of the end is cut inward to the wheel spaced groove 14 is formed.

상기 휠이격홈(14)은 지지판(13)에 일정한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마운트 블럭(10)이 카본부츠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공간으로 카본부츠의 바닥면이 위로 볼록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두 번째 휠과 카본부츠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종래 마운트 블럭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wheel separation groove 14 is provided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13 so that when the mounting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arbon boots,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bon boots can be in close convex contact with the space. This allow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wheel and the bottom of the carbon boots to remain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mounting block.

도 4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블럭(10)이 카본부츠(20)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인라인 스케이트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line sk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block 10 is fixed to the carbon boots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마운트 블럭(10)은 카본부츠(20)의 바닥면 앞쪽과 뒤쪽에 일정한 마운트 간격으로 고정되어 다수의 휠(40)이 장착된 프레임(30)의 상면에 상기 카본부츠(20)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운트 블럭(10)은 지지판(12)이 뒤쪽으로 연장되도록 하면서 카본부츠(20)의 바닥면 앞쪽에 고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block 10 i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arbon boots 20 at predetermined mounting intervals so that the carbon boots 20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30 on which the wheels 40 are mount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mounting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bon boots 20 while the support plate 12 extends to the rear.

이렇게 마운트 블럭(10)이 고정되면 발바닥 앞쪽에 힘이 집중되는, 즉 힘의 작용점(F2)에 마운트 블럭(10)의 지지판(12)이 연장되어 위치되므로 상기 힘(F2)을 마운트 블럭(10)이 직접 전달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mounting block 10 is fixed in this way, the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front of the sole, that is, the support plate 12 of the mounting block 10 is located at the point of action F2 of the force, so that the force F2 is mounted to the mounting block 10. ) Will be delivered directly.

한편, 도 5는 휠이격홈(14) 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횡단면도(인라인 스케이트의 폭방향 단면도)로서, 카본부츠(20)의 바닥면은 휠이격홈(14)에 의한 공간(S)에 밀착이 되면서 위로 볼록한 형태를 갖게 된다. 그에 따라 휠이격홈(14) 내측의 카본부츠(20) 바닥면은 종래의 마운트 블럭이 고정되었을 때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width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line skate) to show the wheel spacing portion 14,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bon boots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 (S) by the wheel spacing groove (14). This leads to a convex shape.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bon boots 20 inside the wheel separation groove 14 can maintain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when the conventional mounting block is fixed.

따라서, 그 아래 위치된 두 번째 휠(40)과 카본부츠(20)의 바닥면은 종래와 동일한 이격간격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마운트 블럭(10)이 고정되더라도 카본부츠(20)의 지상고에는 변화가 없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wheel 40 and the carbon boots 20 positioned below may have the same spacing as in the prior art, and thus the carbon boots 20 may be fixed even if the mounting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here is no change in the ground clearance of).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을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block of the inline sk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is equivalent to those modified or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said that the configuration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line skate,

도 2는 종래의 마운트 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unting block,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블럭이 고정된 인라인 스케이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inline skate with a mounting block fix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휠이격홈 부분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heel separation groove portion.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major part of drawing *

10 : 마운트 블럭 10: mount block

11 : 블럭몸체11: block body

12 : 마운트홀12: mount hole

13 : 지지판13: support plate

14 : 휠이격홈14: wheel separation groove

20 : 카본부츠20: carbon boots

30 : 프레임30: frame

40 : 휠40: wheel

Claims (2)

삭제delete 카본부츠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다수의 휠이 장착된 프레임의 상면에 마운트볼트의 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에 있어서,In the mounting block of the inline skat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bon boots, coupled by the fastening of the mounting bol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on which a plurality of wheels are mounted, 상기 마운트볼트의 삽입 체결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마운트홀이 수직으로 형성된 블럭몸체와;A block body in which at least one mount hole capable of inserting and fastening the mount bolt is vertically formed;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부에서 인라인 스케이트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상기 블럭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끝단의 가운데가 내측으로 절개되어 휠이격홈이 형성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마운트 블럭.A support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lock body so as to extend horizontally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line skate at an upper end of the block body, and a center of the end of which is cut inward to form a wheel separation groove; Mount block for inline skates.
KR2020080007605U 2008-06-09 2008-06-09 Mounting block of in-line skate KR20044522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605U KR200445227Y1 (en) 2008-06-09 2008-06-09 Mounting block of in-line sk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605U KR200445227Y1 (en) 2008-06-09 2008-06-09 Mounting block of in-line sk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227Y1 true KR200445227Y1 (en) 2009-07-08

Family

ID=41350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605U KR200445227Y1 (en) 2008-06-09 2008-06-09 Mounting block of in-line sk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227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663Y1 (en) * 1987-06-29 1990-09-22 문진수 Roller skate
US6439584B1 (en) * 2002-02-27 2002-08-27 Eric Lai Roller-skating boot
KR20040085088A (en) * 2004-07-24 2004-10-07 김선주 canting fr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663Y1 (en) * 1987-06-29 1990-09-22 문진수 Roller skate
US6439584B1 (en) * 2002-02-27 2002-08-27 Eric Lai Roller-skating boot
KR20040085088A (en) * 2004-07-24 2004-10-07 김선주 canting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15991A3 (en) Metal wood type golf club head having expanded sections extending the ball striking face.
KR20050002829A (en) Shoes for walking and rolling
KR100991453B1 (en) Inline skate
KR200445227Y1 (en) Mounting block of in-line skate
US6276695B1 (en) In-line skate
CA2209786C (en) In-line roller skates
US6161846A (en) Skate
KR20050105133A (en) Inline skate shoes having a shock absorber means
KR100626339B1 (en) Inline skates
KR200422179Y1 (en) Skate wheel for inline
KR200356829Y1 (en) Inline Skate Frame and Inline Skate
EP2226104B1 (en) In-line roller skate, in particular racing skate
CN211932846U (en) Linkage shock-absorbing sole
KR200376060Y1 (en) Inline sledge
KR200365344Y1 (en) Frame for an inline skate
KR20050030482A (en) An inline skate for racing
KR200233898Y1 (en) Skate Board
KR20090005197U (en) Mounting Structure of Shoesblock and Frame in Inline Skate
KR200392446Y1 (en) Inline skate
KR200325131Y1 (en) The Cushion of In-line Skate
KR200400887Y1 (en) Frame for inline skate
KR200320667Y1 (en) In-line Skate Frame
KR100766134B1 (en) Inline skate
KR200353330Y1 (en) a frame for inline-skate
KR200329954Y1 (en) Stick for In-line Hoc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