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196U - Inline Skate Enhanced Supporting Force - Google Patents

Inline Skate Enhanced Supporting Fo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196U
KR20090005196U KR2020070018996U KR20070018996U KR20090005196U KR 20090005196 U KR20090005196 U KR 20090005196U KR 2020070018996 U KR2020070018996 U KR 2020070018996U KR 20070018996 U KR20070018996 U KR 20070018996U KR 20090005196 U KR20090005196 U KR 200900051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frame
support block
gap
gap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99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설아
이현길
Original Assignee
이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설아 filed Critical 이설아
Priority to KR2020070018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196U/en
Publication of KR20090005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19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슈즈와 프레임 간의 결합 지점 사이에서 슈즈를 더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슈즈의 지지력이 개선되도록 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line skat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line skate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hoe to further support the shoe between the coupling point between the shoe and the frame.

상술한 본 고안은, 슈즈와, 상기 슈즈 하부의 전방과 후방 두곳에서 각각 결합되는 프레임을 구비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in-line skate having a shoe and a frame coupl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슈즈와 결합되는 두 지점 사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슈즈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슈즈가 더 지지되도록 하는 서포트블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이 향상된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한다.A coupling hole is formed between two points that are coupled to the shoe in the frame, and the coupling hole provides an inline skate having improved support force,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block is installed to protrude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to further support the shoe. do.

Description

지지력이 향상된 인라인 스케이트{Inline Skate Enhanced Supporting Force}Inline Skate Enhanced Supporting Force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슈즈와 프레임 간의 결합 지점 사이에서 슈즈를 더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슈즈의 지지력이 개선되도록 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line skat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line skate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hoe to further support the shoe between the coupling point between the shoe and the frame.

인라인 스케이트는 레이스, 묘기, 하키 등 다양한 종목에 사용될 수 있으며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사계절 스포츠로, 어디서나 쉽게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어린이나 청소년 뿐만 아니라 일반 청, 장년층까지 애용하고 있으며 최근 여러 종류의 전문 동호회가 생겨나는 등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각광 받는 대중적 스포츠로 부상하고 있다.In-line skating can be used for various sports such as races, stunts and hockey, and it is a seasonal sport that is not influenced by the seasons. Professional clubs have emerged, and it is emerging as a popular sport attracted by all ages.

특히, 일부 사용자들은 레이싱용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레이싱용 인라인 스케이트에는 84mm, 90mm, 100mm 이상의 지름을 갖는 휠을 결합할 수 있는바, 휠의 지름과 속도는 서로 비례하여 사이즈가 큰 휠일수록 속도의 우위를 갖게 된다.In particular, some users use inline skates for racing, and such racing inline skates can be combined with wheels having diameters of 84 mm, 90 mm, and 100 mm or more. The diameter and speed of the wheels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The bigger the wheel, the better the speed.

도1은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를 보인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typical inline skate.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라인 스케이트는 착용시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슈즈(10)와, 상기 슈즈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휠(30)로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1, the in-line skates can be rota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the shoes 10, the frame 2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wrapped around the user's foot when worn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heels 30 that are mounted.

이때, 상기 슈즈(10)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20)과 결합되도록 슈즈블록이 내장되는데, 상기 슈즈블록은 상기 프레임(20)을 슈즈(10)에 마운팅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슈즈블록은 슈즈 하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내장되어 상기 프레임(20)과 두지점에서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shoe block is buil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10 to be coupled to the frame 20, the shoe block is a member for mounting the frame 20 to the shoe 10, the shoe block is a shoe It is embedd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respectively, and is coupled at two points with the frame 20.

그리고, 상기 슈즈(10)와 프레임(20)이 결합되는 두지점 사이에는 휠(30)이 슈즈(10)에 닿지 않도록 슈즈(10)가 프레임(20)과 떨어져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hoe 10 is separated from the frame 20 so that the wheel 30 does not touch the shoe 10 between two points at which the shoe 10 and the frame 20 are coupl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슈즈와 프레임이 전방과 후방의 두 지점에서만 결합되고 그 두 지점 사이에서는 상기 슈즈가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슈즈의 지지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line skat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oe and the frame are coupled only at two points between the front and the rear, and the shoes are separated from the fram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hoe is significantly reduced.

이와 같이 상기 슈즈의 지지력이 떨어지면 고속주행을 하게 되는 레이싱에서 슈즈의 바닥이 상하로 진동하여 주행에 문제를 유발하게 되고 특히 선수가 프레임 쪽으로 힘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As such, when the support force of the shoe falls, the bottom of the shoe vibrates up and down in the high speed driving, causing a problem in driving, and in particular, there is inconvenience in that the athlete cannot properly transmit the force toward the fram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슈즈와 프레임이 결합되는 마운팅 지점 사이에 별도로 슈즈를 지지할 수 있는 서포트블록을 설치하여 슈즈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o install a support block that can support the shoes separately between the mounting point that the shoes and the frame is coupled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hoe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슈즈와, 상기 슈즈 하부의 전방과 후방 두곳에서 각각 결합되는 프레임을 구비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line skate having a shoe and a frame coupl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슈즈와 결합되는 두 지점 사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슈즈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슈즈가 더 지지되도록 하는 서포트블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이 향상된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한다.A coupling hole is formed between two points that are coupled to the shoe in the frame, and the coupling hole provides an inline skate having improved support force,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block is installed to protrude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to further support the shoe. do.

또한, 상기 서포트블록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게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슈즈간의 간극을 채우는 간극충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and the gap filling portion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o fill the gap between the frame and the shoe.

또한, 상기 간극충전부는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그 상부와 하부의 두께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ap fill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centers around the through hol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서포트블록은 상기 간극충전부의 두께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다수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plurality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gap filling portion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고안에 의하면, 슈즈와 프레임의 마운팅 지점 사이에서 서포트블록이 별도로 슈즈를 더 지지함으로써 인라인 스케이트의 슈즈 지지력이 더욱 향상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unique effect that the support block of the in-line skate is further improved by supporting the shoe separately between the shoe and the mounting point of the frame.

또한, 스케이트 또는 각 지점별로 슈즈와 프레임간의 간극차가 달라져도 다양한 간극차를 서포트블록의 간극충전부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슈즈의 지지력이 더욱 배가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gap difference between the shoe and the frame for each skate or each point can be absorbed in the gap filling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there is a unique effect that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hoe is further doubl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블록이 구비된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이고, 도3은 프레임에 서포트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블록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블록을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in-line skate with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lock is installed in the fram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t is a view showing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고안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즈(10)와, 상기 슈즈(10) 하부의 전방과 후방 두곳에서 각각 결합되는 프레임(20)을 구비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ine skate having a shoe 10 and a frame 20 coupled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ottom of the shoe 10 as shown in FIG. 2.

상기 프레임(20)에서 상기 슈즈(10)와 결합되는 두 지점 사이에는 상기 슈즈(1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블록(100)이 설치되는데, 상기 서포트블 록(100)이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에서 상기 슈즈(10)와 결합되는 두 지점 사이에는 결합공(21)이 형성된다.A support block 100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shoe 10 is installed between two points coupled to the shoe 10 in the frame 20, and the support block 100 is connected to the frame 20. Coupling hole 21 is formed between the two points that are coupled to the shoe 10 in the frame 20 to be installed in the).

여기서, 상기 결합공(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가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하나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슈즈(10)의 앞쪽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가급적 프레임(20)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oupling hole 21 may be formed as shown in the figure, and may be formed in two or more, but if one is formed, the frame 20 as possible to support the front of the shoe 10, if possible It is preferably formed in front of the).

또한, 상기 결합공(21)이 2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when two or more coupling holes 21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한편, 상기 결합공(21)에는 상기 슈즈(10)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슈즈(10)가 더 지지되도록 하는 서포트블록(100)이 설치되는데, 상기 서포트블록(1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21)이 형성된 프레임(20)에 끼워진 후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b)를 매개로 상기 프레임(20)에 고정 체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hole 100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hole 21 to protrude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10 so that the shoe 10 is further supported, the support block 100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hole 21 is fixed to the frame 20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b, such as a bolt, after being fitted into the frame 20.

이때, 상기 서포트블록(100)은 상기 체결부재(b)를 매개로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될 수 있어야 하는바, 이를 위하여 상기 서포트블록(100)에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21)에 대응되는 관통공(110)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 block 100 should be able to be fixed to the frame 20 via the fastening member (b),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block 100 i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through hole 11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21 is formed.

따라서, 상기 서포트블록(100)이 상기 프레임(20)에 끼워질 때 프레임(20)의 결합공(21)에 상기 관통공(110)이 일치되도록 한 후, 상기 체결부재(b)가 상기 관통공(110)을 지나 상기 결합공(2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서포트블록(100)이 상기 프레임(20)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support block 100 is fitted to the frame 20, the through hole 110 to match the coupling hole 21 of the frame 20, the fastening member (b) is through The support block 100 is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20 by being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21 through the ball 110.

또한, 도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블록(100)에는 상기 관통 공(110)을 기준으로 그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간극충전부(1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block 100 has a gap filling part 120 formed in at least one of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110.

상기 간극충전부(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0)과 슈즈(10)간의 간극을 채워서 상기 슈즈(10)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한다.The gap filling part 1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ill the gap between the frame 20 and the shoe 10 so that the bottom of the shoe 10 is supported.

즉, 슈즈(10)의 전방과 후방 두곳에 상기 프레임(20)이 결합되면, 그 두 결합지점 사이에는 슈즈(10)와 프레임(20)이 접촉되지 않는 간극이 생기는데, 그 간극에 해당하는 두께로 형성된 상기 간극충전부(120)가 상기 슈즈(10)와 프레임(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슈즈(10)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rame 20 is coupled to both the front and rear of the shoe 10, a gap is formed between the two coupling points where the shoe 10 and the frame 20 do not contact each other, and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gap is provided. The gap filling part 120 is formed between the shoe 10 and the frame 20 to support the shoe 10.

여기서, 상기 서포트블록(100)의 간극충전부(120) 두께는 상기 서포트블록(100)이 설치될 지점에서의 슈즈(10)와 프레임(20)간 간극과 같아야 하는바, 그 슈즈(10)와 프레임(20)간 간극은 스케이트마다 다르고 또 설치지점마다 다를 수 밖에 없다.Here, the thickness of the gap filling part 120 of the support block 100 should be equal to the gap between the shoe 10 and the frame 20 at the point where the support block 100 is to be installed. The gap between the frames 20 is different for each skate and must be different for each installation point.

따라서, 그 간극이 다소 달라지더라도 그 간극을 채워서 상기 슈즈(10)가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이 제시된다.Therefor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suggested so that the shoe 10 can be more effectively supported by filling the gap even if the gap is slightly different.

먼저, 상기 간극충전부(120)가 상기 관통공(110)을 중심으로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부와 하부의 두께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when the gap filling part 120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hrough hole 110,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filling part 120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thickness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이렇게 하나의 서포트블록(100)에서 상부와 하부의 간극충전부(120)의 두께가 서로 다르면, 슈즈(10)와 프레임(20)이 이루는 두 경우의 간극을 채울 수 있게 된다.Thus, if the thickness of the gap filling portion 120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one support block 100, it is possible to fill the gap of the two cases formed by the shoe 10 and the frame 20.

예를 들어, 상기 간극충전부(120)의 두께가 하나는 10mm로, 다른 하나는 12mm가 되도록 형성하면, 슈즈(10)와 프레임(20)이 이루는 간극이 10mm인 경우와 12mm인 경우에 하나의 서포트블록(100)으로 모두 채울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gap filling part 12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one 10mm and the other 12mm, the gap formed between the shoe 10 and the frame 20 is one 10mm and one 12mm. The support block 100 can be filled with all.

즉, 슈즈(10)와 프레임(20)이 이루는 간극이 10mm인 경우에는 10mm의 두께를 갖는 간극충전부(120)가 위로 배치되도록 상기 서포트블록(100)을 프레임(20)에 설치하면 되고, 슈즈(10)와 프레임(20)이 이루는 간극이 12mm인 경우에는 12mm의 두께를 갖는 간극충전부(120)가 위로 배치되도록 상기 서포트블록(100)을 설치하면 된다.That is, when the gap formed between the shoe 10 and the frame 20 is 10 mm, the support block 100 may be installed in the frame 20 so that the gap filling part 120 having a thickness of 10 mm is disposed upward. When the gap formed by the 10 and the frame 20 is 12 mm, the support block 100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gap filling part 120 having a thickness of 12 mm is disposed upward.

이와 같이 하나의 서포트블록(100)을 180도로 회전시켜 가면서 그 간극충전부(120)의 두께가 슈즈(10)와 프레임(20)간의 간극에 맞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while rotating the support block 100 by 180 degrees, the gap filling portion 120 can be installed so as to match the gap between the shoe 10 and the frame 20.

또한, 보다 다양한 슈즈(10)와 프레임(20)간의 간극에 대응하여 상기 서포트블록(1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블록(100)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간극충전부(120)의 두께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다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block 100 has a thickness of the gap filling part 120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support block 100 can be installed in response to a gap between the shoes 10 and the frame 20.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be provided so as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물론, 이때에도 상부와 하부의 간극충전부(120)의 두께는 서로 다르도록 하는 것이 더 다양한 간극에 적용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Of cours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es of the gap filling part 120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gap filling part 120 may be applied to more various gaps.

도5에서는 상기 서포트블록(100)이 4개로 마련된 것으로 실시되었고, 상기 간극충전부(120)의 두께도 특정되었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이어서 실시자가 필요에 따라 그 수나 두께를 변경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다.In FIG. 5, four support blocks 100 are provided, and the thickness of the gap filling part 120 is also specified.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thicknesses and thicknesses of the operator can be changed as needed. It is possible.

도5와 같이 4개로 마련된 서포트블록(100)의 간극충전부(120) 두께가 서로 다르고, 그 상부와 하부의 두께 또한 서로 다르면, 모두 8가지의 서로 다른 간극차를 보이는 프레임(20)에 설치될 수 있다.If the gap filling portion 120 of the four support block 100 is provided as shown in Figure 5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also different, all will be installed in the frame 20 showing eight different gaps Can be.

이때, 상기 간극충전부(120)의 두께는 미세하게 변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gap filling part 120 is set to change finely.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using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bstitution and modification of the components are possible, which also belongs to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를 보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typical inline skate,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블록이 구비된 인라인 스케이트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inline skates provided with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프레임에 서포트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block is installed in a frame;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블록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서포트블록을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슈즈 20 : 프레임10: shoes 20: frame

21 : 결합공 30 : 휠21: combination hole 30: wheel

100 : 서포트블록 110 : 관통공100: support block 110: through hole

120 : 간극충전부120: gap filling part

Claims (4)

슈즈(10)와, 상기 슈즈(10) 하부의 전방과 후방 두곳에서 각각 결합되는 프레임(20)을 구비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In the in-line skate having a shoe (10) and a frame (20) which is respectively coup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shoe 10, 상기 슈즈(10)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20)의 두 지점 사이에는 결합공(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1)에는 상기 슈즈(10)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슈즈(10)가 지지되도록 하는 서포트블록(1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이 향상된 인라인 스케이트.A coupling hole 21 is formed between the two points of the frame 20 coupled to the shoe 10, and the coupling hole 21 protrudes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shoe 10 so that the shoe 10 is formed. Inline skates with improved bearing capac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lock 100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블록(100)에는 상기 결합공(21)에 대응되게 형성된 관통공(110)과, 상기 관통공(11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20)과 슈즈(10)간의 간극을 채우는 간극충전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이 향상된 인라인 스케이트.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block 100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through hole 110 and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10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21, the frame ( 20) and inline skates with improved bearing capac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filling portion 120 is form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shoe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충전부(120)는 상기 관통공(110)을 중심으로 그 상부와 하부의 두께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이 향상된 인라인 스케이트.The inline skate of claim 2, wherein the gap filling part (120) is formed such that thicknesses of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gap filling part (1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블록(100)은 상기 간극충전부(120)의 두께가 서로 다르도록 하여 다수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력이 향상 된 인라인 스케이트.The inline skate of claim 2 or 3, wherein the support block (100)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gap filling part (12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KR2020070018996U 2007-11-26 2007-11-26 Inline Skate Enhanced Supporting Force KR2009000519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996U KR20090005196U (en) 2007-11-26 2007-11-26 Inline Skate Enhanced Supporting Fo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996U KR20090005196U (en) 2007-11-26 2007-11-26 Inline Skate Enhanced Supporting For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196U true KR20090005196U (en) 2009-05-29

Family

ID=4130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996U KR20090005196U (en) 2007-11-26 2007-11-26 Inline Skate Enhanced Supporting For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196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261B2 (en) Skate
JP2005517513A (en) Walking and sliding shoes
US20090284001A1 (en) Roller Shoe
KR20090005196U (en) Inline Skate Enhanced Supporting Force
KR200390293Y1 (en) 3line skate
KR100722369B1 (en) Inline skate and Frame unit
KR200342328Y1 (en) Outline skate
KR200299861Y1 (en) Jumping roller skates
KR100806643B1 (en) Inline Skate Board
KR100838294B1 (en) Inline roller skate and a frame and a boots of the inlike roller skate with a front dual point frame function
KR101292610B1 (en) Functional shoes
KR200308285Y1 (en) Footwear for combined use as roller skating
KR100766134B1 (en) Inline skate
US20060138734A1 (en) In-line skates
KR200392446Y1 (en) Inline skate
KR200381550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friction of the wheels in an inline-skate, and inline-skate with the apparatus
KR101196491B1 (en) inline skate for beginner keeping the low speed temporarily
KR20090005197U (en) Mounting Structure of Shoesblock and Frame in Inline Skate
KR200412194Y1 (en) rudimentary inline sakate
WO2004110574A1 (en) In-line skate with wheels arranged in three rows
KR200325200Y1 (en) Heeling shoes
KR200353330Y1 (en) a frame for inline-skate
KR200194475Y1 (en) Roller board with single edged blade
KR200373864Y1 (en) Inline Skate for Carbon Boots and Inline Skate
KR200412979Y1 (en) driving frame for attaching to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