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678U - Footwear Out sole Sole of Footwear and Footwear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Footwear Out sole Sole of Footwear and Footwear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678U
KR20090004678U KR2020070018287U KR20070018287U KR20090004678U KR 20090004678 U KR20090004678 U KR 20090004678U KR 2020070018287 U KR2020070018287 U KR 2020070018287U KR 20070018287 U KR20070018287 U KR 20070018287U KR 20090004678 U KR20090004678 U KR 200900046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shoe
window
sole window
foot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2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원길
Original Assignee
안토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토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토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8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678U/en
Publication of KR200900046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67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6Concave end portions, e.g. with a cavity or cut-ou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 바닥 창에 절개 홈이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보행 동작 시 절개 홈을 경계로 신발 바닥 창이 쉽게 굽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뒤꿈치가 신발로부터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 자연스러운 보행은 물론, 편안함과 착용감을 한층 향상시킨 신발 바닥 창과 그 신발 바닥 창을 구비한 신발창 및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oe sole window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shoe sole window can be easily bent at the boundary of the incision groove during the walking operation, so that the heel does not peel off from the shoe, accordingly natural walking as we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window which further improves comfort and fit, and a shoe sole and a shoe having the shoe sole window.

신발, 바닥 창, 홈, 보행 Shoes, sole window, home, walking

Description

신발 바닥 창, 그 신발 바닥 창을 구비하는 신발창 및 신발{Footwear Out sole, Sole of Footwear and Footwear with The Same}Footwear Out sole, Sole of Footwear and Footwear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신발 바닥 창, 그 신발 바닥 창을 구비하는 신발창 및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행 동작 시 발뒤꿈치가 신발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 자연스러운 보행은 물론, 편안함과 착용감을 한층 향상시킨 신발 바닥 창, 그 신발 바닥 창을 구비한 신발창 및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window, a shoe sole having a shoe sole window, and a shoe, which prevents the heel from being easily peeled off from the shoe during a walking op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comfort and fit as well as natural walking. It relates to a sole window, a shoe sole provided with the shoe sole window and a shoe.

도 1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신발 바닥 창(10)을 구비한 신발(12)이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shoe 12 with a conventional shoe sole window 10 of the prior art.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일반적인 신발 바닥 창(10)은 예를 들어 구두, 운동화, 슬리퍼, 샌들 등과 같은 신발(12)의 신발창(14)에서 바닥 부분을 구성하며, 지면과 맞닿는 요소로서, 신발(12)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재질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a conventional general shoe sole 10 constitutes a bottom portion in the sole 14 of a shoe 12, such as, for example, shoes, sneakers, slippers, sandals, etc.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hoe 12 is made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이러한, 상기 신발 바닥 창(10)은 통상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를 주 로 사용하면서 쿠션 작용이 발휘될 수 있도록 두껍게 형성되어, 보행이나 운동 시에 쿠션 작용을 발휘함으로써, 발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Such, shoe sole window 10 is formed thick so that the cushioning action can be exerted mainly using an elastic body such as urethane, rubber, and the like, by exerting a cushioning action during walking or exercis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sole It is common to buffer absorption.

상기 신발 바닥 창(10)을 구비하는 신발창(10)은, 통상 신발(12)의 용도 및 형태에 따라 신발 바닥 창(12)과, 이 신발 바닥 창(12)의 상면에 부착되어 착용 자의 발바닥이 직접 맞닿게 되는 안창(16)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신발 바닥 창(12)과 안창(16) 사이에 중창(18)이 배치되어 신발 바닥 창(12), 중창(14) 및 안창(16)이 서로 겹쳐져 접합 되는 일체의 구조로 구성된다.The shoe sole 10 having the shoe sole window 10 is usually attached to the shoe sole window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 window 12 according to the use and shape of the shoe 12. Or a midsole 18 disposed between the shoe sole window 12 and the insole 16 such that the shoe sole window 12, the midsole 14, and the insole 16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 Is composed of an integral structure that overlaps and joins each other.

도 2에서는 보행 동작 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In FIG. 2, a state of the walking operation is illustrated.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보행 동작 중 발앞꿈치 영역(A)은 지면에 닿는 상태에서 발뒤꿈치 영역(B)이 지면으로부터 들리게 될 때, 발앞꿈치 영역(A)과 발뒤꿈치 영역(B) 사이의 발등 구간(C)에서 신발 바닥 창(10)이 휘어지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heel area A during the walking operation is the instep section between the heel area A and the heel area B when the heel area B is lifted from the ground while touching the ground. In (C) the shoe sole window 10 is bent.

그런데, 상기 신발 바닥 창(10)이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더라도 신발 바닥 창(10)이 가지는 두꺼운 두께와, 강한 탄성 복원력으로 인하여 발등 구간(C)에서 휘어지는 각도(θ)가 미흡함으로써, 착용 자의 발뒤꿈치가 신발(12)로부터 쉽게 벗겨지게 되며, 이런 벗겨짐에 의하여 보행 동작이 부자연스럽고 불편함을 느껴 왔다. By the way, even if the shoe sole window 10 is made of an elastic body, due to the thick thickness of the shoe sole window 10 and the strong elastic restoring force, the deflection angle (θ) in the instep section (C) is insufficient. It is easy to peel off from the shoe 12, by this peeling has been unnatural and uncomfortable walking operation.

위와 같은 발뒤꿈치의 벗겨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신발 바닥 창(10)의 두께를 슬립 하게 하면, 탄성 복원력이 약하여 휘어짐을 향상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쿠션 작용이 미흡하여 보행 시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Slip the thickness of the shoe sole window 10 in order to eliminate peeling of the heel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weak to improve the bending, but the cushioning action is relatively insufficient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during walking. I can't.

다른 방법으로, 착용 자의 발에 꼭 맞는 신발(12)을 착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신발(12)의 내부 공간이 여유롭지 못하여 보행에 대한 불편함은 물론, 통증이 유발되게 된다.Alternatively, the shoe 12 may be worn to fit the wearer's foot, but in this case, the inner space of the shoe 12 may not be relaxed, causing inconvenience, as well as pain.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보행 동작에 맞추어 구획된 지점에서 쉽게 굽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뒤꿈치가 신발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그와 함께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신발 바닥 창, 그 신발 바닥 창을 구비한 신발창 및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so that it can be easily bent at the point parti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walking operation, so that the heel does not easily come off from the shoe, and comfortable and natural walking with i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sole window, a shoe sole having the shoe sole window, and a shoe so that this can be achiev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서는 발바닥이 직접 맞닿게 되는 안창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과 맞닿게 되는 신발 바닥 창에 있어서, 상기 바닥 창의 저면에는 발앞꿈치 영역과 발뒤꿈치 영역이 경계를 가지고 굽혀질 수 있도록 절개 홈이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신발 바닥 창이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ole of the shoe sol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insole that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bottom of the sole window has a boundary between the heel area and the heel area A shoe sole window is provided in which the incision groove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it can be bent.

또한, 상기 절개 홈은, 발앞꿈치 영역과 발뒤꿈치 영역 사이인 발등 구간에서 바닥 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구조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 incision groove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arranged at least one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window in the instep section between the heel region and the heel region.

또한, 상기에서 절개 홈의 양측은 바닥 창의 측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incision groove in the above it will be preferable to be formed to open to the side of the bottom window.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바닥 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발창 및 그 신발창을 구비하는 신발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 shoe sole comprising a shoe sol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hoe having the sole is provided.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신발 바닥 창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 홈에 의하여 바닥 창이 쉽게 굽혀짐으로써, 보행 동작 시 발뒤꿈치가 신발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ottom window is easily bent by the incision groov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sole window, it can be expected that the heel is not easily peeled off from the shoe during the walking operation.

또한, 위의 효과에 의해 자연스럽고 안정된 보행은 물론, 편안함과 착용감을 한층 느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the above effects can be expected to feel a natural and stable walking, as well as comfort and fi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바닥 창(10)이 구비된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서는 도 3의 신발 바닥 창(10)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provided with a shoe sole window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sole window 10 of FIG.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지면과 맞닿게 되는 신발 바닥 창(10)의 저면에는 절개 홈(30)이 깊이를 가지고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 홈(30)의 양측이 신발 바닥 창(10)의 측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ottom of the shoe sole window 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a cutting groove 30 has a depth, both sides of the cutting groove 30 is the shoe sole window 10 It is formed to open to the side of.

또한, 상기 절개 홈(30)은 발앞꿈치 영역(A)으로부터 발뒤꿈치 영역(B) 사이인 발등 구간(C)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D)과 폭(L)을 가지고 하나 이상 배열된다.In addition, the incision groove 30 is arranged at least one having a distance (D) and a width (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step section (C) between the heel area (A) to the heel area (B).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절개 홈(30)의 양측이 신발 바닥 창(10) 의 측면을 향하여 개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절개 홈(30)이 신발 바닥 창(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면 무방할 것이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it has been described that both sides of the incision groove 30 is open toward the side of the shoe sole window 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e incision groove 30 of the shoe sole window 10 If it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will be fine.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서는 상기 절개 홈(10)간에 간격(D)과, 절개 홈(10)의 폭(L)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안정된 보행과 편안함을 위해 가장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고 신발 바닥 창(10)의 기능과 미끄러짐 및 쿠션 작용에 의한 변형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절개 홈(30) 간의 간격(D)과, 절개 홈(30)의 폭(L)은 각각 달리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interval D between the incision grooves 10 and the width L of the incision grooves 10 are uniformly formed. Most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pace D between the cutting grooves 30 and the width of the cutting grooves 30 ar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shoe sole window 10 and the deformation due to the sliding and cushioning action. L) may be different.

도 5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바닥 창(10)이 구비된 신발(12)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동작 시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In FIG. 5, the state of the walking operation in the state of wearing the shoe 12 provided with the shoe sole window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도면에서 보듯이, 착용 자가 보행 동작 중 발 뒤꿈치가 지면으로부터 들리게 될 때, 발등 구간(C)에서의 휘어짐이 종래와 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신발 바닥 창(10)에 형성되는 각 절개 홈(30)으로 인하여 절개 홈(30)과 신발 바닥 창(10) 사이의 두께가 슬립하고, 그에 따라 탄성 복원력이 약하기 때문에 절개 홈(30)을 중심으로 쉽게 굽혀지게 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heel is lifted from the ground during the walking operation, the bent in the instep (C) is made as in the prior art, wherein each incision groove formed in the shoe sole window ( 30, the thickness between the incision groove 30 and the shoe sole window 10 is slipped, and thu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weak so that it is easily bent around the incision groove 30.

그에 따라, 상기 발등 구간(C)에서 신발 바닥 창(10)이 휘어지는 각도(θ)로부터 굽힘 각도(θ')가 더 형성되어 발뒤꿈치가 신발(12)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Accordingly, a bending angle θ 'is further formed from the angle θ at which the shoe sole window 10 is bent in the instep section C, so that the heel is not easily peeled off from the shoe 12.

즉, 종래에는 보행 동작 시, 신발 바닥 창(10)의 발등 구간(C)에서 휘어짐이 미흡하고, 강한 탄성 복원력으로 인하여 발뒤꿈치가 신발(12)로부터 쉽게 벗겨졌으나, 본 고안은 신발 바닥 창(10)의 발등 구간(C)에서 굽힘 각도(θ')가 더 형성됨 으로써, 발뒤꿈치가 신발(12)로부터 벗겨지지 않게 된다.That is, in the past, when the walking operation, the deflection in the instep section (C) of the shoe sole window 10 is insufficient, the heel is easily peeled off from the shoe 12 due to the strong elastic restoring for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 sole window ( The bend angle θ 'is further formed in the instep section C of 10), so that the heel does not come off from the shoe 12.

위와 같이 보행 시에 발뒤꿈치가 신발(12)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되면, 보행 동작 시 불편함이 없고, 특히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보행 동작이 이루어져 안정된 보행은 물론, 향상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When the heel does not come off easily from the shoe 12 during walking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discomfort during the walking operation, and in particular, a comfortable and natural walking operation is made so that a stable walking as well as an improved fit can be felt.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신발 바닥 창이 구비된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general shoe sole window.

도 2는 도 1의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동작 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walking while wearing the shoe of FIG. 1.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바닥 창이 구비된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provided with a shoe sol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신발 바닥 창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of the shoe sole window of FIG. 3;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바닥 창이 구비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when walking in a state wearing shoes with a shoe sol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신발 바닥 창 12 : 신발10: shoe sole window 12: shoe

14 : 신발창 16 : 안창14: shoe sole 16: insole

18 : 중창 30 : 절개 홈18: midsole 30: incision groove

A : 발앞꿈치 영역 B : 발뒤꿈치 영역A: heel area B: heel area

C : 발등 구간C: Instep section

Claims (5)

발바닥이 직접 맞닿게 되는 안창(16)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과 맞닿게 되는 신발 바닥 창(10)에 있어서,In the shoe sole window 10 which is disposed under the insole 16 where the sole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ground, 상기 신발 바닥 창(10)의 저면에는 발앞꿈치 영역(A)과 발뒤꿈치 영역(C)이 경계를 가지고 굽혀질 수 있도록 절개 홈(30)이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창.Shoe sol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window 10 is formed with a cutting groove 30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heel area (A) and the heel area (C) can be bent with a border.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절개 홈(30)은, 발앞꿈치 영역(A)과 발뒤꿈치 영역(C) 사이인 발등 구간(C)에서 신발 바닥 창(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창. The incision groove 30 is arranged at one or more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hoe sole window 10 in the instep section C between the heel region A and the heel region C. Shoes floor window.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절개 홈(30)의 양측은 신발 바닥 창(10)의 측면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창.Shoe sole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s of the incision groove 30 is formed to open to the side of the shoe sole window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발 바닥 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A shoe sole comprising the shoe sole window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발 바닥 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A shoe comprising a shoe sole window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KR2020070018287U 2007-11-13 2007-11-13 Footwear Out sole Sole of Footwear and Footwear with The Same KR2009000467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287U KR20090004678U (en) 2007-11-13 2007-11-13 Footwear Out sole Sole of Footwear and Footwear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287U KR20090004678U (en) 2007-11-13 2007-11-13 Footwear Out sole Sole of Footwear and Footwear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78U true KR20090004678U (en) 2009-05-18

Family

ID=4129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287U KR20090004678U (en) 2007-11-13 2007-11-13 Footwear Out sole Sole of Footwear and Footwear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678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9925B2 (en) Highly mobile shoes and soles used in them
JP5138682B2 (en) Ergonomic shoe sole suitable for human foot structure and walking
KR100796160B1 (en) Functional shoe insole for high heel
US20070017123A1 (en) Insert for footwear midsole
JP2018153355A (en) Shoe sole structure and shoe using the same
JP2012223321A (en) Insole for high-heeled shoe, and high-heeled shoe
US20070277397A1 (en) Insole
JP5227713B2 (en) Footwear and internal structure
JP5364797B2 (en) Insoles for high heels
JP5441495B2 (en) Footwear pad
WO2008146376A1 (en) Shoe and insole for the same
JP2001057901A (en) Out-sole divided structure of shoe sole
KR200467057Y1 (en) Insole of shoes
JP3222446U (en) Soles and shoes
KR20090004678U (en) Footwear Out sole Sole of Footwear and Footwear with The Same
CN208259166U (en) A kind of footwear sole construction with double high-elastic balance of power cushions
KR101693773B1 (en) The shoes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walking
JP2007268087A (en) Shoe
CN113260272A (en) Shoes with removable sole
KR20100006466U (en) Functional shoe sole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KR102248288B1 (en) Foot Pad With Cupping Device
JP3212989U (en) Shoe having an insole for shoes and a heel provided with the insole
US20220395047A1 (en) Shoe, in particular a bathing sandal
KR200388177Y1 (en) Function-added sole for inner sole of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