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645A - 자동차용 프로펠러가 구비된 휘발성 제제의 확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프로펠러가 구비된 휘발성 제제의 확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645A
KR20090004645A KR1020080063423A KR20080063423A KR20090004645A KR 20090004645 A KR20090004645 A KR 20090004645A KR 1020080063423 A KR1020080063423 A KR 1020080063423A KR 20080063423 A KR20080063423 A KR 20080063423A KR 20090004645 A KR20090004645 A KR 20090004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insert
air
cas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352B1 (ko
Inventor
벵상 푀이야
디디에 루
페트르 도스코실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09000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57Servicing means therefor, e.g. for renewal of sub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65Vaporiz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88Aroma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 공기 유입구(3),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 휘발성 제제(VA1, VA2)가 들어 있는 인서트(7)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새로운 공기의 유입구(4) 및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와 연통하고 있는 확산 챔버(4)를 포함하며 회전축(A)을 따라 인서트(7)를 회전 구동시키는 전기 액츄에이터(12)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동차용의 하나 이상의 휘발성 제제(VA1, VA2)의 확산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케이스(2)에 고정된 추진체(propellant)(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63423
휘발성 제제, 확산 장치, 자동차

Description

자동차용 프로펠러가 구비된 휘발성 제제의 확산 장치{DEVICE FOR DIFFUSION OF VOLATILE AGENTS WITH A PROPELLANT FOR USING IN A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객실내 휘발성 제제의 확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객실의 공기를 처리하고자 할 때, 특히 주위 공기를 방향 처리하고자 할 때, 방향족 제제 확산 장치가 사용되며 이것은 백미러(rear view mirror)와 같은 객실 부품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객실의 공간을 차지하여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는 것과 방향제로서 작용하는 휘발성 제제가 객실내에서 계속적으로 확산된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이러한 장치는 휘발성 제제가 모두 확산되면 새로운 장치로 완전히 교체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비용을 발생시킨다.
계속적인 확산 및 휘발성 제제 확산 장치의 설치에 의하여 발생되는 불편함에 대한 해결 방법은 자동차의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 또는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객실로 공기를 이송시키는 도관 내에 설치되는 확산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확산 장치이다.
그러나,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내부에 확산 장치를 두 는 방법은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작동에 의존적이라는 불편함이 있다. 장치가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휘발성 제제로 처리된 공기의 객실 내 확산은 상기 시스템이 작동 중일 때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확산 장치 내에 함유된 휘발성 제제의 확산은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에서 유래하는 공기 흐름의 분배 조절 및/또는 유량 조절에 의하여 상태 조절된다. 이렇게,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어떤 처리 공기도 객실 내에서 확산되지 않는다.
이 방법의 두번째 단점은 휘발성 제제의 교체이다.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계기판 아래에 위치하므로, 휘발성 제제의 교체는 계기판, 중앙 콘솔과 같은 차량의 복수의 부품을 해체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 사용자가 휘발성 제제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없다.
확산 장치가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으로부터 객실로 공기를 이송하는 도관의 내부에 있을 경우, 환기 시스템과 마주 보고 있는 확산 장치의 종속성에 관한 단점이 언제나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으며, 주위 공기 유입구,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 인서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며 상기 주위 공기 유입구 및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와 연통하고 있는 확산 챔버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를 회전축을 따라 회전 구동시키는 전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케이스 상에 고정된 추진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동차용의 적어도 하나의 휘발성 제제의 확산 장치를 목적으로 한다.
제1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서트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제제 중 하나를 수용하는 적어도 1개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를 매개로 하여 케이스 내에 도입되거나 케이스 밖으로 추출된다.
제2 특징에 따르면, 인서트는 2종 이상의 별개의 휘발성 제제를 포함한다.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 시스템이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두 휘발성 제제 중 하나의 확산 또는 비확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인서트 위치를 선택하고 및/또는 처리된 공기 플럭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처리된 공기의 플럭스의 강도 수준 조절은 케이스의 윈도우에 대하여 인서트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실행된다.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 카트리지는 보유 수단에 의하여 인서트 내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 상세한 설명 및 장점은 도면과 관련하여 실시예로서 이하에 개시된 상세한 설명의 교시에 따르면 더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확산 장치는 이하의 장점을 가진다. 제1 장점은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에 대한 확산 장치의 자율성이다. 따라서, 확산 장치는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작동 상태와 무관하게 단독으로 작동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자율성은 확산 장치가 차량 객실의 어떤 장소에도 설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체적인 주위 공기 유입구, 자체적인 처리 공기 유출구 및 자체적인 추진체를 가지므로,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 내부에 확산 장치를 설치하거나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에 확산 장치를 연결하는 보조 도관을 구현할 필요가 전혀 없다. 따라서, 차량의 객실 내에서 공간 이익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설치가 용이하여, 차량 이용자가 어려움 없이 휘발성 제제를 교체할 수 있도록, 계기판 또는 중앙 콘솔과 같이 차량 이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객실의 부품 중에 배치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확산 장치(1)는 케이스(2), 인서트(7), 2개의 심지(wick)(10, 11)가 배치된 2개의 카트리지(8, 9), 전기 액츄에이터(12), 추진체(13), 스탑퍼(14)를 구비한다.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진 케이스(2)는 확산 챔버(4), 주위 공기 유입구(3) 및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를 포함한다. 주위 공기 유입구(3)는 추진체(13)를 수용한다. 추진체(13)에는 그릴(17) 및 2개의 충격 흡수 장치(15)가 제공되어 있다. 확산 챔버(4)는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를 통하여 인서트(7)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인서트(7)는 회전축(A)을 따라 액츄에이터(12)에 의하여 움직이며, 각각 별개의 휘발성 제제(VA1, VA2)를 함유하는 심지(10, 11)를 넣은 2개의 카트리지(8, 9)가 들어 있다. 마지막으로, 스탑퍼(14)가 케이스(2)의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를 덮는다. 확산 장치(1)의 처리된 공기 흐름(FT)을 배출시킬 수 있기 위하여, 스탑퍼(14) 상에는 복수의 구멍(16)이 배치되어 있다.
"휘발성 물질"이란 공기 흐름 중에 확산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예컨대, 휘발성 제제는 방향 물질, 살균제, 항박테리아제, 항알러지제 또는 향료이다.
도 2a 및 2b에는 확산 장치(1)의 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케이스(2)는 확산 챔버(4)를 형성하는 유일의 부재이며, 이 확산 챔버(4)는 주위 공기 유입구(3) 및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를 구비한다. 케이스(2)는 몰딩에 의하여 일체화된 두 부분, 즉, 중공 콘(hollow cone)(21)[나팔형으로 벌어진 제1 단부가 주위 공기 유입구(3)를 형성함] 및 중공 실린더(22)[인서트(7)의 수용 공간(200)을 규정함]를 포함한다. 더 정확하게는 중공 실린더(22)의 내벽(220)이 수용 공간(200)을 규정한다.
확산 챔버(4)는 주위 공기 유입구(3)를 매개로 하여 추진체(13)에 의하여 추진 이동하는 주위 공기 플럭스(FA)를 수용한다. 상기 추진체(13)는 케이스(2) 상에 고정된다. 추진체(13)는 주위 공기 유입구(3)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릴(17)은 주위 공기 유입구(3) 쪽과 반대쪽에서 추진체(13)를 피복하여 추진체(13)의 작동을 방해하거나 및/또는 주위 공기 유입구(3)를 폐색시킬 수 있는 요인 또는 먼지의 도입을 방지한다. 추진체(13)는 축류형이다. 즉, 흡인되는 주위 공기 플럭스 및 추진체(13)에 의하여 추진되는 주위 공기 플럭스(FA)의 방향이 동일하다. 확산 장치(1) 내에 추진체(13)가 존재한다는 것은 이 확산 장치(1)가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에 대하여 완전히 자율적임을 의미한다. 확산 장치(1)는 작동되어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을 방해하는 일 없이 차량 객실 내에서 적어도 1종의 휘발성 제제(AV1, AV2)를 확산시킬 수 있다. 케이스(2) 내에 추진체(13)를 통합시키는 것에 의한 확산 장치(1)의 독립성은 또한 차량 객실의 어떤 장소에서도 확산 장치(1)를 국소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도 3a 및 3b에서, 케이스(2)는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a의 케이스(2)의 평면도에 따르면, 중공 실린더(22)의 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200)은 중공 콘(21)에 의하여 형성되는 확산 챔버(4)의 일부와 공기 연통된다. 중공 실린더(22)는 회전축(A)을 가진다. "공기 연통"이란 중공 실린더(22)와 중공 콘(21)이 공통 개구부를 가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통은 윈도우(23)에 의하여 확보된다. 따라서, 인서트(7) 내에 들어 있는 심지(10)가 윈도우(23) 맞은 편에 설치되는 경우, 인서트(7) 내에 들어 있는 경우, 휘발성 제제(AV1)는 유리되어 주위 공기 유입구(3)에서 유래하는 주위 공기 플럭스와 혼합된다. 또한, 슬릿(24)이 실린더(22)에 형성되어 처리된 공기의 플럭스(FT)가 스탑퍼(14)를 향하여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슬릿(24)은 주위 공기 유입구(3)와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 사이의 공기 연통을 확보한다. 인서트(7)가 케이스(2) 내에 수용되는 경우, 그 길이(Li)가 중공 실린더(22)의 길이(Lc)보다 작기 때문에 슬릿(24)을 막지 않는다. 케이스(2)는 구멍(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포함하는 받침(25)도 또한 포함한다. 이 받침(25)은 차량의 일부, 예컨대 계기판에 나사를 통하여 케이스(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b에서, 케이스(2)는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루브(groove)(221)는 내벽(220)에 패여 있으며 스탑퍼(14)의 돌출부(143)와 협력하여 고정 수단(MF)을 형성한다. 이러한 그루브(221)는 스탑퍼(14)가 케이스(2) 상에 고정되도록 "L"자를 형성한다. 돌출부(143)는 스탑퍼(14)가 A축을 따라 90°회전했을 때 그루브의 끝에 도달한다. 차량 부품 상에 케이스(2)의 바른 고정을 확보하기 위하여 복수의 받침(25)이 케이스(2) 상에 형성된다. 주위 공기 유입구(3)는 주위 에지(27)를 구비한다. 이 에지(27)는 구멍(28)과 협력하는 나사 및 스템(26)을 매개로 하여 케이스(2)에 고정될 때 추진체(13)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추진체(13)는 스틱 또는 리벳에 의하여 케이스(2)에 고정된다.
도 4에는, 인서트(7)가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인서트(7)는 중공 실린더(70)이다. 이 인서트(7)는 액츄에이터(12)를 매개로 하여 회전축(A)을 따라 케이스(2) 내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실린더(70)는 주위 벽(71), 개방된 제1 사이드(710), 폐쇄된 제2 사이드(711) 및 격벽(partition)(72)을 구비한다. 실린더(70)는 길이(Li)를 가진다. 격벽(72)은 실린더(70)의 전체 길이 상에 연장되며 이 실린더를 각각 카트리지(8, 9)의 수용에 사용되는 2개의 공동(cavity)(73, 74)으로 나 눈다. 각각의 공동(73, 74)은 어떠한 공기 교환 및 특히 휘발성 제제의 교환이 일어날 수 없도록 서로 구분되어 있다. 개방된 제1 사이드(710)는 상응하는 공동(73, 74) 내에 카트리지(8, 9)를 도입할 수 있다. 폐쇄된 제2 사이드(711)는 공동 내에 수용된 카트리지를 유지할 수 있다. 인서트(7)는 또한 주위 벽(71) 안에 형성된 구분된 2 개의 오리피스(75, 76)를 구비한다. 각 오리피스(75, 76)는 공동(73, 74)에 연결되어 있다. 오리피스(75, 76)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서 정반대이다. 두 오리피스(75, 76) 사이에서 주위 벽(71)은 평면이다. 각 오리피스(75, 76)는 실린더(22)의 내벽(220)과 협력하는 연질 가요성 물질로 이루어진 립(77)과 같은 밀봉 수단으로 둘러싸여 있다. 따라서, 2개의 휘발성 제제의 동시 확산이 전혀 불가능하다. 인서트(7)는 또한 정반대의 2 개의 리세스(recess)(78, 79)를 구비한다. 정반대인 2개의 리세스는 카트리지(8, 9)에 편재된 핀(fin)(800)과 협력하여 보유 수단(MR)을 형성한다.
인서트(7)는 각각 별도의 휘발성 제제(AV1, AV2)를 포함하는 심지(10, 11)를 수용하는 2개의 카트리지(8, 9)를 포함한다. 각 카트리지(8, 9)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구조가 동일하다. 따라서, 도 5a를 통해 제1 카트리지(8)만을 도시하기로 하겠다.
제1 카트리지(8)는 케이지(80)로 구성되며, 케이지의 일반적인 형태는 평면도에 따르면 직사각형이다. 케이지(80)는 2개의 길이 방향 측부(81, 82), 2개의 횡방향 측부(83, 84) 및 2 개의 대형 페이스(85, 86)를 포함한다. 제1 횡방향 측부(83)는 개방되어 제1 심지(10)의 도입을 허용한다. 일단 제1 심지(10)가 제1 카 트리지(8)의 제1 공동(73) 내에 삽입되면 이동형 뚜껑(도시되어 있지 않음) 이 제1 횡방향 측부(83) 상에 놓여 이것을 막아 제1 횡방향 측부(83)에 의한 휘발성 제제(AV1)의 전체 확산을 방해한다. 제2 횡방향 측부(84)는 케이지(80) 내에 수용되면 심지(10)를 보유하여 채워진다. 제1 길이 방향 측부(81) 상에는, "L"자형 암이 배치되어 제1 카트리지(8)의 포착 수단(MP)을 구성한다. 이러한 암(810)은 인서트(7)로부터 제1 카트리지(8)를 꺼낼 수 있다. 암(810)에는 핀(800)이 편재되어 있다. 이러한 핀(800)은 제1 카트리지(8)를 수용하는 공동(75)에 연결된 리세스(78)와 협력하여 연결된 공동(73) 내에서 제1 카트리지(8) 보유 수단(MR)을 구성한다. 암(810)은 가요성이므로, 핀(800)은 리세스(78)로부터 분리되어 인서트(7)로부터 제1 카트리지(8)를 추출할 수 있다. 제2 길이 방향 측부(82) 상에는 립(8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립은 인서트(7)의 주위 벽(71)과 협력하여 인서트(7)에 삽입될 때 카트리지(8)를 위치에 유지한다. 따라서, 립(820)은 공동(73) 내 카트리지(8)의 안정화 수단(MS)을 구성한다. 이러한 안정화 수단(MS)은 인서트(7)가 케이스(2) 내에서 회전 변위할 때 카트리지(8)의 변위를 방지한다. 제1 대형 페이스(85)는 가요성 플라스틱 밴드(88)와 같은 밀봉 수단(ME)으로 경계를 이루는 그릴(87)을 형성한다. 그릴(87)은 심지(10)에 함침시킨 휘발성 제제(AV1)를 확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심지(10)를 카트리지(8) 내에 유지할 수 있다. 가요성 플라스틱 밴드(88)는 주위 벽(71)과 협력하여 휘발성 제제(AV1)가 제1 카트리지(8)가 존재하는 공동(73) 내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휘발성 제제(AV1)의 확산은 제1 카트리지(8)를 포함하는 공동(73)의 오리피스(75)에 의해서만 확보된다. 따라서, 두 카트리지(8, 9)를 포함하는 인서트(7)의 내부에서 임의의 휘발성 제제의 혼합이 불가능하다.
도 5b에 도시된 제1 카트리지(8)의 실시 변형예에 따르면, 제2 횡방향 측부(84)는 포착 수단(MP)을 구비한다. 이 경우, 포착 수단(MP)은 손잡이(811)로 형성된다.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손잡이(811)는 홈을 파서 제조된다. 또한, 2개의 길이 방향 측부(81, 82)는 각각 안정화 수단(MS)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카트리지(8)는 유일의 위치를 따라 공동(73) 내에서도 유지된다. 이에 따라 핀(800)은 길이 방향 측부(81, 82)에 편재된다.
도 6a 및 6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탑퍼(14)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유일의 부재이다. 스탑퍼(14)는 원통형 벽(141)을 포함하는 회전축(A)의 중공 실린더(140)이다. 상기 실린더(140)는 측벽(142)에 의하여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다. 스탑퍼(14)는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를 커버한다. 스탑퍼(14)에는 회전축(A)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방향(Dr)을 따라 처리된 공기의 플럭스(FT)를 분배하기 위한 구멍(16)들이 형성된다. 더 정확하게는, 구멍(16)은 중공벽(141) 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스탑퍼(14)에는 유일의 구멍(16)이 제공된다. 이들 구멍의 위치는 제일 먼저 설계 관점상의 이점을 고려한다. 이러한 점에서, 구멍(16)은 스탑퍼(14) 쪽에 위치하므로 승객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두번째로, 이들 구멍(16)의 특정 국소 위치 설정은 차량의 전 객실 내에서 균일한 분포를 의미한다. 계기판과 같은, 차량 객실의 한 부품 내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확산 장치(1)는 계기판의 일반면에 대하여 평행 한 방향을 따라 이들 구멍(16)을 통하여 처리된 공기의 플럭스(FT)를 분배한다. 따라서, 처리된 공기의 플럭스(FT)는 운전자 구역과 같은 객실의 유일한 구역에 직접적으로 도달하지 않지만 차량 객실의 전체 구역 내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러한 균일한 분포는 스탑퍼에 정반대의 2열의 구멍(16)들이 마련될 때 더 개선된다. 돌출부(143)는 케이스(2)의 그루브(221)와 협력하여 스탑퍼(14)가 케이스(2) 상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2) 상에 스탑퍼(14)의 고정은 결정적인 것은 아니다. 실제로, 스탑퍼(14)는 이동할 수 있다. 스탑퍼(14)에 의하여 덮히는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는 또한 카트리지(8, 9)를 확산 장치(1)로부터 추출하는 케이스(2) 부분이므로 고정 수단(MF)은 스탑퍼(14)를 고정 및/또는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도입 또는 추출을 위한 카트리지(8, 9)의 조작이 용이하다. 이하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확산 장치(1)가 차량의 객실 내에 설치될 경우, 스탑퍼(14)가 승객에게 보이는 확산 장치(1)의 유일한 부재이다. 따라서, 스탑퍼(14)가 케이스(2)로부터 탈락되면, 승객에게는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만이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는 승객에게 있어 유일한 확산 장치(1) 접근 지점이며 용이하고 간단하게 카트리지의 인출 또는 도입을 가능하게 한다. 돌출부(143)는 스탑퍼(14)의 실린더 벽(141) 상에 국소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 수단(MF)은 삽입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탑퍼(14)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반대의 2개의 돌출부(143)가 제공된다. 이 경우, 케이스(2)의 내벽(220)은 상응하는 2개의 그루브(221)를 구비한다. 스탑퍼(14)는 확산 장치(1)가 작동될 때 케이스(2)에 대하여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구멍(16)이 정반대의 2개의 열을 따라 배치된다. 도 6a에는 제5 개의 구멍(16)으로 된 제1 열(160)이 실린더 벽(141) 상에 형성된다. 제2 열(161)은 회전축(A)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된다. "열"이란 중심이 회전축(A)을 통과하는 동일한 원 상에 정렬된 적어도 2개의 구멍을 의미한다.
스탑퍼(14)는 처리된 공기의 분배 챔버(1400)를 한정한다. 더 정확하게는 원통형 벽(141) 및 횡방향 벽(142)이 분배 챔버(1400)에 상응하는 부피를 규정한다. 이 분배 챔버(1400)는 구멍(들)(16)에 의하여 구현된 공기 유출구 및 노치(144)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 유입구를 구비한다. 스탑퍼(14)가 케이스(2)에 고정될 때, 이러한 노치(144)는 슬릿(24)과 마주본다. 이 때문에, 노치(144)와 슬릿(24)은 확산 챔버(4) 및 분배 챔버(1400) 사이에서 공기 연통을 확보한다. 이러한 분배 챔버(1400)는 각 카트리지(8, 9)의 포착 수단을 수용한다. 포착 수단이 구멍(16)을 통한 처리된 공기의 플럭스(FT)의 분배 및 배출을 해치지 않기 위하여, 이것은 처리된 공기의 플럭스(FT)의 장애가 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도 5b의 포착 수단의 경우, 손잡이(811)는 홈을 파서 제조된다. 따라서, 이러한 손잡이(811)는 일반적으로 U자형이며 분배 챔버(1400)의 작은 공간을 차지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확산 장치(1)는 인서트(7)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스탑퍼(14)의 탈락을 금지하는 잠금 수단(MV)을 포함한다. 이러한 잠금 수단(MV)은 스탑퍼(14)의 주변 에지(145)와 협력하는 인서트(7)의 개방된 제1 사이드(710) 상에 위치된 후크(700)를 구비한다. 승객이 스탑퍼(14)를 잡아당겨 확산 장치(1)를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비확산 위치 또는 확산 위치 중 하나), 스탑퍼(14)는 후크(700)에 의하여 블록킹된다. 이 후크(700)는 스탑퍼(14)의 주위 에 지(145)를 잡아 당긴다. 스탑퍼(14)를 잠금 해제하기 위하여는 두 단계가 필요하다. 한편으로는, 인서트(7)가 소위 카트리지 교환 위치에 있어야 한다. 이 위치는 인서트(7)가 윈도우(23)를 완전히 막는 비확산 위치에 대하여 10°의 경사에 상응한다. 이러한 카트리지 교환 위치에서, 후크(700)는 스탑퍼가 떨어져 나갈 수 있는 유일한 위치까지 변위된다. 이후, 스탑퍼는 회전하여 그루브(221)의 돌출부(143)를 이끌어 낸다. 이러한 배열에서, 후크(700) 및 주위 에지(145)의 노치가 마주보게 된다. 승객이 스탑퍼(14)를 잡아 당길 때 주위 에지(145)는 더 이상 후크(700)에 의하여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스(2)에 스탑퍼(14)를 고정하거나 잡아 당기기 위하여 인서트(7)는 후크(700)가 주위 에지(145)와 협력하지 않을 수 있도록 특정 위치에 있어야 한다. 각 카트리지에 대하여, 별도의 교환 위치가 존재한다.
확산 장치(1)는 제어 시스템(18)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어 시스템(18)은 전기 액츄에이터(12) 및 추진체(13)를 제어한다. 전기 액츄에이터(12)는 단계별 액츄에이터 유형이다. 확산 장치(1)가 압력하에 놓이면, 제어 시스템은 승객으로 하여금 객실 내에서 확산되는 휘발성 제제(AV1, AV2) 및/또는 처리된 공기 플럭스의 유량과 같은 상이한 매개 변수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제어 시스템(18)의 제어 데이터를 받고, 액츄에이터(12)는 승객이 선택한 휘발성 제제(AV1)가 확산되도록 인서트(7)를 위치 설정한다. 이러한 휘발성 제제(AV1)의 확산은 인서트(7)의 위치에 따라 전체적이거나 부분적일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승객은 선택된 휘발성 제제의 상이한 확산 강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전체" 확산이란 카트리지(8)의 그릴이 완전히 윈도우(23)와 마주보고 있어 주위 공기 플럭스(FA)가 완전히 심지(10)에 충 돌함을 의미한다. "부분" 확산이란 카트리지(8) 그릴(87)의 일부는 중공 실린더(22)의 내벽(220)에 의하여 차폐되고 또다른 일부는 윈도우(23)와 마주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위 공기 플럭스(FA)는 심지(10)의 일부에만 충돌한다. 승객이 제1 휘발성 제제(AV1)에 익숙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12)는 인서트(7)의 위치 및/또는 추진체(13)의 유량을 변경한다. 예컨대, 추진체(13)의 유량은 20초 동안 최대 유량 이어서 40초 동안 최소 유량과 같은 사이클을 따라 작동한다. 또다른 예에서, 인서트(7)는 20초 동안 전체 확산 이어서 40초 동안 부분 확산을 위해 위치 설정된다. 추진체(13)의 유량 조절 및 인서트(7)의 위치의 조합도 역시 한 예이다. 따라서, 처리된 공기의 플럭스는 불연속적으로 객실 내에 확산되며, 이것은 객실 공기 중 휘발성 제제의 존재에 대하여 승객이 익숙해지는 것을 피하게 된다. 휘발성 제제(AV2)의 확산에 강도 조절이 필수적이다. 전기 액츄에이터(12) 및 추진체(13)에 연결된 제어 시스템(18)은 거의 자동적인 확산 장치의 사용을 확보한다. 실제로, 제어 시스템(18)은 확산 장치의 동력 공급, 확산시킬 휘발성 제제의 선택 및 이러한 확산의 강도를 동시에 확보한다. 승객이 장치의 스탑퍼를 잡아당기고 포착 수단을 통하여 교체할 카트리지를 추출해야 하므로 카트리지의 교체만이 수동이라 할 수 있다.
도 7, 2a 및 2b를 참조하여, 확산 장치(1)의 작동 방식을 개시하기로 하겠다. 도 2a에서, 확산 장치(1)는 제1 비확산 위치(P1)에 있다. 주위 벽(71)이 윈도우(23)를 완전히 막도록 액츄에이터(12)에 의하여 인서트(7)가 변위된다. 추진체(13)에 의하여 추진되는 주위 공기 플럭스(FA)는 그 전체 부분에서 주위 벽(71) 과 충돌하여 인서트(7) 내에 수용된 두 심지 중 어떤 것과도 만나지 않는다. 도 2b 및 7에서, 인서트(7)는 제1 오리피스(75)가 윈도우(23)와 마주보도록 위치 설정된다. 이러한 인서트의 위치는 제1 휘발성 제제(AV1)의 제2 확산 위치(P2)에 상응한다. 확산 챔버(4)를 횡단하는 주위 공기 플럭스(FA)는 제1 심지(10)과 충돌하고 휘발성 제제(AV1)로 채워진다. 처리된 공기 플럭스(FT), 즉 휘발성 제제(AV1)를 함유하는 공기 플럭스는 슬릿(24)을 매개로 하여 확산 챔버(4)로부터 배출된다. 슬릿(24)으로부터 배출된 처리된 공기 플럭스(FT)는 스탑퍼(14)에 의하여 형성된 분배 챔버(1400)에 도달한다. 마침내, 처리된 공기 플럭스(FT)는 스탑퍼(14)의 구멍(16)을 관통하여 배출된다. 처리된 공기 플럭스(FT)의 방향(Dr)은 인서트(7)의 회전축(A)에 대하여 방사 방향이다. 스탑퍼(14)는 확산 장치(1)의 작동 동안 변위되지 않는다. 제2 휘발성 제제(AV2)의 확산에 대하여는, 전기 액츄에이터(12)가 제2 심지(11)가 슬릿(24)과 마주보도록 인서트(7)를 회전시킨다.
확산 장치(1)는 적어도 차량 객실의 통풍기(aerator)(Ae)와 협력할 때 휘발성 제제의 분배 작용을 촉진한다. 도 8에는 프레임(C) 및 2개의 통풍기(Ae)를 구비하는 통풍기 지지체(SAe)가 도시되어 있다. 2개의 통풍기(Ae)는 통풍기 지지체(SAe)의 정면(1000)을 포함하는 평면(G)에 그 각각의 출구(S)를 가진다. 통풍기 지지체는 유일의 통풍기(Ae)를 포함할 수 있다. 통풍기 지지체(SAe)는 자동차 계기판의 일부를 이루며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유래하는 공기 플럭스(F)를 객실 내에 전달하는 통풍기(Ae)를 통하여 환기, 난방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과 연관된다. 예컨대, 통풍기 지지체(SAe) 는 계기판의 중앙에 위치되며 두 통풍기 지지체는 자동차의 중앙 통풍기에 상응한다. 확산 장치(1)는 구멍(16)의 출구에서 처리된 공기 플럭스(FT)가 통풍기(Ae)에서나오는 공기 플럭스(F)와 만나도록 통풍기 지지체(SAe) 내에 수용된다. 더 정확하게는, 차량 승객에게 보이는 유일한 확산 장치(1) 구성 부재는 스탑퍼(14)이다. 이 스탑퍼(14)는 평면 G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A)은 자동차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평행하다. 더 정확하게는, 처리된 공기의 순환 방향은 통풍기(Ae)에서 나오는 공기 플럭스(F)의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두 공기 플럭스의 만남은 차량 객실 내에 휘발성 제제(AV1, AV2)의 확산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의미에서, 방사 방향(Dr)을 따른 처리된 공기 플럭스(FT)의 분배는 공기 플럭스(F)와 조합되어 생성 공기 플럭스(FE)을 생성하며 이것은 별도의 복수 방향을 따라 차량의 객실 내에 퍼진다. 따라서, 승객이 휘발성 제제를 감지하는 것이 신속하며 이것은 운전자석 및/또는 차량의 뒷자석과 같은 각 승객의 위치와 무관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산 장치의 파단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확산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탑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산 장치의 간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산 장치를 포함하는 통풍기의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Claims (6)

  1. 주위 공기 유입구(3),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 휘발성 제제(VA1, VA2)가 들어 있는 인서트(7)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새로운 공기의 유입구(4) 및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와 연통하고 있는 확산 챔버(4)를 포함하며 회전축(A)을 따라 인서트(7)를 회전 구동시키는 전기 액츄에이터(12)를 추가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제제(VA1, VA2)의 자동차용 확산 장치(1)로서, 케이스(2)에 고정된 추진체(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확산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7)는 적어도 하나의 휘발성 제제(VA1, VA2) 중에서 하나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8, 9)를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8, 9)는 처리된 공기의 유출구(5)를 매개로 하여 케이스(2)로 도입되거나 또는 케이스(2)로부터 추출되는 것인 자동차용 확산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서트(7)는 적어도 2종의 별개의 휘발성 제제(VA1, VA2)를 포함하는 것인 확산 장치(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18)은 액츄에이터(12)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시스템(18)은 2개의 휘발성 제제(VA1, VA2) 중 하나의 확산 또는 비확산을 위한 하나 이상의 인서트(7) 위치(P1, P2, P3)를 선택하고 및/또는 처리된 공기 플럭스(FT)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인 자동차용 확산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된 공기 플럭스(FT)의 강도 수준 조절은 케이스(2)의 윈도우(23)에 대하여 인서트(7)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액츄에이터(12)에 의하여 실시되는 것인 자동차용 확산 장치(1).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카트리지(8, 9)는 보유 수단(MR)에 의하여 인서트(7) 내에 유지되는 것인 자동차용 확산 장치(1).
KR1020080063423A 2007-07-02 2008-07-01 자동차용 프로펠러가 구비된 휘발성 제제의 확산 장치 KR101547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4763A FR2918316B1 (fr) 2007-07-02 2007-07-02 Dispositif de diffusion d'agent volatil muni d'un pulseur pour vehicule automobile
FR0704763 2007-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45A true KR20090004645A (ko) 2009-01-12
KR101547352B1 KR101547352B1 (ko) 2015-08-25

Family

ID=3938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423A KR101547352B1 (ko) 2007-07-02 2008-07-01 자동차용 프로펠러가 구비된 휘발성 제제의 확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16269B2 (ko)
EP (1) EP2011678B1 (ko)
KR (1) KR101547352B1 (ko)
FR (1) FR29183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860A (ko) * 2009-07-06 2011-01-1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KR101540257B1 (ko) * 2009-07-06 2015-07-2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3155B2 (en) 2013-12-27 2021-03-02 Ravi G. Lal Vapor dispens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5100051A1 (en) * 2013-12-27 2015-07-02 Lal Ravi G Vapor dispensing method and apparatus
FR3026307B1 (fr) * 2014-09-30 2017-11-24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diffusion et cartouche amovible pour ledit dispositif
GB2521929A (en) * 2014-11-21 2015-07-08 Daimler Ag Fragrance diffusing unit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fragrance diffusing unit for a vehicle
DE102015201364B4 (de) * 2015-01-27 2017-04-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duftung eines Innenraums eines Kraftfahrzeuges
GB2542438A (en) * 2015-09-15 2017-03-22 Tata Motors European Technical Ct Plc Scent cartridge and scent cartridge housing
CN212098347U (zh) * 2020-02-20 2020-12-08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车辆内部的香味分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9604A (en) * 1983-03-21 1986-12-16 Donald Spector Multi-aroma cartridge player
US4603030A (en) * 1984-09-20 1986-07-29 Mccarthy Robert E Scent-Emitting Systems
US5178327A (en) * 1991-08-02 1993-01-12 Summit Products, Inc. Air freshener
US5167877A (en) * 1991-12-10 1992-12-01 Pai Wen Chung Air purifier with perfume dispensing control
GB9501065D0 (en) * 1995-01-18 1995-03-08 Kennedy Eng Holding David Air freshener unit and cartridge therefor and method of dispensing air freshening vapour
US5565148A (en) * 1995-03-16 1996-10-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evice for selectively providing a multiplicity of aromas
US5805768A (en) * 1996-07-08 1998-09-08 Bunny Moon Enterprises Aroma therapy diffuser
DK0890365T3 (da) 1997-07-11 2003-07-21 Hts Int Trading Ag Fordampningsdispenser
US6080367A (en) * 1998-11-10 2000-06-27 Lin; Jun-Ru Aromatic container
FR2815294B1 (fr) * 2000-10-17 2003-07-18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hauffage et de climatisation comportant des moyens d'odorisation de l'habitacle d' un vehicule
US7691336B2 (en) * 2000-12-05 2010-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vices and systems for dispensing volatile materials
FR2821022B1 (fr) * 2001-02-16 2003-04-04 Bourbon Automobile Sa Aerateur,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GB0123851D0 (en) * 2001-10-04 2001-11-28 Pankhurst Design & Development Dispersing fragrances
DE60200424T2 (de) * 2002-12-18 2004-09-09 Denso Thermal Systems S.P.A., Poirino Duftspendevorrichtung für einem Luftstrom, der dem Fahrgastraum zugeführt wird
US6932331B1 (en) * 2004-02-18 2005-08-23 Eagle Fan Combination of air refresher and electronic appliance holding device
DE102004017067A1 (de) * 2004-04-07 2005-10-27 Daimlerchrysler Ag Belüft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10713A1 (de) * 2005-03-09 2006-09-14 Tradesetter Ag Vorrichtung zur Abgabe von Duftstoff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860A (ko) * 2009-07-06 2011-01-1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방향제 발생장치
KR101540257B1 (ko) * 2009-07-06 2015-07-2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08470A1 (en) 2009-01-08
KR101547352B1 (ko) 2015-08-25
FR2918316B1 (fr) 2014-06-27
EP2011678A1 (fr) 2009-01-07
EP2011678B1 (fr) 2019-07-03
US8016269B2 (en) 2011-09-13
FR2918316A1 (fr)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4645A (ko) 자동차용 프로펠러가 구비된 휘발성 제제의 확산 장치
US5704832A (en) Air conditioner control assembly
DE19628698C1 (de) Fahrzeugsitz
US6505886B2 (en) Climatized seat with vortex tube
DE19804100C1 (de) Fahrzeugsitz
US9533609B2 (en) Vehicle seat with a ventilating device
EP1195277B1 (en) Perfume diffuser
CN107031350A (zh) 用于车辆的通风孔调风器
JP2005529794A (ja) 自動車用モジュラー暖房および/または空調装置
KR20090126784A (ko) 향기 발산기능을 구비한 차량의 에어벤트
KR20080041587A (ko) 조립 수단을 구비한 공기 처리 장치
DE10056414B4 (de) Belüftete Fußstütze für ein Kraftfahrzeug
KR101645067B1 (ko) 자동세차기의 방향제 분사장치
JP733074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EP1541396A1 (fr) Aérateur de véhicule, notamment d'automobile, comportant un diffuseur de parfum
KR2020012194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52889A (ko) 에어 토출형 자동차 암레스트
KR10149214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070178821A1 (en) Vehicle airflow system
JP2007514606A (ja) 車両の客室用の空調システム
KR20130067553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CN212555757U (zh) 用于车辆的强制通风系统的通风口及车辆
JP2002067680A (ja) 車両用薬剤散布装置
JP2001328421A (ja) 自動車用空調ユニットとステアリングメンバとの組付構造
KR20180036012A (ko) 차량용 시트 통풍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