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644U -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644U
KR20090004644U KR2020070020474U KR20070020474U KR20090004644U KR 20090004644 U KR20090004644 U KR 20090004644U KR 2020070020474 U KR2020070020474 U KR 2020070020474U KR 20070020474 U KR20070020474 U KR 20070020474U KR 20090004644 U KR20090004644 U KR 200900046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angle
adjust
blood pressur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아-치엔 린
천-흥 추
수-첸 쳉
Original Assignee
헬스 앤드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스 앤드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헬스 앤드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70020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644U/ko
Publication of KR20090004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6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대와 윗덮개가 설치된 기기본체를 포함하고, 그 중 받침대에는 추축(pivot)과 이동제한장치가 설치되고, 윗덮개에는 용치공간(containing space)이 설치되며, 상기 용치공간에는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한 면에는 모니터가 설치되며 받침대와 서로 마주보는 또 다른 한 면에는 돌출된 축이 설치되고, 상기 축은 상기 추축 안으로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완성된 혈압계를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뚝에 설치해 혈압을 측정할 때 회전체 한 면에 설치된 모니터의 각도를 적당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나 간호 요원들이 모니터 상의 수치를 편리하게 읽을 수 있게 된다.
혈압계, 추축

Description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SPHYGMOMANOMETER CAPABLE OF ADJUSTING A VIEWING ANGLE OF A DISPLAY SCREEN}
본 고안은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혈압 측정 시 사용자가 임의로 모니터를 가장 적합한 각도로 조정하여 자신이나 혹은 간호 요원들이 모니터 상의 수치를 편리하게 읽을 수 있게 해주는 구조를 제공한다.
심장은 인체에 매우 중요한 기관이며 특히 심장 질병으로 인한 사망이 현대인의 주요 사망 원인 중에 하나가 되고 있다. 이러한 심장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고 신체 건강 상태를 수시로 체크하기 위해 혈압치 및 기타 불규칙적인 맥박(심장박동 불규칙) 등과 같은 생리현상을 측정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재 일반 디지털 혈압계의 혈압치를 표시하는 모니터는 모두 고정식으로 되어 있고, 특히 사용자의 손목을 이용하는 손목형 혈압계는 작고 가벼운 설계로 휴대가 간편하고 측정 시 상의를 벗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점점 더 많은 사용자들이 애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손목형 혈압 계는 사용자의 손목 안 쪽의 중앙에 설치하여 측정을 하는 방식이며 측정이 끝난 후 사용자가 측정된 수치를 직접 확인 할 때 모니터가 손목 내부에 수직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손목을 밖으로 일정 각도로 비틀어야 할 뿐만 아니라 간호 요원들에게 측정한 수치를 확인시킬 때에는 손목을 더욱 더 큰 각도로 비틀어야만 했다. 그 결과 사용자들이 종종 불편을 느끼게 되고 나이가 많은 사용자들은 그 불편함이 더욱 커지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고안인은 상술된 종래의 혈압계가 가진 모니터 상의 혈압치를 확인 시 시야 각도를 확보하지 못해 불편함을 겪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오랜 연구과 반복된 실험을 통해 본 고안인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를 완성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혈압계를 이동하거나 사용자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도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나 간호 요원이 편리하게 측정된 혈압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혈압계 상에 기기본체를 설치하고, 상기 기기본체에는 받침대를 설치한다. 상기 받침대 중앙에 추축을 설치하는 한 편 상기 받침대 상단에는 상기 받침대와 동일한 형상의 윗덮개를 설치하여 서로 일체로 덮힐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윗덮개 내에 가운데가 빈 용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용치공간 내에 회전체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체의 두 면 중 상술된 받침대와 서로 마주보는 면에 돌출된 축을 설치하고, 상기 돌출된 축은 추축 내부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한 편 상기 회전체의 다른 한 면에는 모니터를 설치하고, 상기 모니터에 사용자의 혈압측정치를 표시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구조는 상기 모니터가 축과 추축을 통해 사용자나 간호 요원이 임의로 그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 중에 위치고정 부품을 설치하며, 상기 위치고정 부품의 앞 끝에 첫 번째 위치고정점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 상에는 상기 첫 번째 위치고정점과 서로 대응하는 복수 개의 두 번째 위치고정점을 형성한다. 이렇게 완성된 구조는 상기 회전체가 받침대 상에서 이동할 때 위치를 고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쉽게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과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식을 통해 설명하면 아래의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같다.
본 고안인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는 사용자가 임의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체를 설치하여 사용자나 간호 요원들이 모니터 상의 수치를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도2를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은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에 관한 것으로서, 본 실시 방법에서는 손목형 혈압계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식에 나타난 혈압계에는 압박대(10)가 설치되고, 상기 압박대(10)의 양 끝에는 각각 벨크로테잎(adhesive member)(11)이 설치되며, 상기 벨크로테잎(11)을 이용해 상기 압박대(10)를 피검측자의 손목(도8 참조)에 둥글게 말아 고정시킬 수 있다. 한 편 상기 압박대(10)의 외층에 기기본체(20)가 설치되며, 상기 압박대(10) 내층에 기낭(air puff)(30)이 설치되어 혈압을 측정할 때 공기 주입 및 배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3을 참조해 보면, 상기 기기본체(20) 상에는 받침대(21)가 설치되며, 본 도식에서는 직사각형 케이스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받침대(21) 주변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나사구멍(211)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21) 상에는 추축(22)이 설치되며, 상기 추축(22)의 내부에는 돌기물(221)이 설치되고, 상기 돌기물(221) 주변에는 삽입홈(22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돌기물(221)과 상기 삽입홈(222)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21) 상에 그 형태가 동일한 윗덮개(32)가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직사각형 케이스를 사용하였다. 상기 윗덮개(23) 주변에는 상술된 나사구멍(211)과 서로 대응되는 나사고정기둥(231)이 설치되며, 나사(24)가 상기 나사구멍(211)을 관통해 나사고정기둥(231) 내로 고정되고, 그 결과 상기 받침대(21)와 윗덮개(23)는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기기본체(10)를 형성하게 된다.
도3, 4를 참조해 보면, 상기 윗덮개(23) 내에는 가운데가 빈 용치공간(232)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개구부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용치공간(232) 내에 회전체(4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40) 상에 받침판(41)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41) 의 두 면 중 상술된 받침대(21)와 서로 마주보는 한 면에 돌출된 축(411)과 이동제한 돌기물(412)이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돌출된 축(411)은 가운데가 비어 있는 관형태로 구성 되었고, 상기 이동제한 돌기물(412)은 상기 돌출된 축(411)보다 짧은 막대 형태로 구성 되었다. 또한 상기 받침대(21)와 받침판(41) 사이에는 이동제한 장치(25)가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 동제한 장치(25)를 받침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핀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상기 받침대(21)와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이동제한장치(25) 상에는 상기 돌출된 축(411)과 이동제한 돌기물(412)이 서로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는 이동제한 홈(251)이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호(arc)형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호(arc) 형 이동제한 홈(251)의 중앙은 상기 돌출된 축(411)이 관통하여 상술된 삽입홈(222)과 돌기물(221)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이 가능한 공간 형태로 형성되고(도5 참조), 상기 이동제한 돌기물(412)은 상기 이동제한 홈(251)의 호(arc) 형 내로 삽입되어 상기 호(arc) 형 범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게 제한을 받게 된다. 상기 받침판(41) 상에는 위치고정 부품(42)이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탄력을 가진 핀 형태의 부품을 사용하였다. 상기 위치고정 부품(42)의 앞 끝에는 돌출된 첫 번째 위치고정점(421)이 형성되고, 상기 첫 번째 위치고정점(421)은 상술된 위치고정 장치(25) 상에 설치된 복수 개의 두 번째 위치고정점(252)과 서로 대응 설치되어 상기 첫 번째 위치고정점(421)이 상기 두 번째 위치고정점(252) 상에서 이동될 수 있게 하여 위치고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7 참조)
한 편, 도3, 6, 7을 참조해 보면, 상기 받침판(41) 상에 동일한 형태의 덮개(43)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43)의 일정 위치 상에 최소한 하나의 걸림고리(431)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받침판(41) 주변의 상기 걸림고리(431)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413)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고리(431)가 상기 걸림홈(413) 안으로 걸림 설치된다. 그 결과 상기 덮개(43)와 상기 받침판(41)이 하나로 고정설치된다(도6 참조). 또한 상기 덮개(43) 상에 개공(432)이 설치되고 상기 개공(432) 안으로 모니터(50)가 설치되며, 상기 모니터(50)는 상술된 받침판(41)과 덮개(43) 사이로 삽입되어 설치된다(도4 참조). 또한 상기 모니터는 전기적 선로(도식에는 미표시)를 통해 상술된 받침판(41)을 거쳐 기기본체(10) 중의 전기회로 통제 장치와 전기적 연결을 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제한 장치와 전기회로 통제 장치는 하나로 형성되었다.
위와 같이 완성된 본 고안품 사용에 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2, 8을 참조해 보면, 상기 압박대(10)를 사용자의 손목에 감쌀 때 상기 기기본체(10)가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되고, 상기 압박대(10)의 기낭(30, 공기주머니)에 미리 설정한 압력치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 압력을 가한 후, 천천히 상기 기낭(3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인체의 고/저혈압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고/저혈압 값을 연산과정을 거쳐 모니터(50) 상으로 표시해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하고, 이 때 본 고안품 상의 회전체(40)는 축(411)과 추축(22)을 이용해 상기 기기본체(10) 상에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니터(50)를 자신이 원하는 위치와 각도로 조절하여 더욱 편리하고 정확하게 혈압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도8 참조). 또한 상기 축(42)이 회전할 때 상기 이동제한 돌기물(412)과 이동제한 홈(251)의 제한을 받기 때문에 상기 모니터(50)가 지나친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상기 첫 번째 위치고정점(421)과 두 번째 위치고정점(251)에 의해 상기 회전체(40)는 일정한 위치로만 회전이 되어 쉽게 흔들리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회전체(40) 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게 된다.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고안인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는 그 구조가 쉽고 확실하며 원가 절감 및 효능 증대의 효과를 창출할수 있어 특허 신청 요건에 부합된다고 판단되어 특허를 신청한다.
도1은 종래 기술의 조작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기기본체를 입체적으로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기기본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구조를 나타낸 입체분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회전체와 이동제한장치가 결합했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첫 번째 고정점과 두 번째 고정점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기기본체를 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고안의 사용 시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압박대 11 벨크로테잎(찍찍이)
20 기기본체 21 받침대
211 나사구멍 22 추축
221 돌출된 축 222 삽입부
23 윗덮개 231 나사고정기둥
231 용치공간 24 나사
25 이동제한 장치 251 이동제한 홈
252 두 번째 이동제한점 30 기낭(공기주머니)
40 회전체 41 받침판
411 축 412 이동제한 돌기물
413 걸림홈 42 위치고정 부품
421 첫 번째 위치고정점 43 덮개
431 걸림고리 432 개공
50 모니터

Claims (21)

  1. 추축이 설치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덮개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와 덮개는 하나로 결합되며, 상기 덮개 중에 용치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용치공간에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 상에 축이 설치되며, 상기 축은 상기 추축내로 삽입 설치되어지며;
    상기 회전체 중에 모니터가 설치되어 상기 용치공간 내로 설치되는 특징을 포함한 기기본체가 설치된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본체는 압박대에 감싸여져 압박대에 고정 설치되고 이를 통해 손목이나 팔뚝에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중에는 돌기물이 설치되고, 상기 돌기물은 주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물과 상기 삽입홈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더 나아가 받침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축은 상기 받침판의 두 면 중 상기 받침대와 서로 마주보는 면 위에 상기 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상에 이동제한 돌기물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제한 돌기물은 상기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뻗어 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돌기물은 상기 축보다 짧은 막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상에 위치고정 부품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부품은 탄력을 가진 핀 형태의 부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 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부품의 앞 끝에 첫 번째 고정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상에 이동제한 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제한 장치 상에 이동제한 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장치는 상기 받침대와 일체형으로 성형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장치는 상기 받침대 상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홈은 호(arc)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홈 안으로 축과 이동제한 돌기물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돌기물은 해당 이동제한 홈의 호(arc) 형 범위 내에서만 이동하도록 제한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홈 주변에 복수 개의 두 번째 위치고정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위치고정점은 상기 첫 번째 위치고정점과 서로 대응되며, 상기 첫 번째 위치고정점이 상기 두 번째 위치고정점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 장치 상에 전기회로 통제 장치가 설치되고, 모니터가 전기적 선로를 통해 상기 이동제한 장치와 서로 전기적 연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선로는 전선 혹은 전원 배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주변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나사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와 서로 대응하여 설치되는 윗덮개 상에는 나사고정기둥이 설치되며, 나사는 상기 나사구멍을 통과해 상기 나사고정기둥 내로 삽입 고정되며, 그 결과 상기 받침대와 상기 윗덮개가 일체형으로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상기 윗덮개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모니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혈압계.
KR2020070020474U 2007-11-12 2007-12-21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 KR200900046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474U KR20090004644U (ko) 2007-11-12 2007-12-21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6219062 2007-11-12
KR2020070020474U KR20090004644U (ko) 2007-11-12 2007-12-21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44U true KR20090004644U (ko) 2009-05-15

Family

ID=4129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474U KR20090004644U (ko) 2007-11-12 2007-12-21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64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7016U (ja) 装着型心電検出装置並びに装着型生理機能検出装置
US4724844A (en) Vital sign modular unit
US8499108B2 (en) Configurable health-care equipment apparatus
BR112013012329B1 (pt) Dispositivo de tela para uso em um sistema de monitoramento de paciente e sistema de monitoramento de paciente
KR20180080724A (ko) 환자 편의 지원과 모니터링 장치
US20190076035A1 (en) System for facilitating the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and method of measuring blood pressure utilizing the system
CN104174088A (zh) 手部输液防拔器
CN209033399U (zh) 一种便于收纳的儿科输液手臂固定装置
JP3139756U (ja) ディスプレイ画面角度可調整血圧計
KR20090004644U (ko) 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혈압계
CN113842280B (zh) 一种用于医用护理床的床头抬高角度指示装置
CN209032392U (zh) 心理测试仪
CN203943654U (zh) 一种保持病人呼吸道通畅且可监测胃内容物反流的装置
JP2015228975A (ja) 椅子、制御装置、表示部位置調整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9330816A (zh) 一种具备折叠功能的失眠治疗椅
CN220293791U (zh) 一种胃肠镜检查用床垫
CN210019662U (zh) 一种心胸外科护理用监护仪装置
CN213665218U (zh) 一种妇产科电子脉搏仪
CN213641857U (zh) 一种适用于多种体位的手术室外麻醉气道持续开放装置
CN220158279U (zh) 一种辅助机械臂超声机及检测装置
CN108937913A (zh) 一种儿科护理专用心电监护仪
CN108771589A (zh) 一种儿童骨折康复医疗床
CN213219906U (zh) 一种可搭载手臂的急救科用输液架
CN108937826A (zh) 一种智能儿童开口护舌器
CN215191668U (zh) 一种儿科护理脑电图检查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