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536U -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536U
KR20090004536U KR2020070018091U KR20070018091U KR20090004536U KR 20090004536 U KR20090004536 U KR 20090004536U KR 2020070018091 U KR2020070018091 U KR 2020070018091U KR 20070018091 U KR20070018091 U KR 20070018091U KR 20090004536 U KR20090004536 U KR 200900045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feed
pushbuttons
fram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5499Y1 (ko
Inventor
오광근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메카 filed Critical (주)에이원메카
Priority to KR2020070018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49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4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나 엘시디 제조 분야 특히,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을 생산하는 공정의 에이징(Aging) 및 쿨링(Cooling) 부분에서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표시모듈(LCD, PDP, EL)을 탑재하는 팔레트에 급전을 공급함에 있어서 스파크나 노이즈를 방지하며 급전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급전용 푸시버튼을 갖는 급전장치를 팔레트의 하면에 다수 개가 직교로 배열하여 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정에서 팔레트의 진행방향이 바뀜에 따라 급전을 오프(OFF)시켜야 할 필요 없이 급전이 교차되는 부분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급전을 공급하도록 하여 시스템 운영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표시모듈, 팔레트, 급전 브러쉬, 급전 레일 , 단차.

Description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Pallet adopting an orthogonal lower feeding and transport device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나 엘시디 제조 분야 특히,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을 생산하는 공정의 에이징(Aging) 및 쿨링(Cooling) 부분에서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표시모듈(LCD, PDP, EL)을 탑재하는 팔레트에 급전을 공급함에 있어서 스파크나 노이즈를 방지하며 급전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급전용 푸시버튼을 갖는 급전장치를 팔레트의 하면에 다수 개가 직교로 배열하여 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정에서 팔레트의 진행방향이 바뀜에 따라 급전을 오프(OFF)시켜야 할 필요 없이 급전이 교차되는 부분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급전을 공급하도록 하여 시스템 운영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표시모듈(LCD,PDP,EL)을 생산하는 공정에 있어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은 조립, 검사 등을 위해 복수의 정지위치 사이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고, 이동중인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는 등의 목 적으로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을 탑재하여 이동시키는 팔레트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디스플레이 표시모듈 탑재용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표시모듈 탑재용 팔레트는 디스플레이 표시모듈(50)의 하중을 지탱하는 장방형의 횡단면을 갖는 판 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기립되어 형성된 고정거치대(20)와, 상기 고정거치대(20)와 대향되게 기립 설치되어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표시모듈(50)의 크기에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거치대(40)와, 상기 슬라이딩거치대(40)가 이동하는 거리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축(31) 및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축(32)을 구비한 슬라이딩가이드(30)와, 상기 슬라이딩거치대(40)가 이동가능하게 하는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인가부(미도시), 및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설치되어 탑재된 디스플레이 표시 모듈(101)에 테스트신호를 전달하는 테스트신호전달부(미도시)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표시모듈 탑재용 팔레트는 디스플레이 표시모듈(50)을 생산하는 공정의 에이징(Aging) 및 쿨링(Cooling) 부분에서 컨베어 상의 팔레트가 진행하는 방향에 따라 급전방식이 달라지는데, 즉, 상기 팔레트가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하부에서 급전을 하고 상기 팔레트가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팔레트의 측면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팔레트의 이동설비인 컨베어에 급전 브러쉬를 설치하여 급전을 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급전 방식에서 상기 팔레트가 종방향으로 진행하다가 횡방향으 로 진행방향을 바꿀 경우 급전을 잠시 오프(OFF)해야 함으로써 공정상 시스템의 운영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팔레트의 측면을 이용한 급전을 행하기 위한 급전 설비를 구성하기가 복잡함과 아울러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방향 전환하여 측면 급전에 초기 진입시에 급전 브러쉬가 접촉함에 있어 부딪힘에 의한 파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급전방식인 측면 급전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감전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을 탑재한 팔레트에 대한 측면 급전 방식에 의한 안전사고와, 복잡한 설비 구성, 및 상기 팔레트가 방향 전환하여 측면 급전에 초기 진입시 급전 브러쉬가 접촉함에 있어 부딪힘에 의한 파괴와 같은 문제점 등을 동시에 해결하는 직교 하부 급전 방식을 위한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을 탑재한 팔레트가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의 공정상의 에이징(Aging) 및 쿨링(Cooling) 부분에서 컨베어상의 팔레트가 진행하는 방향의 변화에 대하여 급전을 중단함이 없이 안정적인 급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직교 하부 급전 방식을 위한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는,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을 탑재하는 팔레트에 있어서,
판 모양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면의 일측에 위치하여 기립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의 일측 변과 맞닿아 지지하는 다수 개의 고정지지코인과 일측 하변을 받치는 고정받침대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거치대와; 상기 프레임 상면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여 기립 설치되고 상기 고정 거치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의 다른 일측 변과 맞닿아 지지하는 다수 개의 고정지지코인과 다른 일측 하변을 받치는 슬라이딩 받침대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거치대와;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의 크기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거치대를 상기 고정 거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상면에 이격되게 설치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가이드지지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가이드리미터로 구성된 슬라이딩 가이드와; 상기 슬라이딩받침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거치대를 자동으로 슬라이딩 또는 락(lock)되게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된 급전 공급을 받기 위한 제1 및 제2 급전레일;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전레일 또는 제2 급전레일은 급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오목한 단차를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호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연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전레일은 팔레트의 종방향 진행시에 급전장치로부터 급전을 공급받도록 3개를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레일은 팔레트의 횡방향 진행시에 급전장치로부터 급전을 공급받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면 양쪽에 3개씩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 내부로 전기적 연결이 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과 절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 또는 전자석장치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를 구비한 이송장치는,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와; 상기 팔레트의 제1 및 제2 급전레일에 급전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한 급전장치와; 상기 급전장치를 지지하는 급전지지대; 및 상기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컨베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급전장치는 팔레트의 종방향 진행시에 상기 제1 급전레일의 단차에 접촉하여 급전을 행하도록 3개를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급전장치는 팔레트의 횡방향 진행시에 상기 제2 급전레일의 단차에 접촉하여 급전을 행하도록 3개를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급전장치는, 외부면이 요철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면의 급전레일에 접촉되는 푸시버튼과; 일측은 베어링으로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푸시버튼에 힌지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푸시버튼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상하 이동되는 푸시바와; 상기 푸시버튼 및 푸시바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바의 상하 위치 이동에 대한 완충 및 원복 기능을 하는 스프링; 및 상기 푸시버튼에 연결되어 급전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버튼은 금속 또는 금속도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급전장치는, 외부면이 요철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면의 급전레일에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 푸시버튼과; 일측은 축을 달리하여 베어링으로 각각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각각 상하 이동되는 길이를 동일한 제1 및 제2 푸시바와;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과 제1 및 제2 푸시바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푸시바의 상하 위치 이동에 대한 완충 및 원복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에 각각 연결되어 급전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전원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은 금속 또는 금속도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급전장치는, 외부면이 요철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면의 급전레일에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 푸시버튼과; 일측은 동일 축을 갖는 베어링으로 각각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각각 상하 이동되는 길이를 달리한 제1 및 제2 푸시바와;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과 제1 및 제2 푸시바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푸시바의 상하 위치 이동에 대한 완충 및 원복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에 각각 연결되어 급전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전원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은 금속 또는 금속도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 또는 전자석장치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는 하부에 급전 장치와 접촉하도록 급전레일을 구성함으로써 복잡한 측면 급전 설비 구성을 대폭 간소화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아울러 측면 급전 설비의 감전 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 급전 방식에 있어 급전레일을 직교로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의 에이징(Aging)과 쿨링(Cooling)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을 탑재한 팔레트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에도 급전을 오프(OFF)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급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정상의 시스템 운영에 최적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직교 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는 팔레트(100)와 컨베어(200)로 구성된다.
상기 팔레트(100)는 프레임(110), 고정 거치대(120), 슬라이딩 거치대(130), 슬라이딩 가이드(140), 구동수단(미도시), 제1 급전레일(150), 및 제2 급전레일(160)로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 상술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프레임(110)은 디스플레이 표시모듈(180)의 하중을 지탱하는 것으로, 목재, 합성수지, 금속(알루미늄 등)을 사용하여 블록형태(즉, 내부에 빈 공간이 없는 충진된 형태)로 제작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장방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고정 거치대(120)는 상기 프레임(110) 상면의 일측에 위치하여 기립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18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180)의 일측 변과 맞닿아 지지하는 다수 개의 고정지지코인(122)과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180)의 일측 하변을 받치는 고정받침대(12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거치대(130)는 상기 프레임(110) 상면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여 기립 설치되고, 상기 고정 거치대(120)와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18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180)의 다른 일측 변과 맞닿아 지지하는 다수 개의 고정지지코인(132)과 다른 일측 하변을 받치는 슬라이딩받침대(13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40)는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18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거치대(130)를 상기 고정 거치대(12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10) 상면에 이격되게 설치한 가이드레일(141)과 상기 가이드레일(141)의 양측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41)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가이드지지대(142)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가이드리미터(143)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도면상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슬라이딩받침대(131) 하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41)과 결합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 또는 전자석장치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자석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거치대(130)를 자동으로 슬라이딩 또는 락(lock)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급전레일(150)은 상기 프레임(110)의 하면 중앙에 앞뒤로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팔레트(100)가 종방향으로 진행시에 급전장치(250)를 통하여 급전을 공급받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급전레일(150)은 3개를 구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급전레일(160)은 상기 프레임(110)의 하면의 양측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팔레트(100)가 횡방향으로 진행시에 급전장치(260)을 통하여 급전을 공급받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급전레일(160)의 양측 부분은 상기 제1 급전레일(150)이 있는 부분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 급전레일(160)은 상기 프레임(110)과는 절 연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급전레일(150)과 제2 급전레일(160)은 상호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팔레트(100)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급전레일(150, 160)은 각각 급전장치(250, 260)와 접촉하는 부분을 오목하게 한 단차를 형성하도록 하되 각각 d1과 d2의 높이인 단차를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급전장치(250, 260)와 접촉하는 부분은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리(151, 161)와 같은 전도성 금속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리(151, 161)는 상기 프레임(110)과 절연(152, 162)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연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프레임(110)의 내부에서 종방향의 제1 급전레일(150)과 횡방향의 제2 급전레일(160)이 상호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베어(200)는 급전장치(250, 260), 급전지지대(210), 및 컨베어롤러(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급전장치(250, 260)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급전장치를 구비한 팔레트에 사용되는 급전장치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의 급전장치(300)는 푸시버튼(310), 푸시바(320), 스프링(330), 및 전원와이어(340)로 구성된다.
상기 푸시버튼(310)은 외부면이 요철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하면의 제1 및 제2 급전레일(150, 160)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푸시버튼(210)은 금속 또는 금속도금으로 구성하여 전기적 전도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시바(320)는 일측이 베어링에 의해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푸시버튼(310)에 힌지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푸시버튼(3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팔레트(100)가 이동시 발생하는 요동에 대해서도 항상 급전 가능하게 접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다. 물론, 이와 같은 작용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330)은 상기 푸시버튼(310) 및 푸시바(3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바(320)의 상하 위치 이동에 대한 완충 및 원복 기능을 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원와이어(340)는 상기 푸시버튼(310)에 연결되어 급전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급전장치를 구비한 팔레트에 사용되는 급전장치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의 급전장치(400)는 제1 및 제2 푸시버튼(410, 411), 제1 및 제2 푸시바(420, 421), 제1 및 제2 스프링(430, 431), 및 제1 및 제2 전원와이어(440, 44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410, 411)은 하나의 급전장치(400) 내에 구성되는 것으로, 외부면이 요철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하면의 각 급전레 일(150, 160)마다 각각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푸시바(420, 421)는 일측이 동일한 축을 갖는 베어링으로 각각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410, 411)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410, 411)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각각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되되 각각의 길이를 달리하도록 구성한다. 그 이유는 상기 프레임(110)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 푸시버튼(410, 411)이 엇갈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팔레트(100)가 이동시 발생하는 요동에 대해서뿐 아니라 둘 중 어느 하나가 급전을 하지 못할 경우에도 나머지 하나가 항상 급전 가능하게 접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와 같은 작용은 상기 제1 실시 예의 급전장치(200)처럼 이하의 각 스프링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430, 431)은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410, 411)과 제1 및 제2 푸시바(420,421)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푸시바(420, 421)의 상하 위치 이동에 대한 완충 및 원복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원와이어(440, 441)는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420, 421)에 각각 연결되어 급전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급전장치를 구비한 팔레트에 사용되는 급전장치에 대한 제3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예의 급전장치(500)는 제1 및 제2 푸시버튼(510, 511), 제1 및 제2 푸시바(520, 521), 제1 및 제2 스프링(530, 531), 및 제 1 및 제2 전원와이어(540, 54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510, 511)은 하나의 급전장치(500) 내에 구성되는 것으로, 외부면이 요철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하면에 있는 각 급전레일(150, 160)마다 각각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푸시바(520, 521)는 일측이 축을 달리하여 각각의 베어링에 의해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510, 511)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510, 511)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각각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하되, 각각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구성한다. 그 이유는 상기 프레임(110)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 푸시버튼(510, 511)이 엇갈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팔레트(100)가 이동시 발생하는 요동에 대해서 뿐 아니라 둘 중 어느 하나가 급전을 하지 못할 경우에도 나머지 하나가 항상 급전 가능하게 접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와 같은 작용은 상기 제1 및 제2 실시 예의 급전장치(300, 400)처럼 이하의 각 스프링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530, 531)은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510, 511)과 제1 및 제2 푸시바(520,521)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푸시바(520, 521)의 상하 위치 이동에 대한 완충 및 원복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원와이어(540, 541)는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520, 521)에 각각 연결되어 급전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 표시모듈 탑재용 팔레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사용되는 급전장치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사용되는 급전장치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사용되는 급전장치에 대한 제3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20 : 고정거치대
30 : 슬라이딩가이드 31 : 위치결정축
32 : 가이드축 40 : 슬라이딩거치대
50 : 디스플레이 표시모듈
100 : 팔레트 110 : 프레임
120 : 고정 거치대 121 : 고정받침대
130 : 슬라이딩 거치대 131 : 슬라이딩받침대
122, 132 : 고정지지코인 140 : 슬라이딩 가이드
141 : 가이드레일 142 : 가이드지지대
143 : 가이드리미터 150 : 제1 급전레일
160 : 제2 급전레일 151, 161 : 구리
152, 162 : 절연 180 : 디스플레이 표시모듈
200 : 컨베어 210 : 급전지지대
220 : 컨베어롤러 250, 260 : 급전장치
300, 400, 500 : 급전장치
310 : 푸시버튼 320 : 푸시바
330 : 스프링 340 : 전원와이어
410, 510 : 제1 푸시버튼 411, 511 : 제2 푸시버튼
420, 520 : 제1 푸시바 421, 521 : 제2 푸시바
430, 530 : 제1 스프링 431, 531 : 제2 스프링
440, 540 : 제1 전원와이어 441, 541 : 제2 전원와이어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을 탑재하는 팔레트에 있어서,
    판 모양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면의 일측에 위치하여 기립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의 일측 변과 맞닿아 지지하는 다수 개의 고정지지코인과 일측 하변을 받치는 고정받침대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거치대와;
    상기 프레임 상면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여 기립 설치되고 상기 고정 거치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의 다른 일측 변과 맞닿아 지지하는 다수 개의 고정지지코인과 다른 일측 하변을 받치는 슬라이딩받침대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거치대와;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모듈의 크기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거치대를 상기 고정 거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상면에 이격되게 설치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가이드지지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가이드리미터로 구성된 슬라이딩 가이드와;
    상기 슬라이딩받침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거치대를 자동으로 슬라이딩 또는 락(lock)되게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된 급전 공급을 받기 위한 제1 및 제2 급전레일;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전레일 또는 제2 급전레일은 급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오목한 단차를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호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연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전레일은 팔레트의 종방향 진행시에 급전장치로부터 급전을 공급받도록 3개를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레일은 팔레트의 횡방향 진행시에 급전장치로부터 급전을 공급받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면 양쪽에 3개씩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 내부로 전기적 연결이 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과 절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 또는 전자석장치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의 제1 및 제2 급전레일에 급전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 개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한 급전장치와;
    상기 급전장치를 지지하는 급전지지대; 및
    상기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컨베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를 구비한 이송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장치는 팔레트의 종방향 진행시에 상기 제1 급전레일의 단차에 접촉하여 급전을 행하도록 3개를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를 구비한 이송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장치는 팔레트의 횡방향 진행시에 상기 제2 급전레일의 단차에 접촉하여 급전을 행하도록 3개를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를 구비한 이송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장치는, 외부면이 요철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면의 급전레일에 접촉되는 푸시버튼과;
    일측은 베어링으로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푸시버튼에 힌지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푸시버튼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상하 이동되는 푸시바와;
    상기 푸시버튼 및 푸시바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바의 상하 위치 이동에 대한 완충 및 원복 기능을 하는 스프링; 및
    상기 푸시버튼에 연결되어 급전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를 구비한 이송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은 금속 또는 금속도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를 구비한 이송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장치는, 외부면이 요철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면의 급전레일에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 푸시버튼과;
    일측은 축을 달리하여 베어링으로 각각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각각 상하 이동되는 길이를 동일한 제1 및 제2 푸시바와;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과 제1 및 제2 푸시바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푸시바의 상하 위치 이동에 대한 완충 및 원복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에 각각 연결되어 급전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전원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를 구비한 이송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은 금속 또는 금속도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를 구비한 이송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장치는, 외부면이 요철 돌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면의 급전레일에 각각 접촉되는 제1 및 제2 푸시버튼과;
    일측은 동일 축을 갖는 베어링으로 각각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각각 상하 이동되는 길이를 달리한 제1 및 제2 푸시바와;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과 제1 및 제2 푸시바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푸시바의 상하 위치 이동에 대한 완충 및 원복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에 각각 연결되어 급전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전원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를 구비한 이송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푸시버튼은 금속 또는 금속도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를 구비한 이송장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 또는 전자석장치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를 구비한 이송장치.
KR2020070018091U 2007-11-09 2007-11-09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이송장치 KR200445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091U KR200445499Y1 (ko) 2007-11-09 2007-11-09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091U KR200445499Y1 (ko) 2007-11-09 2007-11-09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536U true KR20090004536U (ko) 2009-05-13
KR200445499Y1 KR200445499Y1 (ko) 2009-08-06

Family

ID=4129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091U KR200445499Y1 (ko) 2007-11-09 2007-11-09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4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3609A (zh) * 2015-10-13 2016-01-20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成品移出机构
CN114408503A (zh) * 2021-12-30 2022-04-29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90°与180°不断电输送装置及方法
CN116413933A (zh) * 2021-12-31 2023-07-11 乐金显示有限公司 时效平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219B1 (ko) 2006-01-18 2007-02-26 주식회사 효광 액정표시장치 탑재용 팔레트
KR100623578B1 (ko) 2006-01-18 2006-09-15 주식회사 효광 액정표시장치 탑재용 팔레트
KR200432956Y1 (ko) 2006-09-16 2006-12-07 (주)에이원메카 급전 푸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3609A (zh) * 2015-10-13 2016-01-20 苏州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成品移出机构
CN114408503A (zh) * 2021-12-30 2022-04-29 苏州精濑光电有限公司 一种90°与180°不断电输送装置及方法
CN116413933A (zh) * 2021-12-31 2023-07-11 乐金显示有限公司 时效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499Y1 (ko)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499Y1 (ko) 직교형의 하부 급전을 적용한 팔레트 및 이를 구비한이송장치
KR102641433B1 (ko) 기판 검사 시스템
EP2372046A1 (en) Vehicle parking device
CN115754534A (zh) 双向老化测试系统
KR20140119603A (ko) 카세트 이송용 수동대차
KR100716118B1 (ko) 정션박스용 버스바 도통검사 장치 및 그 공정
KR20210135546A (ko) 접촉 디바이스, 차량 및 충전 스테이션
KR101549047B1 (ko) 전기철도차량기지의 상하접이식 이동식 전차선 시스템
KR101127404B1 (ko) 가동배리어를 구비한 회로차단기의 크래들장치
KR100773309B1 (ko) 정션박스용 버스바 도통검사 장치 및 그 공정
KR200416163Y1 (ko) 정션박스용 버스바 도통검사 장치
JP2017048652A (ja) 駐車装置
CN101554842B (zh) 一种用于电气化铁路第三轨系统的短路装置
KR101146499B1 (ko) 액정표시모듈 이송장치
JP2002337574A (ja) 非接触給電の給電線敷設構造
CN212043532U (zh) 一种带有定位装置的铜排加工机床
AR025411A1 (es) Una estacion electrica con juego doble de barras y a un aparato de corte y de cambio de via destinado a ser utilizado en esta estacion
CN113036666A (zh) 一种用于电缆安装的辅助设备
CN213602543U (zh) 一种可高效散热的开关电源板
CN219708263U (zh) 一种射频芯片加工设备用输送机构
CN113611554B (zh) 一种双柱式隔离开关装配系统
KR102297724B1 (ko) 헤어핀 와이어 선단의 코팅 제거 시스템
CN219245668U (zh) 双向老化测试系统
CN219957807U (zh) 电池上柜测试辅助装置
US20230154779A1 (en) Parallel transf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