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088U - 곡물 선별기 - Google Patents

곡물 선별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088U
KR20090004088U KR2020090003313U KR20090003313U KR20090004088U KR 20090004088 U KR20090004088 U KR 20090004088U KR 2020090003313 U KR2020090003313 U KR 2020090003313U KR 20090003313 U KR20090003313 U KR 20090003313U KR 20090004088 U KR20090004088 U KR 200900040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porous body
bad
beans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909Y1 (ko
Inventor
손창구
진광식
Original Assignee
손창구
진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구, 진광식 filed Critical 손창구
Priority to KR2020090003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90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0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0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9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07B1/52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 B07B13/11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involving travel of particles over surfaces which separate by centrifugal force or by relative friction between particles and such surfaces, e.g. helical sorters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농작물인 탈곡 된 콩을 정선기를 거치지 않고 호퍼를 통해 회전 드럼형의 선별장치에 투입되어 각각의 선별망을 거치는 과정에 불순물을 정선하고 불필요한 껍질, 먼지, 돌 등은 외부로 배출시키며 반으로 쪼개지거나 상품성으로 가치가 없는 불량콩과 양질의 콩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선별기{The Grain Sorter}
본 고안은 곡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농작물인 탈곡 된 콩을 정선기를 거치지 않고 호퍼를 통해 회전 드럼형의 선별장치에 투입되어 각각의 선별망을 거치는 과정에 불순물을 정선하고 불필요한 껍질, 먼지, 돌 등은 외부로 배출시키며 반으로 쪼개지거나 상품성으로 가치가 없는 불량콩과 양질의 콩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은 농작물의 일종으로서, 다른 농작물과 마찬가지로 수확하여 상품화 하기 위해서는 많은 과정을 거치게 되는 바, 여러 과정에서도 가장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을 요구되는 것은 수확되어진 콩을 선정 및 선별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농가에서는 콩을 수확하기 위해 콩깍지에서 양질의 콩만을 골라 하나 하나 손으로 따서 수확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콩을 선별하는 작업의 번거로움과 비효율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콩을 선별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선별장치는 반테, 조각콩, 불량콩을 선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멍을 가진 망을 사용하고 망을 통과하면서 반테, 조각콩, 불량콩이 구멍을 통해 걸러지도록 하여 상품성이 좋은 콩만이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선별장치는 망속으로 투입된 콩이 망을 통과하면서 불균일하게 분포되거나 투입구 등 특정위치에서 다량으로 적체되어 반테, 조각통, 불량콩 등이 망의 구멍을 통해 걸러지지 못하고 망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구로 배출됨으로서 선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형의 선별 다공체의 내부에 원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격판이 선별 다공체와 일정한 간격의 틈을 형성하여 구비됨으로서 외부에서 투입되는 곡물들이 한꺼번에 이동되지 않고 격판과 선별 다공체의 틈을 통해 소량의 곡물들이 이동되어 선별공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내면상에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어, 선별공을 통해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한 곡물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선별 다공체를 이물질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외부에서 투입된 곡물이 중력에 의해 경사각을 따라 이물질 배출구로 이송되어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전력 낭비를 막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는 곡물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선별 다공체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함으로서 원심력에 의해 외부에서 투입된 곡물이 선별 다공체의 선별공을 통해 상품성이 높은 곡물을 얻을 수 있고 이물질 배출구를 통해 불량콩과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배출 할 수 있는 곡물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선별 다공체의 외부 표면에 브러쉬가 서로 맞닫도록 구비됨으로서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선별 다공체의 내부에 외부에서 투입된 곡물들과 이물질들이 선별공에 밀착되어 끼인 곡물을 밀어 탈거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곡물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선별 다공체의 내부에 곡물 가이드가 구비되어 선별 다공체가 회전할 때 외부에서 선별 다공체의 내부로 투입된 곡물들이 곡물 가이드를 따라 이송됨으로서 곡물들이 선별 다공체의 선별공에서 엉키지 않도록 하며 선별공을 통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호퍼의 내부에 불량콩 이송브러쉬를 구비함으로서 수납호퍼에 떨어진 불량콩을 배출구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곡물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곡물 선별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곡물 선별기는 투입호퍼를 통해 투입된 곡물 중 불량콩과 양질의 콩을 선별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별공을 가지며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별 다공체와, 상기 선별 다공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 다공체의 중심축을 이루는 회전축과, 상기 선별 다공체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상기 선별 다공체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을 형성하여 투입된 곡물이 상기 선별 다공체의 내측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격판과, 상기 선별 다공체를 통해 분리배출된 불량콩을 수납배출하는 불량콩 수납호퍼를 포함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불량콩 수납호퍼는 상기 선별 다공체를 통해 분리배출된 불량콩만을 별도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불량콩 배출구와, 상기 불량콩 배출구로 다량의 불량콩이 배출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브러쉬가 불량콩을 이송시켜주는 불량콩 이송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선별 다공체에 투입된 다량의 곡물들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선별 다공체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곡물 가이드와, 상기 선별 다공체에 투입된 다량의 곡물들과 불량콩 및 이물질들이 상기 선별공에 끼이지 않도록 상기 선별 다공체의 외주면에 맞닿아 구비되는 다공체 브러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격판은 상기 선별 다공체의 내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선별 다공체의 내측면과 양질의 콩의 최대길이만큼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고안은, 원형의 선별 다공체의 내부에 원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격판이 선별 다공체와 일정한 간격의 틈을 형성하여 구비됨으로서 외부에서 투입되는 곡물들이 한꺼번에 이동되지 않고 격판과 선별 다공체의 틈을 통해 소량의 곡물들이 이동되어 선별공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내면상에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어, 선별공을 통해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은, 선별 다공체를 이물질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외부에서 투입된 곡물이 중력에 의해 경사각을 따라 이물질 배출구로 이송되어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전력 낭비를 막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선별 다공체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함으로서 원심력에 의해 외부에서 투입된 곡물이 선별 다공체의 선별공을 통해 상품성이 높은 곡물을 얻을 수 있고 이물질 배출구를 통해 불량콩과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배출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선별 다공체의 외부 표면에 브러쉬가 서로 맞닫도록 구비됨으로서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선별 다공체의 내부에 외부에서 투입된 곡물들과 이물질들이 선별공에 밀착되어 끼인 곡물을 밀어 탈거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선별 다공체의 내부에 곡물 가이드가 구비되어 선별 다공체가 회전할 때 외부에서 선별 다공체의 내부로 투입된 곡물들이 곡물 가이드를 따라 이송됨으로서 곡물들이 선별 다공체의 선별공에서 엉키지 않도록 하며 선별공을 통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은, 수납호퍼의 내부에 불량콩 이송브러쉬를 구비함으로서 수납호퍼에 떨어진 불량콩을 배출구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의 우측면도.
도 3 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 는, 도 2의 B-B선에 따른 선별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의 선별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설명*
100 : 곡물 선별기 1 : 하우징부
11 : 투입호퍼 111 : 곡물 게이지
12 : 프레임 2 : 선별부
21 : 선별 다공체 211 : 선별공
212 : 격판 213 : 곡물 가이드
214 : 회전축 2141 : 종동 스프라켓
2142 : 베어링 215 : 회전축 지지대
22 : 호퍼배출구 23 : 불량콩 수납호퍼
231 : 불량콩 배출구 232 : 불량콩 이송브러쉬
24 : 다공체 브러쉬 3 : 구동부
31 : 구동모터 32 : 구동 스프라켓
33 : 체인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의 우측면도, 도 3 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 는, 도 2의 B-B선에 따른 선별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의 선별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100)는, 하우징부(1)와, 선별부(2)와, 구동부(3)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1)는, 하기에 설명할 선별부(2)와 구동부(3)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일정형상을 가진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형상을 가진 철제의 판재로 구성되며 투입호퍼(11)와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상기 투입호퍼(11)는, 상기 하우징부(1)의 상면 일측면에 설치되며 하기에 설명할 선별 다공체(21)의 일측면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곡물이 투입되고, 상기 투입호퍼(11)의 측면에는 주입되는 곡물의 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곡물게이지(111)가 설치되어 상기 곡물 선별부(100)에 투입되는 곡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투입호퍼(11)와 곡물 게이지(111)의 구성과 작동관계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므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12)은, 상기 하우징부(1)의 일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의 양 끝단의 일단과 타단 사이 내부에 구비되고, 하기에 설명할 선별 다공체(21)를 지지하기 위해 하기 선별 다공체(21)의 양 끝단에 위치되어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2)은 상기 투입호퍼(11)에서 하기에 설명할 호퍼배출구(22)가 구비된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투입호퍼(11)에서 투입된 곡물이 중력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선별부(2)는, 외부에서 상기 투입호퍼(11)를 통해 투입된 곡물을 조각통 및 불량콩과 양질의 콩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기 구동부(3)에 의해 회전하는 선별 다공체(21)와 상기 선별 다공체(21)에서 선별된 곡물을 배출하는 호퍼배출구(22)와 상기 선별 다공체(21)에서 걸러진 조각콩 및 불량콩과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불량콩 수납호퍼(23)와 상기 선별 다공체(21)에 부착된 곡물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체 브러쉬(24)를 포함한다.
상기 선별 다공체(21)는, 일정형상을 가진,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망으로서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외주면을 따라 장방향으로 다수개의 선별공(211)과,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판(212)과,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주면에 장방향으로 구비되는 곡물 가이드(213)와,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하기에 설명할 구동부(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14)과, 상기 회전축(214)과 연결되어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 지지대(215)를 포함한다.
상기 선별공(211)은,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외주면을 따라 장방향으로 형성된 일(一)자형의 장공으로서, 외부에서 상기 투입호퍼(11)을 통해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부로 투입될 때 조각콩 및 불량콩과 양질의 콩에 따라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선별할 수 있도록 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선별공(211)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다.
상기 격판(2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부의 하기에 설명할 회전축(214)상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호퍼(11)을 통해 투입되는 곡물이 상기 격판(212)과 상기 선별 다공체(21) 내주면의 틈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격판(212)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투입호퍼(11)로부터 투입된 콩과 같은 곡물이 한꺼번에 상기 선별 다공체(21)로 유입되어, 상기 선별공(211)으로 효율적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하기에 설명할 호퍼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선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 격판(212)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격판(212)과 선별 다공체(21)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서 곡물을 상기 선별 다공체(21) 내면상에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어, 상기 선별공(211)을 통해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격판(212)과 선별 다공체(21) 간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곡물 가이드(213)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곡물이 외부에서 상기 투입호퍼(11)를 통해 상기 선별 다공체(21)로 투입될 때 다량의 곡물들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곡물 가이드(213)는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주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다수개가 설치됨으로,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회전할 때 상기 곡물 가이드(213)의 운동곡선이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곡물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고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하여 선별효율 더욱 높여주게 된다.
상기 회전축(214)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하우징부(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14)의 일단에서 종동 스프라켓(2141)와 연동되어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부(1)의 내측면에 베어링(2142)에 연결되어 하기에 설명할 구동부(3)의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214)의 길이는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회전할 때 상기 선별 다공체(21)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이면 되고, 하기에 설명할 회전축 지지대(215)를 통해 상기 선별 다공체와 일체가 된다. 한편, 상기 종동 스프라켓(2141)과 베어링(2142)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므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축 지지대(215)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봉이 3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지지대(215)의 일측은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주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 지지대(215)의 타측은 상기 회전축(214)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214)에 전달된 하기에 설명할 구동부(3)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선별 다공체(21)에 전달하여 상기 선별 다공체(21)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호퍼배출구(22)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1) 내측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1)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선별공(211)을 통해 선별된 양질의 콩이 배출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크기의 곡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불량콩 수납호퍼(23)는, 상기 하우징부(1)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투입호퍼(11)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하부측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불량콩 수납호퍼(23)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조각콩 및 불량콩과 이물질들이 배출되는 불량콩 배출구(231)는 상기 하우징부(1)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선별공(211)을 통해 조각콩 및 불량콩과 이물질들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불량콩 이송브러쉬(232)를 포함한다.
상기 불량콩 이송브러쉬(232)는, 바람직하게는 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브러쉬(232)가 회전 축상에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하부측에 나선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착설되며, 상기 브러쉬(232)의 재질은 상기 브러쉬(232)가 회전하면서 상기 선별 다공체(21)에서 선별된 조각콩 및 불량콩과 이물질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을 정도로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브러쉬(232)가 나선형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선별 다공체(21)에서 선별된 조각콩 및 불량콩과 이물질이 상기 불량콩 수납호퍼(23)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다공체 브러쉬(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형상을 가진 바람직하게는 수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진 긴 털로 형성되고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외주면에 맞닫아 구비되며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회전하면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부에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선별공(211)에 끼인 곡물을 밀어 탈거 시킨다.
상기 구동부(3)는, 상기 선별 다공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31)와 구동 스프라켓(32)과 체인(33)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31)는 상기 하우징부(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 다공체(21)와 불량콩 이송프러쉬(232)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 스프라켓(32)은 상기 구동 모터(31)와 연동되게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인(33)은 상기 구동 스프라켓(32), 상기 불량콩 이송브러쉬(232)의 회전축, 상기 종동 스프라켓(214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스프라켓(32)으로부터 상기 종동 스프라켓(2141)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는 상기 선별 다공체(21)와 불량콩 이송브러쉬(23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31)와 구동 스프라켓(32)과 체인(33)의 구성과 작동구조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므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의 작동관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3)에 발생 된 동력이 상기 선별 다공체(2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회전축(214)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14)의 일단에 종동 스프라켓(2141)과 연동되며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부(1)의 내측면에 베어링(2142)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3)의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214)의 길이는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회전할 때 상기 선별 다공체(21)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이면 된다.
상기 하우징부(1)의 상면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일측면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상기 투입호퍼(11)을 통해 곡물이 투입되고 상기 투입호퍼(11)의 측면에는 주입되는 곡물의 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곡물게이지(111)가 설치되어 상기 곡물 선별기(100)에 투입되는 곡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2)은, 상기 하우징부(1)의 일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의 양 끝단의 일단과 타단 사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선별 다공체(21)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양 끝단에 위치되어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2)은 상기 투입호퍼(11)에서 상기 불량콩 수납호퍼(23)가 구비된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투입호퍼(11)에서 투입된 곡물이 중력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외부에서 곡물과 이물질이 상기 투입호퍼(11)를 통해 투입되면, 일정형상을 가진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부로 유입된 곡물과 이물질은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외주면을 따라 장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선별공(211)을 통해 조각콩 및 불량콩과 양질의 콩을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선별할 수 있도록 장방향으로 일(一)자형의 장공으로 형성된 상기 선별공(211)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선별공(211)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부에 곡물 및 이물질이 투입되고 상기 구동력(3)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곡물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격판(212)과,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곡물 가이드(213)가 형성되며, 상기 격판(212)은 상기 투입호퍼(11)을 통해 투입되는 곡물이 상기 격판(212)과 상기 선별다공체(21) 내주면의 틈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격판(212)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투입호퍼(11)로부터 투입된 콩과 같은 곡물이 한꺼번에 상기 선별 다공체(21)로 유입되어, 상기 선별공(211)으로 효율적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상기 불량콩 수납호퍼(23)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선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 격판(212)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격판(212)과 선별 다공체(21)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서 곡물을 상기 선별 다공체(21) 내면상에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어, 상기 선별공(211)을 통해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격판(212)과 선별 다공체(21) 간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물 가이드(213)는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주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다수개가 설치됨으로,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회전할 때 상기 곡물 가이드(213)의 운동곡선이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곡물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고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하여 선별효율 더욱 높여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선별 다공체(21)와 상기 회전축(214)의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원형의 봉이 3각으로 형성된 상기 회전축 지지대(215)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 지지대(215)의 일측은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주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 지지대(215)의 타측은 상기 회전축(214)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214)에 전달된 하기에 설명할 구동부(3)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선별 다공체(21)에 전달하여 상기 선별 다공체(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체 브러쉬(24)에 의해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회전하여 상기 선별 다공체(21)의 내부에 있는 곡물과의 마찰에 의해 선별 다공체(21)의 선별공(211)과 곡물이 밀착되어 끼이지 않도록 한다.
콩이 상기 선별 다공체에 투입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호퍼측(11)의 콩이 적체된 적체량은 크지만 상기 격판(212)과 선별 다공체(21)간의 틈새를 통과하게 되면 그 틈새에 의해 콩의 적체량이 줄어들어 상기 격판(212) 뒤측에서는 적은 적체량으로 균일하게 콩이 분포하게 되어, 상기 선별 다공체(21)가 회전하면, 그 속에 투입된 콩이 함께 회전하고 이로 인해 투입된 콩 속의 반테, 조각콩, 불량콩은 상기 선별공(211)을 통해 상기 불량콩 수납호퍼(23)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출되고, 상기 불량콩 수납호퍼(23)상에 걸러진 콩들은 나선형으로 권취된 상기 불량콩 이송브러쉬(232)에 의해 강제 이송되어 상기 불량콩 배출구(231)로 배출된다. 반면, 걸러진 콩들은 다시 상기 선별 다공체(21)를 따라 이송되고 이송과정에서 상기 격판(212)을 통과하면서 반테, 조각콩, 불량콩 등의 선별과정은 계속 진행함으로서 결국 양질의 콩만이 상기 호퍼배출구(22)에 도달하게 된다.
앞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선별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Claims (3)

  1. 투입호퍼를 통해 투입된 곡물 중 불량콩과 양질의 콩을 선별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별공을 가지며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별 다공체와, 상기 선별 다공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 다공체의 중심축을 이루는 회전축과, 상기 선별 다공체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상기 선별 다공체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을 형성하여 투입된 곡물이 상기 선별 다공체의 내측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격판과, 상기 선별 다공체를 통해 분리배출된 불량콩을 수납배출하는 불량콩 수납호퍼를 포함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불량콩 수납호퍼는 상기 선별 다공체를 통해 분리배출된 불량콩만을 별도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불량콩 배출구와, 상기 불량콩 배출구로 다량의 불량콩이 배출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브러쉬가 불량콩을 이송시켜주는 불량콩 이송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선별 다공체에 투입된 다량의 곡물들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선별 다공체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곡물 가이드와, 상기 선별 다공체에 투입된 다량의 곡물들과 불량콩 및 이물질들이 상기 선별공에 끼이지 않도록 상기 선별 다공체의 외주면에 맞닿아 구비되는 다공체 브러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은
    상기 선별 다공체의 내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선별 다공체의 내측면과 양질의 콩의 최대길이만큼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선별기.
KR2020090003313U 2009-03-23 2009-03-23 곡물 선별기 KR200446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313U KR200446909Y1 (ko) 2009-03-23 2009-03-23 곡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313U KR200446909Y1 (ko) 2009-03-23 2009-03-23 곡물 선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282A Division KR20090014045A (ko) 2007-08-03 2007-08-03 곡물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088U true KR20090004088U (ko) 2009-05-04
KR200446909Y1 KR200446909Y1 (ko) 2009-12-09

Family

ID=4128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313U KR200446909Y1 (ko) 2009-03-23 2009-03-23 곡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9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15B1 (ko) * 2012-05-31 2013-02-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스코 버섯 배지용 톱밥 입도 선별장치
CN115121481A (zh) * 2022-06-14 2022-09-30 扬州市凯耀机械有限公司 一种多级筛选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850B1 (ko) 2014-11-07 2015-11-27 박정애 씨앗 탈망 및 알곡선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261Y1 (ko) * 2003-04-09 2003-08-21 손병익 원통형 홈 스크린 선별장치
KR200427484Y1 (ko) * 2006-04-27 2006-09-27 박동기 콩 선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15B1 (ko) * 2012-05-31 2013-02-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스코 버섯 배지용 톱밥 입도 선별장치
CN115121481A (zh) * 2022-06-14 2022-09-30 扬州市凯耀机械有限公司 一种多级筛选装置
CN115121481B (zh) * 2022-06-14 2023-12-19 扬州市凯耀机械有限公司 一种多级筛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909Y1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4046A (ko) 곡물 선별기
KR200446909Y1 (ko) 곡물 선별기
CN109953355A (zh) 收获后农产品的异物剔除与分选装备
CN111742717A (zh) 种籽脱粒清选装置
KR101238561B1 (ko) 콩 탈곡기용 선별장치
JP2015139436A (ja) 汎用コンバイン
CN110918440B (zh) 粒径拣选装置
KR102113402B1 (ko) 마늘 분류를 위한 원형 선별기용 선별바 마늘 끼임 제거 진동분리유닛
KR20090014045A (ko) 곡물 선별기
KR100639976B1 (ko) 콩 탈곡기
CN110881317A (zh) 一种玉米脱粒装置
KR20220136271A (ko) 곤충 선별 장치
CN107874272B (zh) 一种锤辊仿生式瓜子去壳机器人系统
KR200287400Y1 (ko) 지렁이와 지렁이 알 및 지렁이 분변토 선별장치
JP2015139437A (ja) 汎用コンバイン
CN112568450A (zh) 一种分选剥壳设备
KR200392897Y1 (ko) 콩 탈곡기
CN219593101U (zh) 一种多功能玉米脱粒机
CN106211944B (zh) 一种玉米剥叶设备
JP2014233230A (ja) 脱穀装置
JP4277184B2 (ja) 作物洗浄選別装置
RU2729984C1 (ru)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ая линия очистки и сортировки початков кукурузы
CN114532080B (zh) 烟草种子脱粒装置
CN219617870U (zh) 一种辣椒切段除籽机
CN107211657B (zh) 沙米脱粒机构、脱粒机以及脱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