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085U - 신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발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085U
KR20090004085U KR2020090003200U KR20090003200U KR20090004085U KR 20090004085 U KR20090004085 U KR 20090004085U KR 2020090003200 U KR2020090003200 U KR 2020090003200U KR 20090003200 U KR20090003200 U KR 20090003200U KR 20090004085 U KR20090004085 U KR 200900040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shoe
sole
connecting membe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0014Y1 (ko
Inventor
추앙-추안 첸
Original Assignee
첸 밍-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첸 밍-테 filed Critical 첸 밍-테
Priority to KR2020090003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01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0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16Footwear with soles moulded on to uppers or welded on to uppers without adhesiv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가죽과 구두창의 연결을 돕는 신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측면 등가죽 및 하부 등가죽을 포함하는 등가죽과, 측면 등가죽을 에워싸는 제1 면, 제1 면에 연결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2 면, 제2 면에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3 면, 및 제3 면에 연결되어 안쪽으로 연장된 제4 면을 포함하며 제2 면은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연결 부재와, 연결 부재 및 하부 등가죽을 에워싸는 구두창을 포함하되, 구두창을 형성하는 물질이 연결 부재의 제4 면과 하부 등가죽 사이의 공간, 및 제2 면의 홀에 채워지는 신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Shoe}
본 고안은 신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가죽과 구두창을 연결하는 신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등가죽(110), 다수의 홀(140)을 가진 연결 부재(120), 및 구두창(130)을 포함하는 신발을 제조하는 종래 기술이 예시되어 있다. 연결 부재(120)는 등가죽(110) 상에 꿰매여져 등가죽(110)의 하부를 에워싸기 위해 사용된다. 등가죽(110) 및 연결 부재(120)를 주형 안에 위치시킨 다음, 녹여진 고무를 주형에 부어 구두창(130)을 형성한다. 연결 부재(120)의 홀(140)은 고무로 채워져 등가죽(110)과 구두창(130)의 연결을 돕는다. 하지만, 이로 인한 연결강도는 등가죽(1110)과 구두창(130) 사이에서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등가죽(110)과 구두창(130) 사이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등가죽과 구두창 사이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킨 신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신발은 측면 등가죽 및 하부 등가죽을 포함하는 등가죽과, 상기 측면 등가죽을 에워싸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연결되어 상기 신발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2 면, 상기 제2 면에 연결되어 상기 신발의 윗쪽으로 연장된 제3 면, 및 상기 제3 면에 연결되어 상기 신발의 안쪽으로 연장된 제4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 및 하부 등가죽을 에워싸는 구두창을 포함하되, 상기 구두창을 형성하는 물질이 상기 연결 부재의 제4 면과 상기 하부 등가죽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2 면의 홀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하나의 또는 일부분 또는 모든 특징 및 이점은, 본 고안을 구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모드 중 하나의 예에 의해서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되며 상술되는 후속하는 설명에 의해서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고안이 구현되면,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고, 본 고안의 여러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고 분명한 측면에서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등가죽과 구두창 사이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신발 제조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횡단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신발의 사시도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신발은 측면 등가죽(210)과 하부 등가죽(220)을 포함하는 등가죽(200), 연결 부재(230) 및 구두창(240)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230)는 4개의 면을 포함한다. 제1 면(231)은 측면 등가죽(210)의 하부에 꿰매여져 등가죽(200)을 에워싼다. 제2 면(232)은 제1 면(231)에 연결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면(232)에는 다수의 홀(235)이 형성되어 있다. 제3 면(233)은 제2 면(232)에 연결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면(231)과 제3 면(233)은 서로 평행하며 제2 면(232)에 의해 연결된다. 제4 면(234)은 제3 면(233)에 연결되어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4 면(234)은 다수의 톱니 모양의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면(232)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하부 등가죽(220)과 제4 면(234) 사이에는 공간(gap)이 있다.
등가죽(200) 및 연결 부재(230)는 주형(미도시) 안에 놓여진다. 이후, 고무와 같은 물질이 녹여진 다음에 주형 안에 부어져 구두창(240)을 형성한다. 녹여진 물질이 제2 면(232)의 홀, 및 하부 등가죽(220)과 제4 면(234)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구두창(240)과 등가죽(200)을 연결하는 것을 돕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도는 신발의 횡단면도이다. 제 4면(234)의 횡단면은 다른 면의 횡단면과 동일하지 않다. 이러한 본 도는 신발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제2 면(232)은 횡단면도에서 홀이므로 도시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도는 신발의 사시도이다.
당업자는 도면에 도시되고 앞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상술을 위해 제공되어진 것이다. 이는 본 고안은 일정한 형태 또는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제한적이라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명확하게,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이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는 본 고안의 원리 및 최상의 실용적인 응용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어 설명되어진 것으로, 이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실시예를 위한 그리고 다양한 변형을 가진 본 고안을 특정 용도 또는 예측되는 구현에 적합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을 돕는다. 본 고안의 범주는 청구항 및 이의 동의어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 의도되는데, 여기서 모든 용어는 다른 것을 지칭하지 않는다면 가장 넓게 이해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후속하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설명된 실시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요소 및 구성이 후속하는 청구항에 명확히 인용되는지에 관계없이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의 요소 및 구성은 공개된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

  1. 신발에 있어서,
    측면 등가죽 및 하부 등가죽을 포함하는 등가죽과,
    상기 측면 등가죽을 에워싸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연결되어 상기 신발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2 면, 상기 제2 면에 연결되어 상기 신발의 윗쪽으로 연장된 제3 면, 및 상기 제3 면에 연결되어 상기 신발의 안쪽으로 연장된 제4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 및 하부 등가죽을 에워싸는 구두창을 포함하되,
    상기 구두창을 형성하는 물질이 상기 연결 부재의 제4 면과 상기 하부 등가죽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제2 면의 홀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면은 다수의 톱니 모양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2020090003200U 2009-03-19 2009-03-19 신발 제조 방법 KR200450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200U KR200450014Y1 (ko) 2009-03-19 2009-03-19 신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140135 2006-10-30
KR2020090003200U KR200450014Y1 (ko) 2009-03-19 2009-03-19 신발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456A Division KR20080039208A (ko) 2006-10-30 2007-09-04 신발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085U true KR20090004085U (ko) 2009-04-30
KR200450014Y1 KR200450014Y1 (ko) 2010-09-01

Family

ID=4128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200U KR200450014Y1 (ko) 2009-03-19 2009-03-19 신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014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060A (en) * 1899-05-05 1901-08-20 Frank F Landis Picker for threshing-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014Y1 (ko)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9274B2 (ja) リブ付きアウトソールおよびノッチ入りミッドソールを有する履物物品
US9867427B2 (en) Shoe sole
US9408434B2 (en) Footwear
WO2012125372A3 (en) Footwear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chambers
JP2016516458A5 (ko)
JP2006334400A (ja) 履き物の靴底
JP2003339405A (ja)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
JP3934039B2 (ja) シューズのアウトソール構造
JP5872076B2 (ja) 靴底及びその靴底を有する靴、並びに靴底の製造方法
KR200450014Y1 (ko) 신발 제조 방법
KR20080039208A (ko) 신발 제조 방법
USD592391S1 (en) Footwear cleat with dynamic and static traction elements
JP3114395U (ja) 耐滑性を有する靴表底構造
CN210353443U (zh) 装饰面板及其鞋子
KR101583568B1 (ko) 신발 밑창
JP3153779U (ja) 靴底構造
KR102062802B1 (ko) 쿠션력을 향상시킨 스니커즈 신발
KR200389465Y1 (ko) 신발 안창
KR200418404Y1 (ko) 신발밑창
CA260882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oe
KR100987361B1 (ko) 신발중창 제조방법 및 신발중창
CA2517941A1 (en) Shoes with side panel for connecting outsole
JP3118958U (ja) ヒール部品及びそのヒール部品を用いた靴
CN105831873A (zh) 一种可拆分的鞋子
JP2007325898A (ja) 靴下サンダ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