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039U - 묘삼 채굴장치 - Google Patents

묘삼 채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039U
KR20090004039U KR2020070017369U KR20070017369U KR20090004039U KR 20090004039 U KR20090004039 U KR 20090004039U KR 2020070017369 U KR2020070017369 U KR 2020070017369U KR 20070017369 U KR20070017369 U KR 20070017369U KR 20090004039 U KR20090004039 U KR 200900040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ing
seedling
seedlings
bucke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2020070017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039U/ko
Publication of KR20090004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0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5/00Digging machines with sieve graters but without conveying mechanisms
    • A01D15/04Digging machines with sieve graters but without conveying mechanisms with moving or vibrating g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14Single-platform r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묘삼 채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광막이 설치된 상태에서 묘삼두둑의 일측편에 고정 위치된 묘삼채굴구동부에서 묘삼두둑위에 위치하는 묘삼채굴부를 잡아당기면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묘삼채굴부의 무게중심과 진동을 분산 배치함으로써 묘삼채굴부를 궤도의 이탈없이 효과적으로 진동시켜 묘삼두둑내로부터 채굴된 묘삼이 흙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면서 묘삼두둑위에 살포되어 손쉽게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묘삼채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안내측판(2)을 묘삼두둑의 폭 외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묘삼두둑에 일정깊이로 파묻힌 묘삼채굴판(10)이 묘삼을 채굴하면서 채굴묘삼분산갈퀴(11)가 묘삼두둑위로 분산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부(80)와; 묘삼두둑의 일측편에 버팀버킷(25)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권취롤(21,22)의 구동로프(50)가 상기 안내측판(2)의 걸구멍(2-1)에 연결되어 구동시 상기 권취롤(21,22)에 상기 구동로프(50)가 권취되면서 상기 묘삼채굴부(80)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구동부(20);로 구성되는 묘삼채굴장치에 있어서, 상기 묘삼채굴부(80)는 상기 안내측판(2)의 중앙 상부측과 후방 상부측에 각각 제2지지횡바(6)와 제1지지횡바(4)에 의해 진동엔진(3)과 고정버킷(9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진동엔진(3)의 구동축(81)이 상기 고정버킷(90)을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되면서 그 끝단의 편심웨이트(91)를 편심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채굴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안내측판(2)을 묘삼두둑의 폭 외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묘삼두둑에 일정깊이로 파묻힌 묘삼채굴판(10)이 묘삼을 채굴하면서 채굴묘삼분산갈퀴(11)가 묘삼두둑위로 분산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부(80)와; 묘삼두둑의 일측편에 버팀버킷(25)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권취롤(21,22)의 구동로프(50)가 상기 안내측판(2)의 걸구멍(2-1)에 연결되어 구동시 상기 권취롤(21,22)에 상기 구동로프(50)가 권취되면서 상기 묘삼채굴부(1)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구동부(20);로 구성되는 묘삼채굴장치에 있어서, 상기 묘삼채굴부(80)는 상기 안내측판(2)의 중앙 상부측과 후방 상부측에 각각 제2지지횡바(6)와 제1지지횡바(4)에 의해 진동엔진(3)과 고정버킷(96)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버킷(96)에 종동축(94)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종동축(94)의 양단측에 각각 종동휠(92)과 편심웨이트(95)가 구비되어 상기 진동엔진(3)의 구동휠(82)이 벨트(93)를 통해 상기 종동휠(92)을 구동하면 편심웨이트(91)를 편심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채굴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묘삼, 채굴, 진동

Description

묘삼 채굴장치{DIGGING APPARATUS OF SEEDING GINSENG}
본 고안은 묘삼 채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종 후 일 년 남짓 자란 어린 인삼인 묘삼을 본포로 이식하기 위하여 묘포로부터 효율적으로 채굴하도록 구성되는 묘삼 채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의 재배는 한국에서는 약 16세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한국의 전 지역이 품질좋은 인삼을 재배하는데 적절한 곳이며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와 토양조건이 알맞으며 적절한 강우량과 강설량으로 일찍이 독특하고 전통적인 재배기술에 의해 재배되고 있다.
인삼의 재배방법을 기술한 문헌도 많으며 이러한 문헌으로서는 해동역사, 임원십육지, 증보문헌비고, 구한국삼정국에서 조사한 재래경작법 등이 있는데, 이러한 인삼재배의 가장 큰 특색은 다른 작물과 달리 특이하여 준비기, 묘포기, 본포기로 나누어 재배를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표토가 사양토 또는 식양토이고 심토는 점토질이 다소 많은 식양토로서 토층의 구분이 명료한 곳으로 특히 배수가 잘되는 재배예정지를 선정관리하고, 종자를 특유한 시설에 매장하였다가 식부기 가까이에 개갑관리(開匣管理)를 하는데 이 개갑관리는 수분과 온도를 적절히 하여 건강한 발아를 할 수 있도록 하며 파종할 종자는 파종 2 내지 3일전에 개갑장에서 꺼내어 종자와 같이 섞어서 저장하였던 모래를 어레미로 분리시킨 후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종자만을 골라 건조하지 않도록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였다가 종자소독을 한 후 파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묘포에서 1년간 생장한 묘삼을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에 본포에 이식한 다음 여러 해를 거쳐 재배한 다음 최종 경작 또는 채종을 하게 되고, 이러한 인삼의 재배에 있어서 묘삼의 본포이식을 위해 묘삼을 묘포로부터 손상없이 채굴하여 수집하는 작업이 가장 노동력이 가장 요구되는 과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묘삼 채굴작업은 통상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묘포로부터 묘삼을 채굴하여 수집하게 되고, 이러한 작업은 매우 더디고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작업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실용신안등록 제092861호의 묘삼채굴기는 원동기에 의해 후륜이 구동하게 되면 핸들을 조작하여 묘삼밭의 골을 따라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채굴편은 묘삼이 식재된 두둑에 적당한 깊이(묘삼의 뿌리 깊이 이상)로 파고들어간 상태에서 전진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채굴편에 의해 묘삼이 채굴이 이루어지면 채굴된 묘삼은 채굴편의 경사면을 따라 체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지고, 채굴편을 경유할시 묘삼과 함께 채굴된 일부의 흙은 슬로트를 통하여 두둑으로 낙하된다.
여기서, 진동프레임의 망체로 이송된 묘삼과 흙은 최종적으로 분리되는데, 이때 흙은 망체의 틈을 통해 두둑으로 낙하하게 되지만 묘삼은 후방측으로 이동되 어 두둑 위로 낙하된다.
그러나, 상기 묘삼채굴기는 매우 중대한 구조적 결함을 갖고 있어 실용화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데, 묘삼을 채굴하는 묘포에는 차광막이 씌워져 있고, 이 차광막을 지지하는 지주가 두둑의 골을 따라 세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묘삼채굴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주와 차광막 등을 제거하여골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륜의 통로를 확보하여야 하고, 묘삼의 채굴 후에 다시 차광막을 설치하여야 하는 등 매우 번거롭고 비능률적인 문제를 안고 있어 실용성이 없다.
한편,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7-0097658호에서 종래 묘삼채굴기의 기술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1에 도시된 묘삼채굴장치를 제시한 바 있는데, 상기 묘삼채굴장치는 묘삼두둑의 묘삼을 차광막이 설치된 상태에서 채굴하여 수집이 용이하도록 상기 묘삼두둑위로 노출시키는 묘삼채굴장치에 있어서, 안내측판(2)을 상기 묘삼두둑의 폭 외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상기 묘삼두둑에 일정깊이로 파묻힌 묘삼채굴판(10)이 묘삼을 채굴하면서 채굴묘삼분산갈퀴(11)가 상기 묘삼두둑위로 분산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부(1)와; 상기 묘삼두둑의 일측편에 버팀버킷(25)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권취롤(21,22)의 구동로프(50)가 상기 안내측판(2)의 걸구멍(2-1)에 연결되어 구동시 상기 권취롤(21,22)에 상기 구동로프(50)가 권취되면서 상기 묘삼채굴부(1)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구동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묘삼채굴부(1)는 연결횡바(5)의 상부에 고정 부착되는 진동엔 진(3)이 구동되면서 연결횡바에 통해 묘삼채굴부(1)의 전체를 진동시킴으로써 채굴안내판(9)에 의해 흙속에 일정깊이로 파묻힌 묘삼채굴판(10)에서 묘삼두둑의 묘삼을 채굴하면 흙과 용이하게 분리되는 동시에 채굴묘삼분산갈퀴(11)에서 흙보다 늦게 분산 낙하시켜 묘삼두둑위에 노출시키게 되고, 이로써 묘삼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묘삼채굴부(1)는 그 진동력이 진동엔진(3)의 진동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채굴된 묘삼과 흙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채굴안내판(9)과 묘삼채굴판(10) 그리고 채굴묘삼분산갈퀴(11)를 충분히 진동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진동엔진(3)은 묘삼채굴판(10)의 상부측, 다시 말하면 묘삼채굴부(1)의 후방측에 위치하여 진동과 무게중심을 묘삼채굴부의 후방측에 집중함으로써 묘삼채굴부가 묘삼두둑의 궤도를 벗어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광막이 설치된 상태에서 묘삼두둑의 일측편에 고정 위치된 묘삼채굴구동부에서 묘삼두둑위에 위치하는 묘삼채굴부를 잡아당기면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묘삼채굴부의 무게중심과 진동을 분산 배치함으로써 묘삼채굴부를 궤도의 이탈없이 효과적으로 진동시켜 묘삼두둑내로부터 채굴된 묘삼이 흙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면서 묘삼두둑위에 살포되어 손쉽게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묘삼채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안내측판을 묘삼두둑의 폭 외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묘삼두둑에 일정깊이로 파묻힌 묘삼채굴판이 묘삼을 채굴하면서 채굴묘삼분산갈퀴가 묘삼두둑위로 분산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부와; 묘삼두둑의 일측편에 버팀버킷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권취롤의 구동로프가 상기 안내측판의 걸구멍에 연결되어 구동시 상기 권취롤에 상기 구동로프가 권취되면서 상기 묘삼채굴부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구동부;로 구성되는 묘삼채굴장치에 있어서, 상기 묘삼채굴부는 상기 안내측판의 중앙 상부측과 후방 상부측에 각각 제2지지횡바와 제1지지횡바에 의해 진동엔진과 고정버킷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진동엔진의 구동축이 상기 고정버킷을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되면서 그 끝단의 편심웨이트를 편심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채굴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안내측판을 묘삼두둑의 폭 외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묘삼두둑에 일정깊이로 파묻힌 묘삼채굴판이 묘삼을 채굴하면서 채굴묘삼분산갈퀴가 묘삼두둑위로 분산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부와; 묘삼두둑의 일측편에 버팀버킷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권취롤의 구동로프가 상기 안내측판의 걸구멍에 연결되어 구동시 상기 권취롤에 상기 구동로프가 권취되면서 상기 묘삼채굴부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구동부;로 구성되는 묘삼채굴장치에 있어서, 상기 묘삼채굴부는 상기 안내측판의 중앙 상부측과 후방 상부측에 각각 제2지지횡바와 제1지지횡바에 의해 진동엔진과 고정버킷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버킷에 종동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종동축의 양단측에 각각 종동휠과 편심웨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진동엔진의 구동휠이 벨트를 통해 상기 종동휠을 구동하면 편심웨이트를 편심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채굴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묘삼채굴부가 묘삼채굴과정에서 묘삼두둑의 궤도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진동되어 묘삼두둑내로부터 채굴된 묘삼이 흙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면서 묘삼두둑위에 살포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묘삼채굴장치중 묘삼채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묘삼채굴장치중 묘삼채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묘삼두둑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묘삼밭에 일정깊이로 심어져 있는 묘삼을 채굴하는 묘삼채굴부(80)는 묘삼두둑의 폭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안내측판(2)을 구비하고, 안내측판의 전방측에 전방운반손잡이(8)이 구비되어 있으며, 안내측판의 후방측 상부에 제1지지횡바(4)가 설치되면서 안내측판의 중간측 상부에 제2지지횡바(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안내측판(2)의 후방측 하부에는 묘삼채굴판(10)이 설치되는데, 이 묘삼채굴판은 그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구비되면서 그 전후방측에 각각 채굴안내판(9)과 채굴묘삼분산갈퀴(11)가 연이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채굴안내판(9)은 묘삼채굴판(10)의 전방측에 연이어 연결되어 있고, 묘삼채굴판의 경사각보다 큰 경사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그 전방측이 대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진이동시 흙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흙속을 용이하게 파고들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제2지지횡바(6)의 상부에 고정 부착되는 진동엔진(3)은 묘삼채굴부(80)의 중앙 상부측에 위치하면서 묘삼채굴부의 무게중심을 제공하게 되고, 구동시 제2지지횡바를 통해 묘삼채굴부(1)의 전체를 고르게 진동시키도록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1지지휭바(4)는 채굴안내판(9)과 묘삼채굴판(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안내측판(2)의 후방측 상부에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그 중앙에 고정버킷(90)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때, 진동엔진(3)의 구동축(81)이 고정버킷(90)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있고, 이 구동축(81)의 끝단에 편심웨이트(91)가 편심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진동엔진(3)의 구동축(81)이 회전하게 되면 편심웨이트(91)가 편심 회전되면서 묘삼채굴부(80)의 후방측에 진동을 주게 되고, 특히 채굴안내판(9)과 묘삼채굴판(10) 그리고 채굴묘삼분산갈퀴(11)에 집중적으로 진동을 제공하게 되어 채굴된 묘삼을 흙과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휭바(4)에는 그 중앙에 고정버킷(96)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버킷(96)에는 종동축(94)이 제1지지횡바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종동축(94)에는 그 양단측에 각각 종동휠(92)과 편심웨이트(95)가 구비되어 있고, 진동엔진(3)의 구동휠(82)과 종동휠(92)이 벨트(93)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진동엔진(3)의 구동휠(82)이 회전하게 되면 그 구동력이 벨트(93)에 의해 종동휠(92)에 전달된 후, 종동축(94)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편심웨이트(95)가 편심 회전되면서 묘삼채굴부(80)의 후방측에 진동을 주게 되고, 특히 채굴안내판(9)과 묘삼채굴판(10) 그리고 채굴묘삼분산갈퀴(11)에 집중적으로 진동을 제공하게 되어 채굴된 묘삼을 흙과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실질적인 범위는 상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도1은 종래의 묘삼채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묘삼채굴장치중 묘삼채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묘삼채굴장치중 묘삼채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묘삼채굴부 20: 묘삼채굴구동부 80: 묘삼채굴부

Claims (2)

  1. 안내측판(2)을 묘삼두둑의 폭 외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묘삼두둑에 일정깊이로 파묻힌 묘삼채굴판(10)이 묘삼을 채굴하면서 채굴묘삼분산갈퀴(11)가 묘삼두둑위로 분산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부(80)와; 묘삼두둑의 일측편에 버팀버킷(25)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권취롤(21,22)의 구동로프(50)가 상기 안내측판(2)의 걸구멍(2-1)에 연결되어 구동시 상기 권취롤(21,22)에 상기 구동로프(50)가 권취되면서 상기 묘삼채굴부(80)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구동부(20);로 구성되는 묘삼채굴장치에 있어서,
    상기 묘삼채굴부(80)는 상기 안내측판(2)의 중앙 상부측과 후방 상부측에 각각 제2지지횡바(6)와 제1지지횡바(4)에 의해 진동엔진(3)과 고정버킷(9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진동엔진(3)의 구동축(81)이 상기 고정버킷(90)을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되면서 그 끝단의 편심웨이트(91)를 편심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채굴장치.
  2. 안내측판(2)을 묘삼두둑의 폭 외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시키면 묘삼두둑에 일정깊이로 파묻힌 묘삼채굴판(10)이 묘삼을 채굴하면서 채굴묘삼분산갈퀴(11)가 묘삼두둑위로 분산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부(80)와; 묘삼두둑의 일측편에 버팀버킷(25)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권취롤(21,22)의 구동로프(50)가 상기 안내측판(2)의 걸구멍(2-1)에 연결되어 구동시 상기 권취롤(21,22) 에 상기 구동로프(50)가 권취되면서 상기 묘삼채굴부(1)를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묘삼채굴구동부(20);로 구성되는 묘삼채굴장치에 있어서,
    상기 묘삼채굴부(80)는 상기 안내측판(2)의 중앙 상부측과 후방 상부측에 각각 제2지지횡바(6)와 제1지지횡바(4)에 의해 진동엔진(3)과 고정버킷(96)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버킷(96)에 종동축(94)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종동축(94)의 양단측에 각각 종동휠(92)과 편심웨이트(95)가 구비되어 상기 진동엔진(3)의 구동휠(82)이 벨트(93)를 통해 상기 종동휠(92)을 구동하면 편심웨이트(91)를 편심 회전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삼채굴장치.
KR2020070017369U 2007-10-26 2007-10-26 묘삼 채굴장치 KR200900040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369U KR20090004039U (ko) 2007-10-26 2007-10-26 묘삼 채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369U KR20090004039U (ko) 2007-10-26 2007-10-26 묘삼 채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039U true KR20090004039U (ko) 2009-04-30

Family

ID=4128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369U KR20090004039U (ko) 2007-10-26 2007-10-26 묘삼 채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0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21B1 (ko) * 2013-08-01 2014-12-26 정근화 진동식 굴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21B1 (ko) * 2013-08-01 2014-12-26 정근화 진동식 굴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042785U (zh) 一种宽窄行甘蔗种植机
CN109832074B (zh) 一种喀斯特地区铅锌矿污染地石漠化区域植被恢复的方法
CN204616290U (zh) 捡石机
CN108432373A (zh) 一种新型清杂封土槽及封土机
CN106612826B (zh) 一种开沟施肥机
CN105009777B (zh) 一种振动铲生姜挖掘与生姜三级筛土清洁机构
KR102283662B1 (ko) 뿌리 작물 수확 장치
JPS6181705A (ja) 撹土、播種ベツド仕立てなどのための作業方法及び作業用機械の組合せ
KR20090004039U (ko) 묘삼 채굴장치
CN208863123U (zh) 一种新型清杂封土槽及封土机
CN204697492U (zh) 一种多功能草坪播种装置
KR101908061B1 (ko) 딸기 고설재배용 베드의 배토 및 쇄토장치
KR20130008966A (ko) 고구마 묘순심기 전용 두둑성형기에 설치되는 고구마 묘순 심기장치
CN105532127A (zh) 一种开沟、施肥一体机
JP3124431U (ja) 土中ネット敷設装置
CN102119598B (zh) 一种水稻育秧、起秧机
JP2019122320A (ja) サトウキビ植付け作業機
KR20090032421A (ko) 묘삼 채굴장치
JPH0436104A (ja) 籾殻投入心土改良耕工法並びに該工法用作業機
CN206658487U (zh) 甘草收获机
Haider Pros and Cons of Mechanized Transplanting in Basmati Rice-A Case Study
JP2017205079A (ja) 茎葉処理機
CN111869350A (zh) 一种草莓种植用土壤施肥推平设备
JP3247892B1 (ja) 茶園改良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901827Y (zh) 高效花生收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