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992U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992U
KR20090003992U KR2020070017284U KR20070017284U KR20090003992U KR 20090003992 U KR20090003992 U KR 20090003992U KR 2020070017284 U KR2020070017284 U KR 2020070017284U KR 20070017284 U KR20070017284 U KR 20070017284U KR 20090003992 U KR20090003992 U KR 200900039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an
air conditioner
drive mot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상
최원석
박윤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7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992U/ko
Publication of KR20090003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9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피씨비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고정 구조를 개선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송풍팬과, 송풍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송풍팬과 구동모터를 수용하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팬덕트와, 팬덕트의 흡기구에 장착되어 송풍팬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벨마우스와,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씨비와, 구동모터와 피씨비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팬덕트와 벨마우스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클램프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의 고정 시 별도의 클램프부재가 필요 없이 벨마우스 또는 팬덕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부재로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피씨비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고정 구조를 개선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와 증발기가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는 냉동사이클에서 냉매가 기화 또는 액화될 때 발생하는 기화열 및 액화열을 사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넓은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도록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스탠드형과, 작은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도록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으로 구분된다.
통상의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는 캐비닛과, 이 캐비닛의 전면을 덮는 전면패널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가 마련된다. 본체의 내부에는 이 본체의 내부로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장치와, 송풍장치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가 설치된다.
이때, 송풍장치는 송풍팬과, 이 송풍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 함한다. 구동모터에는 이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피씨비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모터와 피씨비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캐비닛에서 송풍장치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기 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는 팬덕트의 전면에 클램프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구동모터와 피씨비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클램프부재를 추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재료비가 상승되는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클램프부재를 통해 팬덕트의 전면에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하여 팬덕트에 클램프부재의 삽입을 위한 삽입홀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팬덕트에 형성된 삽입홀은 팬덕트에서 풍량 손실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아도 모터와 피씨비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고안은 모터와 피씨비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부재의 설치에 따라 팬덕트에서 발생되는 풍량손실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송풍팬과 상기 구동모터를 수용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팬덕트와, 상기 팬덕트의 흡기구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벨마우스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씨비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피씨비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벨마우스와 상기 팬덕트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클램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부재는 그 고정단이 상기 벨마우스 또는 상기 팬덕트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와, 상기 와이어 고정부로 상기 와이어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고정부의 자유단으 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 당겨 상기 와이어 고정부로 상기 와이어의 삽입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의 고정단에는 상기 손잡이부를 통한 상기 와이어의 고정 또는 이탈 시 상기 고정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손상방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의 자유단은 상기 와이어의 삽입 및 이탈 시 상기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벨마우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부재를 통해 송풍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피씨비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팬덕트의 풍량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풍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 도 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이 개방되는 캐비닛(10)과, 이 캐비닛(10)의 전방 구체적으로, 캐비닛(10)의 개방된 전면 전체에 걸쳐 배치되는 전면패널(20)이 마련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이때, 캐비닛(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전면 전체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이 캐비닛(10)의 하부 후면 또는 측면에는 이 캐비닛(10)의 내부로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닛(10)의 내측 하부에는 공기 흡입구를 통해 캐비닛(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송풍을 위한 송풍장치(40)가 설치되고, 내측 상부에는 송풍장치(40)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열교환기(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열교환기(30)는 송풍장치(4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마련되고, 캐비닛(10)의 내측 상부공간을 구획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전면패널(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전방에 배치되는데, 캐비닛(10)의 개방된 전면 전체 즉, 열교환기(30)가 설치된 상부와 송풍장치(40)가 설치된 하부 전체를 덮도록 마련된다.
한편,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에서 송풍장치(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송풍장치(40)는 송풍팬(41)과, 이 송풍팬(4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3)와, 송풍팬(41)과 구동모터(43)를 수용하는 팬덕트(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송풍팬(41)은 통상 원심형 송풍팬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47) 내부로 캐비닛(10)으로 흡입된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터(43)는 송풍팬(41)의 후면에 결합되어 이 송풍팬(4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팬덕트(47)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송풍팬(41)과 구동모터(43)를 수용하게 되며, 송풍팬(41)의 구동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여 열교환기(30) 측으로 배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팬덕트(47)에는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캐비닛(10)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47a)와, 이 팬덕트(47)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기(30) 측으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구(47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팬덕트(47)의 흡기구(47a)에는 송풍팬(41)으로 원활히 캐비닛(10) 내부의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통상 벨마우스(55)라 불리는 흡입안내부재가 장착된다.
팬덕트(47)의 후방에는 이 팬덕트(47) 내에 수용되어 있는 구동모터(43)가 캐비닛(10)의 내측 후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모터브래킷(45)이 마련된다. 여기서, 모터브래킷(45)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캐비닛(10)의 내측 후면에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의 따른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40)에는 구동모터(43)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피씨비(51)와, 이 피씨비(51)와 구동모터(43)를 연결하는 와이어(53)가 장착된다. 여기서, 피씨비(51)는 기본적으로 캐비닛(10)의 내부에 장착되는데, 캐비닛(10)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덕트(47)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와이어(5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씨비(51)와 구동모터(43)의 사이를 연결하여 구동모터(43)로 피씨비(51)의 전기적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와이어(53)는 벨마우스(55)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클램프부재(60)를 통해 벨마우스(55)의 외측을 따라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 클램프부재(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마우스(55)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 고정부(61)와, 이 와이어 고정부(61)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원활히 와이어 고정부(61)로 와이어(53)를 삽입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와이어 고정부(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 와 같은 벤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와이어 고정부(61)의 일단 즉, 고정단(61a)은 벨마우스(55)의 외측에 연결되어 있어 이 와이어 고정부(61)가 벨마우스(55)와 일체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또, 와이어 고정부(61)의 고정단(61a)에는 이 와이어 고정부(61)로 잦은 와이어(53)의 삽입 및 이탈 시 벨마우스(55)의 외측과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단(61a)을 보강하는 손상방지리브(6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의 손상방지리브(65)는 와이어 고정부(61)의 고정단(61a)으로부터 벨마우스(55) 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손잡이부(6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고정부(61)로부터 연장되는데 구체적으로, 와이어 고정부(61)의 타단 즉, 와이어 고정부의 자유단(61b)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때의 손잡이부(63)는 사용자가 이 손잡이부(63)를 잡아 당겨 이 손잡이 부(63)로부터 와이어 고정부(61)로 와이어(53)를 삽입 및 이탈시키게 되는데, 와이어 고정부(61)로 용이하게 와이어(53)를 삽입 및 이탈시키기 위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손잡이부(63)는 사용자가 이 손잡이부(63)를 용이하게 잡아 당길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와이어 고정부(61)와 손잡이부(63)가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부의 자유단(61b)에는 와이어(53)의 삽입 및 이탈 시 이 자유단(61b)에 의해 와이어(5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3)와 피씨비(51)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53)는 팬덕트(47)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클램프부재(60')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즉, 팬덕트(47)의 제조 시 클램프부재(60')와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클램프부재(60')는 상술한 제1실시예 즉, 벨마우스(55)와 일체로 형성되는 클램프부재(60)와 그 구성요소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송풍팬(41)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3)와, 이 구동모터(43)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씨비(51)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53)를 고정시키기 위해 팬덕트에 별도의 클램프부재가 마련된 종래와는 달리 벨마우스(55) 또는 팬덕트(47)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클램프부재(60)(60')가 마련된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클램프부재가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에서는 팬덕트에 별도의 클램프부재를 삽입하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와는 달리 벨마우스(55) 또는 팬덕트(47)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클램프부재(60)(60')를 이용함으로써, 팬덕트(47)의 풍량 손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와이어 고정부(61)로부터 연장된 손잡이부(63)를 잡아 당겨 용이하게 와이어(53)를 와이어 고정부(61)에 삽입 및 이탈시킬 수 있게 되며, 와이어 고정부(61)에 마련된 손상방지리브(65)에 의해 잦은 와이어(53)의 삽입 및 이탈로 인해 클램프부재(6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풍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송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닛 20 : 전면패널
30 : 열교환기 40 : 송풍장치
41 : 송풍팬 43 : 구동모터
47 : 팬덕트 51 : 피씨비
53 : 와이어 55 : 벨마우스
60, 60': 클램프부재 61 : 와이어 고정부
63 : 손잡이부 65 : 손상방지리브

Claims (5)

  1.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송풍팬과 상기 구동모터를 수용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팬덕트와,
    상기 팬덕트의 흡기구에 장착되어 상기 송풍팬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벨마우스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씨비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피씨비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팬덕트와 상기 벨마우스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는 클램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는 그 고정단이 상기 벨마우스 또는 상기 팬덕트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와, 상기 와이어 고정부로 상기 와이어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 고정부의 자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 당겨 상기 와이어 고정부로 상기 와이어의 삽입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의 고정단에는 상기 손잡이부를 통한 상기 와이어의 고정 또는 이탈 시 상기 고정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손상방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의 자유단은 상기 와이어의 삽입 및 이탈 시 상기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2020070017284U 2007-10-25 2007-10-25 공기조화기 KR200900039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284U KR20090003992U (ko) 2007-10-25 2007-10-2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284U KR20090003992U (ko) 2007-10-25 2007-10-2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92U true KR20090003992U (ko) 2009-04-29

Family

ID=4128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284U KR20090003992U (ko) 2007-10-25 2007-10-2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99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0458A (zh) * 2017-03-01 2017-06-20 重庆市耕爵环保科技有限公司 空气净化设备的风机安装导流组件
CN108775643A (zh) * 2018-07-11 2018-11-09 安徽贝昂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用螺旋进气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0458A (zh) * 2017-03-01 2017-06-20 重庆市耕爵环保科技有限公司 空气净化设备的风机安装导流组件
CN106870458B (zh) * 2017-03-01 2019-11-19 重庆耕爵科技有限公司 空气净化设备的风机安装导流组件
CN108775643A (zh) * 2018-07-11 2018-11-09 安徽贝昂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用螺旋进气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4320B2 (en) Indoor device of air conditioner
KR101640411B1 (ko) 공기조화기
US8272229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box assembly
JP2004037068A (ja) キムチ冷蔵庫
US20070044496A1 (en) Monolithic air conditioner
KR10112331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90003992U (ko) 공기조화기
KR100776260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76031A (ko)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4001587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구조
JP2018119713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442361Y1 (ko) 공기조화기
JP3855143B2 (ja) 冷蔵庫
KR100656166B1 (ko)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
KR20090001591U (ko) 공기조화기
KR101202872B1 (ko) 냉장고의 기계실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100469655B1 (ko) 산소발생기를 갖춘 공기조화기
JP3850980B2 (ja) 冷却貯蔵庫
JPS5848504Y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ツト
KR100792060B1 (ko) 공기조화기의 연결배관 설치구조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JP2023178729A (ja) 冷却貯蔵庫
KR100416704B1 (ko) 직출형/덕트형 겸용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00360434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