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934U -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 Google Patents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934U
KR20090003934U KR2020070017188U KR20070017188U KR20090003934U KR 20090003934 U KR20090003934 U KR 20090003934U KR 2020070017188 U KR2020070017188 U KR 2020070017188U KR 20070017188 U KR20070017188 U KR 20070017188U KR 20090003934 U KR20090003934 U KR 200900039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member
socket
lamp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완
Original Assignee
동도조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도조명(주) filed Critical 동도조명(주)
Priority to KR2020070017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934U/ko
Publication of KR200900039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9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 또는 사무실이나 관공서 등의 실내 천정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조명등에 있어 안정기 등이 내장된 형태의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에 사용되는 커버장식구에 대한 것으로, 특히 실내로 노출되는 천정조명등의 소켓과 램프 단부의 체결부에 별도로 조립되는 커버장식구를 결합하여 이를 은폐시킴으로써,
소켓에 형성된 단자 삽입구의 내측으로 분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다양한 재질 및 색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한 커버장식구는 실내로 노출되는 형태의 슬림타입 조명등을 보다 미려하고 고급스럽게 보여질 수 있게 하는 것이며, 다양한 형태 및 표면의 도금층은 천정조명등에 더욱 뛰어난 장식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슬림, 천정, 조명등, 커버장식구, 탄성편, 소켓, 램프

Description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Cover ornament for capping slim type ceiling light}
본 고안은 가정 또는 사무실이나 관공서 등의 실내 천정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조명등에 있어 안정기 등이 내장된 형태의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에 사용되는 커버장식구에 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커버장식구를 구비하여 이를 천정조명등의 소켓과 램프 단부의 결합부에 탄성 체결되게 하여 이들 결합부를 은폐시켜 각종 이물질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면서도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하므로 더욱 고급스러운 외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혹은 사무실이나 관공서 등의 실내 천정에는 그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설치되는 것인데, 이와 같은 천정조명등은 다양한 형태 및 구조와 디자인을 갖고 제작된다.
이와 같은 천정조명등은 기본적으로 천정에 부착 설치되기 위한 본체와 그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조명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인데, 상기한 본체의 하부 저면 에는 안정기와 램프 및 그 램프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소켓이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램프가 실내로 직접 노출된 형태의 슬림타입의 천정조명등이 널리 쓰이는데 이와 같은 슬림타입의 천정조명등은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비교적 저렴한 제작원가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램프의 교환이 용이하고, 단일 면적의 천정에 대하여 대량의 천정조명등을 연속하여 설치할 수 있어 더욱 높은 광량을 요구하는 실내에 적용하는데에 상당한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은 압출 생산되는 본체의 내부에 안정기 등이 내장되고, 그 본체의 양단에는 램프를 결합할 수 있게 된 소켓이 직접 노출 결합되는 것으로서, 양단의 소켓을 이용하여 슬림 형태의 형광등을 직접 노출 결합시켜 천정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슬림타입의 천정조명등은 안정기가 내장된 본체 및 양단의 소켓은 물론 그 램프 전체가 실내로 그대로 노출되므로 소켓과 램프의 결합 단부가 외관상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램프를 소켓에 직접 결합하는 형태이므로 소켓에 형성된 단자 삽입구와 램프 단부의 밀봉부 역시 실내를 향하여 그대로 노출되는 것이다.
특히, 외부로 노출되는 소켓에는 램프의 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단자 삽입구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단자 삽입구로는 실내에서 부유하는 분진 등의 다양한 이물질이 쌓이거나 누적되므로 이들에 의한 부식이나 미약한 전력 손실이 발생하면서도 외관상으로도 상기한 이물질에 의해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전원선과 연결되면서도 램프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품의 특성상 소켓은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것인데,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소켓은 색상이나 질감의 표현이 다양하지 못하므로 실내 인테리어를 중시하는 근자의 추세와 잘 부합하지 못하므로 불합리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슬림타입으로 된 천정조명등의 소켓과 램프 결합부에 체결되는 탄력편 형태로 된 별도의 커버장식구를 구비함으로써, 천정조명등의 양측단에 간편하게 그 커버장식구를 결합시켜 상기한 커버장식구를 통해 소켓과 램프의 결합 단부를 은폐시킬 수 있어 소켓의 단자 삽입구의 오염 및 외관을 해치는 등 종래의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이 갖고 있는 제반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는, 실내로 노출되는 천정조명등의 소켓과 램프 단부의 체결부를 은폐시 켜 소켓에 형성된 단자 삽입구의 내측으로 분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다양한 재질 및 색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한 커버장식구는 실내로 노출되는 형태의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을 보다 미려하고 고급스럽게 보여질 수 있게 하는 것이며, 다양한 형태 및 표면의 도금층은 천정조명등에 더욱 뛰어난 장식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버장식구를 갖는 천정조명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커버장식구를 갖는 천정조명등의 정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커버장식구는 절곡 판재의 형태로 된 금속재 또는 사출 성형되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서, 아치형의 커버부재(10)와 그 양측단에 연장 형성된 탄성편(11)(11')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부재(10)의 내측 폭은 천정조명등(20)의 소켓(21) 외폭 보다 넓은 상태를 갖고 있어 소켓(21)의 외측으로 그 커버부재(1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반면, 양측의 탄성편(11)(11')이 갖는 내측 폭은 소켓(21)의 외측 폭보다 좁은 상태이므로 이들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 커버부재(10)는 소켓(2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3의 도시와 같이 천정조명등(20)의 소켓(21)과 램프(22)의 결합 단부에 본 고안에 의한 커버부재(10)를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한 커버부재(10)의 탄 성편(11)(11')은 소켓(21)의 외측 폭에 따라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삽입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 커버부재(10)가 소켓(21)과 램프(22)의 결합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양측으로 탄력적인 전개 상태를 갖는 탄성편(11)(11')은 내측을 향하여 본래의 형태로 좁혀지려는 특성을 갖게 되므로 결국 이와 같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소켓(21)과 램프(22)의 결합 단부로부터 그 커버부재(10)가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손쉽게 상기한 커버부재(10)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외부의 충격이나 힘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 천정조명등의 특성상 그 커버부재(1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실내 하측으로 떨어질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램프(22)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끼워져 있는 상태의 커버부재(10)를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그 소켓(21)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되므로 상기한 램프(22)의 교환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며, 램프(22)의 교환이 종료된 이후 그 커버부재(10)를 다시 밀어 결합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커버부재(10)의 탄성편(11)(11')은 절곡선(12)(12')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금속판재를 가공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는 그 절곡선(12)(12')을 통해 탄성편(11)(11')의 하단부 내폭이 아치형의 커버부재(10) 내폭 보다 좁은 상태를 갖게 하여 소켓(21) 외측에 끼워지는 그 커버 부재(10)가 탄성편(11)(11')의 복원력에 의해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커버부재(10)에는 연속하여 절곡 형성되는 다각면부(13)(13')를 형성함에 따라 이들 다각면부(13)(13')가 갖는 장식성과 반사면을 통해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도 5의 도시와 같이 반구형태의 아치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간결하고 심플한 디자인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커버부재(10) 및 탄성편(11)(11')의 표면에는 금장이나 은장 또는 니켈이나 크롬 등을 이용한 도금층을 형성하여 이들이 갖는 고유한 색감이나 질감을 잘 표현할 수 있어 외부로 노출되는 본 고안 커버장식구의 장식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버장식구를 갖는 천정조명등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커버장식구를 갖는 천정조명등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커버장식구를 천정조명등에 삽입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커버장식구를 천정조명등에 삽입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커버장식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커버부재 11,11' : 탄성편
12,12' : 절곡선 13,13' : 다각면부
20 : 천정조명등 21 : 소켓
22 : 램프

Claims (5)

  1. 아치형태로 된 커버부재(10)의 양단부에는 하향 연장 형성된 탄성편(11)(11')을 형성하여, 이들 탄성편(11)(11')에 의해 그 커버부재(10)를 천정조명등(20)의 단부에 결합 형성하되,
    커버부재(10)는 소켓(21)과 램프(22)의 결합 단부에 체결되어, 그 커버부재(10)에 의해 소켓(21)과 램프(22)의 결합 단부가 은폐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2. 제 1항에 있어서,
    금속판재로 된 커버부재(10)의 내측 폭은 소켓(21)의 외폭보다 넓게 형성하고, 커버부재(10)의 탄성편(11)(11') 하단 폭은 소켓(21)의 하부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그 탄성편(11)(11')의 외향 탄력 전개상태에서의 상호 체결 및 탄성편(11)(11')의 복원력에 의해 소켓(21)과의 체결 상태가 유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3. 제 1항에 있어서,
    커버부재(10)로부터 연장 형성된 탄성편(11)(11')은 절곡선(12)(12')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4. 제 1항에 있어서,
    커버부재(10)는 그 선단에 연속 반복의 다각면부(13)(13')를 형성하여 외관상 장식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5. 제 1항에 있어서,
    커버부재(10)와 탄성편(11)(11')의 표면에는 도금층을 형성하여, 다양한 색상 및 질감을 갖는 도금층에 의해 그 장식성이 향상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KR2020070017188U 2007-10-24 2007-10-24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KR200900039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188U KR20090003934U (ko) 2007-10-24 2007-10-24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188U KR20090003934U (ko) 2007-10-24 2007-10-24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34U true KR20090003934U (ko) 2009-04-29

Family

ID=4128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188U KR20090003934U (ko) 2007-10-24 2007-10-24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9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243B1 (ko) 2023-04-25 2023-08-21 용현중 조명등의 조명색 변경을 위한 탈착식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243B1 (ko) 2023-04-25 2023-08-21 용현중 조명등의 조명색 변경을 위한 탈착식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162B1 (ko) 분할 조립성과 장식성을 갖는 천정직착등
KR20090003934U (ko) 슬림타입 천정조명등의 단부 마감을 위한 커버장식구
KR200465380Y1 (ko) 투광판의 슬라이딩 결합구조를 갖는 천장등
KR100638280B1 (ko)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KR101260449B1 (ko) 돌출형 엘이디 광 장식부를 갖는 천장매입등
CN211499634U (zh) 一种模块化收口条
CN208123972U (zh) 一种新型的灯体结构
KR100873505B1 (ko) 교체 가능한 장식부재를 갖는 천정 조명등의 반사갓
CN109629788A (zh) 一种集成装饰墙面板的安装结构
KR101562231B1 (ko) 이중 장식광이 연출되게 한 천정등
KR200333213Y1 (ko) 조명등용 전등갓
KR20200001566U (ko) 한옥형 조립식 조명등 장식구
KR200316875Y1 (ko) 합성수지 문짝의 조립식 장식
KR101704713B1 (ko) 가변형 조립구조에 의해 장식성이 향상되게 한 조명커버
CN201106780Y (zh) 一种明装橱卫灯
KR20130059762A (ko) 아크릴 판체를 이용한 조명등 커버 본체의 결합부 마감구조
KR200320742Y1 (ko) 설치가 용이한 슬림형 형광등기구
KR200476853Y1 (ko) 연등골조의 하부 마감재
CN207466217U (zh) 一种中空玻璃内饰组合结构
KR200238481Y1 (ko) 장식구가 부착된 조명기구
CN201568882U (zh) 一种新型灯罩
KR200411213Y1 (ko) 조명등 장식구조
KR200251411Y1 (ko) 천장 장식판
KR20080003589U (ko) 장식부재가 구비된 조명등커버
KR101090992B1 (ko) 조명커버에 대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천장 직착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