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450U - 수준계 - Google Patents

수준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450U
KR20090003450U KR2020070016413U KR20070016413U KR20090003450U KR 20090003450 U KR20090003450 U KR 20090003450U KR 2020070016413 U KR2020070016413 U KR 2020070016413U KR 20070016413 U KR20070016413 U KR 20070016413U KR 20090003450 U KR20090003450 U KR 200900034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level
main body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환
Original Assignee
박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환 filed Critical 박해환
Priority to KR2020070016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450U/ko
Publication of KR200900034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4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01C9/26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12Graduation
    • G01D13/20Graduation with luminescent markings

Abstract

본 고안은 수준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특정 장치나 구조물의 수평을 측정하는 수평계와 수직을 측정하는 수직계가 구비되는 수준계의 구조가 개선되도록 하여 야간에도 손쉽게 수평 및 수직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준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수평 위치 여부를 확인하는 수평계;와, 상기 수평계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계를 향하여 빛이 선택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수평 조명 장치; 및 상기 수평 조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가 포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에 의하면, 사용자는 야간에도 수준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수평계, 수직계, 조명 장치, 스위치

Description

수준계 {Measuring apparatus for level}
본 고안의 실시예는 수준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준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특정 장치나 구조물의 수평을 측정하는 수평계와 수직을 측정하는 수직계가 구비되는 수준계의 구조가 개선되도록 하여 야간에도 손쉽게 수평 및 수직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준계에 관한 것이다.
수준계는 일반적으로 공사 현장에서 구조물을 설치할 때, 구조물의 수평 및 수직상태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아파트의 벽면 또는 바닥면을 미장할 경우에, 미장용 공구로서 흙손에 구비되어 수평 또는 수직 여부가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준계는 가정에서는 침대나 세탁기와 같은 가정용 제품의 설치시에 바닥면과의 수평 조절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준계는 자체 조명 장치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야간에 수준계를 사용하여 작업할 경우, 별도의 조명 장치를 휴대한 상태에서 수준계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조명 장치를 파지한 상태에서 구조물의 수 평 및 수직 여부를 측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실제로 수준계를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작업면의 기울기를 측정할 때, 2인 이상이 필요하게 되어 측정이 매우 번거롭고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건축 및 건설 현장에서는 야간에도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작업의 특성상 야간에 손쉽게 수준계를 이용하여 측정을 할 수 있는 여건 조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구조물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평계 및 수직계가 구비되는 수준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야간에도 수준계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준계 본체에 조명 장치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조물의 형상 또는 배열에 따라 다수의 수평계 또는 수직계가 필요할 경우, 동시에 수평 및 수직 여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준계의 본체로부터 복수의 수평계 또는 수직계가 연장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수평 위치 여부를 확인하는 수평계;와, 상기 수평계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계를 향하여 빛이 선택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수평 조명 장치; 및 상기 수평 조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수준계에 의하면, 야간에도 용이하게 구조물의 수직 또는 수평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형상 또는 배열을 가지는 구조물의 수준 측정을 위해 수평계 또는 수직계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동시에 수평 및 수직 여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평계 또는 수직계가 수준계의 본체로부터 연장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측정 대상물의 크기에 맞춰서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하고, 수평계 또는 수직계가 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운반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또는 바디부(100)와,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며, 구조물 또는 설치품의 수평 배열 또는 수평 설치 여부가 측정되도록 하는 수평계(110)와, 상기 구조물 또는 설치품의 수직 배열 또는 수직 설치 여부가 측정되도록 하는 수직계(120)와, 상기 수평계(110) 및 수직계(120)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며, 야간에도 상기 수평계(110) 또는 수직계(120)에 의한 작업이 용이하도록 소정 조도의 빛을 방출하는 조명 장치(132a,132b)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수평계(110)는 상기 본체(100)의 저면과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저면이 수평 여부를 측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면에 접한 상태에서 측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계(12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과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일측면이 수직 여부를 측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면에 접한 상태에서 측정된다. 그리고, 상기 저면과 일측면은 서로 직각을 이룬다.
또한, 상기 수평계(110)의 내부에는 소정의 액체가 제공되며, 상기 액체 이외의 공간에는 수평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1 기포(1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계(120)의 내부 또한 소정의 액체 및 제 2 기포(1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포(111) 및 제 2 기포(121)의 중앙 배열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계(110) 및 수직계(120)에는 상기 기포(111,121)의 중앙 배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안내선(112) 및 제 2 안내선(12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계(110)의 일측에는 야간에 온(ON)되어 빛이 방출되도록 하는 제 1 조명 장치(132a)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계(120)의 일측에는 제 2 조명 장치(132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조명 장치(132a) 및 제 2 조명 장치(132b)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계(110)와 제 1 조명 장치(132a) 사이에는 상기 제 1 조명 장치(132a)로부터 방출된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제 1 투과창(102a)이 제공되고, 상기 수직계(120)와 제 2 조명 장치(132b) 사이에는 상기 제 2 조명 장치(132b)로부터 방출된 빛이 투과되도록 하는 제 2 투과창(102b)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투과창(102a,102b)은 빛이 용이하게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 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조명 장치(102a,102b)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13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133)가 삽입 또는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공급 장치 삽입부(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 삽입부(130)는 상기 본체(100)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133)에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133)가 상기 조명 장치(132a,132b)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선(136)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133)는 상기 조명 장치(132a,132b)에 용이하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 장치(132a,132b)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전원 공급 장치 삽입부(130)의 내측에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133)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삽입부(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133)와 접촉되는 단자부(13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131)에는 상기 연결선(136)이 연결되며, 상기 단자부(131)는 상기 연결선(136)을 통하여 상기 조명 장치(132a,132b)와 연결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조명 장치(132a)와 제 2 조명 장치(132b)가 직렬 연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조명 장치(132a,132b)는 병렬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133)로부터 상기 제 1 조명 장치(132a) 또는 제 2 조명 장치(132b)로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 치(135)가 구비된다.
즉, 상기 스위치(135)는 상기 연결선(136)을 통하여 상기 전원 공급 장치(133)와, 상기 조명 장치(132a,132b)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35)는 전원의 공급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ON" 또는 "OFF"가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의 작동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준계(10)를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 측정을 함에 있어서, 조명이 필요없는 낮에는 상기 스위치(135)가 "OFF" 위치에 있도록 하여, 상기 조명 장치(132a,132b)로부터 빛이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어두운 야간에 상기 수준계(10)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135)가 "ON" 위치에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전원 공급 장치(133)로부터 상기 조명 장치(132a,132b)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조명 장치(132a,132b)로부터 빛이 방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평계(110) 및 수직계(120)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설명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도면 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2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 구비되며, 구조물의 수평 배열 여부를 확인하는 수평계(210)와, 구조물의 수직 배열 여부를 확인하는 수직계(220)와, 상기 수평계(210) 및 수직계(220)에 소정 조도의 빛이 방출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 어셈블리(230)와,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가 상기 본체(200)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부(202a) 및 제 2 삽입부(202b)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에는, 선택적으로 ON 되어 빛이 방출되는 조명 장치(231)와, 상기 조명 장치(23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233)와, 상기 전원 공급 장치(233)가 상기 조명 장치(231)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ON/OFF 되는 스위치(232)와, 상기 스위치(232)와 전원 공급 장치(233), 상기 전원 공급 장치(233)와 상기 조명 장치(231)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선(235)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의 상부에는 상기 조명 장치(231)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상기 수평계(210) 또는 수직계(220)로 투과되도록 하는 투과창(236)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233))의 양단에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233)와 접촉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233)로부터 상기 조명 장치(23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자부(234)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 장치(231)는 상기 연결선(235)을 통하여 상기 단자부(23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의 하부에는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의 내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 부재(234)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 부재(234)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부재(234)에는 상기 개폐 부재(234)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실링 부재(237)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가 상기 본체(200)에 구비되어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는 상기 제 1 삽입부(202a) 또는 상기 제 2 삽입부(202b)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구조물의 수평 배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는 상기 제 1 삽입부(202a)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구조물의 수직 배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는 상기 제 2 삽입부(202b)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가 상기 제 1 삽입부(202a) 또는 제 2 삽입부(202b)에 삽입되면, 상기 삽입부(202)와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 간에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는 상기 본체(200) 외부로 잘 빠지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조명 어셈블리(230)가 상기 삽입부(202a,202b) 중 적어도 한 곳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명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232)를 조작하여 조명이 밝혀진 상태에서 상기 수평계(210) 또는 수직계(220)를 사용할 수 있 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3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에 구비되며, 구조물등의 수평 배열 여부를 측정하는 제 1 수평계(301) 및 제 2 수평계(311)와, 상기 구조물의 수직 배열 여부를 측정하는 수직계(312)가 포함된다.
한편,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각 수평계(301,311) 및 수직계(312)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설명된 조명 장치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수평계(301)는 상기 본체(3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수평계(311) 및 수직계(312)는 상기 본체(300)에 출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 수평계(311) 및 수직계(312)는 상기 본체(300)에 인출되는 보조 유닛(310)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유닛(310)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 유닛(310)이 상기 본체(300)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본체(300) 외부로 연장되도록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31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311)가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3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준계(30)는 일반적으로 가로 방향의 길이가 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준계(30)를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 여부 측정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유닛(310)이 상기 본체(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측정이 되고, 휴대 및 운반시에는 상기 보조 유닛(310)이 상기 본체(3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측정이 필요한 구조물의 길이(크기)가 큰 경우에도 상기 수준계(3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수준계(30)의 운반 및 휴대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4 실시예와 비교하여, 보조 유닛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그 이외의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도면 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4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본체(300) 내에서 인출되는 이동 가이드(311)가 상기 가이드 홈(320)의 소정의 위치에서 걸림이 이루어지는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이동 가이드(31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311)가 상기 본체(300)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부(3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유닛(310)에는 상기 보조 유닛(310)이 상기 본체(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300)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돌기부(31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320)은 공간의 크기가 다른 2 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홈(3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300)의 일측으로부터 소정 거리가 이격된 만큼은 크게 형성(제 1 가이드 홈)되고, 나머지 가이드 홈(320)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본체(300)의 타측까지는 작게 형성(제 2 가이드 홈)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유닛(310)은 상기 본체(3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보조 유닛(310)이 상기 본체(300)의 걸림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걸림부(313)는 상기 제 2 삽입부의 선단부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수평계가 2개 이상 구비됨으로써 구조나 배열이 복잡한 구조물 중 2개 이상의 방향에서 구조물의 수평 정도를 확인할 경우에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계 또는 수직계가 수준계의 본체로부터 연장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측정 대상물의 크기에 맞춰서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직계가 2개 이상 구비되고, 수평계가 1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수직계와 수평계가 모두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수준계의 사시도.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수평 위치 여부를 확인하는 수평계;
    상기 수평계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계를 향하여 빛이 선택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수평 조명 장치; 및
    상기 수평 조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가 포함되는 수준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수직 위치 여부를 확인하는 수직계가 더 포함되는 수준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계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계를 향하여 빛이 선택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수직 조명 장치가 더 포함되는 수준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측에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수평 조명 장치 및 수직 조명 장치로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가 더 포함되는 수준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명 장치와 수직 조명 장치는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명 장치 및 수직 조명 장치 중 어느 하나와, 전원 공급 장치가 포함되는 조명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조명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어셈블리는 상기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수직계 또는 다른 수평계가 구비되는 보조 유닛이 더 포함되며, 상기 보조 유닛은 상기 본체에 연장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유닛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계.
KR2020070016413U 2007-10-09 2007-10-09 수준계 KR200900034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413U KR20090003450U (ko) 2007-10-09 2007-10-09 수준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413U KR20090003450U (ko) 2007-10-09 2007-10-09 수준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450U true KR20090003450U (ko) 2009-04-14

Family

ID=4128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413U KR20090003450U (ko) 2007-10-09 2007-10-09 수준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45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109B1 (ko) * 2011-05-04 2012-06-14 공은식 휴대형 기울기 측정 장치
KR101227924B1 (ko) * 2012-08-08 2013-01-3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착탈형 측정봉과 측정판이 구비된 클리노미터, 이를 이용한 주향 및 경사 측정 방법
KR101272797B1 (ko) * 2010-10-27 2013-06-18 이은경 수준기
KR20210001606U (ko) * 2020-01-03 2021-07-14 김형석 신축자재한 자를 갖는 수평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797B1 (ko) * 2010-10-27 2013-06-18 이은경 수준기
KR101155109B1 (ko) * 2011-05-04 2012-06-14 공은식 휴대형 기울기 측정 장치
KR101227924B1 (ko) * 2012-08-08 2013-01-3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착탈형 측정봉과 측정판이 구비된 클리노미터, 이를 이용한 주향 및 경사 측정 방법
KR20210001606U (ko) * 2020-01-03 2021-07-14 김형석 신축자재한 자를 갖는 수평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3450U (ko) 수준계
KR101298227B1 (ko) 관로 검사 장치
JP5628997B2 (ja) Led照明装置
IT9020268A1 (it) Canalina per il supporto di una catena porta condutture e un apparato mobile per la pulizia di un impianto tessile
ITMI20090043U1 (it) Cassetto con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KR100808468B1 (ko) 지형측량 장치
JP2012149389A (ja) 手摺り
KR100732726B1 (ko) 이중바닥 배선용 전선박스
JP2016008784A (ja) 加湿器
US20140241003A1 (en) Mounting device for a sanitary element
KR20110127831A (ko) 레이저빔 및 조명을 구비한 자동수평자
CN101420887A (zh) 家具
KR101352071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 안전형 보호관
CN214644917U (zh) 一种天花楼板钻孔防止伤害预埋线管装置
KR20130057176A (ko) 전류와 누전을 동시에 판단하는 케이블 및 케이블트레이용 표시부재
KR10197818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KR100665597B1 (ko) 창호의 수직/수평 검사용 레이져 표시장치
KR200405987Y1 (ko) 이중바닥 배선용 전선박스
KR200399592Y1 (ko) 굴삭기의 수평,수직 거리 측량장치
JP6324106B2 (ja) 共同住宅のメーターボックス
KR20150000391U (ko) 선박구조물의 대각선 길이측정용 직각자
ATE319050T1 (de) Führungsvorrichtung für ein in einer betondecke verlegtes rohr
KR102318590B1 (ko) 통신케이블 누전차단형 통신트레이
KR20110001062U (ko) 부가기기 고정장치
KR101064514B1 (ko) 벽면에 매입되는 양방향 통합전선 보호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