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427A -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427A
KR20090003427A KR1020070056525A KR20070056525A KR20090003427A KR 20090003427 A KR20090003427 A KR 20090003427A KR 1020070056525 A KR1020070056525 A KR 1020070056525A KR 20070056525 A KR20070056525 A KR 20070056525A KR 20090003427 A KR20090003427 A KR 20090003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multimedia
multimedia content
drm
meta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준
김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to KR1020070056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427A/ko
Publication of KR2009000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4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of access to content, e.g. by ca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RM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와 연결되어 DR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하고,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아 DRM 암복호화 키를 통해 복호화된 데이터로 변환하고 메타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DRM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리핑 및 저장할 수 있으며, 메타데이터와 컨텐츠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텐츠와 메타데이터를 단일 파일로 병합하여 컨텐츠 이동시 메타데이터 정보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리핑 및 저장하려는 컨텐츠가 중복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리핑, DRM, 메타데이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임베디드, 인코딩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및 방법{Multimedia contents ripp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아날로그 형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받을 경우, 파일 생성부의 각 구성 요소 간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PCM 형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받을 경우, 파일 생성부의 각 구성 요소 간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특정 포맷의 압축 디지털 파일을 입력받을 경우, 파일 생성부의 각 구성 요소 간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DRM으로 암호화된 압축 디지털 파일을 입력받을 경우, 파일 생성부의 각 구성 요소 간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메타데이터를 구성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메타데이터를 구성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방법의 전체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도 8에서 멀티미디어 장치와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2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도 8에서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변환하고 메타데이터와 병합하는 단계(S3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도 8에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S40)의 제 1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도 8에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S40)의 제 2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RM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와 연결되어 DR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하고,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아 DRM 암복호화 키를 통해 복호화된 데이터로 변환하고 메타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장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감상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서, 만화, 음반, 영화, 방송, 신문 등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장치에 저장하여 각종 장소에서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디지털 형태로 저장되므로 무한히 반복 사용되어도 원본의 품질에 전혀 손상이 없고 수정 및 복사가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초고속 통신망이 발달함에 따라 대용량의 저작물을 단시간에 다량 전송 및 배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의 특징에 따라 저작자의 동의 없이도 컨텐츠가 불특정 다수에서 널리 배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컨텐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고 불법복제를 막으며 사용료 부과와 결제대행 등 컨텐츠의 생성, 유통 및 관리까지 일괄적으로 지원해주는 DRM(Digitla Rights Management) 기술이 등장했다.
최근에는 이러한 DRM 기술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가 하나 둘씩 등장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애플사의 DRM을 지원하는 iPod 시리즈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DRM을 지원하는 MTP 장치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해 저장된 컨텐츠를 UI(User Interface)를 통해 손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탐색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장르, 저작자, 곡명, 앨범 이름 등의 정보가 담긴 메타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는 단순히 파일명만 검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저작자별 검색, 또는 앨범별 검색 등 각 항목을 기준으로 파일을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DRM이 적용된 컨텐츠를 메타데이터와 함께 멀티미디어 장치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나 iTunes와 같은 PC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야 한다. 이와 같은 PC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DRM 라이센스 서버와 통신하여 각 컨텐츠의 라이센스를 관리하고 요금을 부과하며, 컨텐츠를 전송할 때 메타데이터도 함께 전송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DRM이 적용된 컨텐츠를 메타데이터와 함께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래에는 PC 어플리케이션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정당하게 구입한 DRM 컨텐츠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기술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다양하게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DRM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리핑 및 저장할 수 있으며, 메타데이터와 컨텐츠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며, 컨텐츠와 메타데이터를 단일 파일로 병합하여 컨텐츠 이동시 메타데이터 정보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는, 하나 이상의 DRM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멀티미디어 장치와 외부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장치 가 지원하는 DRM의 종류를 판별하고, 판별된 DRM에 대응되는 DR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장치를 디바이스로 설정하는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한 후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DRM 암복호화 키를 제공받고, 멀티미디어 장치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DRM 제어부; 멀티미디어 장치와 외부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받고,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DRM 암호화된 경우에는 DRM 암복호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되지 않은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방법은, (a) DRM 제어부가 외부 연결된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하여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하고 DRM 암복호화 키를 제공받는 단계; (b) 파일 생성부가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c) (b) 단계에서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인코딩하는 단계; (d) (b) 단계에서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PCM 데이터인 경우에는, PCM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인코딩하는 단계; (e) (b) 단계에서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DRM 암호화된 파일인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 설정이 DRM 복호화하도록 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f) (e) 단계의 판단 결과 DRM 복호화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DRM 암호화된 파일을 DRM 암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복원하는 단계; (g) (b) 단계에서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DRM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인 경우 및 (f) 단계에서 복원된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하여 다른 압축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사용자 입력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h) (g) 단계의 판단 결과 다른 압축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디코딩하여 PCM 데이터로 변환하고 사용자 입력 설정된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i)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메타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100)는 크게 DRM 제어부(10), 파일 생성부(20), 메타데이터 생성부(30), 데이터 관리부(40) 및 데이터 저장부(50)로 구성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장치(20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멀티미디어 장치(200)는 DRM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그 밖에도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DRM 제어부(10)는 하나 이상의 DRM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멀티미디어 장 치(200)와 외부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장치가 지원하는 DRM의 종류를 판별한다.
그리고, 구비된 DRM 프로토콜 중에서 판별된 DRM에 대응되는 DRM 프로토콜을 찾고, 해당 DR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결된 멀티미디어 장치(200)와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한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100)를 호스트로 설정하고 멀티미디어 장치(200)를 디바이스로 설정하여 멀티미디어 장치(200)로 제어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때, DRM 프로토콜은 멀티미디어 장치(200)의 개발업체와 적절한 라이센스를 맺음으로써 구비 가능하다. 또한, 멀티미디어 장치(200)와의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거침으로써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DRM 암복호화 키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인증 절차에 성공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리핑하기 위해서 멀티미디어 장치(200)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파일 생성부(20)는 외부 연결된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받는다. 이때,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DRM 암호화된 경우에는 앞서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DRM 암복호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되지 않은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파일 생성부(20)가 메타데이터 생성부(30)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경우에는 앞서 생성된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메타데이터를 병합하여 단일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파일이 다른 멀티미디어 장치에 복사되어도 메타데이터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생성부(30)는 외부 입력을 통해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입력받고 사용자 입력 설정에 의해 메타데이터를 파일 생성부(20) 또는 데이터 관리부(40)로 제공한다.
메타데이터를 파일 생성부(20)로 보낸 경우에는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메타데이터를 병합하여 단일 파일을 생성하며, 데이터 관리부(40)로 메타데이터를 보낸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메타데이터를 따로 관리한다.
또한, 메타데이터 생성부(30)는 메타데이터에 앨범 자켓 등의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이미지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압축함으로써 데이터 저장공간을 줄일 수 있는 이미지 인코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관리부(40)는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 저장부(50)에 저장한다.
이때, 메타데이터는 2가지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
첫 번째 방식으로는, 입력받은 여러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DB를 단일 파일로 만들어 저장함으로써 메타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으로는, 메타데이터를 계층화하여 파일과 폴더의 형식으로 저장하는 방식이다. 즉, 메타데이터의 일부 항목에 대하여 계층화된 폴더를 생성하고, 나머지 항목에 대한 이름을 갖는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계층화된 폴더 각각에 해당 파일을 포함시켜 저장함으로써 메타데이터를 관리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저장된 메타데이터 DB를 이용하면 리핑 시스템의 UI에 메타데이터를 보여주거나 이미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인지 판단할 때 좀 더 쉽게 빠르게 검색할 수 있으며, 한 번 리핑 또는 저장된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중복된 리핑이나 저장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 저장부(5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가 저장되는 물리적인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 또는 디스크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도 2는 아날로그 형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받을 경우, 파일 생성부의 각 구성 요소 간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생성부(20)는 크게 ADC(Analog Digital Converter)(21), DRM 디코더(22), 디코더(23), 인코더(24) 및 파일 병합기(25)로 구성된다.
ADC(21)는 외부 입력을 통해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PCM 데이터로 변환한다.
DRM 디코더(22)는 외부 입력을 통해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DRM 암호화된 파일을 입력받아 DRM 암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되지 않은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복원해낸다.
디코더(23)는 앞서 DRM 디코더(22)를 통해 복원된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PCM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외부 입력을 통해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직접 입력받아 PCM 데이터로 변환한다.
인코더(24)는 ADC(21), DRM 디코더(22) 및 외부 입력을 통해 연결된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PCM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변환한다.
파일 병합기(25)는 인코더(24) 및 외부 입력을 통해 연결된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입력받는다. 또한, 메타데이터 생성부(30)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아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병합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형식(MP3 등)에 따라 해당 포맷에 적합한 형식(ID3Tag 등)으로 변환하여 단일 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굵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리핑 장치(100)가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받으면 ADC(21)에서 PCM 데이터로 변환되며, 변환된 PCM 데이터는 인코더(24)에서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변환되어 파일 병합기(25)로 제공된다.
도 3은 PCM 형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받을 경우, 파일 생성부의 각 구성 요소 간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전체 구성 요소는 앞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굵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리핑 장치(100)가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PCM 데이터 형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받으면 인코더(24)에 서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변환되어 파일 병합기(25)로 제공된다.
도 4는 특정 포맷의 압축 디지털 파일을 입력받을 경우, 파일 생성부의 각 구성 요소 간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전체 구성 요소는 앞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굵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리핑 장치(100)가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Clear Contents) 형태로 입력받는 경우에는 2가지 경로를 생각해볼 수 있다.
첫 번째 경로로는 입력받은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하여 특별한 가공을 거치지 않고 바로 파일 병합기(25)로 보내는 것으로서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다.
두 번째 경로로는 입력받은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른 압축 포맷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입력받은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우선 디코더(23)를 통해 디코딩하여 PCM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PCM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다른 압축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생성한 후에 파일 병합기(25)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의 파일로 압축할 수 있다.
도 5는 DRM으로 암호화된 압축 디지털 파일을 입력받을 경우, 파일 생성부의 각 구성 요소 간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전체 구성 요소는 앞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굵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리핑 장치(100)가 멀티미디어 장치(20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DRM 암호화된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Clear Contents) 형태로 입력받는 경우에는 2가지 경로를 생각해볼 수 있다.
첫 번째 경로로는 입력받은 DRM 암호화된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하여 특별한 가공을 거치지 않고 바로 파일 병합기(25)로 보내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는, 컨텐츠 재생 시점에 앞서 제공받은 DRM 암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가 이루어지며, 그 전까지는 DRM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된다.
두 번째 경로로는 입력받은 DRM 암호화된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DRM 암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방식이다. 앞서 제공받은 DRM 암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함으로써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복원해낸다.
일단, 복원된 파일에 대해서는 앞서 도 4의 경우와 같이 2 가지 경로가 가능하다. 이 경우의 동작 방식 또한 앞의 도 4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6은 메타데이터를 구성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데이터 DB가 하나의 파일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시스템이 리셋되어도 메타데이터 DB를 쉽게 가져올 수 있다.
이때, 메타데이터에 이미지 데이터와 같이 큰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에는 이미지 데이터가 이미 파일에 포함되었다면 그냥 사용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미지 데이터를 별도의 파일로 저장한 후 해당 포인터를 저장함으로써 메타데이터 DB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메타데이터를 구성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르, 아티스트, 앨범, 타이틀, 시간, 파일 사이즈 등의 다양한 메타데이터 항목 중에서 원하는 정보만을 이용하여 폴더/파일 구조로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컨텐츠의 아티스트 이름을 폴더 이름으로 설정하고 타이틀을 파일 이름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면 별도의 DB 파일을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메타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방법의 전체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에 멀티미디어 장치를 연결한다(S10).
그리고,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와 멀티미디어 장치 간에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DRM 암복호화 키를 제공받는다(S20).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한다.
그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가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그 형태에 따라 적절한 가공을 거쳐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변환한다(S30).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DRM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앞서 제공받은 DRM 암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함으로써 DRM 암호화 상태를 해제한다.
마지막으로,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S40).
도 9는 도 8에서 멀티미디어 장치와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2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DRM 제어부가 멀티미디어 장치가 지원하는 DRM의 종류를 판별한다(S21).
그리고, 판별된 DRM에 대응되는 DR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장치를 디바이스로 설정하는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한다(S22).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를 호스트로 설정하고, 멀티미디어 장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는 디바이스로 설정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가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DRM 암복호화 키를 제공받는다(S23).
이상의 과정을 거친 후,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을 위해 멀티미디어 장치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한다(S24).
도 10은 도 8에서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입력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변환하고 메타데이터와 병합하는 단계(S3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가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메타데이터를 제공받는다(S31).
그 이후,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가공 경로가 다르게 설정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S32), 일단 아날로그 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한다(S33). 그리고, 인코더에서 PCM 데이터를 인코딩함으로써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생성해낸다(S3A).
만약,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PCM 데이터 형태라면(S34), 바로 인코더를 통해 PCM 데이터를 인코딩함으로써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생성해낸다(S3A).
그러나,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아날로그 신호나 PCM 데이터가 아닌 경우라면, DRM 암호화된 파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5).
판단결과 DRM 암호화된 파일이라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DRM 복호화할 것인지 여부를 다시 한 번 판단한다(S36).
만약, DRM 복호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DRM 디코더에서 앞서 제공받은 DRM 암복호화 키를 사용하여 DRM 암호화된 파일을 복호화한다(S37). 이렇게 복호화된 파일은 DRM 암호화하기 이전의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해 당된다.
그리고, 복호화된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다른 압축 포맷으로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변경하고자 하는 압축 포맷이 설정되어 있다면, 우선 복호화된 파일을 디코더에서 디코딩하여 PCM 데이터로 변환한 후(S39), 변환된 PCM 데이터를 사용자 설정 압축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생성한다(S3A).
또한,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DRM 암호화되어 있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DRM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인 경우에는(S35), 앞서 DRM 암호화되어 있는 파일을 복호화한 이후의 과정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설정에 따라(S38) 디코딩 후(S39) 사용자 설정 압축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생성한다(S3A).
이상의 과정을 거쳐 제공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이 모두 완료된다.
그 다음으로,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메타데이터와 병합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 설정에 의해 판단하여(S3B), 병합하는 경우에는 파일 생성부 내의 파일 병합기가 메타데이터 생성부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제공받아 앞서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메타데이터를 병합하여 단일 파일을 생성한다.
이처럼 메타데이터가 병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은 다른 곳으로 이동 복사되더라도 메타데이터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1은 도 8에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S40)의 제 1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관리부가 파일 생성부로부터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고 메타데이터 생성부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다(S41).
그리고, 하나 이상의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DB를 단일 파일로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메타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S42).
도 12는 도 8에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S40)의 제 2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관리부가 파일 생성부로부터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고 메타데이터 생성부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다(S41).
그리고, 메타데이터의 일부 항목에 대하여 계층화된 폴더를 생성하고(S43), 메타데이터의 나머지 항목에 대한 이름을 갖는 파일을 생성한다(S44).
그 다음으로, 메타데이터의 나머지 항목에 대한 이름을 갖도록 생성된 파일을 계층화된 폴더 각각에 포함되도록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메타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S45).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DRM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리핑 및 저장할 수 있으며, 메타데이터와 컨텐츠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텐츠와 메타데이터를 단일 파일로 병합하여 컨텐츠 이동시 메타데이터 정보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리핑 및 저장하려는 컨텐츠가 중복 컨텐츠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DRM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멀티미디어 장치와 외부 연결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가 지원하는 DRM의 종류를 판별하고, 판별된 DRM에 대응되는 DR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를 디바이스로 설정하는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DRM 암복호화 키를 제공받고,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DRM 제어부;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와 외부 연결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입력받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DRM 암호화된 경우에는 상기 DRM 암복호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되지 않은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생성부는,
    외부 입력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PCM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
    외부 입력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DRM 암호화된 파일을 입력받아 상기 DRM 암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함으로써 암호화되지 않은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DRM 디코더;
    상기 DRM 디코더 및 외부 입력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입력받아 PCM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코더; 및
    상기 ADC, 상기 DRM 디코더 및 외부 입력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PCM 데이터를 입력받아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변환하는 인코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는,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외부 입력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입력받고 사용자 입력 설정에 의해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파일 생성부 또는 상기 데이터 관리부로 제공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생성부는,
    상기 인코더를 통해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입력받고, 외부 입력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및 DRM 암호화된 파일을 입력받으며,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부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받은 파일과 병합하여 단일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병합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이미지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압축하는 이미지 인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입력받은 하나 이상의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메타데이 터 DB를 단일 파일로 만들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메타데이터의 일부 항목에 대하여 계층화된 폴더를 생성하고, 나머지 항목에 대한 이름을 갖는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계층화된 폴더 각각에 포함되도록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8. (a) DRM 제어부가 외부 연결된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하여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하고 DRM 암복호화 키를 제공받는 단계;
    (b) 파일 생성부가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PCM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인코딩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PCM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PCM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로 인코딩하는 단계;
    (e)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DRM 암호화된 파일인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 설정이 DRM 복호화하도록 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의 판단 결과 DRM 복호화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DRM 암호화된 파일을 DRM 암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복원하는 단계;
    (g)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DRM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인 경우 및 상기 (f) 단계에서 복원된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에 대하여 다른 압축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사용자 입력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h) 상기 (g) 단계의 판단 결과 다른 압축 포맷으로 변환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디코딩하여 PCM 데이터로 변환하고 사용자 입력 설정된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i) 상기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기 메타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DRM 제어부가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가 지원하는 DRM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DRM에 대응되는 DR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를 디바이스로 설정하는 호스트-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DRM 암복호화 키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메타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파일 생성부가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부로부터 상기 메타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및
    파일 생성부가 상기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을 상기 메타데이터와 병합하여 단일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상기 데이터 관리부가 특정 압축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메타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DB를 단일 파일로 만들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상기 메타데이터의 일부 항목에 대하여 계층화된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타데이터의 나머지 항목에 대한 이름을 갖는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항목에 대한 이름을 갖는 파일이 상기 계층화된 폴더 각각에 포함되도록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방법.
KR1020070056525A 2007-06-11 2007-06-11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및 방법 KR20090003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525A KR20090003427A (ko) 2007-06-11 2007-06-11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525A KR20090003427A (ko) 2007-06-11 2007-06-11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427A true KR20090003427A (ko) 2009-01-12

Family

ID=4048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525A KR20090003427A (ko) 2007-06-11 2007-06-11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4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0075B2 (ja) データ格納方法、データ再生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01379861B1 (ko) Drm 제공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JP4921966B2 (ja) セキュアなネットワークベースのコンテンツ配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42441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AU784672B2 (en) Distribution system, semiconductor memory card, receiv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receiving method
JP4701175B2 (ja) 記録媒体並びに記録媒体に情報を記録する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KR100608585B1 (ko) 이동형 저장 장치에서 객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권리객체를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0594547C (zh) 含有样品数据的只读记录介质及其再生方法
US8875310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tecting digital media contents
CN101308532B (zh) 内容下载系统、内容提供装置、内容接收装置及其方法
US8843414B2 (en) Techniques for accessing controlled media objects
US20080114992A1 (en) Interoperable Digital Rights Management
KR20050092688A (ko) 통합 멀티미디어 파일 포맷 구조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187312A (zh) 用于电子分发的内容包
US20090231968A1 (en) Recording medium storing management information for content attribute and recording device and playback device for the recording medium
US7562301B1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and using playlist identifiers for media objects
KR20090003427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핑 장치 및 방법
CN106060604A (zh) 基于bhd文件实现数字权限管理播放的方法及系统
KR100784285B1 (ko) 디지털 저작권 오퍼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채용한 디지털 저작권 오퍼 관리 시스템
Smith Digital rights management & protecting the digital media value chain
JPWO2009128189A1 (ja) メモリコントローラ、不揮発性記憶装置、不揮発性記憶システム、アクセス装置、及びデータ管理方法
JP6703116B2 (ja) Epubファイル暗号化のための単位ファイルに対する圧縮及び復元方法
KR102186901B1 (ko) 데이터 변조를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KR101098761B1 (ko)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60065210A (ko) 멀티미디어데이터 이용을 위한 암호화/복호화 모듈 방법 및 통합관리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