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336U -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 - Google Patents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336U
KR20090003336U KR2020070016263U KR20070016263U KR20090003336U KR 20090003336 U KR20090003336 U KR 20090003336U KR 2020070016263 U KR2020070016263 U KR 2020070016263U KR 20070016263 U KR20070016263 U KR 20070016263U KR 20090003336 U KR20090003336 U KR 200900033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tub
bathtub
bat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7175Y1 (ko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20070016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17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3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3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1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3Baths attachable to other baths, sinks, wash-basins, or the like ; mounting frames therefor
    • A47K3/034Baths attachable to other baths, sinks, wash-basins, or the like ; mounting fram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47K3/127Body supports for children or bab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에 관한 것으로, 외부욕조와, 상기 외부욕조 내에 설치되는 내부욕조, 및 일단이 상기 외부욕조의 상단부에 탈착되고 중심부가 상기 내부욕조의 상단부에 얹혀져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외부욕조 중 어느 하나의 욕조에 채워진 물로 유아를 1차로 씻긴 후, 다른 하나의 욕조에 채워진 물로 유아를 2차로 헹구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는, 유아를 목욕시키기 전에 씻김용과 헹굼용 물을 각각 수용시켜 물을 교체하지 않고도 유아의 목욕을 수행할 있다. 또한, 보호자의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에 따라 욕조를 설치하게 되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내부욕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유아, 욕조

Description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Baby bathtub position transfer possible}
본 고안은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욕조가 설치되는 공간 및 보호자의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에 따라 욕조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고, 씻기용과 헹굼용 물을 분리되도록 수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유아를 목욕시킬 수 있는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생아는 잦은 소변 및 땀 등으로 인해서 피부 살갗이 물러지거나 땀띠, 혹은 습진 등이 발생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수시로 목욕을 시켜주어야 한다.
그리고, 첫돌이 지난 유아들은 본능적인 호기심으로 인해 온몸에 오물이나 먼지가 묻어나기 쉽고, 대소변을 가리지 못할 경우에는 그 부분의 살갗이 매우 약하여 쉽게 물러지게 된다. 따라서, 자주 목욕을 시켜 주어야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하면서도 청결하고 강건한 신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아들은 스스로 몸을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므로, 목욕을 할 경우에 자주 넘어지거나 손을 놓치게 될 우려가 높고, 눈이나 귀로 물이 들어가게 될 염려도 있는 관계로 어느 정도 성장을 한 어린이들의 목욕과는 달리 매우 조심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즉, 욕조 내부에 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유아의 목과 몸을 보호자가 한 손으로 잡고, 남은 한 손으로 물을 이용하여 신체를 닦아내는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유아욕조는 유아를 1차적으로 씻긴 후, 이 물을 버린 후 재차 물을 채워서 유아를 헹구게 된다.
물을 버릴 때는 욕조의 바닥면에 구비된 배출구를 개방하여 버리거나 유아를 욕조에서 들어올린 후 욕조 내에 있는 물을 통째로 버리게 된다.
전자의 경우, 즉 배출구를 개방하여 버릴 경우 유아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나, 배출된 후 유아를 헹구기 위해 욕조 내에 물을 재차 넣을 경우 유아가 욕조 내에 위치된 상태로 물을 넣어야만 한다.
그런데, 유아의 피부는 매우 연약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괜찮다고 느낄 정도의 물 온도는 유아에게 화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
후자의 경우, 즉 유아를 욕조에서 들어올린 후 물을 통째로 버린 후 채우게 될 경우, 한 명의 보호자만으로 물을 교체할 수가 없다. 즉, 한 명 유아를 들어올려서 잡고 있어야 하고 다른 한 명은 물을 교체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어떠한 경우든 유아의 목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없으며 물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맞추기 위해서 유아를 들고 기다려야만 한다. 이는 유아에게 신체적 피로감을 줄 수 있으며 면역력이 약한 유아가 감기에 걸릴 확률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유아욕조는 그 길이가 대략 80cm 에서 1m 정도로 구비되는데 보호자가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에 따라 욕조를 설치하게 되는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유아를 목욕시킬 때 매우 익숙하지 않은 손으로 목욕을 시킬 경우 유아에게 상처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더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욕조에서 유아를 목욕시킬 경우에는 물을 교체하면서 유아를 떨어뜨릴 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보호자가 혼자서도 유아의 목욕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아를 목욕시키기 전에 씻김용(비눗물)과 헹굼용 물을 각각 수용시켜 물을 교체하지 않고도 유아의 목욕을 수행할 있는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뿐만 아니라, 보호자의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에 따라 욕조를 설치하게 되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내부욕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는, 외부욕조; 상기 외부욕조 내에 설치되는 내부욕조; 및 일단이 상기 외부욕조 의 상단부에 탈착되고, 중심부가 상기 내부욕조의 상단부에 얹혀져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내·외부욕조 중 어느 하나의 욕조에 채워진 물로 유아를 1차로 씻긴 후, 다른 하나의 욕조에 채워진 물로 유아를 2차로 헹구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에 있어서, 상기 외부욕조는 평면에서 봤을 때 중심에서 세 방향으로 라운드를 갖는 제1·제2·제3돌출부;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욕조는 그 양측면이 상기 제1·제3돌출부에 각각 밀착, 또는 일측면이 상기 제2돌출부에 밀착된다.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외부욕조의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 상기 걸림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받침부의 테두리에서 상측 방향으로 낙하방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유아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의 타측에 지지홈; 및 물을 하측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홈 내에 배출홀;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는, 보호자가 혼자서도 유아의 목욕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즉, 유아를 목욕시키기 전에 씻김용과 헹굼용 물을 각각 수용시켜 물을 교체하지 않고도 유아의 목욕을 수행할 있다.
또한, 보호자의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에 따라 욕조를 설치하게 되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내부욕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목욕탕 내부의 구조에 따라 내부욕조의 위치를 변경하여 유아의 목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목욕탕의 배수구, 급수구, 세정용품 등의 위치에 따라 목욕 전 욕조의 구조를 변경하여 보호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생아는 받침부재에 눕힌 상태로 목욕을 수행하고, 2∼3세의 유아들은 받침부재를 분리하여 내부욕조 또는 외부욕조에 위치시킨 상태로 목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신생아부터 2∼3세까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성장에 따른 신체에 따라 욕조를 변경하여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100)는 외부욕조(110), 내부욕조(120), 받침부재(13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외부욕조(110)는 내부에 물을 채울 수 있도록 수용부(11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111)와 연통되는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욕조(110)는 평면에서 봤을 때 중심에서 방사 방향으로 세 개의 돌출부(113a,113b,113c)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13a,113b,113c)는 내·외주면이 각각 라운드 되도록 형성되고, 세 개의 상기 돌출부(113a,113b,113c)가 연결되어 하나의 외부욕조(110)를 구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돌출부(113a,113b,113c)의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제1·제2·제3돌출부(113a,113b,113c)로 기재하도록 하겠다.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2돌출부(113b)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양측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돌출부(113c)는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2돌출부(113b)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2돌출부(113b)는 대략 1m 내외의 간격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3돌출부(113c)는 상기 제2돌출부(113b)보다 상기 제1돌출부(113a)에 좀더 인접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3돌출부(113c)는 대략 70cm 정도의 간격을 갖는다.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2돌출부(113b),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3돌출부(113c)와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으나 이러한 수치는 각각의 간각의 간격에 따른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2돌출부(113b) 및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3돌출부(113c)의 외주면은 그 상단은 평행한 직선의 형태로 도시되었다. 그리고, 상기 제2돌출부(113b)와 상기 제3돌출부(113c)의 외주면 상단은 중심부 방향으로 요입된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욕조(120)는 상기 외부욕조(110)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부욕조(110)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121)가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수용부(121)와 연통되는 개구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욕조(120)는 횡 방향 길이가 70cm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내부욕조(120)는 그 양측면이 상기 외부욕조(110)에 구비된 제1돌출부(113a)와 제3돌출부(113c)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욕조(120)는 상기 외부욕조(110)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내부욕조(120)의 양측면 외주면이 상기 외부욕조(110)의 제1돌출부(113a)와 제3돌출부(113c)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거나, 상기 내부욕조(120)의 일측면 외주면이 상기 제3돌출부(113c)의 내측면에만 밀착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욕조(120)는 그 일측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기울어지는 경사면(124)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욕조(120)의 바닥면(123) 면적은 상기 내부욕조(120)의 개구부(122)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재(130)는 걸림부(131), 받침부(132), 낙하방지부(133)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131)는 상기 받침부재(130)의 일측 끝단부에 위치되고, 전술되어진 외부욕조(110)의 상단에 삽입된다.
즉, 상기 걸림부(131)는 상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욕조(110)의 상단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 걸림부(131)의 횡 방향 길이는 내부욕조(120)의 폭 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 폭 방향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부(132)는 상기 걸림부(131)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그 길이는 대략 70cm 정도 내외로 구비된다. 이 받침부(132)는 유아의 신체가 눕혀지는 부분으로서 하측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132)에는 유아가 눕혀지는 머리부에 지지홈(132-1)이 형성된다. 유아의 다리는 상기 걸림부(131) 방향으로 위치되고, 유아의 머리는 상기 지지홈(132-1) 내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홈(132-1)은 유아의 머리 저면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요입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132-1) 내에는 배출홀(132-2)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132-2)은 유아를 목욕시킬 때 상기 배출홀(132-2)을 통해 물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낙하방지부(133)는 상기 받침부(132)의 테두리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낙하방지부(133)는 대략 10cm 정도 내외의 높이로 이루어지며 유아의 다리와 팔, 그리고 어깨 부분이 상기 받침부(13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부(133)는 상기 받침부(132)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낙하방지부(133)와 상기 받침부(132)의 연결부는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욕조(120)를 상기 외부욕조(110)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내부욕조(120)의 양측면은 상기 외부욕조 (110)에 구비된 제1돌출부(113a)와 제3돌출부(113c)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즉, 받침부재(130)에 구비된 지지홈(132-1) 및 배출홀(132-2)은 내부욕조(120)의 측면을 벗어나도록 위치된다.
이후, 상기 외부욕조(110)와 상기 내부욕조(120)에 각각 물을 수용시킨 후, 받침부재(130)에 구비된 걸림부(131)를 상기 외부욕조(110)의 상단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욕조(120)에는 물을 수용할 수도 있고 빈 상태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유아를 상기 받침부재(130)에 구비된 받침부(132)에 눕힌 후 외부욕조(110)에 수용된 물을 이용하여 유아를 목욕시키게 된다. 만약, 내부욕조(120)에 물이 수용된 상태라면 상기 내부욕조(120)에 담겨진 물로 유아를 씻기게 된다.
이때, 보호자는 외부욕조(110)에 수용된 물을 이용하여 유아를 1차로 씻길 수도 있으며, 내부욕조(120)에 담겨진 물로 유아를 1차로 씻길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욕조(120)는 초기에 물을 수용시킬 때 보호자가 미리 비눗물로 만들어 놓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어떠한 조건에 상관없이 유아를 1차로 씻길 때의 비눗물은 받침부재(130)에 구비된 배출홀(132-2)을 통해 내부욕조(120)로 흘러가게 된다. 보호자는 이 물로 유아를 반복해서 씻길 수도 있는 것이다.
유아를 비눗물로 1차 씻긴 후에는 외부욕조(110)에 담겨진 물로 유아를 2차로 씻기게 된다. 즉, 이때 상기 외부욕조(110)에 담겨진 물은 비눗물을 제거하기 위한 헹굼용 물이 되는 것이다.
한편, 유아욕조(1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상의 문제, 즉 목욕탕의 배수구, 급수구, 세정용품 등의 위치 관계 및 보호자의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에 따라 외부욕조(110)와 내부욕조(120)의 위치를 변경하게 된다.
이때, 외부욕조(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태로 위치될 수도 있으나 평면상에서 ±90 또는 180˚회전시켜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내부욕조(120)는 상기 외부욕조(110)의 어떠한 위치 변경에 상관없이 위치를 변경시키게 된다.
즉, 상기 내부욕조(120)의 일측면은 외부욕조(110)에 구비된 제2돌출부(113b)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물을 수용한 후 받침부재(130)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 경우 도시된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부재(130)에 구비된 지지홈(132-1) 및 배출홀(132-2)은 내부욕조(120)의 수용부(121) 및 개구부(122)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자는 받침부재(130)에 눕혀진 유아를 비눗물로 씻기게 되고, 이때의 비눗물은 상기 배출홀(132-2)을 통해 외부욕조(110) 내부로 흘러가게 된다. 이 외부욕조(110)에는 물, 또는 비눗물이 담겨지거나 빈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유아를 1차로 씻기고 난 후, 내부욕조(120)에 담겨진 물로 유아를 2차로 씻겨 비눗물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유아의 목욕 방법은 신생아부터 돌이 지나기 전의 유아를 목욕 시킬 때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돌이 지난 유아의 경우 즉 2∼3세까지의 유아는 받침부재(130)를 분리한 상태로 내부욕조(120)와 외부욕조(110)만으로 유아를 씻길 수 있다.
즉, 첨부된 도 4c와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욕조(120)와 외부욕조(110)에 각각 물을 수용시킨 후 유아는 내부욕조(120)에 구비된 경사면(124)에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도록 한다.
보호자는 내부욕조(120)에 담겨진 물로 유아를 1차 씻기게 되는데, 이때 비눗물로 유아를 씻기게 된다. 이후, 유아를 외부욕조(110)에 위치시켜 2차로 씻김으로써 비눗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e와 도 4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욕조(110)와 상기 내부욕조(120)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30)가 모두 구비된 상태에서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받침부재(130)의 위치를 변경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내부욕조(120)를 분리한 후 외부욕조(110)와 받침부재(130)로 2∼3세까지의 유아의 목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첨부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욕조(110)의 바닥면에 받침부재(130)의 걸림부(131)를 안착시키고, 이 받침부재(130)의 지지홈(132-1)부 양측 저면을 외부욕조(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턱(114)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지지턱(114)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욕조(110)의 내측면 양측에 각각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 경우 걸림부(131)에 유아의 엉덩이나 다리가 위치되어 유아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130)에 형성된 받침부(132)에는 유아의 등을 기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아의 머리를 상기 지지홈(132-1)에 위치시켜 유아가 외부욕조(110)의 바닥면에서부터 대략 30˚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목욕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100)는 신생아, 돌이 지난 2∼3세까지의 유아에 상관없이 모두 목욕을 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눗물과 헹굼용 물이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비눗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유아욕조(100)에 담겨진 물을 버린 후 헹굼용 물을 채우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외부욕조(110)와 내부욕조(120)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욕조(1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상의 문제 및 보호자의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에 구비된 받침부재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유아욕조 110 : 외부욕조
111,121 : 수용부 112, 122 : 개구부
113a : 제1돌출부 113b : 제2돌출부
113c : 제3돌출부 114 : 지지턱
120 : 내부욕조 123 : 바닥면
124 : 경사면 130 : 받침부재
131 : 걸림부 132 : 받침부
132-1 : 지지홈 132-2 : 배출홀
133 : 낙하방지부

Claims (6)

  1. 외부욕조;
    상기 외부욕조 내에 설치되는 내부욕조; 및
    일단이 상기 외부욕조의 상단부에 탈착되고, 중심부가 상기 내부욕조의 상단부에 얹혀져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내·외부욕조 중 어느 하나의 욕조에 채워진 물로 유아를 1차로 씻긴 후, 다른 하나의 욕조에 채워진 물로 유아를 2차로 씻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욕조는,
    평면에서 봤을 때 중심에서 세 방향으로 라운드를 갖는 제1·제2·제3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욕조는,
    그 양측면이 상기 제1·제3돌출부에 각각 밀착, 또는 일측면이 상기 제2돌출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외부욕조의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
    상기 걸림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받침부의 테두리에서 상측 방향으로 낙하방지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유아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의 타측에 지지홈; 및
    물을 하측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홈 내에 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이동 가능한 유아욕조.
KR20070016263U 2007-10-05 2007-10-05 유아욕조 KR200447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263U KR200447175Y1 (ko) 2007-10-05 2007-10-05 유아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263U KR200447175Y1 (ko) 2007-10-05 2007-10-05 유아욕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336U true KR20090003336U (ko) 2009-04-09
KR200447175Y1 KR200447175Y1 (ko) 2009-12-31

Family

ID=4132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6263U KR200447175Y1 (ko) 2007-10-05 2007-10-05 유아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1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2809A (zh) * 2019-09-12 2019-11-12 合肥健洗宝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母婴共用式洗浴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860B1 (ko) 2013-11-25 2016-01-13 권순호 유아용 욕조
KR101941160B1 (ko) * 2018-04-27 2019-01-22 (주)시밀레 영유아용 수유비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634U (ko) 1973-05-04 1975-01-11
US4216552A (en) 1979-01-25 1980-08-12 Product Source Inc. Sink mounted infant bathing device
KR20040065509A (ko) * 2003-01-14 2004-07-22 주식회사 조은아이 유아용 욕조 세트
KR200345813Y1 (ko) 2003-12-30 2004-03-27 반흥곤 착탈이 가능한 분리형 유아 욕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2809A (zh) * 2019-09-12 2019-11-12 合肥健洗宝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母婴共用式洗浴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432809B (zh) * 2019-09-12 2024-04-05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母婴共用式洗浴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175Y1 (ko)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7761B2 (ja) 乳幼児用ビデ
CN202681760U (zh) 一种婴儿洗头洗澡盆
KR200447175Y1 (ko) 유아욕조
US7032259B1 (en) Collapsible infant tub
KR20090051835A (ko) 유아용 욕조
CN105768982B (zh) 折叠式幼儿清洗辅助用具
KR101492170B1 (ko) 유아용 목욕 보조대
KR101584860B1 (ko) 유아용 욕조
KR102403894B1 (ko) 영유아용 욕조
KR100560600B1 (ko) 유아용 욕조
KR200229567Y1 (ko) 유아용 욕조
KR100894868B1 (ko) 아크릴 사를 이용한 젖병 세척기
KR20120000742U (ko) 유아용 비데의자
JP2006218066A (ja) 浴室用椅子
KR200345813Y1 (ko) 착탈이 가능한 분리형 유아 욕조
KR102090546B1 (ko) 유아용 샤워기
KR20120000955U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욕조
KR200374452Y1 (ko) 유아용 샴푸의자
KR200441061Y1 (ko) 씻기기 편한 아기 목욕통
KR200143717Y1 (ko) 신생아용 목욕 욕조
KR101557570B1 (ko) 유아용 욕조
KR20140069967A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CN203693437U (zh) 带安全头靠的儿童洗澡容器
KR200143718Y1 (ko) 유아용 목욕 기구대
KR200286619Y1 (ko) 유아용 욕조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