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596A -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 Google Patents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596A
KR20090002596A KR1020070066086A KR20070066086A KR20090002596A KR 20090002596 A KR20090002596 A KR 20090002596A KR 1020070066086 A KR1020070066086 A KR 1020070066086A KR 20070066086 A KR20070066086 A KR 20070066086A KR 20090002596 A KR20090002596 A KR 20090002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main body
power
mous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종
Original Assignee
(주)지에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이엠 filed Critical (주)지에이엠
Priority to KR1020070066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596A/ko
Publication of KR2009000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CPU, 저장수단, 메인보드를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화상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일체결합된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지지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시각장치와; 상기 한 쌍의 시각장치로부터 각각 감지된 거리값 중 작은값이 감지된 시각장치 측으로 상기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를 향하여 자동으로 회전되고, 디스플레이부 및 본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ON-OFF제어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회전, 시각장치

Description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Directional all in one computer}
본 발명은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결합된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를 향하여 자동으로 회전되고, 디스플레이부 및 본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ON-OFF제어 할 수 있는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CPU(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수단,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및 컴팩트 디스크 드라이브 등 다수의 하드웨어가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화상신호를 전달받아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본체부에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는 통상 액정을 이용한 슬림 타입의 LCD(Liquid Crystal Display)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휴대할 수 있는 소형 경량의 노트북 컴퓨터와, 책상 등의 설치대 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데스크탑 컴퓨터(타워형 컴퓨터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로 구분된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와 데스크탑 컴퓨터의 중간 형태라 볼 수 있는 일체형 컴퓨터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는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함께 미리 구비되는 점에서 노트북 컴퓨터와 유사하지만, 본체부로부터 디스플레이부를 개폐하지 않고, 항시 디스플레이된 상태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점에서 데크스탑 컴퓨터에 가깝다.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컴퓨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종래의 일체형 컴퓨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10)와, 복수의 하드웨어가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 또는 본체부(20)의 측벽 상에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0), 디스플레이부(10)와 본체부(20)의 하측에 결합된 다수의 관절부(42, 44, 46) 및 디스플레이부(10)와 본체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체형 컴퓨터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를 바라보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손잡이(30)를 잡고 디스플레이부(10)를 수동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체형 컴퓨터의 전원을 켜거나 끌 때에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원버튼(미도시)를 눌러서 켜고 꺼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를 향하여 자동으로 회전되고, 사용자의 사용준비 여부를 추론하여 디스플레이부 및 본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ON-OFF제어 할 수 있는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CPU, 저장수단, 메인보드를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본체부로부터 화상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일체결합된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지지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시각장치와; 상기 한 쌍의 시각장치로부터 각각 감지된 거리값 중 작은값이 감지된 시각장치 측으로 상기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전방이 사용자를 향하여 자동으로 회전구동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기 위해 이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몸체에는 키보드안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키보드안착부 에는 적어도 키보드착탈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안착부에 키보드의 안착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을 OFF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키보드안착부로부터 키보드의 이탈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을 ON상태로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키보드를 지지몸체의 키보드안착부에 올려놓는 동작만으로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을 OFF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키보드안착부에 착탈되는 키보드는 무선키보드이고, 상기 무선키보드는 전원수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키보드안착부에는 전원발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키보드가 상기 키보드안착부에 안착된 경우에, 상기 전원발신부와 상기 전원수신부가 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되고, 전원발신부로부터 상기 전원수신부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무선키보드가 자동충전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키보드안착부에 무선키보드가 안착된 상태에서 자동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무선키보드의 단점인 전원충전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몸체에는 마우스안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마우스안착부에는 적어도 마우스착탈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우스안착부에 마우스의 안착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을 OFF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마우스안착부로부터 마우스의 이탈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을 ON상태로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마우스를 지지몸체의 마우스안착부에 올려놓는 동작만으로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을 OFF할 수 있고, 이탈 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을 ON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마우스안착부에 착탈되는 키보드는 무선마우스이고, 상기 무선마우스는 전원수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마우스안착부에는 전원발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마우스가 상기 마우스안착부에 안착된 경우에, 상기 전원발신부와 상기 전원수신부가 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전원발신부로부터 상기 전원수신부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무선마우스가 자동충전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마우스안착부에 무선마우스가 안착된 상태에서 자동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무선마우스의 단점인 전원충전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장치가 감지한 거리값이 사용준비거리 이하인 상태에서 사용준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장치가 감지한 거리값이 사용이탈거리 초과인 상태에서 사용이탈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사용준비 여부를 추론하여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공급을 ON-OFF 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는, 시각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방범처리 및 영상정보녹화를 하고, 통신모듈이 구비된 방범처리수단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이 OFF상태이고, 동시에 방범활동설정시간 내에 포함될 시 상기 방범처리수단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한 방범처리 및 영상정보녹화를 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외부의 침입을 감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전방이 사용자를 향하여 자동으로 회전구동되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기 위해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는 간편함이 있다.
또한, 무선키보드 및 무선마우스를 지지몸체의 키보드안착부 및 마우스안착부에 각각 안착시키거나 이탈시키는 동작만으로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을 ON-OFF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선키보드 및 무선마우스가 지지몸체의 키보드안착부 및 마우스안착부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자동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무선키보드와 무선마우스의 단점인 전원충전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시각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더라도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공급을 ON-OFF 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외부의 침입을 감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키보드, 마우스가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키보드, 마우스가 이탈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무선키보드 및 무선마우스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 저장수단, 메인보드 등의 하드웨어가 구비된 본체부(20)와; 본체부(20)와 일체로 결합되되 본체부(20)로부터 화상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화상으로 출력하되,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한 쌍의 시각장치(300)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0)와; 본체부(20) 및 디스플레이부(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술한 몸체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200)가 구비되어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지지하는 지지몸체(100)와; 시각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에 근거하여 방범처리 및 녹화하기 위한 방범처리수단(500)과; 무선키보드(130) 및 무선마우스(140); 그리고, 상술한 본체부(20), 디스플레이부(10), 전원 공급부(50), 회전구동부(200), 방범처리수단(500)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부(20), 디스플레이부(10) 및 전원공급부(5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부(20)는 다수의 하드웨어 및 이를 수용하는 본체케이스(20a)로 구성된다.
본체케이스(20a)는 철제 또는 플라스틱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본체케이스(20a)에 수용되는 하드웨어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보드(22), 메인보드(22)에 장착되는 CPU(21),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23), 그래픽카드, 메모리칩, USB, 시리얼 통신, 사운드를 지원하는 PCB, 여러 대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한 랜카드 및 TV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외에도 각종 제어를 위한 제어부(400), 방법처리를 위한 방범처리수단(500) 및 각종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하드웨어를 본체부(20)에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CPU(21), 메인보드(22), 저장수단(23), 제어부(400), 방범처리수단(500) 등의 각종 하드웨어는 본체부(20)가 아닌 지지몸체(100)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체부(20)는 다수의 하드웨어를 통해 고속의 자동 계산, 자동제어, 데이터 처리, 사무 관리, 언어나 영상정보 처리 등 입력자료를 받아들여 처리하고 그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일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본체부(20)의 출력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창(10b)과, 표시창(10b)의 외곽부를 지지하며 본체부(20)의 일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표시창케이스(10a)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체부(2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화상신호 등의 출력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창(10b)을 통해 화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창케이스(10a)의 전방에 적어도 한 쌍의 시각장치(300)가 구비된다.
한 쌍의 시각장치(300)는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여 거리값을 감지하거나 전방의 영상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표시창케이스(10a)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표시창케이스(10a)의 전방 상측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양측에 각각 하나씩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0)는 표시창(10b)을 통해 본체부(20)의 출력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화상으로 표시해주고, 한 쌍의 시각장치(300)를 통해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공급부(50)는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필요한 가공을 처리하여 상술한 본체부(20) 및 디스플레이부(1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본체케이스(20a) 또는 지지몸체(100) 내에 위치될 수 있고, 공지의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와 같이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케이스(20a) 또는 지지몸체(100) 내에 설치된 경우에는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백업배터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0)에 구비된 한 쌍의 시각장치(300)를 통해 탐지된 영상정보에 의하여, 전원공급부(50)가 본체부(20) 및 디스플레이부(10)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ON-OFF제어될 수 있도록 제어부가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시각장치(300)를 통한 전원공급부(50)의 전원공급 ON-OFF제어는 제어부(4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400)는, 한 쌍의 시각장치(300)가 감지한 거리값이 사용준비거리 이하인 상태에서 사용준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원공급부(50)가 본체부(20) 및 디스플레이부(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한 쌍의 시각장치(300)가 감지한 거리값이 사용이탈거리 초과인 상태에서 사용이탈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원공급부(50)가 본체부(20) 및 디스플레이부(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준비거리가 1m이고 사용준비시간이 10초이며, 사용이탈거리가 3m이고 사용이탈시간이 60초인 경우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부(10)에 구비된 한 쌍의 시각장치(300) 전방 1m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10초가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400)는 전원공급부(50)를 제어하여 본체부(20) 및 디스플레이 부(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가 부팅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종료동작을 행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0)에 구비된 한 쌍의 시각장치(300) 전방 3m 초과 이탈한 상태에서 60초를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400)는 전원공급부(50)를 제어하여 본체부(20) 및 디스플레이부(10)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여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가 종료되도록 한다.
상술한 전원의 ON-OFF는 하드웨어적인 것은 물론,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 또는 웨이크업에서 슬립으로의 동작도 포함하고, 하드웨어의 전원 ON-OFF시에는 서지차단, 필요한 소프트웨어처리(자료저장, 하드디스크 파킹 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사용준비거리와 사용이탈거리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고, 사용준비시간 및 사용이탈시간도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20), 디스플레이부(10)는 일체형이 되도록 구성되고, 전원공급부(50)는 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본체부(20) 및 디스플레이부(10)에 전원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구동부(200)가 구비된 지지몸체(100), 무선키보드(130) 및 무선마우스(14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몸체(100)는 본체부(20), 디스플레이부(10)로 구성된 부분(이하, '일체형 PC'라고 한다.)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책상이나 벽면 등으로부터 일체형 PC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일체형 PC의 지지는 지지몸체(100)에 구비된 회전구동부(200)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몸체(100)의 일부에 구비된 회전구동부(200)의 회전모터의 회전축(202)이 일체형 PC와 결합되며, 일체형 PC는 지지몸체(10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모터의 회전축(202)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전모터의 회전구동은 제어부(4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디스플레이부(10)의 한 쌍의 시각장치(300)에서 감지된 영상정보(거리값)를 근거로 하여 회전모터를 회전구동시키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의 전방 좌측에 사용자가 위치된 경우에, 도면의 좌측에 위치된 시각장치(300a)를 통해 감지된 거리값은 d1이고, 도면의 우측에 위치된 시각장치(300b)를 통해 감지된 거리값은 d2로서, 제어부(400)는 d1가 d2보다 작은 값이라고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400)는 d1과 d2의 값이 유사 또는 동일해지도록 회전모터의 회전축(202)을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1'와 d2'의 값이 유사 또는 동일해지도록 제어한다.
이때, d1'와 d2'의 값이 유사 또는 동일해진다는 것은 사용자가 제어부(400)에 미리 입력한 정보, 즉, d1'와 d2'가 동일해지는 경우에 회전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d1'와 d2'의 차이가 일정값 이하인 경우에 회전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d1'와 d2'의 차이가 일정값(예를 들면, 3cm) 이하인 경우에 회 전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제어부(400)에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사용자의 미세한 움직임(d1'와 d2'의 차이가 3cm 이하가 되는 움직임)에 따라 회전모터가 지속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전원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를 정면으로 바라보기 위해 위치를 이동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부(10)가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정면을 향해 회전구동되므로 간편하다.
한편,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몸체(100)의 일부, 예컨데 상면에는 키보드가 안착되는 키보드안착부(110)와 마우스가 안착되는 마우스안착부(120)가 마련된다.
키보드안착부(110)에는 키보드착탈센서(112)가 구비되어, 키보드가 안착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제어부(400)에 알리게 되고, 마우스안착부(120)에는 마우스착탈센서(122)가 구비되어, 마우스가 안착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제어부(400)에 알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보드 및 마우스의 착탈을 판단하는 제어부(400)는, 키보드안착부(110)에 키보드의 안착을 인식한 경우에는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전원공급을 OFF상태가 되도록 전원공급부(50)를 제어하고, 키보드안착부(110)로부터 키보드의 이탈을 인식한 경우에는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전원공급을 ON상태가 되도록 전원공급부(5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마우스안착부(120)에 마우스의 안착을 인식한 경우에는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전원공급을 OFF상태가 되도록 전원공급부(50)를 제어하고, 마 우스안착부(120)로부터 마우스의 이탈을 인식한 경우에는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전원공급을 ON상태가 되도록 전원공급부(50)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400)는 키보드의 착탈여부 또는 마우스의 착탈여부에 따라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전원공급이 ON상태 또는 OFF상태가 되도록 전원공급부(50)를 제어하게 되며, 키보드 또는 마우스 중 어느 하나라도 이탈이 감지된 경우에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전원공급을 ON상태로 제어하고, 키보드 및 마우스가 모두 안착이 감지된 경우에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전원공급을 OFF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키보드, 마우스의 안착과 이탈을 감지하는 센서방식은 정전식, 무게, 스위치접촉, 광센서 등 여러 방법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키보드안착부(110)에 안착되는 키보드는 무선키보드(130)로 구성되고, 마우스안착부(120)에 안착되는 마우스는 무선마우스(140)로 구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키보드(130) 및 무선마우스(140)에는 각각 충전을 위해서 전원을 수신하는 전원수신부(132, 142)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몸체(100)의 키보드안착부(110) 및 마우스안착부(120)에는 상술한 전원수신부(132, 1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원발신부(114, 124)가 구비된다.
전원발신부(114, 124)와 전원수신부(132, 142)는 유선(접촉 컨텍트 등) 또는 무선(RF결합)을 통해 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어부(400)가 무선키보드(130) 또는 무선마우스(140)의 안착을 감지하여,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의 전원공급을 OFF상태로 제어하면, 지지몸체(100)의 키보드안착부(110) 및 마우스안착부(120)에 구비된 각 전원발신부(114, 124)를 통해 무선키보드(130) 및 무선마우스(140)의 전원수신부(132, 142)로 전원을 공급하여, 무선키보드(130) 및 무선마우스(140)는 자동으로 충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200)가 구비된 지지몸체(100)에 의해서 본체부(20), 디스플레이부(10)로 구성된 일체형 PC가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자동으로 회전구동될 수 있고, 지지몸체(100), 무선키보드(130), 무선마우스(140)의 상호적인 연결관계에 의해서 무선키보드(130), 무선마우스(140)의 착탈 감지에 의한 전원제어 및 무선키보드(130), 무선마우스(140)의 전원이 충전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방범처리수단(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방범처리수단(500)은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전원공급이 OFF상태이고, 동시에 방범활동설정시간 내에 포함될 시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여 방범처리하고 침입상황을 녹화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창케이스(10a)에 구비된 한 쌍의 시각장치(300)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근거로 하여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게 된다.
한편,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전원공급이 OFF상태에서도, 시각장 치(300)와 방법처리수단(500)은 제어부(400)와 함께 전원공급부(500)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며, 방범처리수단(500)에는 방범처리를 위한 통신모듈(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방범활동설정시간이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라고 설정된 경우에, 사용자가 오후 11시에 PC를 종료시켜서 본체부(20)와 디스플레이부(10)의 전원공급이 OFF상태가 되면, 방범처리수단(500)의 수행시간은 오후 11시부터 오전 6시까지가 되며, 방범처리수단(500)의 수행시간 내에는 한 쌍의 시각장치(30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정보가 녹화된다.
이때, 침입자가 침입하여 한 쌍의 시각장치(30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정보, 특히, 거리값의 변화가 감지되면 통신모듈(510)을 통해 경보장치에 구동신호를 발송, 사용자의 핸드폰으로 문자발송 또는 경찰서에 신고하는 등의 방범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방범처리수단(500)은 방범처리수단(500)의 수행시간 내에 한 쌍의 시각장치(30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녹화하다.
이에 따라, 외부의 침입이 발생한 경우에는 녹화된 영상을 이용하여 추후에 침입자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는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이 사용자를 향하여 자동으로 회전구동되므로, 디스플레이부를 수동으로 회전할 수 있는 거리 이상에 위치한 사용자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킬 수 없는 장애인과 같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선키보드가 키보드안착부에 탈착, 마우스안착부에 마우스가 탈착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시각장치에 의한 감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을 ON-OFF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컴퓨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키보드, 마우스가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키보드, 마우스가 이탈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무선키보드 및 무선마우스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디스플레이부 20:본체부
30:손잡이 42, 44, 46:관절부
50:전원공급부 100:지지몸체
110:키보드안착부 112:키보드착탈센서
114, 124:전원발신부 120:마우스안착부
122:마우스착탈센서 130:무선키보드
132, 142:전원수신부 140:무선마우스
200:회전구동부 300:시각장치
400:제어부 500:방범처리수단

Claims (8)

  1. 적어도 CPU, 저장수단, 메인보드를 구비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화상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일체결합된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지지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시각장치와;
    상기 한 쌍의 시각장치로부터 각각 감지된 거리값 중 작은값이 감지된 시각장치 측으로 상기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에는 키보드안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키보드안착부에는 적어도 키보드착탈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보드안착부에 키보드의 안착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을 OFF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키보드안착부로부터 키보드의 이탈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 공급을 ON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에는 마우스안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마우스안착부에는 적어도 마우스착탈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우스안착부에 마우스의 안착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을 OFF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마우스안착부로부터 마우스의 이탈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을 ON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안착부에 착탈되는 키보드는 무선키보드이고,
    상기 무선키보드는 전원수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키보드안착부에는 전원발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키보드가 상기 키보드안착부에 안착된 경우에, 상기 전원발신부와 상기 전원수신부가 서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전원발신부로부터 상기 전원수신부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무선키보드가 자동충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안착부에 착탈되는 키보드는 무선마우스이고,
    상기 무선마우스는 전원수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마우스안착부에는 전원발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마우스가 상기 마우스안착부에 안착된 경우에, 상기 전원발신부와 상기 전원수신부가 서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전원발신부로부터 상기 전원수신부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무선마우스가 자동충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장치가 감지한 거리값이 사용준비거리 이하인 상태에서 사용준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장치가 감지한 거리값이 사용이탈거리 초과인 상태에서 사용이탈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는, 시각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정보에 근거하 여 방범처리 및 영상정보녹화를 하고, 통신모듈이 구비된 방범처리수단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원공급이 OFF상태이고, 동시에 방범활동설정시간 내에 포함될 시 상기 방범처리수단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한 방범처리 및 영상정보녹화를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KR1020070066086A 2007-07-02 2007-07-02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KR20090002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086A KR20090002596A (ko) 2007-07-02 2007-07-02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086A KR20090002596A (ko) 2007-07-02 2007-07-02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596A true KR20090002596A (ko) 2009-01-09

Family

ID=4048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086A KR20090002596A (ko) 2007-07-02 2007-07-02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5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9886A (zh) * 2012-12-18 2014-06-18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一体机及应用于该一体机的键盘控制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9886A (zh) * 2012-12-18 2014-06-18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一体机及应用于该一体机的键盘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2227B2 (en) Anti-theft and security system for computers
US5757271A (en)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ity for an electronic device
US7190264B2 (en) Wireless computer monitoring device with automatic arming and disarming
US7135971B2 (en) Anti-theft and security system for computers
US2014027421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3376907B (zh) 多主机无线输入设备
KR1016722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EP35679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apparatus
CN106227028B (zh) 一种智能手表
US20100194578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sing a device in an improper manner such as from too short a distance or for too much time
EP259254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115150A1 (en) Information processor
WO2014121743A1 (zh) 基于环境识别的实现移动设备防丢功能的防丢方法
US9794456B2 (en)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device
US2019026118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US20160154955A1 (en) Communication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O2014121578A1 (zh) 用于实现移动设备防丢功能的防丢设备
CN201984375U (zh) 一种电子设备
JP2004038332A (ja) 情報処理装置
CN100517231C (zh) 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CN104394249A (zh) 一种配备可装卸式功能模块的智能终端
KR20090002596A (ko) 지향성 일체형 컴퓨터
US10922912B2 (en) Grad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for merchandise security
KR20170055866A (ko)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
JP6810768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