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157A - 광고주가 광고를 직접 등록하는 방식(셀프 업로드)의문화콘텐츠 광고/검색 사이트 - Google Patents

광고주가 광고를 직접 등록하는 방식(셀프 업로드)의문화콘텐츠 광고/검색 사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157A
KR20090002157A KR1020070060169A KR20070060169A KR20090002157A KR 20090002157 A KR20090002157 A KR 20090002157A KR 1020070060169 A KR1020070060169 A KR 1020070060169A KR 20070060169 A KR20070060169 A KR 20070060169A KR 20090002157 A KR20090002157 A KR 20090002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al
information
website
contents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평국
Original Assignee
강평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평국 filed Critical 강평국
Priority to KR102007006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157A/ko
Publication of KR2009000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화콘텐츠의 온라인광고 시에 업로드 방식에 있어서 문화콘텐츠 정보를 알리고자 하는 자가 문화콘텐츠 정보를 온라인상에 직접 게시할 수 있는 셀프 업로드 방식을 도입해 유통구조의 최소화를 도모하려는 영업모델에 관한 것으로 크게 1) 온/오프라인상에 존재하는 개인이나 단체의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보들을 게시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단계와, 2) 구축한 웹사이트를 통해 개인이나 단체의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해당 또는 관련 개인이나 단체가 구축된 본 웹사이트에서 유료로 제공하는 최소한의 경로를 통해 문서 파일 형태나 오디오 파일 형태 혹은 이미지 파일 형태나 동영상 파일 형태 또는 이상의 것을 한 가지 이상 종합한 형태로 직접 게시하는 단계와, 3) 게시된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보들을 본 웹사이트의 회원들 혹은 비회원 네티즌들이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 툴(tool)을 통해 무료로 검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이다.
문화콘텐츠, 셀프 업로드, 문화콘텐츠 광고, 문화콘텐츠 유통, 문화콘텐츠 검색, 문화알리미, 문화누리미

Description

광고주가 광고를 직접 등록하는 방식(셀프 업로드)의 문화콘텐츠 광고/검색 사이트{The advertising and searching website that advertisers upload their culture contents by themselves}
도면 1은 온라인상의 문화콘텐츠 광고/판매 대행사나 오프라인 광고물 제작사를 예로 들어 문화생산자가 문화콘텐츠를 생산한 후 이에 의뢰하여 광고하거나 광고물을 제작하면 문화소비자가 이를 인지하고 소비하여 문화체험에 이르기까지의 종래의 절차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면 2는 도면 1이 나타내는 종래의 절차 중 본 발명을 통해 변화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빨간 실선으로 가리켜 표시한 것이다.
도면 3은 문화콘텐츠를 알리고자 하는 자가 온라인 상에서 문화콘텐츠를 직접 광고할 수 있는 셀프 업로드 방식(발명의 구성 및 작용란에 설명되어 있음.)을 도입해 문화콘텐츠 유통의 단계가 최소화되는 본 발명의 흐름을 도식화한 것이다.
한계비용을 고려하지 않을 때 문화생산자와 문화소비자의 직접적인 교류는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든 문화생산자와 모든 문화소비자가 개별적으로 모두 만나는 것은 불가능할 뿐더러 경제적이지 못하다. 때문에 문화콘텐츠의 유통과정에 있어서 이를 해소해 줄 시스템과 유통업체는 필연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온/오프라인상의 문화콘텐츠 유통업체의 경우 불필요한 단계들을 포함하고 있거나 시스템이 가지는 단점들로 인해 문화콘텐츠의 유통을 제약하는 경우가 많다.
먼저, 오프라인을 통한 문화콘텐츠의 유통을 선택했을 때 문화생산자는 영상(TV)/음성(라디오) 미디어를 통한 광고방식보단 신문, 포스터, 전단지, 팸플릿, 현수막과 같은 인쇄 미디어를 통한 광고방식을 선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왜냐하면, 영상/음성 미디어를 통한 홍보는 다수의 잠재적 문화소비자(시청자/청취자)를 보유한 장점에 반해 높은 비용, 그리고 정보전달 방식의 특성이 가지는 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영상/음성 미디어의 광고비용은 자본의 규모가 중소단위인 문화생산자는 접근하기 어려울 만큼 비싸서 문화생산자의 접근성을 떨어뜨리며, 고(高)비용에 비해 적은 방송 횟수와 동적인 정보전달방식은(올드미디어의 영상, 음성의 재생은 일회적이며 인터넷, 쌍방향 케이블 TV 등의 뉴미디어와 달리 문화소비자가 되돌려 재생할 수 없다.) 오히려 정보의 취득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방송방식에 있어서 화면과 멘트의 구성 등은 권한이 전적으로 해당 미디어 측에 편중돼 있어 문화생산자의 가변적 의사가 반영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이와 같은 점은 문 화생산자의 접근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문화소비자의 정보인지도도 저하시켜 문화콘텐츠 유통의 제한요소가 될 수 있다. 인쇄 미디어의 경우 신문은 영상/음성 미디어에 비해 비용의 절감 면에서 큰 효과가 없을뿐더러, 종합적인 콘텐츠 정보의 전달이 주요목적이므로 문화콘텐츠 정보는 전체콘텐츠 정보의 일부로 인식돼 주목성이 떨어져 문화콘텐츠 정보전달의 효율성이 크지 않다. 그러므로 오프라인상에서 미디어를 통한 홍보는 포스터, 전단지, 팸플릿, 현수막과 같이 하나의 정보전달만을 목적으로 하고, 비용이 저렴한 경우를 선택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의 광고 시스템은 문화생산자와 문화소비자가 주고 받을 수 있는 정보가 단회적이거나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아울러 인쇄 미디어는 모두 인쇄(출판) 후 정보의 기재에 오류가 있을 경우 수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인쇄 미디어는 다량의 문화콘텐츠 정보를 대규모 지역에 유통하는 것에 한계성이 있고, 이는 영상/음성 미디어와 마찬가지로 문화콘텐츠 유통에 제약이 있다.
온라인 상에서 이상의 보완을 목적으로 문화생산자와 문화소비자 간의 교류를 보조하여 문화콘텐츠의 유통을 촉진하려는 시스템이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문화콘텐츠를 유통하는 온라인상의 문화콘텐츠 광고/판매 대행사(이하 ‘광고/판매 대행사’, 의미의 혼동이 올 만한 곳에서만 ‘온라인상의 문화콘텐츠’를 괄호로 표시)이다. 그러나 광고/판매 대행사의 경우도 오프라인 광고방식에 상응하거나 초과하는 고비용에 비해 온라인상에 광고가 되기까지 복잡한 승인 절차와 오랜 시간을 요구하는바 문화콘텐츠를 생산하고, 광고/판매 대행의 비용을 지불하거나 분담하는 문화생 산자가 문화콘텐츠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광고/판매 대행사에 종속되는 구조를 낳아 문화콘텐츠정보의 유통이 오히려 원활치 못한 면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도면 1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도면 1은 (온라인상의 문화콘텐츠) 광고/판매 대행사나 오프라인 광고물 제작사를 예로 들어 문화생산자가 문화콘텐츠를 생산한 후 이에 의뢰하여 광고하면 문화소비자가 이를 인지하고 소비하여 문화체험에 이르는 종래의 절차를 도식화한 것이다.
오프라인 광고를 선택할 경우는 포스터, 전단지, 팸플릿과 현수막 등의 광고물을 제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광고물 제작을 의뢰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왜냐하면, 상기에서 서술한 이유로 오프라인 미디어를 통한 홍보는 오프라인 광고물 제작사를 선택하는 경우가 다수이기 때문이다.
먼저
a: 문화생산자가 포스터, 전단지, 팸플릿과 현수막 등의 오프라인 광고물을 제작하는데 따른 비용을 문의하여
b: 타업체와의 비용을 비교해 경제적 가치를 따진 후, 비용에 만족하면(불만족하면 타업체를 선택하거나 모든 업체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이 경로를 통한 문화콘텐츠 정보의 유통도 차단된다.)
c: 해당 콘텐츠에 대한 문자적/이미지적 정보 등을 오프라인 광고물 제작사에 전달한다.
d: 오프라인 광고물 제작사는 오프라인으로 출력될 광고물을 먼저 웹상의 디자인으로 표현해 미리 보여주고
e: 문화생산자는 디자인에 만족하고 기재의 오류가 없으면 출력을 의뢰하고, 디자인의 개선이나 수정할 정보 등이 있으면 d단계로 이동해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f: 웹상의 디자인을 오프라인상의 광고물로 출력하는 데
g: 출력 상의 오류가 있는 경우 f단계로 이동하고(실상은 경제윤리에 대한 문화생산자와 오프라인 광고물 제작사와의 견해차와 경제적 가치의 손실 등에 대한 서로 의견차이로 합의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최종적으로 정보와 디자인에 하자가 없는 경우 a단계에서 제시된 금액을
h: 문화생산자가 결제하여 오프라인 광고물 제작사에 지불한다.
i: 광고물을 수령하면
j: 오프라인상에 유통시켜(벽 등에 접착시키거나 공간 구조물에 걸어 전시하거나 차나 주택 등의 입구에 직/간접적으로 배포시키는 형태 등.) 광고하고
k: 문화소비자가 해당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한 뒤 원하는 문화콘텐츠이면
l: 문화생산자가 요구하는 금액을 온/오프라인상의 방법으로 결제하여 문화생산자는 수익을 창출하고,
m: 문화소비자는 문화체험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n: 유통시킨 광고물을 수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유통시킨 광고물을 수거할 때는 유통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인건비가 들 수 있으며, 수거되지 않은 광고물은 공공장소나 주거환경의 미관과 청결을 해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제작된 광고물을 통해 문화콘텐츠 정보를 유통시킬 수 있는 지역의 범위가 앞서 서술된 바와 같이 다른 미디어에 비해 지극히 국지적이어서 문화콘텐츠의 유통 범위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반해 정지된 이미지라는 측면에서 영상/음성 미디어에 비해 노출의 시간이 길다는 이점은 있으나, 이 역시 문화소비자가 도보의 행위가 아니고 차량 이동 시와 같이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에는 영상/음성 미디어와 비교해 노출의 시간 면에 있어 큰 이점이 없다. 그리고 도보의 경우도 문화소비자가 용무가 있어 시간적 제약을 받을 때는 인지율이 떨어지며, 해당 콘텐츠가 관심의 대상이 아니거나 주거지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게시된 장소를 다시 찾아 정보를 확인하려는 적극적 행위로서의 재 인지율도 현저히 떨어진다. 더불어 시/공간적 요소에 있어서 타깃이 되는 문화소비자의 인지를 수동적으로 기다려야하는 방법이므로 배포되는 광고량에 비해 타깃이 되는 문화소비자에게 해당 문화콘텐츠 정보가 성공적으로 전달되는 비율이 다른 미디어에 비해 매우 떨어진다.
그러므로 문화콘텐츠의 광고는 자본이 충분한 경우 온라인 미디어를 통한 광고방법과 오프라인 미디어를 통한 광고방법을 병행하고, 자본이 부족한 경우는 오프라인 광고물 제작사를 비롯한 오프라인 미디어에서 온라인 미디어를 통한 광고로 다수 이행되는 추세이다. 왜냐하면, 온라인 미디어를 통한 광고는 시/공간의 제약성이 적어 광고를 통한 정보전달의 효과가 오프라인 미디어에 비해 크기 때문이다. 도면 1에서는 (온라인상의 문화콘텐츠) 광고/판매 대행사를 예로 들었다. 왜냐하면, 문화생산자가 온라인에서 직접 홍보를 했을 경우 온라인상의 유저(User)에게 광고정보가 노출되는 횟수가 다수의 회원을 확보한 광고/판매 대행사에 비해 비교열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콘텐츠를 온라인상에 표현하는 기술적 방법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먼저
a´: 해당 콘텐츠를 광고하는 데에 따른 비용을 문의하고 콘텐츠의 규모와 경제적 가치를 전달하는 과정이다.
b´: 광고/판매 대행사에서 요구하는 정형화된 서식(문화콘텐츠에 관한 세부정보와 판매 수익배분 등을 서면으로 구체화)을 다운로드 받은 후 기재하여 제출하면
c´: 광고/판매 대행사는 해당 콘텐츠로 인한 수익을 판단하는데(이때 광고대행으로 인한 수익보다 판매대행으로 인한 수익이 더 크므로 해당 콘텐츠의 판매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상 총 관객규모와 해당 콘텐츠 주관단체의 사회적 인지도가 우선시된다.)
d´: 티켓당 정률제의 수수료를 받기 때문에 예상 총 관객규모가 작아 판매수수료가 적정치가 아닐 때에는 손실이 발생하거나 이윤이 저조하여 경제적 가치가 부족하므로 거절하고(이때 문화생산자는 온라인을 통해 문화콘텐츠 정보를 유통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상등의 이유로 이윤이 커서 경제적 가치가 충분하면 문화생산자에게 광고/판매 대행에 대한 계약 의사를 전달한다. 이로써 양자 간의 계 약이 체결되면
e´: 문화생산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문자적/이미지적 정보 등을 광고/판매 대행사에 전달한다.
f´: 광고/판매 대행사는 전달받은 정보들을 자사의 웹사이트 안에서 다른 콘텐츠들과의 경제적 상관관계에 근거하여 시각적 인지도에 차별을 두어 웹디자인을 만들고
g´: 문화생산자는 디자인의 내용을 판단해 만족하면 게시에 동의하고(판매수익을 배분하는 것과 별도로 광고비를 지불하는 경우도 있다), 불만족할 경우 혹은 기재의 오류가 있는 경우는 f´단계로 이동해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h´: 해당 콘텐츠가 온라인상에 게시되면
i´: 문화체험을 원하는 문화소비자들이 광고/판매 대행사의 웹사이트에 접속해 해당 문화콘텐츠를 검색하고 인식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게시된 문화생산자의 콘텐츠가 원하는 콘텐츠일 경우
j´: 회원가입을 하고
k´: 해당 웹사이트 내에서 온라인 결제시 요구되는 정보를 입력한 뒤
l´: 결제가 이루어지면(판매를 대행하는 단계이다.) 수익은 b′단계에서 제출한 서식과 d´단계의 계약에 근거해 배분된다.
m´: 그리고 문화소비자는 문화체험에 이를 수 있다.
그러나 (온라인상의 문화콘텐츠) 광고/판매 대행 시스템은 문화생산자의 문화콘텐 츠 유통을 돕고 문화소비자의 편익을 증진하려는 원래의 목적과 어긋난 결과를 가져올 요소를 시스템 안에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장기적으로는 문화생산자와 문화소비자 간의 직접적인 유통이 제약을 받아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소비가 위축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 요소는 문화콘텐츠의 유통단계에 있어서 유통권한의 비중이 문화생산자나 문화소비자가 아닌 광고/판매 대행사 쪽에 더 크다는 것과 광고/판매 대행사가 판매에서 오는 수익성을 놓지 않는다는 점이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문화콘텐츠 정보를 유통시키는 데 있어서 현재의 인프라로는 중간단계로서의 매체가 필연적이다. 왜냐하면, 생산재를 사기 위해 소비자가 생산지로 직접 모두 찾아다닐 수 없고, 생산자가 모든 소비자를 찾아 전 세계를 돌아다닐 수 없으므로 무역이라는 시스템이 필요하고, 시장이나 대형 마트와 같은 장소가 필요하듯이 문화콘텐츠라는 생산재도 문화생산자와 문화소비자 사이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에 상응하는 시스템과 장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문화콘텐츠 정보의 광고는 시/공간의 제약이 적은 온라인이 오프라인보다 경제적이고, 온라인에서 문화콘텐츠를 유통시키는 시스템을 개발한 (온라인상의 문화콘텐츠) 광고/판매 대행사가 이 시스템을 가지고 온라인상에 문화콘텐츠 광고/판매 대행 웹사이트를 개설해 놓는 것이 모든 문화생산자와 모든 문화소비자가 개별적으로 모두 만나는 것보다 경제적이다. 그리고 실제로 현재 문화콘텐츠 유통의 대부분을 (온라인상의 문화콘텐츠) 광고/판매 대행사가 점유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는 광고대행으로 인 한 수익보다 티켓의 판매대행으로 인한 수익이 더 크므로(왜냐하면 문화콘텐츠 자체가 문화소비자가 지불한 재화를 문화생산자가 인정하는 ‘티켓’이라는 수단을 통해 수익의 대부분이 창출되기 때문이다.) 광고/판매 대행사가 판매대행에서 오는 수익성을 놓지 않으려는 영업방침이 있어서 이를 관리(티켓예매, 예매 취소에 따른 환불, 온/오프라인 티켓판매의 인력/기반시설, 영업 인력 등) 하는데 많은 인적자원과 기반시설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선 많은 비용이 필요한데 그에 소요되는 비용이 광고/판매 대행사의 소비자인 문화생산자에게로 돌아가는 역설적인 구조를 낳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해 야기되는 문화생산비용의 상승은 문화소비자에게도 부담으로 돌아온다.
아울러 이 유통체제를 유지해 수익을 더욱 창출하려면 온라인상에 문화콘텐츠 정보를 게시하는 권한의 상당부분을 광고/판매 대행사 쪽에서 가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수익의 차이가 나는 문화콘텐츠 정보는 웹상에서 시각적 인지도로 차등을 두어 표현하는데(고수익의 문화콘텐츠 정보는 상단에 표시하거나 영역을 넓히거나 인지도가 높은 색으로 디자인해 다른 콘텐츠에 비해 눈에 잘 띄게 표현하는 식이다.) 그러려면 디자인의 권한의 상당 부분이 광고/판매 대행사 쪽에 속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중소규모의 자본을 가진 문화생산자는 상대적으로 유통의 하부구조에서 헤어나올 방법이 없다. 때문에 대규모 자본의 문화생산자가 득세하게 되어 문화콘텐츠가 자본의 규모에 따라 서열화되므로 문화콘텐츠의 다양성과 풍부함이 제약을 받게 되고, 이는 다시 문화소비자의 소비욕구에 제한을 초래하는 요인이 된 다.
이처럼 광고대행보다 판매대행을 통한 수익에 중점을 두는 영업방침은 광고를 통한 문화콘텐츠의 유통을 약화시키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인프라에 소요되는 많은 비용이 문화생산자와 문화소비자의 몫으로 돌아가며, 디자인의 권한을 지키려는 의뢰절차는 문화생산자의 다양한 광고표현욕구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문화생산자를 광고/판매 대행을 통한 유통시스템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온라인상의 문화콘텐츠) 광고/판매 대행사는 예약을 통한 판매대행을 도입해 대규모자본을 가진 문화생산자들의 문화콘텐츠 유통을 활성화시켰으나 저예산 또는 무료 문화콘텐츠를 가진 문화생산자들의 접근성을 떨어뜨려 문화소비자들이 후자의 문화콘텐츠 정보를 습득하는데 어려움을 가져왔다.
따라서 (온라인상의 문화콘텐츠) 광고/판매 대행사나 오프라인 광고물 제작사 등을 통한 이상의 문화콘텐츠 유통방법의 경우 문화생산자와 문화소비자 간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한 수단이 오히려 상호 교류에 제약을 줌으로써 문화생산자와 문화소비자 간에 문화콘텐츠의 유통에 지장을 초래해 장기적으로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소비가 확장되고 창출되는 것을 저해하는 악순환 적 구조를 양산한다.
본 발명은 문화콘텐츠를 온라인상에 광고하는 문화콘텐츠 정보의 유통과정에 있어서 문화생산자와 문화소비자 간의 직접적인 교류와 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유통의 중간단계를 최소화는 데 취지가 있다. 이에 문화콘텐츠의 온라인광고 시에 업로드 방식에 있어서 문화생산자의 비중을 현저히 높이는 셀프 업로드 방식을 도입해 상기에 제시된 문화콘텐츠 유통의 문제점들을 개선, 해결하여 유통구조의 최소화를 도모하기 위해 1) 온/오프라인상에 존재하는 개인이나 단체의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보들을 게시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단계와, 2) 구축한 웹사이트를 통해 개인이나 단체의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해당 또는 관련 개인이나 단체가 구축된 본 웹사이트에서 유료로 제공하는 최소한의 경로를 통해 문서 파일 형태나 오디오 파일 형태 혹은 이미지 파일 형태나 동영상 파일 형태 또는 이상의 것을 한 가지 이상 종합한 형태로 직접 게시하는 단계와, 3) 게시된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보들을 본 웹사이트의 회원들 혹은 비회원 네티즌들이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 툴(tool)을 통해 무료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도면 3은 문화생산자가 문화콘텐츠를 온라인상에 직접 광고할 수 있도록 셀프 업로드 방식을 도입해 문화콘텐츠 유통의 단계가 최소화되는 본 발명의 흐름을 도식화한 것이다. 여기서 셀프 업로드 방식이란 다음과 같다. 온라인상에서의 정보의 업로드를 대중화, 편리화하기 위해 업로드의 과정 중 어려운 기술적 부분을 상당수 해결한 뒤 전문적인 기술 없이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여분의 기술적 요소를 아이콘 등으로 웹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때 유저(user)의 생각을 웹 화면상에 표현할 수 있도록 기능성의 목적으로 제시된 아이콘 등을 툴(tool)이라 하고, 이 툴을 포함한 입력화면으로서 정형화되어 제시된 형태를 폼(form)이라 한다. 유저(user)는 제시된 폼 안에서 각종 툴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문서 파일 형태나 오디오 파일 형태 혹은 이미지 파일 형태나 동영상 파일 형태 또는 이상의 것을 한 가지 이상 종합한 형태로 직접 게시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셀프 업로드라 명명한다. 이는 타분야에서 이미 적용되고 있는 기술인데 명칭을 부여한 것이며, 이를 문화콘텐츠의 광고영역으로 도입해 문화콘텐츠 유통의 단계를 최소화하는 영업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점이다. 이를 도식화한 도면 3을 보면
A :문화알리미(특허의 범위 - 청구항 2항에 상세설명, 이하 문화알리미)가 온/오프라인상에 존재하는 문화콘텐츠의 정보를 게시할 수 있도록 온라인상에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단계이다. 문화콘텐츠의 정보가 유통될 수 있는 온라인상의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B: 문화알리미가 직접 생산했거나 관련된 문화콘텐츠이거나 혹은 해당 문화콘텐츠에 관해 습득한 정보를 올리는 단계로 구축된 웹사이트에서 유료로 제시하는 최소한의 경로는 다음과 같다.
a: 회원가입의 단계이다. (온라인 상에서 전자상거래 시 필요한 신상정보를 회원가입 단계를 통해 입력하여 선결하고, 광고물의 게시에 있어서 최소한의 법적/윤리적 책임을 상호 간에 갖고자 하는 의도를 포함하며, 다수의 회원확보를 통해 본사의 웹사이트의 간접적인 경제적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도 포함한다.) 메인 페이지에서 이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회원가입 메뉴 창이 있는 서브 페이지로 이동하고, 온라인 상거래에서 요구되는 최소한의 신상정보를 입력한 후 회원가입 완료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누름과 동시에
b: 셀프 업로드를 할 수 있는 다음 서브 페이지로 이동된다. 이동된 서브 페이지는 문화알리미가 문화콘텐츠를 직접 광고할 수 있는 셀프 업로드 방식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즉 업로드의 과정 중 어려운 기술적 부분을 상당수 해결한 뒤 전문적인 기술 없이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여분의 기술적 요소를 화면에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고, 이 아이콘 등의 이미지에 유저(user)가 자신의 생각을 웹 화면상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기능을 부여한다. 이 툴을 포함한 입력화면으로서 정형화되어 제시된 형태를 폼(form)이라 한다. 유저는 폼 안에서 툴이라 이름하는 이 아이콘 등을 통해 화면에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보들을 자신이 원하는 바대로 직접 업로드해 표현하고, 제시된 폼 안에서의 툴들은 유저의 생각이 화면상에 최대한 표현될 수 있도록 기술을 지원한다. 문화알리미는 이상의 과정으로 입력하여 문화누리미(특허의 범위 - 청구항 2항에 상세설명, 이하 문화누리미)에게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알리는 것이다. 이때 문화콘텐츠 정보를 입력하는 형태는 제시된 폼 안에서 각종 툴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문서 파일 형태나 오디오 파일 형태 혹은 이미지 파일 형태나 동영상 파일 형태 또는 이상의 것을 한 가지 이상 종합한 형태로 직접 게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단계는 정보입력뿐만 아니라, 문화콘텐츠의 게시 이후에도 횟수의 제한 없는 정보의 수정기능을 포함하며 회원가입 단계에서 설정한 ID(identification, 사용자명)과 PW(pass word,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근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의 문화콘텐츠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금액결제를 할 수 있는 다음 단계의 서브페이지로 이동된다.
c: 게시하는 온라인 광고물에 대해 본 웹사이트에서 책정한 금액을 온/오프라인 결제시스템을 통해 결제하는 단계인데, 문화알리미는 자신이 업로드한 문화콘텐츠 정보의 게시기간을 임의로 설정해 계약할 수 있으며, 계약기간에 해당하는 견적금액이 제시된다. 이때 계약기간에 해당하는 금액을 온/오프라인 방법으로 결제하면
d: 바로 온라인상의 본 웹사이트에 입력한 문화콘텐츠 정보가 노출되고 계약기간 동안 게시된다.
e: 입력한 문화콘텐츠 정보에 오류가 있거나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혹은 다른 정보로 대체하고 싶은 경우에는 회원가입 단계에서 설정한 ID(identification, 사용자명)과 PW(pass word,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b단계로 접근할 수 있다. 이때 문화알리미는 계약기간 내에 한하여 별도의 결제과정 없이, 즉 c 단계를 생략한 채로 b 단계에서 d단계로 이동할 수 있으며, 문화콘텐츠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횟수는 계약기간 내에서는 제한이 없다.
D: 문화누리미가 게시된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보들을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 툴을 통해 무료로 검색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제공되는 검색 툴은 온라인 상에 이미지로 구현된 지도를 통한 검색 방법과 각각 전시회, 공연, 콘서트, 체험 행사, 축제, 각종 대회, 스포츠 대회, 교회 행사로 구분된 카테고리를 통한 검색 방법과 날짜, 해당 콘텐츠에 관련된 어휘, 장소를 키워드로 입력해 검색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단계에서 문화누리미는 자신이 원하던 문화콘텐츠뿐만 아니라 각종 문화콘텐츠 정보에 노출되며, 지역적 접근성과 문화적 존재로서의 학습 적 욕구와 호기심이라는 심리적 욕구로 인해 문화소비에 대한 동기를 부여받는다.
E: 이상의 단계를 통해 문화콘텐츠 정보는 문화알리미에게서 문화누리미에게로 활발히 유통되며, 이는 곧 D 단계에서 서술한 이유들로 인해 문화체험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 문화콘텐츠 자체의 유통으로 이어져 문화콘텐츠의 소비가 확장되고 창출된다.
F: E 단계에서의 활발한 문화소비는 문화생산자에게 문화콘텐츠 생산의 확장과 창출에 대한 경제적 동기가 된다. 이를 통해 생산된 문화콘텐츠는 다시 문화알리미(문화생산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왜냐하면, 문화생산자가 자신의 문화콘텐츠를 알릴 경우 그는 문화알리미이기 때문이다.)들에 의해 A단계에서 구축된 웹사이트에 온라인 정보로 게시되고(B 단계), 이는 다시 D 단계로 이어져 전체적으로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소비가 확장되고 창출되는 선 순환적인 구조를 가져온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화콘텐츠 유통의 단계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유통의 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는 도면 2를 통해 설명한다.
먼저
광고물 제작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 a-b 단계, f-g 단계, i-j단계, n 단계가 생략되고 c-e 단계와 h 단계, k 단계가 통합, 개선된다.
또한, 온라인상의 문화콘텐츠 광고/판매 대행사의 경우 a′-d′ 단계, j′-k′ 단계가 생략되고 e′-i′ 단계가 통합, 개선되고 l′ 단계는 문화콘텐츠 생산자와의 직거래를 유도한다.
그리고 이외에도 종래의 기술이었던 오프라인상의 광고방식 또는 온라인상의 광고/판매 대행방식에 비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가) 오프라인상의 광고방식에 비해
ㄱ) 광고물 제작 오프라인 매장에 비해
㉠ 문화콘텐츠 정보의 유통에 있어 시/공간의 제약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 정보의 노출성이 좋고, 종래의 문화소비자의 온라인 접속률을 감안할 때 정보의 인지도와 재 인지율이 상승한다는 이점이 있다.
㉢ 정보의 오류나 교체에 있어서 횟수뿐만 아니라 시/공간의 제약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 종래의 기술에서 소요되었던 광고물 유통/수거에 들어가는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유통되는 문화콘텐츠 관련 광고물의 개수를 줄여 공공장소와 주거환경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수거되지 않은 광고물이 쓰레기로 방치되어 수거에 들어가는 환경적 비용의 지출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 문화콘텐츠에 관심이 있는 문화소비자들이 정보를 검색할 가능성이 많으므로, 문화콘텐츠의 장르별로 타깃이 되는 문화소비자에게 해당 문화콘텐츠 정보가 성공적으로 전달되는 비율이 매우 높다는 이점이 있다.
ㄴ) 영상/음성 미디어 광고에 비해
㉠ 미디어 광고가 가지는 잠정적 소비자의 규모(시청자/청취자)에 맞먹는 온라인상의 네티즌(인터넷 보급률 세계 1위)이라는 잠정적 소비자들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 위의 ㉠의 이유로 인해 문화생산자의 접근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 같은 동적인 정보전달 방식을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문화소비자의 의지에 따라 정보의 재생의 횟수와 시/공간상의 제약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 문화콘텐츠 정보의 화면구성과 멘트 등의 광고방식의 결정권한이 전적으로 문화알리미(문화생산자 포함) 측에 있어 다양하고 창의적인 광고구성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 셀프 업로드 방식을 통해 광고의 절차가 간단하고 쉬워져 풍부한 양의 문화콘텐츠 DB(Data-Base)확보가 가능하다.
나) 종래의 온라인상의 광고/판매 대행방식에 비해
본 발명은 판매의 단계를 생략하고, 광고의 단계에 셀프 업로드 방식을 도입해 문화콘텐츠의 유통을 최소화한 영업모델이다. 때문에 판매에 소요되는 많은 투자비용과 유지비용(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 기술에서 상세히 서술.)도 생략되어 문화콘텐츠의 온라인 광고에 소요되는 비용을 종래의 기술에 비해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는 문화알리미(특히 문화생산자) 입장에서 생산비용(특히 광고비용)을 크게 절감하면서도 문화콘텐츠를 종래의 효과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알릴 수 있기 때문에 광고의 효율성 면에서 큰 이득이 있다. 아울러 광고 대행만을 원하고 판매대행은 원치 않는 문화알리미의 경우 광고 대행만을 전문적으로 하는 인프라를 보유한 웹사이트와 영업방식을 찾지 못해, 광고대행만 원해도 원치않는 판매수익까지 나눠야 했다. 이는 광고비와 판매수익의 지출이라는 2중 부담이었으나, 본 발명으로 인해 온라인 시장경제에서 선택의 폭이 넓어져 문화생산자에게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결과도 가져온다.
더욱이 문화콘텐츠 정보의 유통권한이 광고/판매 대행사에서 문화알리미(문화생산자를 포함해 문화콘텐츠 정보를 알리려는 모든 이들: 청구의 범위 - 청구항 2항에서 상세설명.)에게로 이동되며, 판매를 대행하던 유통의 단계를 생략해 문화생산자와 문화소비자 간의 직거래를 유도함으로써 문화생산자가 문화콘텐츠를 유통시키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는 프로(professional) 대중 문화생산자뿐만 아니라 문화에 열정과 관심을 가진 세미프로(semi-professional)급이나 일반의 개 인 혹은 단체도 본 웹사이트가 유료로 제공하는 최소한의 경로를 통해 자신의 문화콘텐츠를 직접 홍보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온라인 상에서 문화콘텐츠의 유통시스템에 대한 접근성에 자본이 미치는 영향력이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문화생산자의 범위가 지역, 연령, 계층에 걸쳐 확장되고, 확장된 문화생산자들을 통해 확보되는 문화콘텐츠 관련 DB(Data-Base)는 본 웹사이트가 제공하는 무료 검색 툴을 통해 문화누리미들에게 제공되어 문화누리미들의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보의 취득을 보편화시키며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때문에 문화누리미들은 문화체험에 이르는 정보와 기회를 더 많이 누리게 되며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의 D, E 단계에서 서술했듯이 문화소비를 확장하고 창출할 확률이 높아진다. 이는 문화알리미(특히 문화생산자)에게 경제적 동기를 부여해 기존의 문화콘텐츠의 생산이 확장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창작 동기도 되므로 전체적인 문화콘텐츠 생산의 확장과 창출을 촉진한다. 이를 통해 다시금 문화누리미는 문화체험에 대한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와 기회에 노출되며 이는 또다시 문화알리미들에게 경제적 동기를 부여해 전체적으로 문화콘텐츠의 질과 양이 증진되는 선순환 적 구조를 가져온다. 이처럼 문화생산자가 저비용과 최단시간으로 직접 문화콘텐츠 정보를 온라인상에 광고할 수 있는 효율성 외에도 본 웹사이트의 특성을 통해 촉진될 문화생산자의 대중화는 문화생산자와 문화소비자 간의 역할 경계를 허물어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소비가 확장되고 창출되는 것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Claims (6)

  1. 본 발명은 1) 온/오프라인상에 존재하는 개인이나 단체의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보들을 게시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단계와, 2) 구축한 웹사이트를 통해 개인이나 단체의 문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해당 또는 관련 개인이나 단체가 구축된 본 웹사이트에서 유료 혹은 무료로 제공하는 최소한의 경로를 통해 문서 파일 형태나 오디오 파일 형태 혹은 이미지 파일 형태나 동영상 파일 형태 또는 이상의 것을 한 가지 이상 종합한 형태로 직접 게시하는 단계와, 3) 게시된 문화 콘텐츠에 관한 정보들을 본 웹사이트의 회원들 혹은 비회원 네티즌들이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 툴(tool)을 통해 무료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문화의 생산과 소비가 확장되고 창출되는 방법.
  2. 문화콘텐츠 정보를 온라인상에 광고 등의 형태로 게시하여 네티즌들에게 알리는 이들을 ‘문화알리미’(이하 문화알리미, 어원을 밝힌 ‘문화알림이’도 포함한다.)라고 명명하며, 이들은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 문화생산자를 포함해 문화콘텐츠를 알리고자 하는 모든 이들을 포함한다. 더불어 문화체험을 시도, 습득, 소비하려는 목적으로 온라인 상에서 문화콘텐츠 정보를 검색하는 모든 문화소비자들을 ‘문화누리미’(이하 문화누리미, 어원을 밝힌 ‘문화누림이’도 포함한다.)라고 명명한다. 상기와 같이 문화알리미와 문화누리미는 역할에 대한 설정일 뿐이기 때문에 하 나의 문화콘텐츠에서는 문화알리미라도 다른 문화콘텐츠에서는 문화누리미로 그 역할이 바뀔 수 있고, 이와 반대의 개념도 포함한다.
  3. 제 1항에 있어서, 2) 구축한 웹사이트를 통해 개인이나 단체의 문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해당 또는 관련 개인이나 단체가 구축된 본 웹사이트에서 유료 혹은 무료로 제공하는 최소한의 경로를 통해 문서 파일 형태나 오디오 파일 형태 혹은 이미지 파일 형태나 동영상 파일 형태 또는 이상의 것을 한 가지 이상 종합한 형태로 직접 게시하는 단계를 ‘셀프 업로드’라고 명명한다. 이는 기술에 대한 청구가 아니며, 명칭에 대한 청구임을 포함한다.
  4. 제 1항과 제 3항에 있어서, 2) 구축한 웹사이트를 통해 개인이나 단체의 문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해당 또는 관련 개인이나 단체가 구축된 본 웹사이트에서 광고할 수 있도록 유료 혹은 무료로 제공하는 최소한의 경로는 문화알리미가 광고를 온라인상에 게시할 수 있도록 구축된 웹상의 메인페이지에서 서브페이지로 이동하는 단계와, 이동 후 온라인 상거래에서 요구되는 인적사항을 입력하여 본 웹사이트의 회원으로 가입을 완료하면 다음 서브페이지로 이동되는 단계와, 이동된 후에 제시되는 본 웹사이트의 지정된 폼(form) 안에서 해당 문화콘텐츠에 관련한 정보를 문서 파일 형태나 오디오 파일 형태 혹은 이미지 파일 형태나 동영상 파일 형태 또는 이상의 것을 한 가지 이상 종합한 형태로 직접 입력을 완료하면 다음 서브페이지로 이동되는 단계와, 이동된 서브페이지에서 게시하고자 하는 문화콘텐츠 정보의 온라 인 광고페이지에 대해 본 웹사이트에서 책정한 금액을 온/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을 통해 결제하면 바로 본 웹사이트에 해당 문화콘텐츠의 정보가 계약기간 동안 게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5. 제 4항에 있어서, 게시하는 문화콘텐츠의 정보는 계약기간 내에서 문화알리미가 횟수의 제한 없이 임의로 수정할 수 있음을 포함한다.
  6. 제 1항에 있어서, 3) 게시된 문화콘텐츠에 관한 정보들을 본 웹사이트의 회원들 혹은 비회원 네티즌들이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 툴(tool)을 통해 무료로 검색하는 단계의 검색 툴은 온라인상에 이미지로 구현된 지도를 통한 검색 방법과 각각 전시회, 공연, 콘서트, 체험 행사, 축제, 각종 대회, 스포츠 대회, 교회 행사로 구분된 카테고리를 통한 검색 방법과 날짜, 해당 콘텐츠에 관련된 어휘, 장소를 키워드로 입력해 검색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KR1020070060169A 2007-06-19 2007-06-19 광고주가 광고를 직접 등록하는 방식(셀프 업로드)의문화콘텐츠 광고/검색 사이트 KR20090002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169A KR20090002157A (ko) 2007-06-19 2007-06-19 광고주가 광고를 직접 등록하는 방식(셀프 업로드)의문화콘텐츠 광고/검색 사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169A KR20090002157A (ko) 2007-06-19 2007-06-19 광고주가 광고를 직접 등록하는 방식(셀프 업로드)의문화콘텐츠 광고/검색 사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157A true KR20090002157A (ko) 2009-01-09

Family

ID=4048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169A KR20090002157A (ko) 2007-06-19 2007-06-19 광고주가 광고를 직접 등록하는 방식(셀프 업로드)의문화콘텐츠 광고/검색 사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1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573A1 (ko) * 2012-11-28 2014-06-05 You Eun Young 실시간 공연 홍보 방법
KR20150144832A (ko) 2014-06-17 2015-12-29 윤후정 문화콘텐츠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573A1 (ko) * 2012-11-28 2014-06-05 You Eun Young 실시간 공연 홍보 방법
KR20150144832A (ko) 2014-06-17 2015-12-29 윤후정 문화콘텐츠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iam Marketing for dummies
Berkowitz et al. Brand China: using the 2008 Olympic Games to enhance China's image
Liang et al. What is a theme park? A synthesis and research framework
Murschetz et al. Making media management research matter
Lin et al. Establishing the service evaluation and selection system for emerging culture festival events using the hybrid MCDM technique
Sherry et al. Ethnic media under a multicultural policy: The case of the Korean media in British Columbia
Wenzel The entrepreneur's guide to market research
Twum et al. Green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Prakash et al. Smart destination marketing in the digital age
KR20090002157A (ko) 광고주가 광고를 직접 등록하는 방식(셀프 업로드)의문화콘텐츠 광고/검색 사이트
Wilson The role of advertising in place branding
Warasanti et al. Proposed Marketing Strategy to Increase Customer Purchase Intention for Cluster House Residence
Subiakto Political advertising on mass media construction
Po Repackaging globalization: A case study of the advertising industry in China
Muswede Sustainability challenges facing community radio: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community radio stations in Limpopo Province.
Njuguna The influence of marketing communication tools on student enrollment in private universities in Kenya
Chulkova DIGITAL MARKETING IN TOURISM SPHERE Case Company: HaparandaTornio Tourist Information Centre
ADRINA et al. PROTECHNIC WEBSITE DEVELOPMENT FOR RENTAL OF PROPERTY & TRANSPORTATION AMONG POLITEKNIK SHAH ALAM STUDENTS
Samhere Stakeholders’ Perceptions of the Harare International Festival of Arts
Islam The daily newspaper industry in Bangladesh: A study on branding and promotion strategy
Dang How to attract moviegoers by utilizing digital marketing: case: generation Z as a potential target audience
Nor et al. Disruptive Innovations: Shifting Away Revenues from Traditional Homestay Businesses
Haldavanekar Comparative study on usage of print media advertising and digital media advertising for promtion of residential real estate projects in Pune for the period
Liu Enchantment and strength of media mix: A case of cultural festival
Klever et al. Planning and organi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