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856A -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856A
KR20090001856A KR1020070051810A KR20070051810A KR20090001856A KR 20090001856 A KR20090001856 A KR 20090001856A KR 1020070051810 A KR1020070051810 A KR 1020070051810A KR 20070051810 A KR20070051810 A KR 20070051810A KR 20090001856 A KR20090001856 A KR 20090001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broadcast content
data packet
broadcasting
m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0743B1 (ko
Inventor
양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5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743B1/ko
Publication of KR2009000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9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방송 컨텐츠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비 방송 시간대에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송 센터에 이를 제공하고,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방송 단말기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통보 받는 서버 및 상기 통보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상기 방송 단말기별로 매칭되도록 저장하여 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방송 컨텐츠, MOT 프로토콜, MOT 데이터 패킷, 방송 센터, 방송 서비스

Description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broadcasting system for supporting broadcast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송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방송 센터
120: 방송 단말기
130: 서버
131: 데이터베이스
210: 방송 수신부
220: 오디오 출력부
230: 입력부
240: 제어부
250: 메모리
260: 송수신부
270: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송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 시키고, 서비스 제공자가 방송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기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는 방송 산업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DMB 서비스는 고화질, 고음질의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등의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이다.
DMB 서비스는 방송의 디지털화와 통신의 광대역화로 인해 나타난 방송통신 융합 시대의 대표적인 미디어로서, 방송 센터를 통해 방송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방송적 특성과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통신적 특정을 갖는다.
이러한 DMB 서비스는 방송 센터에서 다양한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방향 방송 서비스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방송 컨텐츠의 내용, 시간 및 채널 등을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수신하여 이를 참고해야만 자신이 원하는 방송 컨텐츠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방송 시간을 놓치게 되면, 방송 시간대 이외에는 자신이 원하는 방송 컨텐츠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시청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방법 역시 무선 인터넷에 반드시 접속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사용 요금도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 선택된 방송 컨텐츠에 상응하는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데이터 패킷을 비 방송 시간대에 자동으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함으로써, 방송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이용할 때 방송 컨텐츠에 대한 사용 여부 및 사용자 의견 등을 별도의 서버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자가 방송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기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방송 컨텐츠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비 방송 시간대에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송 센터에 이를 제공하고, 및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방송 단말기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통보 받는 서버 및 상기 통보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상기 방송 단말기별로 매 칭되도록 저장하여 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방송 단말기는 비 방송 시간대에 활성화되어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부호화하여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및 수신된 상기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헤더의 일부분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판별하여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저장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방송 컨텐츠 제공 방법은 방송 센터가 비 방송 시간대에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송 컨텐츠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방송 단말기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통보 받는 단계, 및 상기 통보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 방송 컨텐츠 및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상기 방송 단말기별로 매칭되도록 저장하여 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방송 단말기의 방송 컨텐츠 제공 방법은 비 방송 시간대에 활성화되어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부호화하여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데이터 패킷을 기 설정된 상기 MOT 프로토콜에 따라 복호화하여 생성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DAR(Digital Audio Radio), DRB(Digital Radio Broadcasting), DSB(Digital Sound Broadcasting),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중 어느 하나를 서비스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송 단말에서 비 방송 시간대에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방송 컨텐츠를 자동으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방송 센터는 비 방송 시간대에 방송 컨텐츠를 MOT 프로토콜을 복호화하여 생성된 MOT 데이터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MOT 프로토콜만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100)은 방송 센터(110), 방송 단말기(120), 서버(130), 및 데이터베이스(database)(131)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센터(110)는 CP(Contents Provider)나 PP(Program Provider)에 의해 제작되어 서비스 제공자 즉, 방송사마다 뉴스, 스포츠, 영화, 드라마, 가요 등 다양하게 편성된 방송 컨텐츠를 부호화 및 다중화하여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방송 센 터(110)는 방송 컨텐츠의 내용, 시간 및 채널 등을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할 수 있다.
방송 센터(100)는 방송 시간대에 편성된 방송 컨텐츠 뿐만 아니라 이에 관련된 다양한 방송 컨텐츠를 비 방송 시간대 예를 들면, 새벽 2시부터 4시 사이에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송 센터(100)는 비 방송 시간대에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의 정보도 EPG에 추가하여 사전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방송 컨텐츠의 제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방송 센터(110)는 비 방송 시간대에 기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때, MOT 프로토콜은 텍스트, 정지 영상, 동영상, 및 오디오 컨텐츠 등을 파일 형태로 전송하면, 수신기에서 이를 수신해 재생할 수 있도록 한 프로토콜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방송 센터(110)는 방송 컨텐츠를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에 따라 부호화하여 MOT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MOT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될 수 있다.
방송 센터(110)는 MOT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헤더의 일부분에 이에 상응하는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송 단말기(120)는 MOT 데이터 패킷을 판별하여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센터(110)는 MOT 데이터 패킷을 비 방송 시간대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센터(110)는 데이터 주기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MOT 데이터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주기전송 방식은 동일한 데이터를 일정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 주기만큼 기다린 후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방송 단말기(120)는 EPG 정보를 기반으로 원하는 방송 컨텐츠를 해당하는 채널을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방송 단말기(120)는 비 방송 시간대에 기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MO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방송 단말기(120)는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 받아 이를 재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망과 이에 연동하는 IP 망에 연동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 단말기는 전용 단말기, 휴대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차량용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비 방송 시간대에 제공된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방송 단말기(120)로부터 통보 받아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방송 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시청자 의견 등을 제공 받아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1)는 서버에 연동하여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고,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방송 단말기별로 매칭되도록 저장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송 센터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상파 방송 서비스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방송 센터와 이에 연동하는 위성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방송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 방송 시간대에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수신 하는 방송 단말기의 동작 원리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송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단말기(200)는 방송 수신부(210), 오디오 출력부(220), 입력부(230), 제어부(240), 메모리(250), 송수신부(260), 및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210)는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방송 컨텐츠를 역다중화 및 복호화하여 오디오, 텍스트, 및 비디오 데이터 등의 구성 성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방송 서비스 및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장치들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오디오 출력부(22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동기화되도록 디스플레이부(270)는 텍스트와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방송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컨텐츠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능에 의해 보호되어 저장되고, 일정 시간 후에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260)는 CDMA, GSM, 및 WCDMA 방식 등과 같은 이동통신 망을 통해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기 수신된 EPG 또는 방송 컨텐츠에 상응하는 식별 코드를 기반으로 원하는 방송 컨텐츠의 자동 수신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비 방송 시간대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S310). 제어부(240)는 비 방송 시간대가 되면, 방송 수신부(210)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이에, 방송 수신부(210)는 방송 센터로부터 MOT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S320).
제어부(240)는 수신된 MOT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S330). 즉, 제어부(240)는 MOT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헤더의 일부분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추출된 식별 코드와 기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상응하는 식별 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추출된 식별 코드와 기 설정된 식별 코드가 일치하면, 수신된 MOT 데이터 패킷을 MO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방송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S340).
이에, 제어부(240)는 생성된 방송 컨텐츠를 메모리(250)에 저장할 수 있다(S350).
이와 같이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사용자는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지 않고도 방송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 단말기는 기 저장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사 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송 컨텐츠의 재생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10).
방송 단말기는 방송 컨텐츠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방송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S420). 방송 단말기는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통보하기 위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430).
방송 단말기는 생성된 통보 메시지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440). 또한, 방송 단말기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의견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는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게 이용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각 방송 컨텐츠별 이용 내역 예를 들면, 컨텐츠별 인기도, 및 연령별 인기도 등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다른 서비스 기획에 참고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 컨텐츠에 상응하는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데이터 패킷을 비 방송 시간대에 자동으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함으로써,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이용할 때 방송 컨텐츠에 대한 사용 여부 및 사용자 의견 등을 별도의 서버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자가 방송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기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방송 컨텐츠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비 방송 시간대에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송 센터에 이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방송 단말기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통보 받는 서버; 및
    상기 통보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상기 방송 단말기별로 매칭되도록 저장하여 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센터는,
    동일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주기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는,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에 따라 부호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MOT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MOT 데이터 패킷은,
    상기 MOT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헤더의 일부분에 이에 상응하는 상기 방송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업자가 상기 방송 컨텐츠를 상기 방송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에 따라 이를 재생한 상기 방송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이용요금을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DAR(Digital Audio Radio), DRB(Digital Radio Broadcasting), DSB(Digital Sound Broadcasting),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중 어느 하나를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7. 비 방송 시간대에 활성화되어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부호화하여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및
    수신된 상기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헤더의 일부분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판별하여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의 저장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에 따라 부호화되어 생성된 MOT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헤더의 일부분에 포함된 상기 식별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식별 코드와 기 설정된 식별 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MOT 데이터 패킷의 저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MOT 데이터 패킷을 상기 MOT 프로토콜에 따라 복호화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단말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능에 의해 보호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일정 시간 후에 상기 메모리에서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단말기.
  11. 방송 센터가 비 방송 시간대에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송 컨텐츠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방송 단말기로부터 이에 상응하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통보 받는 단계; 및
    상기 통보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상기 방송 단말기별로 매칭되도록 저장하여 이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통보 받는 단계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통보 하는 상기 방송 단말기로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의 시청 의견을 제공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 제공 방법.
  13. 비 방송 시간대에 활성화되어 방송 센터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부호화하여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데이터 패킷을 기 설정된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복호화하여 생성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는,
    수신된 MOT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상기 식별 코드에 따라 상기 MOT 데이터 패킷의 저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MOT 데이터 패킷을 상기 MOT 프로토콜에 따라 복호화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방송 컨텐츠가 재생될 때, 이를 통보하기 위한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통보 메시지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070051810A 2007-05-29 2007-05-29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80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810A KR100880743B1 (ko) 2007-05-29 2007-05-29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810A KR100880743B1 (ko) 2007-05-29 2007-05-29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856A true KR20090001856A (ko) 2009-01-09
KR100880743B1 KR100880743B1 (ko) 2009-02-02

Family

ID=4048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810A KR100880743B1 (ko) 2007-05-29 2007-05-29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7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1581A (ja) 2004-07-22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地上ディ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システム
US20060080725A1 (en) * 2004-10-13 2006-04-13 Noki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digital media content
JP2007036682A (ja) 2005-07-27 2007-02-08 Alpine Electronics Inc 移動体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699331B1 (ko) * 2005-09-06 2007-03-23 주식회사 에어코드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743B1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96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nd downloading related contents by terminal through broadcast service
CN101490988B (zh) 移动通信装置用的电子节目指南
CN1753502B (zh) 提供广告音乐的系统和方法
US7283817B2 (en) Receiver
EP23730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imeshift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CN101662647B (zh) 终端设备、音/视频系统及其方法
KR10080189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20021809A1 (en) Receiver
EP22258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binding notification types to applications for a notification framework
US7567793B1 (en) Inform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method
CN101356815B (zh) 在播送节目之间进行单独更换的装置和方法
KR20090088771A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통신채널로 통지메시지를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CN101005546A (zh) 一种电子业务指南表元数据的传输方法
US20080132162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btaining Broadcast Content
US200700677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N101286810A (zh) 手机电视视频预览的发送或接收方法及装置
US200600023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searching broadcasting stream
US8898703B2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 forma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2004186890A (ja) 受信装置、伝送システム及び受信方法
KR100748273B1 (ko)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채널 편성표에 따른 방송 서비스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80743B1 (ko)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923869B (zh) 发送用户服务捆绑描述的方法,及渲染视频服务的设备
JP2011244268A (ja) 放送装置、放送受信装置、放送方法、放送受信方法
KR20090083274A (ko) 트리거 기반의 부가 컨텐츠 제공을 위한 정보저장매체 및 방법과,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20190068837A (ko) 사용자의 채널 진입에 따라 방송 콘텐츠의 교체가 가능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